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미시장 교역 활성화를 위한 중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태건,김성룡 한국중재학회 2016 중재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rade between Korea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Korea's trade with South America has decreased recent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rbitration on trade between Korea and South America. To this end,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gravity model of trade between Korea and South America. The gravity model is a research method that is widely used to analyze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trade.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gravity model were trade in Korea and South America.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DP, population, and distance between Korea and South America. In addition, dummy variables were the FTA and whether to join the New York Convention or Washington Convention. Joining either Convention indicate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arbitration system. As a result, an arbitration system appear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rade. Depending on the results it shows the importance of utilizing the system of arbitration in South America. So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rbitration in South America. To companies doing business in South America it provided the implications for an arbitration system there. Also it proposed a method for increasing trade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institutions. 최근의 통계를 통해 살펴본 한국과 남미의 상품 교역은 한국의 타 지역 교역에 비해 감소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남미의 무역을 증진하기 위해 한국과 남미 간의 무역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역 활성화를 위한 국제 중재제도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국과 남미 간 무역에 대하여 패널중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측변수로 중재관련 국제협약인 뉴욕협약과 워싱턴협약의 가입여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중재관련 국제협약에 참여하는 것은 국제 중재 시스템이 구축 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협약 가입은 거래를 증가 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미에서 중재 시스템을 활용의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미의 국제 중재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남미와 거래를 하거나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에게 남미에서 국제 중재를 활용함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Within and/or Beyond Perception and Ideology

        Taeheok Lee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16 라틴아메리카연구 Vol.29 No.1

        Why do leftist governments in Latin America prefer building relationships with China rather than with the U.S., particularl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Latin America, and that between China and Latin America, and argues that the embedded political and ideological aspects are key factors to consider when answering the question, albeit in a prevailing capitalism-oriented world economy. This has been evident in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China’s relationship with Latin America, which has evolved in a manner quite different from the way in which the U.S. has interacted with Latin America. While this paper acknowledges that economic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shaping the nature of relationships among nation-states, this research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the elites’ individual levels of perception and their embedded ideological orientation towards the third party plays a critical role in guiding the interaction which they carry out among themselves.

      • KCI등재

        남아메리카 기독교 공동체와 음악: 도메니코 지폴리(Domenico Zipoli)와 치키토스 예수회 선교단(Jesuit Missions of the Chiquitos)을 중심으로

        장유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음악은 제국주의를 바탕으로 한 강압적인 선교 정책을 지양하고, 토착민들과 함께 생활하며 사회,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했던 선교사들의 선교 정책으로 적극적 으로 활용되었다. 특별히 남아메리카에서 활동한 예수회는 ‘이상적인 도시’에서 영감 을 받아 기독교화된 원주민 공동체를 세우는 것에 목표를 두었는데, 이러한 공동체를 ‘레두시온(reducción)’이라 불렀다. 음악은 남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이 예배 의식에 참여 하고, 사회조직을 구성하고, 서양의 문화를 배우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예수회의 음악을 활용한 선교 정책이 남아메리카 기독교 공동체 설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예수회에서 음악을 활용한 선교 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을 알아볼 것이다. 예수회는 그들의 뛰어난 교육체계인 대학을 통해 인재들을 훈련하였고, 음악을 사도적 사역의 일부로 여겨 남아메리카에서 체계적인 음악 교육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둘째, 예수회 소속 음악가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 도메니코 지폴리(Domenico Zipoli, 1688-1726) 와 그의 음악을 비롯한 대규모의 악보가 발견된 치키토스 예수회 선교단을 살펴볼 것 이다. 지폴리와 그의 음악은 예수회가 음악을 통한 남아메리카에서의 선교 정책을 지 속해서 지지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마지막으로 치키토스 예수회 선교단에서 발 견된 지폴리의 음악을 통해 남아메리카에서 활용되었던 음악의 특성을 파악하고, 음 악을 활용한 예수회의 선교 정책이 남아메리카의 기독교 공동체에 미친 영향과 한계 점을 제시할 것이다. Missionaries made active use of music when they tried to form a social and cultural community by living with indigenous people, rather than engage in coercive mission practices that were based on imperialism. In particular, the Jesuits in South America aimed to establish a Christianized indigenous community inspired by the ideal city, which was called ‘reducción’. Music encouraged indigenous peoples in South America to participate in worship rituals, organize social organizations, and learn Wester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missionary policy using the music of the Jesuit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South America. First, the background of the systematic Jesuit missionary policy of using music will be examined. The Jesuits trained talented people through their excellent educational system and universities, and made music part of their apostolic ministry to enable systematic music education in South America. Second, this study turns to Domenico Zipoli (1688-1726),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musicians of the Jesuits and the Chiquitos Jesuit mission, where large-scale musical scores including his music were found. Zipoli and his music show that the Jesuits continued to support the mission policy in South America through music. Finally, through the music of Zipoli found in the Jesuit missionaries of Chiquito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used in South America are revealed, and this study presents the influence and limitations of the missionary policy using the music of the Jesuits on the Christian community in South America.

      • KCI등재

        A Study of the Diffusion of Hallyu in South America

        Mayta Checasaca,서용구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pread of Hallyu and the acceptance of cultural products offered by South Korea to the South American market. Since South Korea and South America do not share the same language or culture and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despite these factors, South Korea's cultural products have been very well received by the population, reflected in the high ratings of K-dramas broadcast on South America's TV. Since the 20th century, South Korea has entered the Latin American continent through migration, Free Trade Agreement (FTAs), and other treaties. Thus, creating bonds of friendship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between both countries. This is where, through these agreements, Korean cultural products began to be negotiated, and productions were exchanged between television companies from Latin countries and South Korea. Korean embassies located in South American countries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ffusion of Korean cultural products. This includes promoting these products on TV channels in South American countries and supporting all kinds of events until today to spread Korean culture. Thus, K-dramas and movies began to appear in Peru and Chile, which were the first South American countries where the Korean wave reached with force and spread rapidly to Brazil, Colombia, Argentina, and oth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wave will continue on the market for a long time and expand even more over the world with the support from the fans (ARMYs),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s.

      • KCI등재

        한ㆍ중남미지역간의 FTA체결이후 교역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박종석(Chong suk Park),이길남(Kil nam Lee) 한국국제상학회 2015 國際商學 Vol.30 No.4

        그동안 중남미지역은 한국의 대외수출시장에서 소외되어 왔으나 지난 2004년 한ㆍ칠레간의 FTA가 발효됨에 따라 교역의 증대와 함께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한ㆍ페루간의 FTA가 추가적으로 발효되어 중남미지역시장으로의 수출기회가 보다 확대되었다. 한ㆍ중남미간 FTA체결이후 교역환경을 살펴보면 교역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무역수지에 있어서는 한국이 여전히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한ㆍ중남미지역간의 교역상품의 구조적인 문제점과 중남미지역 국가들의 FTA 확대정책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ㆍ중남미지역간의 FTA체결 이후 교역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한ㆍ칠레 및 한ㆍ페루간 FTA를 중심으로 발효 전과 발효 후의 교역구조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한 후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이 중남미지역과의 FTA 체결로 중남미지역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가 확보되었지만 수출을 확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지역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수출품목의 다변화, 투자의 확대 및 중남미지역 국가와의 FTA 체결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rade environment in Korea after executing the FTA with the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hrough comparisons. Then, it aims review the problems and suggest plans to maximize the effect of FTA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structure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FTA between Korea and Chile, and the FTA between Korea and Peru in order to analyze trade environment the after the FTA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seeks for reasonable improvement after finding out the problem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FTA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in South America, it was found that the trade amount increased but Korea has still recorded trade deficit, which is related to structural problems of trade products between the countries and FTA expansion policy of the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Conclusions : Through the execution of FTA with the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Korea has secured a foundation to advance to the markets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In order to dominate the local markets more stably, expansion of FTA is required further with other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 남미지역 수산부문 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마창모,홍현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2 신안보연구 Vol.- No.174

        This paper is designed to identify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activating cooperation projects in fisheries in South America. Korea’s cooperation projects and investments in fisher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China and Southeast Asia. However, given that investment conditions in the areas have worsened due to the depletion of resources, difficulties in developing aquaculture sites, and rising HR costs, now is the right time to make inroads into other overseas fisheries market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Third World nations, including those in South America. Furthermore, the rapidly growing South American region has shifted its focus from the export of abundant natural resources to the promo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making it easier for Korea to cooperate with South America in the field of fisheries. In addition, South America is rich in fisheries resources but is characterized by poor fisheries infrastructure and lack of aquaculture technologies, making it possible to enforce cooperation projects in diverse fisheries areas. For effective cooperation in fisheries, multilateral cooperation using APEC, IBD, etc. and bilateral collaboration through developing nations-centered ODA projects, KSP projects, FTA, etc. should be promoted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sharing roles in fisheries cooperatio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should establish a Korea-South America fisheries forum, reinforce CRS, and promote a “Package Deal”, a new cooperation model. By expanding cooperation with South America, Korea is expected to continuously secure fisheries resources/fishmeals and to advance into fisheries markets in North America/Europe, thereby enjoying a diversity of benefits through cooperation projects. 연구의 목적은 남미지역 수산부문 협력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추진방향 및 추진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존에 우리나라의 수산부문 협력사업 및 투자가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이들 지역의 자원감소, 양식적지 개발의 어려움, 인건비 상승 등 투자여건이 열악해짐에 따라 남미 등 제 3세계와의 협력을 통한 수산부문의 해외 진출을 도모할 시기가 되었다. 또한 최근 남미지역은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기존에 풍부한 천연자원을 수출하는 경제체제에서 외국인 직접 투자와 대외경제협력의 개선을 희망하는 등 협력체계의 변화를 하고 있어 수산부문의 대 남미 협력이 매우 용이한 상황이다. 또한 남미지역은 풍부한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수산기반 시설이 열악하고, 수산양식 기술 등의 발전이 미진하여 다양한 수산부문의 협력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수산부문의 협력사업을 위해서는 APEC, IBD 등을 활용한 다자간 협력사업과 개도국 중심의 ODA 사업, KSP사업, FTA 등을 통한 양자간 협력사업을 병행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와 민간이 역할을 분담하여 한·남미 수산포럼 발족, 기업의 사회적 책임(CRS), 새로운 협력모델인 “패키지 딜” 등을 활용한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남미지역과의 협력사업 확대로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수산물 및 어분 확보, 북미, 유럽 등 수출시장을 겨냥한 수산부문의 진출 등 협력사업을 통한 다양한 이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South America Off Balance? Aggregate and Military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Dylan Motin(모틴 딜런)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비록 브라질이 인구와 경제 면에서 남아메리카의 지배적인 국가이지만, 다른 남미 국가들은 브라질의 패권추구 가능성에 대하여 걱정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국제관계학의 현실주의 이론이 예견하는 것과는 달리, 브라질에 대한 균형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주요 주장은 남미 국가들이 종합 세력이나 잠재 세력과 균형화 하지 않고 군사력과만 균형화한다는 것이다. 남미 국가들의 종합 세력과 군사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브라질이 비록 종합세력으로 우세하지만 이웃 국가들에 대한 압도적인 군사적 위협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주로 국가들이 육상 군사력과 균형화하기 때문에, 다른 남미 국가들은 현재로서는 브라질의 전반적인 우위를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제 관계 이론과 남아메리카의 국제 정치 이해에 대한 함의가 많다. Although Brazil is the dominant power of South America in terms of population and economy, other South American states do not appear worried by a potential Brazilian bid for hegemony. Contrary to what realist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ould predict, balancing against Brazil has yet to occur. This study’s main argument is that South American states do not balance against aggregate or aggregate power but against military power; after building a dataset of the aggregate and military power of South American states, I show that Brazil, although dominant in aggregate terms, is not an overwhelming military threat to its neighbors. Since states primarily balance against land military power, other South American states have no reason to fear Brazilian overall superiority for now. Accordingl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for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South America.

      • KCI등재

        김정은시대 북한의 대외 적대담론 연구: 『로동신문』 속 ‘미제’, ‘일제’, ‘남조선괴뢰’를 중심으로

        임수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hostile discourses on foreign societies in North Korea, this study analyzes how North Korean society recognizes and constructs its ‘enemies’ and builds a community using the discourses. The article studies changes of the discourses on ‘Imperialist America(Mi-jae)’, ‘Imperialist Japan(Il-jae)’, and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Nam- Chosun-Goerae)’,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most important ‘enemies’ in North Korean society. The article mainly looks at the news articles on ‘Imperialist America’, ‘Imperialist Japan’, and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 in Rodong Sinmun, and analyzes the annual frequencies of mentioning them in the news titles and the article contents. In the Kim Jong-un era, the hostile discourses on ‘Imperialist America’ diminished, and the usage of ‘Imperialist America’ has been replaced with ‘America’ since 2018. Also, the production of the discourse on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 reduced during 2018~2019, but it increased again after 2020. The hostile discourse on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 targeted only at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in South Korea before, but it is now targeted at both the conservative and the liberal governments as its occasion demands. The discourse on ‘Imperial Japan’ did not take a big portion in Rodong Sinmun compared to other discourses mentioned, but its portion has increased in the Kim Jong-un er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ostile discourses on foreign societies in North Korea have changed in the Kim Jong-eun era, from emphasizing its social thoughts such as anti-imperialism and anti-capitalism to considering more actual and real needs for the society. 본 연구는 북한사회 내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외부세계에 대한 적대담론의 중요성을고려하여, 북한사회가 적대담론을 통해 어떻게 사회의 ‘적’을 인식·구성하며 사회공동체를 구축하는지 살펴본다. 북한사회 내 전통적인 ‘적대적 타자’로서 지목되는 ‘미제, 일제, 남조선괴뢰’를 주요하게 고려하여, 이들 담론의 구성과 변화를 살펴본다. 분석대상은 김정은시대 『로동신문』 속 ‘미제, 일제, 남조선괴뢰’에 대한 기사(2012~2021)로, 연도별 언급빈도와 주요 기사 내용을 분석, 시기별 담론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적으로 북한 제일의 ‘적(원쑤)’으로 인식되는 ‘미제’에 대한 적대담론은 김정은시대 축소되었고, 특히 2018년도 이후 부정적 용어로서 ‘미제’의 언급은 소멸, ‘미국’으로 대체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미제’와 함께 강조되어 온 ‘남조선괴뢰’에 대한 담론은 2018~2019년 감소하였으나, 2020년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또한 과거 남한 보수정권, 군부 등에 제한되었던 적대담론이 최근 보수/진보정권 모두를 겨냥하는 방향으로변화되었다. 전통적으로 ‘일제’는 ‘미제, 남조선괴뢰’에 비하여 『로동신문』 속 언급되는 비중이 적었으나, 김정은정권 이후 언급의 비중이 늘어났다. 반제국주의·반자본주의 기조 속 북한 주민들에게 강조되던 ‘미제, 일제, 남조선괴뢰’ 에 대한 적대담론은, 현실적 필요와 변화에 맞추어 객관적 입장에서 조망하는 ‘미국’, 과거적 존재로서 제한적으로 반추되는 ‘일제’, 보수/진보를 막론하고 북한에 대항하는 확대된 적대적 타자로서 ‘남조선괴뢰’의 담론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19세기 중남미 지역 화교 생성 배경과 특성

        김동하(Kim, Dong-Ha)(金東河)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4 No.-

        최초 중남미 화교는 16C후반~19C초까지 스페인이 식민 지배하던 필리핀에서 재이주한 중국인으로 판단된다. 중남미에 본격적으로 화교가 송출된 것은 쿨리(화공)무역에 기인한다. 1단계(1800~1874)는 노예제도 폐지로 서구 열강이 플랜테이션에서 필요한 인력을 화공으로 대체하였고, 이들은 중남미 화교 1세대가 된다. 2단계(1874~1949)에서는 불평등 계약이었던 ‘채무화공’ 제도가 폐지(1874)되면서, 합법적인 중남미 이민이 다양화 되었다. 쿨리로 시작했던 화교들은 요리·이발·재단사로 창업하게 된다. 총리아문이 설치(1861)되고, 1879년 쿠바에 영사관이 설치되면서 화교들도 보호를 받기 시작했다. 3단계(1949~2000)는 중남미 화교들의 ‘현지화’ 시기이다. 2019년 중남미에는 227만명의 화교가 있고, 이는 전 세계 화교 중 4.6% 수준이다. Unlike Asia, which borders China on land and sea, Latin America was not physically a distance that could be easily crossed from China s Guangdong and Fujian provinces. Therefore,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could not be created for Chinese individuals to immigrate freely to Latin America in the 19th century or earlier. The first Chinese in Latin America is believed to be Chinese who immigrated from the Philippines, which was colonized by Spai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The full-fledged Chinese transmission to Latin America is attributable to the Coolie trade. The first phase(1800-1874) was the abolition of slavery, which replaced the necessary manpower in plantations by Coolie, who became the first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in Latin America. In the second phase(1874-1949), legal immigration to Latin America diversified after the abolition of the ‘Debtor Chinese Worker System(1874)’, which was an unequal contract. Chinese people who started out as coolies will start their own businesses as cooks, barbers, and tailo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Zong Li Ya Men’ as Foreign Ministry in Qing Dynasty(1861),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nsulate in Cuba in 1879, Chinese began to be protected. The third phase(1949-2000) is a period of ‘localization’ of Overseas Chinese in Latin America. In 2019, there are 2.27 million Overseas Chinese in Latin America, which is 4.6% of the total population of Overseas Chinese around the world.

      • KCI등재

        남미 출신 1.5세 한인의 이주 경험과 초국가적 주체성 : 스페인어 문화자본 형성과 활용 전략을 중심으로

        박정하 한국구술사학회 2022 구술사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스페인어권 남미 출신 1.5세 한인들의 이주 경험, 특히, 한국으로의 재 이주 현상을 초국가주의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이 자신 이 소유한 문화적 자원을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도구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초국 가적 주체라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들은 남미 거주 경험을 통해 획득한 스페인어 라는 문화자본을 한국 사회에서 활용하였고, 그것의 이용 가능성 및 효과성이 가장 높은 분야인 외국어 교육에 종사하고 있다. 사회적장을 이동하는 초국가적 주체성 실천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남미 출신 한인 3명을 대상으로 구술사 연구를 진행하 였다. 먼저 이들이 남미와 한국이라는 사회적 장을 이동하며 초국가적 주체로서 어떠 한 전략을 구상하여 실행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들이 남미에서 거주한 경험으로 체화된 스페인어라는 문화자본의 활용 양상과 한국의 언어 제국주의적 경향으로 인한 제약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남미 출신 한인들의 초국가적 이주 양상과 초국가적 주체로서의 행위성, 그리고 한국에 존재하는 외국어 생태계 내 식민주의적 시선에 대한 비판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igration experience of 1.5 generation Koreans from Spanish-speaking South America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re-migration to Korea in a transnational perspective. The re-migration is not regarded as a singular or one-way movement, but as part of routines and daily rhythms of life across the world. The paper also focuses on transnational subjects that strategically use their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s a tool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As a strategy for that, they utilize the linguistic capital of Spanish, which they acquired through their experience of living in South America. They knew that it was the highly prized and effective cultural capital which they possessed in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market of Korea.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Koreans from South America were carried out as research methods. The paper first describes how they act as transnational subjects who crossed over the social fields with social networks, including social media, friends and family ties. It also explains what strategies they consider and utilize to maximize their profits while they move across the two social fields of South America and Korea. In addition, it analyzes how they use the cultural capital of Spanish constructed as embodied capital from their experiences in South America and how they overcome the limitations caused by linguistic imperialism in Korea. The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transnational migration patterns of Koreans from South America. Also, it argues that they are transnational subjects who willingly cross the borders and design, adjust, and deliver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social status, especially in colonial nature of the foreign language 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