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R 콘텐츠의 암묵적 프레임 연구

        신홍주(Shin, Hong-Ju)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8 씨네포럼 Vol.0 No.30

        시선의 자유는 VR 콘텐츠의 형식적 측면에서 프레임의 부재라는 사태로 나타난다. 기존 스크린 기반 영상매체에서 프레임은 영화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경계를 이루는 동시에 미장센 구성의 토대를 이룬다. 그러나 VR 콘텐츠에 이르러 이용자는 360°로 펼쳐진 공간을 매개된 지각을 통해 대면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경계가 해체된다. 본 연구는 VR 콘텐츠에서 프레임의 부재로 인해 스토리텔링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양상을 고찰한 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묵적 프레임이 설정되는 유형과 그 효과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VR 콘텐츠에서는 프레임의 부재로 인해 프레임 기반의 미장센 개념이 축소되고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긴장구도가 사라진다. 이에 따라, 편집의 기능은 시간적 확장에 한정되며 서사 정보의 은닉과 노출을 조율하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한편, 제한된 시야각과 VR 콘텐츠의 기술적 조건이 결합하여 이용자가 360° 공간을 비균질적으로 경험한 결과, 프레임의 부재가 부분적으로 부정되는 암묵적 프레임 효과가 발생한다. 암묵적 프레임은 형식적 층위에서 자연적․인공적 지형지물을 활용한 조형적 구도, 내용적 층위에서 스토리텔링과 연동한 공간의 상징화, 기술적 층위에서 이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상호작용 영역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The freedom of gaze in VR contents is experienced through the absence of frames in the formal aspect of VR. In existing screenbased visual media, frames form the boundary between cinematic space and physical space and also serve as the basis of the mise-en-scene composition.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VR as a new media for contents, it became possible for the user to face the 360° field through mediated perception, resulting in the dismantling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This paper first investigates the paradigm shift in VR storytelling due to the absence of frames, and then discusses the types and effects of tentative frames through exemplary works. In VR contents, the concept of a frame-based mise-en-scene is reduced by the absence of frames. Also,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disappears. As a result, the editing function becomes limited to temporal expansion and controlling the exposure or concealment of narrative information become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the limited viewing angle and the technological conditions of the VR contents causes the user to experience the 360° space in a non-homogeneous way. In turn, this brings about a tentative frame effect which partially negates the absence of the frame. Tentative frames can be set up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form-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the visual composition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eatures; secondly, content-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the symbolization of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xt of storytelling; and finally, technology-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interaction areas activated by a user.

      • KCI등재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장민용(Jang Min Yong) 한국영화학회 2010 영화연구 Vol.0 No.43

        The question that I wish to address in this study is how we can understand experimental films, given that they are highly subjective and non-narrative forms. Many experimental films lack an identifiable plot or theme. By using space as a mode of analysis, we are at the least able to give some order to the often confusing form and content. I selected some important experimental films to evaluate and tried to see how these works were able to expand their limits that cinema originally has in itself. First, I examined a aspect of expansion of filmic space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on-screen and off-screen space. Ken Jacobs's 〈Blond Cobra〉(l962), George Landow's 〈Film in which There Appears Sprocket Holes, Edge Lettering, Dust Particles, Etc.〉(1965 - 66) show how the film maker utilized cinematic space. They are attempts to ask the relationship between on-screen space and off-screen space and expand the space of a frame while still remaining within its rectangular borders. Michael Snow's 〈Wavelength〉 can be the archetypal film in this articulation of spatial distance. It moves beyond a pure analysis of the room's space to considerations of filmic space and the illusions that constitute it. 〈Wavelength〉 examines space as, in part, a condition of depth and perspective. Another strategy of the avant-garde has been to use a flattened form of film space. In order to explore these features, I analyzed Stan Brakhage and Ed Emshwiller's works. One of the most exciting development in the creation of a unique cinematic space lies in the use of the re-photography process using optical printer. Bruce Baille's 〈Castro Street〉 is a classical example of a film utilizing the refilming process to create a unique filmic space. The films that expanded the possibilities of film aesthetics tend to question and reconfig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era and its subject. Any critical experimental films tried to explore how film apparatus-finite, two-dimensional, enclosing-confronts space-infinite, three-dimensional, continuous. Thus an examination of films whose subject is principally the depiction of space will be examination of how those films foreground the contradictory nature of their encounter with their subject. From this perspective, I studied some Avant-garde films-William Raban, 〈Angles of Incidence〉(1973), Guy Sherwin, 〈Canon〉(2001),Bruce Baillie, 〈All My Life〉(l966)과 〈Sculptures for a Windless Space〉(l995), Peter Gidal, 〈Room Film〉(1973)- that deals with depiction of place. Finally Filmic space in experimental film is a result of the dialectics of self and world from the perceptual distance. Beyond considerations of technique or composition, the critical nexus of Avant-garde film is how the artist spatializes the imagery of his or her inner world.

      • KCI등재

        웹만화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손혜령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1

        Comics of 20C was 'paper comics' and comics of 21C is webcomic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matter of 'space' which includes frame, page, canvas, et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web space when creating or producing webcomics and other digital environment based contents, The 'frame' of comics separate the time and space from the whole comics. The array of frame and frame makes comics, and give a meaning to them. And sometimes, frames themselves have their own meaning. The 'outside of frames' means either of margin between frames and 'meta panel'. Both of paper comics and webcomics have same function at the inside of frame. But webcomics become have a bigger chance of changing the shape and size of frame. and the border of inside and outside of frame become blur. The outside of frames in webcomics also plays the role of seperating time and of meta panel, but the capability of change become more bigger. In the case study of space in webcomics, they have proved their ability to change themselves and adjust to escape from paper comic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in digital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lmost only one dominant form of Korean webcomics that long and narrow canvas. More case study and analysis of web environment are needed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webcomics and web based contents. 지난 20세기가 종이만화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웹만화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 만화와 구별되는 웹만화의 특성을 특히 칸, 페이지, 캔버스 등으로 불리는 ‘공간’ 활용에 중점을 두어 살펴봄으로써 웹만화 창작을 비롯한, 디지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생산에 공간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화의 ‘칸’은 전체 만화로부터 일정 시간과 공간을 분리해 내는 역할을 한다. 만화는 칸과 칸의 배열에 의해 만들어지고, 배열로부터 의미를 갖게 된다. 또한 때로는 칸이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때도 있다. 만화의 ‘칸 외부’는 한 칸과 인접한 다른 칸을 분리시키는 ‘여백’을 뜻하기도 하며, 칸들의 상위 칸(meta panel)을 뜻하기도 한다. 웹만화의 칸 내부는 종이만화와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칸의 모양과 크기는 더욱 큰 변화가능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만약 만화의 전통적인 칸 문법을 계승하지 않은 경우, 칸과 칸 외부의 경계 구분조차 어려울 수 있다. 웹만화의 칸 외부 공간 역시 분리의 기능과 상위 칸으로서의 기능을 계승하지만, 변형될 수 있는 여지가 훨씬 커졌다. 국내외 웹만화의 공간 활용에 관하여 사례연구를 한 결과, 만화가들은 디지털 환경이 열어준 가능성을 탐색하고, 종이만화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무한한 가상공간의 활용이라는 면에서, 웹만화들은 어느 정도 그 역량을 입증시키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우리나라 주류 웹만화의 경우 디지털 환경의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다소 획일적인 종 스크롤 형태를 띠고 있어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더욱 다양한 사례연구와, 여러 관점에서의 웹 환경 분석, 그래픽을 위한 웹브라우징 툴의 개발 등을 통해 웹만화 및 웹 기반 컨텐츠들이 그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스페이스 하우스의 구조적 거동 및 설계

        김선희,최기봉,최원창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9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0 No.2

        Space house is a unit module type of precast structure which composed of a composite panel combining FRP and urethane foam in a steel frame. In this study, we predicted the design and structural behavior of space house. Almost of steel frame occurred load resistance of the space house. Therefore, the vertical stiffener was reinforced on the rectangular steel frame structure.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usability and safety of the structural design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structure. 스페이스 하우스는 강재 프레임에 FRP와 우레탄 폼을 결합한 합성패널로 구성된 단위모듈방식의 프리캐스트화한 구 조물이다. 이 연구는 모듈러 건축물의 한 종류인 스페이스 하우스의 설계와 구조적 거동을 예측하였다. 스페이스 하우스의 하중 저항은 대부분 강재 프레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직육면체 형태의 강재 프레임 구조물에 수직보강재를 보강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 검토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스페이스프레임 구조물의 통합설계시스템 개발

        이주영,이재홍 한국공간구조학회 2001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 No.2

        This paper describes three modules for development of the Space Frame Integrated Design System(SFIDS). The Control Module is implemented to control the developed system. The Model Generation Module based on PATRAN user interface enables users to generate a complicated finite element model for space frame structures. The Optimum Design Module base on a branch of combinatorial optimization techniques which can realize the optimization of a structure having a large number of members designs optimum members of a space frame after evaluating analysis results. The Control Module and the Model Generation Module Is implemented by PATRAN Command Language(PCL) while C++ language is used in the Optimum Design Module. The core of the system is PATRAN database, in which the Model Generation Module creates information of a finite element model. Then, PATRAN creates Input files needed for the analysis program from the information of the finite element model in the database, and in turn, imports output results of analysis program to the database. Finally, the Optimum Design Module processes member grouping of a space frame based on the output results, and performs optimal member selection of a space frame.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desired optimum structural members are obtained.

      • KCI등재

        스페이스 프레임을 가진 경주용 차량의 충돌에 관한 시뮬레이션 해석

        조재웅(Cho Jae-Ung),방승옥(Bang, Seung-Ok),김기선(Kim Key-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에서는 충돌하중 하에서 스페이스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주용 차량의 프레임 변형 및 응력을 분석한 다. 충돌 시 변형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취약부분을 파악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탄소강의 물성치를 바탕으로 트러스 구조로 설계된 차량 프레임의 유한요소모델을 만들고,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면충돌 시 속도 변화에 따른 충격량 증가가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정면, 측면, 후면 방향에 충돌하중을 적용하여 프레임의 변형을 해석한다. 정면 및 후면충돌에서는 운전석에 가해지는 영향이 적지만, 측면충돌 시 충격에 의한 변형이 운전 석까지 진행된다. 이러한 변형에 대한 취약부분의 보강을 통하여 프레임의 안전성 설계를 증진시키고 시뮬레이션 해석의 결과를 실제 프레임 제작에 활용한다. In this paper, strain and stress on space frame are analyzed at racing car under crash loads. As the deformation is reduced to a minimum during crash and the vulnerable parts are grasped, the safety of driver is ensured. The vehicle frame is modelled with truss structure by inputting the material property of carbon steel on finite element analysis. The increase of impulse momentum is due to speed change at frontal collision. This influence effected on vehicle frame is also analyzed by ANSYS program. The deformation of the frame is studied by applying the crash loads at front, side and rear directions. Though the influence on the seat of driver is small at frontal and rear crash, the deformation due to impact is progressed into this seat. The safety of frame is enhanced by making up for these weak deformations and these results of simulation analysis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actual vehicle frame.

      • KCI등재후보

        택지개발지구내 목구조 주택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변재영(Byun, Jay Young),장경수(Chang, Kyung Soo)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경제발전과 더불어 한국의 주거문화도 지난 60년 동안 빠른 속도로 발전 해왔다. 획일적 아파트 문화에 대한 상실감, 자연에 대한 동경, 탈 도시 등의 사회적인 분위기에 목구조 주택은 새로운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택지개발지구에 건립되는 단독주택은 교육, 금융, 쇼핑, 교통 등의 기반시설을 포함하고 있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단독주택 거주를 희망하는 현대인에게 인기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구적인 합리주의로 인식된 아파트 문화의 대안으로서 목구조 주택의 건축적 특성을 평면적, 구조적, 형태적, 음환경적으로 분류하였고, 최근 5년간 건축된 목구조 주택 65개의 평면을 조사하여 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목구조주택은 습식공법의 재료를 사용하는 콘크리트구조 주택과 달리 건식공법의 시공이 가능하고, 단열성능이 타 건축 재료에 비해 우수하며, 수명이 길기 때문에 건축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거주자는 공적공간인 거실·식당·주방, 사적공간인 침실공간을 주택 계획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따라서 공간의 위계적 질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단독 주택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Along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even Korea"s housing culture has evolved at a fast speed for the past 60 years. Due to a sense of loss on uniform apartment culture, to a yearning for nature, and to de-urban social atmosphere, a wood-frame house is being regarded as a new alternative plan. A detached house, which is constructed in the housing-site development district, has demerits of including infrastructures such as education, finance, shopping and transportation, thereby having been surveyed to be popular among modern people who desire for living in a detached house. Accordingly, as an alternative plan for apartment culture that resulted in being equipped with western rationalism,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through investigating into by classify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wood-frame house environmentally, structurally, morphologically, and sound-environmentally, and then through surveying the plan of 65 wood-frame hous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for the recent5 years. The wood-frame house is available for construction work in a dry-process system, is excellent in insul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building materials, and is long in lifespan unlike a concrete-frame house of using the chemical building materials in a wet-process system, thereby having merit of being able to reduce extravagance of the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a questionnaire survey, dwellers were importantly regarding a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which are the public space, and a bedroom, which is the private spac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designing a detached house by objectively analyzing the hierarchical order in space.

      • KCI등재

        저가 입문용 1인승 레이스카 Tubular Space Frame의 비틀림 강성 최적설계

        장운근(Jang, Woong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일반적으로 고성능의 레이스카나 스포츠카 시장에서 차량의 프레임 설계는 매우 중요한 기술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차량의 비틀림 강성은 차량의 코너링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레이스 차량에 있어 우수한 성능의 프레임이라 는 것은 높은 비틀림 강성을 가진다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입문용 포뮬러 레이스카 프레임의 최적 비틀림 강성 설계 를 위하여 다구찌 직교배열표를 가진 실험계획법과 유한요소 해석 기술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서 얻은 결과가 초기설계단계에서 보다 14.5%의 무게를 감량함과 동시에 무게 대비 비틀림 강성 10.7%의 개선 효과를 볼 수가 있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직교배열표를 가지는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구조해석이 설계 초기단계에서 저가형 레이스 차량에 사용되는 Tubular space frame 설계에 매우 유용함을 나타내고 있다. Generally, the frame design of a vehicle is a critical technology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acing and high performance sports car market. The high performance of race car frame means that it requires high torsional stiffness because it directly affects the cornering behavior of the race car. The optimal design for the frame of a low-cost single seat race car was carried out using the DOE (Design Of Experiments) with Taguchi's orthogonal array and FEM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to secure sufficient torsional stiffness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results by DOE and FEM analysis, the optimal design case produced improved 10.7% and 14.5% improvement in each stiffness-to-weight ratio and frame weight than in the early design step.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at the optimal design with Taguchi's orthogonal array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for designing a tubular space frame of a low-cost single seat race car in the early design step.

      • Performance of Jaya algorithm in optimum design of cold-formed steel frames

        Musa Artar 국제구조공학회 2021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An International J Vol.40 No.6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on optimum design of cold-formed steel space frames using a new algorithm method named Jaya, which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The most obvious difference of Jaya algorithm from other algorithms is that it does not need any control parameters for updating. However, Jaya algorithm is able to successfully reach the optimum solutions without any delay. In this study, in order to test the robustness and practicality of this novel algorithm technique, different steel space frame problems that have been studied with other algorithms in literature are examined. The minimum weight designs of the problems are carried out by selecting suitable C-section from a prepared list including 85 C-sections with lips taken from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AISI 2008). A program is coded in MATLAB interacting with SAP2000 O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n order to obtain optimum solutions. The strength constraints according to AISI-LRFD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lateral displacement constraints, inter-story drift constraints and geometrical constraints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analyses. Two different cold-formed steel space frames are taken from literature to research optimum solutions by using Jaya algorithm. The first steel space frame is 379-member and the second steel space frame is 1211-member. The results obtained using Jaya algorithm are compared with those in reference studies. The results prove that Jaya algorithm technique is quite successful and practical optimum design of cold-formed steel space frames.

      • KCI등재

        시각구조분석에 의한 서산 김기현 가옥의 건축적 시각 틀에 관한 연구

        홍유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공간 사용자의 환경 심리적 행태가 물리적으로 에워싸고 연속되는 공간체험과 상보적 관계에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으며, 김기현 가옥에서 형성되는 시선 축을 외부에서 내부로, 내부에서 외부로 구분하여 시각 틀의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사용자의 시점에서 외부에서 내부로의 시선은 ‘실(solid)의 공간’인 건축물과 ‘허(void)의 공간’인 외부공간으로 대비되며 시각적 틀(frame)을 이루는 기둥과 인방보 처마 등의 선적인 요소는 시각적으로 확장되어 면으로 인지되고, 각 요소의 조합이 전체적 윤곽으로 지각되어 전체화되며, 입체적 형상으로 종합되어 인지된다. 이는 연속적으로 확장되어 목적하는 장소로의 움직임에 방향성을 부여하고 있다. 사용자의 시점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보는 시선방향에서 형성되는 시각 틀은 점증적으로 음영(陰影)의 경계가 설정되고 분절되며 확장된다. 분절되며 연속되는 음영(陰影) 변화는 관찰자 시선의 방향과 수직면으로 중첩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 시점에서 자신을 에워싸는 형태의 층(layer)을 형성하며, 개념적 중심성을 가지는 공간 깊이를 형성한다. 이는 외적인 건축 환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 자체로서 관찰자를 에워싸는 공간의 층(layer)으로 지각되며 그에 따르는 인과적 속성의 심리적 완충의 의미를 가진다.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perspective that space user’s environment psychological behavior is complementary related to physically surrounded and continuous space experience. Visual axis which is formed in Kim, Ki-Hyun House is divided into outside to inside way and, inside to outside way to examine structural characteristic visual frame. In the eyes of the user's point of vie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Architecture is solid space contrast to the void space of outdoor spaces. Line type elements like pillars and safety lintel eaves which forms the visual frame is visually extended and recognized as plane, and each element’s combination is recognized as whole outline, and three dimensional form. This has given the direction to the movement of a place that is continuously extended for the purpose. Visual frame that is form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the visual direction is the boundary of the shaded incrementally is set and the segment is extended. Continuously divided shade change is overlapped vertically through observer’s visual direction, and this composition forms surrounding layer of observers themselves, and also forms depth of space which have conceptual centrality. This is not just outside architectural environment but recognized as space layer which surrounds the observer itself, and have psychological buffer of causal prop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