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 그 심상지리적 성격

        정환국 ( Jung Hwan-ku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필자는 최근 동아시아 해양문화를 조명하는 일환으로 표류서사에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동아시아 표류서사 서설을 비롯해 표류담의 유형 중 거인담과 횡재담에 대해 그 연구 성과를 제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그 후속 작업으로, 표착지인 섬을 이상적인 공간으로 그린 서사물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그런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은 야만의 지역으로 표상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환상적인 세계로 채색되어 육지와 구별된 공간으로 상정되곤 하였다. 이런 중층적인 면모에서 주목할 점은 섬을 하나의 대안 공간으로 인지해간다는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표류 소재로 기능하던 섬은 점차 사회현실을 견인하는 테제로 부상하게 된다. 이렇게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으로 실험되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바다밖 세계에 대한 인식의 불철저와 대타적인 시선도 여전히 자리하고 있었다. 이런 가능성과 한계를 통해 조선 후기 섬은 인문지리나 자연지리가 아닌 심상지리(imagined geographies)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는 표류 체험을 통한 발견된 섬이 대안의 공간으로 상정되었으면서도 이를 현실화하는 데서 생긴 한계가 교차해 있었기 때문이다. 상상과 현실의 불일치를 확인하게 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한편, 조선 후기 ‘섬 이야기’가 한창이던 즈음 육지에서도 ‘살 곳 찾기’가 모색되고 있었다. 섬 이야기와 육지 안에서의 대안 공간의 모색은 모두 중심에 대한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육지와 바다 밖이라는 차이만큼 양자 사이는 결이 상당히 달랐다. 그럼에도 이 두 가지 문제는 조선 후기 사회현실에 따른 대안적 담론이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주목해야 할 사안이다. This is a successive study focused on the drift narrative in which I had been working on in order to shed new light on the East Asian marine cul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monstrate the nature of narratives depicting an island as the ideal space. An island discovered through drifts is sometimes depicted as a space of fantasy distinguished from the mainland, or it is set as a alternative space. Throughout the process, the island functioning as a material of drifts becomes the These that drives the social reality. The island performs as a new space for alternative possibilities, however, the limitations are also evident as there still remains the inconsistency with the world outside of the sea. Through thes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islands of late Joseon Dynasty are positioned as ‘imagined geographies’ rather than a ‘human geography’ or a ‘natural geography.’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island was fantastically conceived as an alternative space, it still remained as a romantic object due to the limitations of actualization. It is where the discordance of the imagination and the reality is confirmed. Meanwhile, the height of the ‘island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coincide with the ‘finding a place to live’ being sought on the mainland.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oth the ‘island story’ and the search for an alternative space on the mainland could be said to be the same move, given that the centrifugal forces are working on the center. These two issues should still be noted in the future, given that they are alternative discourse based on the social real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전후 재건 공간의 영화적 재현과 계몽의 변증법 - 1950년대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

        한영현 돈암어문학회 2018 돈암어문학 Vol.34 No.-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reconstruction space after the Korean War by selecting and analyzing some Korean movies made in the 1950s. By focusing on the ways that "home" and "hometown" were reproduced in these movies, the study examined the viewpoints of enlightenment revealed in the ways. In discussions about Korean movies from the 1950s, the special spaces of "home" and "hometown" are the most empowered places. These two spaces are good examples of national symbols to divide certain safe zones. The study then analyzed otherized places or urban spaces assumed to be outside these two spaces such as "streets," "dance halls" and "military camp towns" along with the meanings of people in these places.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attempts at preventing many unspecified individuals crowding the streets and drifting around the city from wandering around with no purpose, making them return to their original places for the stability of society, or assigning them to certain spots. Finally, the study identified places to show "inside containing outside" in the arrangement of these two opposite spaces. "Home" and "hometown" as unrealistic imagined spaces can offer a methodology of enlightening practice to overcome the irrationality of reality, but they inevitably have the impossibilities of approaching the existence. Reproduced in the Korean movies in the 1950s, the places of "home" and "hometown" produced the space of "boundary" and displayed certain instability, possibilities of contamination, and impossibilities inherent in the perfect organization process of society and state. 본 고는 전후 재건 공간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1950년대 한국 영화 몇 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1950년대 영화에서 ‘집’과 ‘고향’의 장소를 재현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춰, 이 방식에 드러나는 계몽의 시선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한국 영화를 논하는 데 있어서 가장 권력화된 장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집’과 ‘고향’의 특별한 공간이다. 이 두 공간은 근본적으로 어떤 안전지대를 구획하는 대표적인 국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공간의 밖에 위치한다고 상정되는 도시의 공간들, 즉 ‘거리’와 ‘댄스홀’, ‘기지촌’ 등의 타자화된 장소들을 분석하되, 이 곳에 존재하는 인물들의 의미와 함께 분석하고자 했다. 문제가 되는 것은 거리를 가득 메운 불특정 다수, 즉 도시의 부유하는 존재들의 목적 없는 배회를 차단하고 사회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그들을 본래 있던 자리로 귀환시키거나 그들에게 어떤 자리를 배정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상반된 두 공간의 배치 속에서 ‘외부를 포함한 내부’를 보여 주는 장소를 추출했다. 근본적으로 상상된 비현실적인 공간으로서의 ‘집’과 ‘고향’은 그 자체로 현실의 부조리를 극복하기 위한 계몽적 실천의 방법론이 될 수는 있으나 그 실재에 다가갈 수는 없는 불가능성을 내포할 수밖에 없었다. 1950년대 한국 영화에서 재현된 ‘집’과 ‘고향’의 장소는 결과적으로 ‘경계’의 공간을 연출함으로써 사회와 국가의 완벽한 구성 과정이 내포하고 있는 불안정성과 오염 가능성, 불가능성 등을 보여 준다.

      • KCI등재

        이용악 시 연구 -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

        최은자 ( Eun Ja Cho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이 연구는 이용악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을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용악은 1930-40년대 식민지 시대 우리 민족의 궁핍하고 고통스런 삶을 탁월한 기법으로 형상화하여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이뤄낸 시인이다. 내용상으로 이용악 시는 전체적으로 실향의 고통과 귀향에 대한 소망, 가난으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절망, 일제치하 민족의 고난과 비극적 삶, 유이민의 삶의 비애 등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내면의식은 앞의 시어 분석을 통하여 주로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들에 의해 형상화되거나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시어들은 ‘길’, ‘하늘’, ‘바다’, ‘거리’, ‘산’, ‘(두만)강’, ‘북(쪽), ‘집’, ‘고향’, ‘항구’ 등이다. 이러한 시어들은 위 네 가지 내면의식을 표출하는데 있어, 각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거나 차별적으로 분리됨이 없이 혼합하여 쓰이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용악의 시는 형식면에 있어서, 서정 양식의 기법에 서사적 방법을 수용하여 시적 표현 양식을 확장시킨 시인으로 평가받는데, 이러한 시적 표현방법은 자신의 가난한 삶의 체험을 개인적 서정에 국한하지 않고 보편적인 체험의 영역으로 확대시키는 데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현실을 냉철하게 통찰하는 안목으로 객관적 현실을 그리면서 나아가 민족적 삶의 비극을 다루는 것으로 확장시켜 나아간다. 본고는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용악 시의 시어가 지닌 의미를 파악하고 이용악의 내면세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이용악의 시 세계에 좀더 가까이 접근하려는 노력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가 이용악 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작은 성과이기를 바라며, 앞으로 다른 각도에서의 시어 분석이나 또 다른 시연구 방법을 통하여 이용악 시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bout the inner consciousness of poet, Lee Yongak through classification by words. The words was expecially focused on space. Lee is a main poet who created many poems about anguish life for 1930's - 1940's, especially Japanese colonial era. He achieved his own characteristic method of literature. Lee Yongak expressed his poor and anguish life with the poetic language about space. In his poets there are many poetic words about space, for example, road, sky, back, sea, mountain, river, house, north, street, hometown, port etc. The words of space were mixed extensively in his poems. On the side of contents, he expressed four main topics with these words of space in his poems. First theme is the pain of lost hometown and expectation for coming back hometown. He was borned in Hamgyungbukdo Kyungseun, north of Korea, very cold and barren place. So his hometown was released as the place of escape from poverty. But after escaping from hometown, he tried to come back his hometown. Second theme is the individual anguish and despair. Third theme is the national suffering and tragedy and fourth is the tragedy of drifting and emigrant persons. On the side of form, he properly used the method of lyric and expressed his individual emotion but also he made from his individual experience to generalizing experience. Besides he expanded his emotion to the national tragedy through this descriptive method. This study achieved to approach to Lee Yongak's inner consciousness more closely. And it is needed to study continuously about Lee Youngak with other various ways.

      • KCI등재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과 탈경계적 공간 인식 - 손장순과 김지원의 유학·이민 서사를 중심으로

        임정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how women perceive spaces as investigating the women’s overseas dwelling experience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study focused on novels written by Jang-sun Son and Ji-won Kim and analyzed how placeness of these cities, Paris and New York, and residential types such as studying abroad and immigration would get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novel by Jang-sun Son breaks these images of Paris, freedom and generosity, into pieces and re-produces Paris as a city of illusion. Son’s going to Paris to study gave her a chance to enter the inside of Paris and dig into the hidden and deep side of the city. As making use of her being a ‘woman student from South Korea’, not only does she deal with contradictions and repressions of the Korean society but also describes paternalistic violence internalized in the women. The women are considered an in-between with a ‘Parisian’ body but ‘Korean’ thinking, and they do not belong to any of France or South Korea but dispart. Paris is understood as ‘space of drift’ and there, the women realize these differences from the West and fragmentize the cor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by Ji-won Kim is New York, and the novel talks about identities and self-awareness of female immigrants. Troubles that the women in Kim’s novel go through are basically caused by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Men are considered selfish and paternalistic while the women dream of stable lives through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men. The women confirm otherness through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and there, New York, the signifier, becomes a symbol of everyday insignificance. As far as the women understand, New York is ‘space of absence’ filled with silence, deportation, deficiency and loss. 이 논문은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을 통해 여성의 공간 인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손장순과 김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유학과 이민 체험이 파리와 뉴욕의 장소 정체성과 상호 결합하는 방식 및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손장순과 김지원 소설의 여성들은 배타적 남성 공간의 안과 밖, 중심과 주변을 동시에 점유함으로써 경계 너머를 상상하게 만드는 ‘역설적 공간’을 탐색해간다. 이렇게 유학과 이민은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파리와 뉴욕은 거주와 이주 사이의 경계 공간으로 재표상된다. 손장순은 자유와 관용, 예술과 문학, 낭만과 매혹이라는 프랑스 파리의 장소 표상을 해체한 지점에서 유학 모티프와 ‘유학생 세대’의 초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다. 손장순 소설은 ‘한국인’ ‘여성’ ‘유학생’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중첩되는 지점에서 성과 연애의 문제를 통해 인종, 민족, 젠더 간의 잠재되었던 충돌과 차이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차이’를 또 다른 이주의 동력으로 타진하면서 파리를 탈중심적 ‘표류공간’으로 형상화한다. 김지원 소설에서 여성인물들의 존재 탐색과정은 ‘뉴욕’이라는 장소가 제공하는 삶의 양식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김지원은 남성들과 친밀한 관계 맺기에 실패한 여성들을 통해 뉴욕이라는 기표를 일상적인 무의미의 기호로 환치시킴으로써 뉴욕을 침묵과 추방, 결핍과 상실의 ‘부재 공간’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모국과 이국, 그 어느 공간에도 정착하지 못하는 여성의 모습은 새로운 이주, 혹은 경계 넘나듦의 삶의 모델로서 유목민적 주체의 탄생을 시사한다. 이렇게 손장순과 김지원은 경계 공간에서 젠더적 삶의 양식을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이 모든 장소에서 실존적 외부성을 체험하고 탈장소성을 실천하는 존재란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INVERSE PROBLEM FOR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ON HILBERT SPACES DRIVEN BY LÉVY PROCESSES

        N. U. Ahmed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2022 Nonlinear Functional Analysis and Applications Vol.27 No.4

        In this paper we consider inverse problem for a general class of nonlinear stochastic dierential equations on Hilbert spaces whose generating operators (drift, diusion and jump kernels) are unknown. We introduce a class of function spaces and put a suitable topology on such spaces and prove existence of optimal generating operators from these spaces. We present also necessary conditions of optimality including an algorithm and its convergence whereby one can construct the optimal generators (drift, diusion and jump kernel).

      • KCI등재

        Photo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by Space-Charge Effects in Organic Solar Cells with Low Charge Dissociation Probability

        Sangcheol Yoon,황인찬 대한금속·재료학회 2015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Vol.11 No.1

        We numerically investigated space-charge effects in organic solar cells generatingphotocurrent with a low charge dissociation probability, using a drift-diffusionmodel with the Onsager-Braun model. In contrast to the knowledge that spacechargeeffects decrease the photocurrent efficiency, we found that under certaincircumstances, the efficiency can be enhanced by the space-charge effects. It is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charge dissociation probability spatially averaged inthe active layer. Space-charge effects become more significant when mobilities areunbalanced leading to more enhancement in photocurrent efficiency.

      • KCI등재

        전지구화시대, 여성이주 서사와 장소 만들기- 『리나』, 『바리데기』, 『찔레꽃』을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Through this study, an aspect of women migrants in 『Rina』 which is a story of a North Korean female refugee written by Yeong-sook Kang, 『Baridegi』 written by Seok-yeong Hwang, and 『jille-ggot』 written by Do-sang Jeong was examined by place and reconstruction of identity. To this a complex aspect of women migrants that mechanism of rank, gender, race, and capital are operated in the globalized capitalism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viewpoint that place is composed socially.First of all in 『Rina』, Rina successfully escapes by passing the border but she cannot arrive in the destination, a country called P right away. And she gets exposed to sexual harassment and human trafficking. She gets suffered by sexual and labor exploitation but she cannot get protected by anyone. But by moving from place to place, Rina becomes a multi-layered subject which transforms identity by having the place. Furthermore, she wanders around the border area to profess to be a drift space. The drift space is reappeared as making a new place like performance art in the tent of the city of drug and tourism, performance stage in a square of free trade organization, and the occupation of club puzzle. It works as a space of resistant practice which collapses globalized capitalism and patriarchal order. In 『Baridegi』, the new sense of place is formed in Bari’s body that is in unity with Mrs. Emily, in a home through combination with Ali and in a townhouse which includes supranational marriage. The sense of place, which is plural and progressive, is created through such a multi-layered scale and it aims to be the place of combination and meeting, not separation and isolation. Such a sense of place extends the identity of Bari but it makes readers to consider that the incidents like 9.11 terror and U.S. and UK-led invasion of Afghanistan in the conclusion are very difficult to realize progressive sense of place. In 『jille-ggot』, through chain migration of a North Korean woman who replaces a Chinese Korean woman moved to South Korea,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of reproduction labor that is realized in the global economy system is revealed. The main character, Chung-sim is a victim of human trafficking by a Chinese Korean man. She escapes and moves around China as a refugee. Then she arrives in Korea. Although, Chung-sim becomes otherized in another boundary, she shows herself as an agency of a migrant woman who is negotiating with South Korea by keeping transnational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in North Korea and by extension of making place. In summary, these three literatures show that identity is not formed unilaterally in the globalized capitalism and patriarchal order while a women migrant is crossing the border. But identity is reconstructed through exclusive possession of the place that she moves to and negotiation with the place. And by making new place, aspect that is realizing imagination of place is shown. 이 논문은 탈북 이주여성을 그린 강영숙의 『리나』와 황석영의 『바리데기』 그리고 정도상의 『찔레꽃』에 나타난 여성이주 양상을 장소와 정체성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소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관점을 토대로, 전지구화된 자본주의 속에서 계급, 젠더, 인종, 자본의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여성이주의 복합적인 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리나』에서 리나는 국경을 넘어 탈출에 성공하지만 곧장 P국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성폭력과 인신매매에 노출된 채 성노동과 노동착취에 시달리면서 아무런 보호도 받을 수 없는 예외상태가 된다. 그러나 리나는 이동하는 장소마다 그 장소를 전유하면서 정체성을 변형시키는 다중적 주체가 된다. 나아가 국경지대를 떠돌면서 표류공간을 자처하는데, 표류공간은 마약과 관광의 도시에서의 천막 공연, 자유무역기구 광장의 공연무대 그리고 클럽퍼즐의 점유와 같은 새로운 장소 만들기로 재현된다. 이는 전지구화된 자본주의와 가부장적인 질서를 와해시키는 저항적 실천으로서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바리데기』에서 새로운 장소성은 에밀리 부인 등과 연대하는 바리의 몸, 알리와의 결합을 통한 가정 그리고 초국가적 결혼경관을 포함한 연립주택이라는 공동체 안에서 형성된다. 이처럼 다층적인 스케일을 통해 생성되는 복수적이고 진보적 장소감은 분리와 격리가 아닌 통합과 만남의 장소를 지향한다. 이러한 장소감을 통해 바리의 정체성은 확장되지만, 결말의 9.11테러와 미국과 영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의 사건은 진보적 장소감의 구현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성찰하게 만든다. 『찔레꽃』은 남한으로 이주한 조선족 여성의 자리를 메우는 북한여성의 연쇄이주를 통해 글로벌 경제 시스템 속에서 이루어지는 재생산 노동의 국제분업의 양상을 드러낸다. 조선족 남성에게 인신매매로 팔려간 충심은 탈출하여 중국에서 비법월경자로 떠돌다가 남한에 정착한다. 충심은 비록 또 다른 경계 속에서 타자화 되지만, 북한에 있는 가족과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는 장소 만들기를 통해 남한이라는 장소와 협상하는 이주여성의 행위자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세 작품은 이주여성이 국경을 넘어 이주하면서 전지구화된 자본주의와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일방적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주한 곳에서 장소의 전유와 협상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장소 만들기를 통해 상상의 장소를 실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윤동주 시의 공간과 시의식 연구

        김소정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ategorize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nd to examine world perceptions and poetic consciousness projected within them. The perceptions of people occur from detailed experiences of subjects and they believe that the emotions and memories of subjects projected onto particular spaces are connected with a poetic consciousness regarding one’s self and the world. Space is always directed towards people and detailed analyses of people are valuable in that they reveal human imagination and awareness systems that exist within. Spaces that are cut off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re described as spaces that are cut off from the outside, in which no one but the narrator appears. In spaces such as “a well”, “a mirror”, and “a room”, only the narrator exists and others cannot be seen. In cut-off spaces where everything is blocked off, the subject establishes the narrator who is left alone, displaying shyness and a sense of alienation. However, instead of stopping there, a thorough process of self-reflection is experienced and this leads to mental maturity. Unlike universal emotions, open spaces such as “streets”, “hills”, and “stations” do not signify freedom but induce a form of tragic awareness and a drifting consciousness of the world.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life of the poet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cts as a reason for why the subject wanders, unable to stay in one place. Of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there are spaces in which conflicting forms of poetic consciousness are expressed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to reveal the confused univers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public spaces and private spaces become mixed and desperate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towards ideal worlds regarding identical spaces merge, revealing a double consciousness. However, by passing through negative and desperate universal consciousness and revealing orientations towards spaces of reconciliation and a hopeful world, the strong will of the subject to search for “a new world” can be verified. 이 논문의 목적은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을 유형화하고 그 속에 투영된 시인의 세계인식과 시의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인간의 인식은 대상에 대한 구체적 경험에서 발생하며 특정 공간에 투사된 주체의 정서와 기억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시인의 의식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공간은 언제나 인간을 향해 있고 공간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상상력과 의식체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윤동주 시에서 단절된 공간은 화자 이외에는 아무도 등장하지 않는, 외부 세계와 차단된 공간으로 묘사된다. “우물”과 “거울”, “방” 등의 공간에는 화자만이 존재할 뿐 타자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사방이 막힌 단절된 공간에서 주체는 홀로 된 화자를 설정하여 부끄러움과 소외의식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철저한 자기 성찰의 과정을 거쳐 정신적 성숙과 삶에의 의지를 다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보편적 정서와 달리 “거리”, “언덕”, “정거장” 등 개방된 공간들은 자유로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과 표류의식을 유발하고 있다. 그것은 시인의 삶과 시대적 상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주체로 하여금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 중에는 상황에 따라 상반된 시의식이 표출되어 주체의 혼란한 세계인식을 보여주는 공간들이 있다.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혼용되기도 하고 동일한 공간에 대해 절망적 인식과 이상세계로의 지향이 어우러져 이중적 의식이 드러난다. 그러나 부정적이고 절망적인 세계인식을 거쳐 화해로운 공간과 희망적 세계에 대한 지향을 드러냄으로써 “새로운 길”을 모색해 보려는 주체의 강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일고

        김수연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한국 고전문학사에서도 표류의 경험을 기록한 것들이 존재한다. 표류지는 중국, 일본, 동남아의 나라들이고, 내용 또한 비교적 사실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선 사람들에게는 바다 건너 세상을 직접 확인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해양 공간에 대한 상상력은 사실적 표류기가 전하는 것과 다른, 미지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었다. 당시 조선인들은 바다 밖 세상을 어떻게 상상하고 있었을까? 조선후기 해양 상상력은 당시 사람들이 지닌 세계관과 맞닿아 있기에, 그 시대를 이해하는 데 흥미로운 지남이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한문단편에 나타나는 표류지의 이미지를 고찰하고 그것의 서사적 원천을 탐구하였다. 한문단편에 수록된 표류지 이미지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사실적 이미지, 두 번째는 전통서사에 민간의 소망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이미지, 세 번째는 해양 공간에 대한 상상과 외부에서 들어온 신지식이 문학적으로 허구화되어 만들어진 식인 거인국 이미지, 마지막은 역사적 사실과 외부적 신지식에 대한 소문 그리고 동서양의 신화적 상상력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이미지이다. 앞의 두 가지 이미지는 전래의 동양 전통 안에서 만들어지고 계승되던 것이다. 뒤의 두 가지 이미지는 현실과 현실 밖에 선 경계인의 세상 보기를 이야기한다. 바다는 세상과 세상의 경계이고, 그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만난 이들은 두 개의 세상 사이에 있는 경계인이자 두 개의 세상을 잇는 매개인이다. 이들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조선인의 서사는 유럽으로 전파되고 유럽의 서사는 조선인에게 전해졌을 것이다. 한문단편의 서사가 동서양의 신화적 사고를 포괄하는 것은 그러한 접촉의 결과이다. 무엇보다 해양 상상력은 현실을 읽어내기 위한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해양 상상력은 경계 안의 체제가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 것인지를 고발하기 때문이다. ‘가난’을 극복하는 상상은 허용하지만, 지배층의 체제 기반을 뒤엎는 것은 상상 속에서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현실의 위협. 그것이 우리의 상상 안에 존재하는 식인 괴물보다 더 기형적 존재라는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There are records on drifting experienc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Drifting sites are China, Japan, and Southeast nations with relatively realistic contents. However, most Chosŏn people had few opportunities to identify directly the world across the sea. However, imagination on ocean space made an unknown space, different from things conveyed by realistic drifting records. How those days' Chosŏn people did imagine the world across the sea? In the late Joseon period, ocean imagination was connected to those days' people's worldview so it will be an interesting guidance for understanding such era. This paper examine images of drifting sites in Chinese short stories and explored its narrative source. Drifting site images in Chinese short stories are divided into 4. The first is a realistic image, the second is an image made by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and people's desire, and the third is an image of cannibal Brobdingnag made through literary fiction of imagination on ocean space and foreign new knowledge. The final is an image made by combination of historic facts, rumors on foreign new knowledge and mythological imagination of the East and West. Both images of the former were created and inherited in the hereditary eastern tradition. Both images of the latter tell about a marginal man to see the world inside and outside the reality. The sea is a boundary of both worlds and those who meet across the sea are marginal men between both worlds and mediators. In their contact process, narrative of Chosŏn people might have been transmitted to Europe and that of Europe to Chosŏn people. Including of mythological ideas of the East and West by narrative of Chinese short stories results from such a contact. Most of all, ocean imagination may be understood as a device to read the reality. Since, ocean imagination accuses how much a system within a boundary is distorted. The realistic threat that imagination overcoming 'poverty' may be permitted but imagination to overturn a regime of the ruling is not permitted, saying that it is a more deformed being than a cannibal monster that exists in our imagination.

      • KCI등재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알고

        김수연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한국 고전문학사에서도 표류의 경험을 기록한 것들이 존재한다. 표류지는 중국, 일본, 동남아의 나라들이고, 내용 또한 비교적 사 실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선 사람들에게는 바다 건너 세상을 직접 확인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해양 공간에 대한 상 상력은 사실적 표류기가 전하는 것과 다른, 미지 공간에 대한 이 미지를 만들어내었다. 당시 조선인들은 바다 밖 세상을 어떻게 상 상하고 있었을까? 조선후기 해양 상상력은 당시 사람들이 지닌 세 계관과 맞닿아 있기에, 그 시대를 이해하는 데 흥미로운 지남이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한문단편에 나타나는 표류지의 이미지를 고찰하고 그것의 서사적 원천을 탐구하였다. 한문단편에 수록된 표류지 이 미지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사실적 이미지, 두 번째는 전통서사에 민간의 소망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이미지, 세 번째는 해양 공간에 대한 상상과 외부에서 들어온 신지식이 문학적으로 허구화되어 만들어진 식인 거인국 이미지, 마지막은 역사적 사실과 외부적 신지식에 대한 소문 그리고 동 서양의 신화적 상상력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이미지이다. 앞의 두 가지 이미지는 전래의 동 양 전통 안에서 만들어지고 계승되던 것이다. 뒤의 두 가지 이미 지는 현실과 현실 밖에 선 경계인의 세상 보기를 이야기한다. 바다는 세상과 세상의 경계이고, 그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만난 이들은 두 개의 세상 사이에 있는 경계인이자 두 개의 세상을 잇 는 매개인이다. 이들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조선인의 서사는 유럽 으로 전파되고 유럽의 서사는 조선인에게 전해졌을 것이다. 한문 단편의 서사가 동서양의 신화적 사고를 포괄하는 것은 그러한 접 촉의 결과이다. 무엇보다 해양 상상력은 현실을 읽어내기 위한 장 치로 이해할 수 있다. 해양 상상력은 경계 안의 체제가 얼마나 왜 곡되어 있는 것인지를 고발하기 때문이다. ‘가난’을 극복하는 상상 은 허용하지만, 지배층의 체제 기반을 뒤엎는 것은 상상 속에서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현실의 위협. 그것이 우리의 상상 안에 존재하 는 식인 괴물보다 더 기형적 존재라는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There are records on drifting experienc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Drifting sites are China, Japan, and Southeast nations with relatively realistic contents. However, most Chos.n people had few opportunities to identify directly the world across the sea. However, imagination on ocean space made an unknown space, different from things conveyed by realistic drifting records. How those days' Chos.n people did imagine the world across the sea? In the late Joseon period, ocean imagination was connected to those days' people's worldview so it will be an interesting guidance for understanding such era. This paper examine images of drifting sites in Chinese short stories and explored its narrative source. Drifting site images in Chinese short stories are divided into 4. The first is a realistic image, the second is an image made by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and people's desire, and the third is an image of cannibal Brobdingnag made through literary fiction of imagination on ocean space and foreign new knowledge. The final is an image made by combination of historic facts, rumors on foreign new knowledge and mythological imagination of the East and West. Both images of the former were created and inherited in the hereditary eastern tradition. Both images of the latter tell about a marginal man to see the world inside and outside the reality. The sea is a boundary of both worlds and those who meet across the sea are marginal men between both worlds and mediators. In their contact process, narrative of Chos.n people might have been transmitted to Europe and that of Europe to Chos.n people. Including of mythological ideas of the East and West by narrative of Chinese short stories results from such a contact. Most of all, ocean imagination may be understood as a device to read the reality. Since, ocean imagination accuses how much a system within a boundary is distorted. The realistic threat that imagination overcoming 'poverty' may be permitted but imagination to overturn a regime of the ruling is not permitted, saying that it is a more deformed being than a cannibal monster that exists in our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