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사회복지 체제 비교 연구: 거시-구조적 수준을 중심으로

        이철수 ( Chul Soo Lee ) 북한연구학회 2009 북한연구학회보 Vol.13 No.1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social welfare systems(X)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 exploratory object, at macro-structural level and at finding the difference in social system traits. Especially, it is because an existing comparative study on social welfar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mainly `a comparative study centered on institutions` that this study attempts comparison between social welfare system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statement order for the discussion on social welfare systems between North Korea(A) and South Korea(B) is centered on four spectrums such as ① social welfare system(Y1), ② social welfare institutional(welfare) level(Y2), ③ social welfare development progress(Y3), and ④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system development progress. The results are first as for social welfare systems, North Korea, typical socialist nation, has two-layer systems with strong national responsibility, but South Korea, capitalist country, has three-layer systems with moderate national responsibility where responsibilities of root, individual and family are emphasized. Second, as for (welfare) levels classified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s, North Korea `manages in consolidation` ① social patriots & veterans affairs, ② social insurance, ③ social welfare services, and ④ social assistance in order and South Korea manages separately ① social insurance, ② social patriots & veterans ③ social welfare services, and ④ social assistance in order. Third, as for social welfare development progress, North Korea showed somewhat universal tendency in ① social patriots & veterans affairs, ② social welfare services, and ③ social assistance, but showed ④ socialistic separatism, laying an emphasis on public officers and laborers, in only social insurance. South Korea has a tendency of evolution from selective type into universal type. Fourth, as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system development progress, the inclusiveness of North Korean welfare beneficiary has a discriminative progress in social insurance. North Korea didn`t leave a trace of qualitative development in the level and kind of welfare beneficiary. In addition, as for redistribution and suitability, at glance, North Korea has an effectiveness in some areas due to distribution of national responsibility, but has the contrary results, too. That is, `formal equality and real equality are in existence together`. On the contrary, as for inclusiveness of social beneficiary, South Korea expands social insurance and social assistance from separatism to universalism. As for the level and kind of welfare beneficiary, South Korea attempts qualitative development on the basis of various allowance as well as expansion of social safety networks, As for redistribution, North Korea has an ineffectiveness in some areas due to moderate intervention of the nation and inequality of incomes, but accomplishes various types of redistribution for social assistance and social insurance.

      • KCI등재

        북한 헌법상의 사회복지국가이념의 대한민국헌법으로의 수용가능성

        최용전(Choi, Yong-Je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2 No.-

        북한 법제는 당에 의하여 법규범이 지배되고 생산수단의 집단화 등 혁명적 성격의 사회주의법계에 속하고, 대한민국은 사유재산제 보장과 사회적 시장경제질서를 근간으로 하는 자본주의법계에 속하며, 북한 사회보장법제는 국가가 공민의 물질적 생활의 방조를 전적으로 책임지는 사회주의제도 하에서 성립이 가능하며, 대한민국의 사회보장법제는 사회보장의 비용을 조세・국채 등 국민의 부담으로 지급되는 자본주의제도 하에서 가능하므로 이론적・사상적 출발점에 있어서는 서로 이질적 차이가 크다. 그러나 북한 헌법상의 사회보장제도나 대한민국헌법상의 사회보장제도나 기능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다. 즉 대한민국헌법의 사회복지국가적 요소와 이들 요소와 같은 내용을 규정한 북한헌법의 규정과 이들 규정을 바탕으로 구현된 제도를 헌법이론상의 사회복지국가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규정과 제도로 간주한다고 하여도 통일 이후의 사회복지국가정책을 논의하는데, 논리적 결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한헌법과 법령에 나타난 북한의 사회복지 제도를 일별하면, 북한의 사회복지국가적 성향의 이념과 현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본 글에서는 북한헌법에 규정된 사회복지관련 규정과 관련 법령을 통하여 북한의 사회복지제도를 살펴보았으며, 대한민국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복지국가이념과 법령상의 제도도 일별하였다. 그리고 북한헌법상의 국가사회보험, 국가사회보장과 대한민국의 사회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및 사회서비스의 개념과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동서독의 사회보장법제의 통일 과정을 분석하고 통합과정으로부터 남북한 경제력 추락, 북한 주민의 경제력 약화, 북한 주민의 대한민국으로의 이동 등의 후유증을 파악하였으며 남북한 법제의 차이로부터 오는 충격의 완화, 북한 주민의 생존권 보장 장치 확보, 제도의 점진적 통합의 필요성, 체제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간 확보, 통합법령의 차등적 적용과 적용의 일원화의 탄력적 적용 등의 시사점을 얻었다. 그리고 북한 헌법상의 사회복지국가이념에 해당하는 요소의 대한민국헌법에로의 수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남북한 헌법과 법령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고, 수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 부터 사회보장법제의 통합을 위해서는 첫째, 남북한의 사회보장통합의 방식을 급진적 방법을 택할지 점진적 방법을 택할지를 빠른 시일에 분석 검토하여 국민적 합의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점진적 방법을 택하였다면, 남북한 법제의 차이를 인정하고 남북한의 법적 성격을 유지하면서 점진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급진적 방법을 택하였다면, 급격한 비용지출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 두어야 한다. 셋째로는 북한지역에 대한 배려로서 적극적 우대조치를 허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합의와 합의 내용의 입법화가 필요하다. 넷째로는 통일비용의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서 남북한 사회보장제도의 통합을 위한 면밀한 계획을 수립하고 각 제도별로 위험별로 촘촘히 설계하여야 한다. 넷째는 남북한의 사회보장법상 법률용어의 차이를 점진적으로 통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마지막으로는 법제 통합의 사전 준비로서 사회보장에 관한 제도와 관련된 자원의 상호교류 및 공유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North Korea has a socialist legal system, and South Korea has a capitalist one. North Korean social security laws function in the socialist system, and South Korean one’s function in the capitalist one. The two systems vary greatly in their theoretical and ideological underpinnings. However, their social security systems do not fundamentally differ in their function. This study examines North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using the provisions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for social welfare and related laws. It also reviews the South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that i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and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cepts of national social security and national social insurance in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along with the concepts of social security, public aid, and social service as presented in South Korean law. An examination how the social security provisions of East and West Germany were integrate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two Koreas. Along with these findings, the examination on how to integrate ideological elements of the North Korean social welfare state into that of South Korea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means of integrating the social security laws of the two Koreas. First, the speed of social security integration should be selected, whether radical or gradual method. Second, if the gradual method was chosen, a legal basis for establishing a long-term plan to achieve gradual integration should be prepared; if the radical method was selected, countermeasures against sudden expenditures should be devised. Third, the consensus of the Korean people on an affirmative action for North Koreans must be established. Fourth, to reduce the cost of unification, a detailed plan for the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with detailed designs regarding individual programs and risks. Fifth, the ways in which the differences in legal terms under the social security laws of the two Koreas must be resolved to be gradually unified. Finally, efforts to exchange and share resources on the North and South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s must be pursued to prepare for an integration of the two legal systems.

      • KCI등재

        남북한 사회복지제도 비교분석 -사회적 욕구충족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감소를 위한 정책과 실태

        이헌경 평화문제연구소 2013 統一問題硏究 Vol.25 No.1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North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realities on the whole for satisfying social needs and reducing socioeconomic inequality. For this purpose, from a socioeconomic point of view, it is to analyze human basic needs, social needs as well as degree, level, and direction on social welfare interest. Based on these, it attempts to know the social welfare and its system’s type that two Koreas aim in terms of classifying the attribute of subject which manages and operates the social welfare in types of social welfare systems in the capitalist and socialist societies. It is also comparatively to analyze the social welfare system of industrial insurance, livelihood protection, health security, social welfare service, etc, and the completion of a social security system and social welfare system’s realization or not in the North and the South. Furthermore, it is generally to examine such social welfare’s problems existing as discriminative application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the subject of application by social inequality, and raising financial resources, and to accomplish North Korea’s and South Korea’s social welfare to some degree throughout a comparative analysis. 본 논문은 사회적 욕구충족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감소를 위한 남북한 정부의 사회복지 정책과사회복지의 실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필요본능과 사회적 욕구 그리고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의 정도, 수준, 방향을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사회에서의 사회복지제도의 유형을 사회복지를 관리ㆍ운영하는 주체의 속성에 따른 분류를 통해 남북한 이 지향하는 사회복지와 제도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남북한의 산업보험, 생활보호, 의료보장, 사회복지서비스 등 분야별 사회복지제도와 사회보장제도의 완비성, 사회복지제도의 실현 여부 등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회복지제도의 차별적 적용과 사회적 불평등에 따른 적용대상의 문제 그리고 재원조달의 문제 등 현존하는 각 분야 별 사회복지의 문제점과 비교분석을 통해 남북한의 사회복지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 요인: 제도와 SWOT분석을 중심으로

        이철수 ( Chul-soo Lee ) 평화문제연구소 2015 統一問題硏究 Vol.27 No.2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various strategies for a South-North welfare integration. The outcome of our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trengths and opportunities" include extension of current programs to cover more number of people and the introduction of "free welfare" programs; for North Korea (Y), opportunities consist of a normalization of welfare system, increased relief programs and enhanced quality of welfare programs. Second, threats in the case of South Korea are that there may be a weakening of welfare system and ethos of support. For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kelihood of an increase in welfare-dependency and corruption in the distribution of welfare resources. Third, some of the current "weaknesses" even after South-North unification, adequacy and sustainability of welfare benefits in particular, will remain even after South-North unification, but the effect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being integrated into one system may come as an opportunity to reduce the current gaps in the system. Also, the weakness observed in the North Korean welfare system before the integration will for the most part be resolved. Fourth, as to WT strategies (weaknesses-threats), it is not entirely clear for now how the weaknesses observe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s before the integration will be related to threats after the integ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요인 분석을 바탕으로‘남북한 복지통합 전략’을 검토하는 것이다. 남북한 복지통합 SWOT전략의 분석결과, 첫째, SO전략(우선순위전략)은 남한의 경우 적용대상의 포괄성 확대와 무상복지제도에 대한 도입 검토, 북한의 경우 복지체제의 정상화, 취약계층의 구호와 질적 수준의 향상으로 대표된다. 둘째, ST전략(해결과제전략)은 남한의 경우 통일이후 북한에 대한 복지지원으로 인해 기존의 내재된 남한의 강점에 대한 제도적 균열이 우려되고 지원 자체 대한 정서적 지지도 미비할 수 있다. 반면 북한은 의식 퇴보와 분배부정이 우려된다. 셋째, WO전략(우선보완전략)은 남한의 경우 통일이후에도 여전히 약점으로 지속되는 것은 급여수준의 적절성과 복지재정의 안정성인 반면 복지사각지대의 존재나 규모는 통일이후 북한의 영향으로 인해 일정부문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북한은 통일이전의 약점은 통일이후 남한의 지원으로 인해 대부분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 넷째, WT전략(회피과제전략)은 남한과 북한 양자 모두 통일이전 약점이 통일이후 위협과 직접적인 관련이 되는 사안으로 현재로서는 뚜렷하지 않다.

      • KCI등재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보장법제의 방향

        김수용 ( Su Yong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3 世界憲法硏究 Vol.19 No.1

        After the Liberation, Korea was divided into two nations, South Korea(Republic of Korea) and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main cause of the division of Korea was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 Cold War came to an end in the late 1980s and then Germany was reunified.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tarte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ut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topped reconciling and cooperating recently. Nevertheless, We need to prepare various categories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considering German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social security acts after the reunification of Korea. So I examined principles of Reunification Constitution and reunification plans, realizations and limits of social welfare state by the present constitution, present social security act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then I suggested the directions of social security acts after the re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통일독일에서의 공적연금 통합과정

        이윤진,이철수,장용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4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 of the German unification becomes significant in many contexts to understand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s. Through the fast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unification of social welfares between East and West brought various implications. It gives a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of social welfar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Although German unification is not the most ideal model for South Korea to emulate, as regarding the aspect in which Korea can inspect its own direction for the future, an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is necessary. In case of pension taking up the largest portion in the expenditure of Korean social welfare,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will b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ocial welfare divis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s.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unified pensions in reunified Germany, how pension was unified through changes with what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 of system. As a result, Germany unified pension by expanding the subject of applications, securing the upgraded level of salaries for East German residents and gradually increasing insurance rates and through funding methods of imposition. In designing the pension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s, the operators have to consider the unique situation of Germany, unlike North and South Koreas, which had a mature public pension system and experienced formerly one pension system being reunified after its separ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thods of unified pension unique to North and South Koreas, instead of unconditionally applying the German case. It should be a step in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social welfar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남북한 통일에 있어서 독일 통일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다양한 맥락에서 유의미하다. 독일이 급속한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의 사회복지 통합은 다양한 함의를 가지는데 독일의 사례를 통해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의 방향성을 모색해볼 수 있다. 물론 독일 통일은 남한에 있어 반드시 계승하여야 할 모델은 아니지만 향후 방향성을 점검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과정에 대한 고찰은 필요하다. 특히 사회복지 지출 비중 중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연금의 통합과정을 살피는 것은 통일 준비에 있어 사회복지부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독일의 연금 통합 과정에 대해 기존 연구와 달리 사회복지정책분석틀을 근거로 어떠한 변화 과정에서 연금 통합을 이루게 되었는지 제도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일은 적용대상의 확대, 동독 주민 급여 수준의 상향화 보장, 보험료율의 점진적 증가, 부과방식의 재정방식을 통해 연금통합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독일 연금통합의 과정은 우리에게 시사 하는바가 크다. 우선 통일 이후 연금제도를 설계를 함에 있어 남한 제도의 이식을 통한 연금 통합의 한계, 제도 자체의 미성숙함에 기인한 통합의 불완전함 등을 인식하고 연금 통합을 위한 모델 설계를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독일은 남북한과 달리 성숙한 공적연금제도, 기존의 하나의 제도였던 연금의 분리 후 재통합 경험이라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여 무조건적인 독일 사례의 적용이 아닌 남북한 고유의 연금 통합 방안을 마련함이 일차적인 남북한 사회복지통합 준비임을 상기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남북한 사회통합 - 노동시장과 사회적 안전망 관련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이호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0 No.3

        남북한 ‘사회통합’은 남북한 간 통합의 핵심 ‘이유’이자 동시에 가장 달성하기 어려운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온 남북한 간 적대적 대립과 대치의 상황이 향후 어떠한 변화와 도전에 처할지는 전망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남북한 사회통합의 가능성과 방안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그간 ‘체제’통합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남북한 통합논의와 달리, 사실 ‘가치’통합과 ‘사회적’ 통합이 전제되지 않는 한 진정한 통합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회통합은 통합논의의 핵심에 서 있다. 1990년대 이후 남북한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는 1990-1997년까지 냉전종결과 동서독 통일 등 외부환경의 변화 속에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과 그 이후의 제1시기, 그리고 그 다음 1998~2007년까지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치며 이른바 햇볕정책시기 통합에 대한 기대와 논의가 일정한 양적·질적 확대의 단계를 거친 제2시기, 이후 2008~2017년 현재 다시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 등 남북한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며 결국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로 이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는 제3시기로 구분된다고 본다. 남북한 통합에 대한 논의도 현재에는 2000년대 중반이후 증가한 ‘탈북민의 남한사회에의 통합’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주요 논의의 방향과 내용이 변화해 왔다고 본다. 논문은 궁극적으로 체제가 상이한 남북한의 사회통합은 우선 경제 질서와 노동시장의 형성과 사회적 안전망의 구축이 결국 ‘수정시장경제’ 기반 위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남북한 사회통합 시 예상되는 사회국가와 ‘사회적 연대성’ 원칙하에 사회보장·사회복지의 기본원리를 검토한다. 아울러, 노동시장의 형성과 준수되어야 할 기본원리를 검토한다. 그리고 사회적 안정망관련 급여의 대상 및 계상방법, 급여의 종류 및 급여의 수준과 지급기간, 재정부담 방식 등의 필요한 통합적 기반을 순차적으로 검토한다. 동시에, 논문은 현실적인 차원에서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우선 남한 내 탈북민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 다음 남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과도기의 긴급구호 및 관련 재원을 마련하며, 그리고 제도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부분부터 단계적인 통합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the ‘key motiv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wo different systems and most difficult ‘untimate purpose’ to achieve. Beside the discussion on the so-called system-integration (political and economical), any unification could not be the genuine one without ‘value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iodically, the debate on the social integration since the early 1990s, it could be devided in three times. The first one was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cold war, the historical german unification and the ‘Basic Agreement between two Koreas 1992’ and thereafter until 1997. The second one was the expansion time of exchange cooperation, in which the Kim Dae-Jung and Noh Moo-Hyun governments began to initiate the reconciliation under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or “Engagement Policy” against the formerly confrontation policy between two Koreas. The third one is the returned ag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due to the repeated tests of nuclear and inter-continental missiles at the side of North Korea, which resulted into the frustrating shutdown of the Kaesung Industrial Complex. The important issue in Korea has been the urgent integration of the increasing refugees from North Korea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instead of the social integration between two Koreas. The article prospects the future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two different systems on the making of labour market and the building of social safety net under the ‘revised market economy’. Especially, it stresses on the making of ‘social state’ or ‘welfare state’ under the principle of strong ‘social solidarity’. At the same time, the article examines the basic principles to be kept in the labour marke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hecked up such as the object of social benefit and its proper level, the forms of benefits and their durations, including the method of accounting and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services etc. In conclusion, the article emphasizes first the integration of the refugees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secondly, the emergency relief system and building of financial funds for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finally the ‘gradual’ approach from the relatively similar spheres to the most difficult one.

      • KCI등재

        남북한 사회복지 용어 비교: 소득과 복지를 중심으로

        이철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social welfare terms at a macro-structural level. Hence, the research scope was broken down and approached in two categories: income and welfare. As a research method, the existence and absence of the relevant terms and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the existing terms were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technique. As an outcome of the analysis, the two Koreas have terms that exist or do not exist together, and terms that coincide and differ from each other. Additionally, the two Koreas’ working and welfare terms were divided into recipro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mutual existence and absence, inclusion and division in the process of sublimation into institution. Furthermore, it sometimes occurred that the absence of inter-Korean terms was associated with the absence of the system and the absence of the system was connected to the absence of the terms. What is more obvious, however, is that in the case of inter-Korean labor and welfare terms, there are relatively many reciprocal beings in common rather than mutual absence. An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inherent function and immanent trait of the analysis object that transcends the system in work and welfare. Namely, the absence of work and welfare under any system is extremely minimal, and the corresponding system itself conceptualizes work and welfare. And what’s more important is not the level of existence, justice, or conceptualization as a term, but the substantive existence of the terms that they claim as a system. On the other hand, another important thing is whether there is a alternative system and welfare program among a variety of systems or contents in the same direction, if there is no constant gap or absence in a particular direction through reciprocal comparisons?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구조적 수준에서 남북한의 사회복지 용어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범위를 소득과 복지, 두 부문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기법을 통해 해당 용어의 존재·부재여부, 존재하는 용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북한은 상호 존재하거나 부재한 용어, 상호 공통적이거나 서로 다른 차이가 나는 용어가 있다. 또한 남북한의 근로, 복지 용어가 제도적으로 승화되는 과정에서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 상호 존재와 부재, 포괄과 분화로 구분되었다. 아울러 남북한 상호간의 용어의 부재가 제도의 부재로, 제도의 부재가 용어의 부재와 연계되는 경우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더욱 분명한 것은 남북한의 근로와 복지용어의 경우 차이점 보다는 공통점이, 상호 부재 보다는 상호 공통 존재가 상대적으로 다수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인은 근로와 복지가 갖고 있는 체제를 초월하는 분석대상의 본질적인 기능과 내재적 속성에 기인한다. 즉, 어떠한 체제이든지 근로와 복지가 부재한 경우는 매우 미미하고 해당 체제는 나름대로 근로와 복지를 개념화한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용어로서의 존재나 정의, 개념화의 수준이 아니라 그들이 표방한 용어의 제도로써의 실체적 존재이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상호비교를 통해 특정 일방에서 일정한 괴리가 있거나 부재한 경우 해당 일방의 여타 제도나 내용상 대체 가능한 제도와 복지 프로그램이 존재하느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 -한국사회정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신미녀 ( Mi Nyeo Shi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9 북한학연구 Vol.5 No.2

        This paper is an attempt i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adaptation programs for the Displaced people from the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akes a look at the situations and needs of them with the changes of times and analyze the welfare services by stages. After 1997, training for adaptation, institutional protection, local office system, supports from the various organization take a major roles in the support of them. Now social and economic support for them are available only for 3 years and it is insufficient for their adaptation. When the early supports come to an end, their satisfaction degree goes down lower. This fact suggests that our government must take a measure to develop the long-term service system. Actually the percentage of the social welfare beneficiaries among them in South Korea is larger than that of South Korean inhabitants. Though these programs are very helpful for them, it costs our government too much expenditure. In fact, there is no governmental policy for the long-term services for self- supporting of the dispose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