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천시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조례 분석

        김광병(Kim, Kwang-By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3 인천학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인천시 10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조례를 분석하여 그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역사회복지가 보장되고 실현되기 위한 사회복지조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조례 수집은 자치법규정보시스템(http://www.elis. go.kr/)을 통하여 2013년 5월 현재 기준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조례만을 확보했다. 사용된 주된 연구방법으로는 기술적 연구(descriptive study)방법에 따른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10개 기초자치단체의 전체 사회복지조례 제정 범위는 크게 11개 분야 88개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조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전달체계를 제외한 지역복지권 보장, 지역적 최저생활보장, 대상자 범위의 포괄성, 재정의 책임성 측면에서 사회복지조례 내용 구성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지역사회복지를 실현하는 데 한계를 지녔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조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자주조례 제정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타 자치단체로부터 사회복지조례를 받아들여 해당 자치단체에서 제정 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급여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나 대상자 선정요건을 간소화 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복지조례 내용이 권리성을 담고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재정 책임 규정과 조달방법을 강행규정으로 명시하여 책임성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purpose to provid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ordinance for guarantee and realize community welfare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focused on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of 10 of the local government in Incheon. To this end, the collection of social welfare ordinance secured social welfare ordinance in force only May 2013 to current through the enhanced local laws and regulations information system(http:// www.elis.go.kr/). content analysis based on a descriptive study was the main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legislation of all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of 10 of the local government in Incheon consist of 11 categories and 88 contents. social welfare ordinance content analysis results had limits to realize community welfare not systematically contents of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aspects guarantee of the local welfare rights, guarantee of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at the??local level, comprehensiveness range of the beneficiaries, fiscal responsibility, except delivery systems.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legislation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First, social welfare autonomous ordinances should be expanded. Second, other local government social welfare ordinance adopted When the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ird, receiving social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for the procedures or requirements to simplify selection for beneficiaries is necessary. Fourth, social welfare ordinances should include clauses on rights. Fifth, financial responsibility prescribe and the procurement methods should be increased accountability by the mandatory provisions should have clear expressions.

      • KCI등재

        실효적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입법과제

        윤석진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2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안전규제는 시설 이용자의 생명, 건강, 신체의 보호 등 보편적 인권보장을 위한 사회복지분야의 사회적 규제에 해당한다. 그래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서로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집행,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연구결과 현행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제도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계획의 비체계성, 안전점검 과정에서 중복규제의 발생, 안전관리 비용보조 제외 시설의 존재에 따른 안전관리 사각지대 발생, 복잡한 규제전달체계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유지관리의 혼선 등의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보건복지부에게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종합적 안전관리 계획 수립권을,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시행계획 수립권을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여러 부처에서 시행 중이서 복잡하기만 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기준을 단순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경우 보건복지부가 주도적으로 통합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설정·공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기초로 하여 지역현실을 감안한 세부적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리고 중앙정부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에 주도적 권한을 담당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제정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Safety management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corresponds to the social regul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order to guarantee universal human rights such as the life, health and the body protection of users of facilities. Therefore, th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eds to be systematically planned, enforced and manag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s composed of the non-systematic safety management pla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occurrence of duplicate regulation in safety inspection process and confusion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 pending issue of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all grant the right to establish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right to establish safety manag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local governments suggested. And proposed simplifying the complicated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s that are being implemented by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 In this ca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set up and announce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have suggested measures to establish detailed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based on local commun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grant local governmen's the right to municipal ordinances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자치복지 의미와 가능성 -전라북도 사회복지조례를 중심으로-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19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0 No.2

        As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have been promoted in earnest, social welfare fields have also emerged in the form of regional welfare and autonomous welfa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nd examined the meaning of community welfare, regional welfare, and autonomous welfar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autonomous welfare was diagnosed based on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of Jeollabuk-do. This study defined autonomous welfare as the local governments with their ow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determine and provide social welfare levels through participation of residents. First of all, in order for autonomy welfare to be possi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ependent social welfar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the types of social welfare benefits that are provided need to be freely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kind benefits and services as well as cash benefits. in addition, the level of social welfare benefits to be provided should be set above the national minimum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or by setting a regional minimum. Next, in the view that autonomy welfare is not a single-shot but always exists and should be approached,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tentatively called 'Governance Ordinance on Autonomy Welfare Decision' for autonomy welfare applied only to the local governments and make the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obligatoryly. Finally, in order for the autonomy welfare to be realized, the decentralization of finance must be made and efforts to increas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are mad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y should have autonomy legislative ability to be autonomy welfare. 지방자치, 지방분권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지역형복지, 자치복지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와 분권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보고 지역사회복지, 지역형복지, 자치복지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라북도 사회복지조례를 중심으로 자치복지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본 연구는 자치복지를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주민참여를 통해서 사회복지의 수준을 결정하고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우선 자치복지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만의 특성을 반영한 자주적인 사회복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제공되는 사회복지급여의 종류는 현금급여뿐만 아니라 현물급여, 서비스 등 지역의 특성과 대상자 특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공되는 사회복지급여 수준은 종류에 따라 양과 질 모두에 있어서 국가가 제공하는 수준(national minimum) 이상으로 설정하거나 해당 지방자치단체만의 기준(regional minimum)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자치복지는 단발성이 아닌 항상적으로 존재하고 접근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에만 적용되는 자치복지에 대해서는 가칭 ‘자치복지결정에 관한 협치 조례’를 제정하여 의무적으로 주민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자치복지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재정분권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져한 한다. 뿐만 아니라 자치입법 능력을 갖춰 명실상부한 자치복지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시설(기관)의 민간위탁제도 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창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1 벤처창업연구 Vol.6 No.3

        Since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various specific theories and practical approaches for private commission system have been common concerns and interests of the fields practicing social welfare. In the discussion about private consignment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y and organization, both of private section and government have shown different opinions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related regulation, consignment procedure, proper period and consignment condition. According to the discussion about the consignment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purpose is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consign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and the characteristic and issue of consignment procedure by considering domestic & overseas literature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private consignment system. The second purpose i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es of consignment process and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organizations) located in Gyeonggi-do area. The third purpose is to draw the current status and general problem of field consignment system and suggest the practical alternative plan and improvement method of private consignment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 the future. The result of researching private consignment process by head and manager of social welfare facility (organization), private consignment agreement and its conclusion process and current consignment system improvement method revealed that the number of reconsigned (over 1~3 times) facilities was more than that of initially consigned facilities and senior welfare facility an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were most frequent in private consignment organization. In addition, as an improvement method of current private consignment process, the consideration on each organization and standard was required for new consignment and reconsignment and the problem of fairness and objectiveness was indicated when deliber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in private consignment process. Besides them, it was found that consignment period shall be adjusted on the basis of facility type and business characteristic and the problems such as worker's succession, worker's transfer and service disconnection were suggested when consignment organization was changed. For conclusion and suggestion, the study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common standard about private consignment, alternative plan of private consignment process issue and improvement method of consignment period issue. 지방자치제 도입이후 민간위탁제도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이론과 실천적 접근은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공통적인 고민과 관심사이다.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에 대한 민간위탁제도에 관한 논의는 관련규정, 위·수탁절차, 기간의 적합성, 위탁조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민. 관 양측모두 오랜 기간동안 입장과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시설의 위·수탁제도에 대한 논의를 필요에 따라 연구의 목적으로 첫째, 민간위탁제도의 특성에 관한 국. 내외 문헌적 고찰을 통해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위탁 현황과 위탁과정에서의 그 특성과 쟁점을 제시하고, 둘째, 경기도지역 사회복지시설(기관) 위·수탁과정 및 제도에 관한 전반의 특성과 현황을 알아보고, 셋째, 현장 위·수탁제도의 현황과 전반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사회복지시설의 민간 위․수탁제도의 실질적인 대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민간위탁 사회복지시설(기관) 장 및 관리자에 대한 민간위탁과정, 민간위탁 협약 내용 및 협약체결과정, 현행 위·수탁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결과 최초위탁시설에 비해 재위탁(1회~3회)시설이 많고, 노인복지시설과 종합사회복지관이 민간위탁기관 유형에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또한 현행 민간위탁과정의 개선방안으로는 신규위탁과 재위탁의 경우 각 각 기관과 기준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며 민간위탁과정에서 심의위원회 구성 시 공정성과 객관성의 문제가 지적 되었다. 그밖에 시설유형과 사업특성에 기초한 위탁기간의 조정이 필요함이 결과로 나타났으며 수탁기관 변경 시 직원고용승계와 종사자의 이직 및 서비스의 단절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결론 및 제언으로 민간위탁에 대한 공통기준의 마련과 민간위탁과정에서의 쟁점에 대한 대안, 위탁기간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치입법을 통한 아동의 인권 보장 -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인권조례를 중심으로 -

        최윤영,최승원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4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4 No.2

        지방자치단체는 아동의 인권을 보장하고, 아동복지서비스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하나의 책임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실질적이고 수요자 중심의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제도적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인 조례를 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의 경우 2001년 가와사키에서 일본 최초로 ‘아동권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이후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아동의 인권에 관한 조례를 제정・시행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중점을 두고자 하는 목적과 내용에 따라 종합조례, 개별조례, 시책 추진의 원칙 조례로 분류되어, 조례의 제정이 중앙정부의 하향식 복지정책에 의한 것이 아니고, 지역 내 수요자에 인권보장에 적합한 내용을 담고 있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도 보다 정치하고 실질적인 아동 인권 보장을 위해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인권조례가 전국 최초로 제정되었다. 복지가 인권을 현실화하여 보장하는 실천적인 의미로 파악하여 인권과 복지의 相補性(상보성)을 인정한다면, 아동인권조례는 지역 내 아동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이정표로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동 조례 나아가 아동관련 자치입법에 관한 쟁점을 논의함으로써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법률유보 원칙의 탄력적 이해가 필요하다. 아동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사무는 국가사무인 동시에 자치사무로서의 성격을 가지므로 지역내 아동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비교적 자유롭게 조례를 정할 수 있지만, 조례가 아동의 인권을 침해하는 타인에 대한 제재를 규정하는 경우에는 법률유보 원칙의 제한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본권의 이중성을 인정한다면, 침익적인 규제는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이해조절적인 것으로 법령의 위임이 없다고 하더라도 공동체 내에서 수용가능하다고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복지 누락・중첩을 방지하기 위해 상위법령과의 체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동 조례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개념을 상위법령보다 좁게 규정하고 있는 것은 수익적 조례가 법령이 정하고 있는 급부조건을 강화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침익적인 성격을 갖게 되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인권의 개념에 대해서도 보면, 본래 인권의 천부적・자연권적 성질을 실정법 및 국제법상의 개념으로 전락시키는 듯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위원회와 참여위원회, 어린이・청소년 인권종합계획 및 실태조사는 아동복지관련법령상 제도들과 중첩・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관계설정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아동인권조례는 구체적 권리에 대한 선언적 부분을 정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아동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시스템과 구체적 처분가능성을 정하는 2가지의 축을 가져야 실효성 있는 권리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조례 제정은 지역사회에서의 인권보장을 위한 기초라는 점을 인식하며 조례 제정 이후의 피드백, 사례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A local government is regarded as a principal of liability which guarantees children's human rights and supplies child welfare service directly. To realize consumer-directed welfare more substantially, it is important to enact ordinances that is autonomous legislation of local government. In Japan, 'Ordinance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was first enacted in Kawasaki in 2001, whereafter a lot of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and executed ordinances on human rights for children. It is full of suggestions on that enactment of their ordinances includes guarantee of human rights suitable for regional demander, not a top-down welfare policy by the central government. Eventually, in Korea, 'Ordinance on Human Rights for Children and Teens' has been enacted by the Seoul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in the nation.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of growth in children's human rights through the discussion of several issues regarding this ordinance as well as autonomous legislation of local government for children. At first,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should be interpreted elastically. It is not relatively much restricted to establish ordinances on security affairs for children's human rights, but if it contains legal sanctions against others by viola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it should be subject to restriction of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However, if duplicity of fundamental rights is admitted, anti-profitable regulation could be accepted in the community without delegation of legislation. At Second, systematic comparison to superior laws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omission or overlap of welfare. In the ordinance above, to limit narrowly definition of the child and youth has anti-profitable character because it strengthens conditions of benefit, so improvement on this issue is required. Also, it exposes the limit making natural character of human rights appearing like a concept in merely substantial law or international law. Furthermore, Human rights commission and commission on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and youth by Seoul government, and comprehensive plan and survey for children and youth rights have possibility of overlap or conflict with child welfare legislations. Therefore, we need to reconsider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with superior laws. At last, protection of rights with practical effect would be possible when ordinances on children's human rights have two axial stands which determine system of local government and concrete possibility of disposition on concrete rights. Furthermore, feedback after enactment of the ordinance and construction of system in case management is also required.

      • KCI등재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Kichae Min)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7 No.3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revision plans of the housing supporting ordinances for youths through comparison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in order to alleviate the serious housing problems. Methods: By analyzing data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s autonomous law system, 11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related to housing for youths were compar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ordinances, five factors( the rights(purpose and ideology of the ordinance, the account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heads), the universalism of allocation,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n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were used. Results: Among the 11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he Seoul ordinance was the most suitable for ideal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The Seoul ordinance received high marks in terms of the rights,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But the legal binding force of the housing support ordinances for youths were very low compared to other social welfare ordinances. Conclusion/Implications: Change to a 'basic' ordinance focusing on 'youth', new regulations on civil rights, new establishment of accountability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s as an independent clause, change of meeting minimum housing standards to mandatory regulations, expansion of benefit comprehensiveness, introduction of the excavation subject and network for youths living less than minimum housing standards, were proposed.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실현의 사회복지조례 제정 방향

        김광병(Kim Kwang Byung) 사회복지법제학회 2014 사회복지법제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례의 질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복지조례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은 방향이 되어야한다. 첫째, 사회복지 자주조례 제정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적 최저수준을 보장해야 한다. 셋째, 급여 및 서비스 종류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대상자 선정에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 다섯째, 대상자 선정 요건이 까다롭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재정의 책임성을 확보해야 한다. 일곱째, 권리구제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조례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단위의 사회복지조례 연구회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조례에 대한 표절 및 모방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조례 제정 운동을 전개할 필요가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례를 제정할 때 필요한 원칙과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 특히 사회 복지조례의 내용을 평가할 때 그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ordinance to realize community welfare.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descriptive study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welfare autonomous ordinance should be expanded. Second, the minimum standard in the local level should be guaranteed. Third, the diverse types of benefits and services should be ensured. Fourth, th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to select the beneficiary. Fifth, the requirements for selection of the beneficiary should be relaxed. Sixth, the fiscal responsibility needs to be ensured. Seventh, the procedure for remedy for violation of private rights should be prescribed. Consequentl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suggests the standard for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ordinance.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관련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경기도 31개 시ㆍ군을 중심으로-

        유정원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related ordinances used as the basis for private consign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31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It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elements in the consignment process that could undermine fairness and transparency and consider improvement plan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ontinues to increase, many local governments operat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delegation to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ere is a claim that the consignment process is unilateral and opaque, raising the need for systematic standards and fair procedures. The targets of analysis are 162 ordinance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31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The analysis method divided the ordinance into preparatory steps, progress stages, and later stages according to the working manual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nd examined whether the items proposed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in the improvement plan for private consignment were includ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ep-by-step procedures and contents were not specific during the preparation phase. There is a lack of feasibility study on private consignment. Only 16% of the 31 cities and counties and 22% of the planning process for selecting trustees are specified in the ordinance. Second, There were only three cities and counties that included specific criteria for the formation of a trustee selection review committee in the ongoing process. Third, in subsequent phases, there is no provision for performance evaluation to evaluate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objection application and the rational operation process. Only 55 % of the 17 cities and counties are specified in the ordinance. Only 9% of local governments have performance evalu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eligibility of operators and to have a impartial contract renew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ordinance are as follows. In order to become a transparent and objective deliberation process, the adequacy review of the private consignment review should precede in the preliminary stage, and the pre-disclosure of the selection review criteria and the formation of a committee specifying objective criteria are required in the progressive stage. Subsequent steps should include re-entrusting measures through objection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s and goals of the plan,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require disclosure of the criteria and assignment of deliberation, limiting the ratio of public officials members in the composition of the Selection Review Committee, and deliberating on new consignment and re-entrustment differently. Finally, it is necessary to enact and revise standardized ordinance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devi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는 관련 조례들을 대상으로 위·수탁 절차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가 있는지 검토하고, 대안과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국가법령정보센터의 자치법규에 있는 경기도 31개 시·군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조례이며, 분석방법은 조례를 행정자치부의 민간위탁 실무편람에 따라 준비단계, 진행단계, 이후단계로 구분한 뒤, 권익위원회의 민간위탁 개선방안에서 제시한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분석결과는 첫째, 준비단계에서 단계별 절차와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위탁의 타당성 검토는 16%, 수탁자 선정과정에 대한 계획 수립은 22%만이 명시되어 있다. 둘째, 진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수탁자선정심의위원회 구성에 있어 구체적인 선정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시군은 3개(9%)에 불과했다. 셋째, 이후단계에서는 이의신청은 17개 시·군(55%)에서만 조례로 명시되어 지방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다. 성과평가는 9개(29%)에 불과하여 합리적인 운영주체의 적격성 판단과 투명한 재계약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심의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사전단계에서 민간위탁 심의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진행단계에서는 선정심의기준의 사전 공개, 객관적인 기준을 명시한 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이후단계에서는 이의제기와 성과평가등을 통한 재위탁방안을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안을 포함하고 지역 간 편차를 고려한 광역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표준화된 조례의 제·개정이 필요하다. 거의 당연시 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위탁 운영방식의 과정별 검토가 있어야 하며 이를 조례에 명시함으로써 지자체로서는 합법적인 방식으로 자격이 있는 수탁기관을 선정할 수 있고 신청기관으로서는 공정한 판단에 수긍하고 더 노력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는 시설의 수 대비 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교육청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한국장애인개발원 2023 장애인복지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to revise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ordinance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rough a comparative study.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Office of Education's support ordinances to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s autonomous law system. Using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of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the ordinances of 10 offices of education of city/do were compar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the Busan Office of Education ordinance, which has the strongest legal binding force, has the most ideal contents of the ordinance. In the problems of ordinances, first, the definitions in the ordinance are different for each ordinances. Second although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s overall accountability is high, financial responsibility, which is the driving force for actual project execution, is very low. Third, there are almost no provisions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support centers and partner organizations. Fourth, regulations related to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designating and operating specialized support centers and cooperative organizations, and strengthening teacher expertise are very weak. In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ordinance, strengthening the uniformity and universality of the coverage by revising the definition of terms and preparing separate provisions for the scope of allocation, establishing a new provision for ‘right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ased on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and expanding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 step-by-step process of support, specifying mandatory regulations on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superintendents based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establishing new committee regulations, enacting establishment/operation/function regulations for support centers for each basic self-governing unit, establishing new regulations on cooperative organizations, etc. Strengthening regulations for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were proposed. The 7 10 offices of education of city/do that do not have the ordinances need to quickly enact related ordinances based on stakeholder participation.

      • KCI등재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에 관한 비교 연구

        민기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 조례 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적 고립청년을 위한 조례 개정 방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국가법령정보센터의 자치법규시스템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13개 자치단체의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비교하였다. 조례 비교를 위한 분석틀로서, 규범적 타당성 체계에 해당하는 권리성(조례의 목적지향성, 자치단체장의 책무성), 적용대상의 보편성, 급여종류의 포괄성,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과 규범적 실효성 체계에 해당하는전달체계의 책임성 및 통합성, 인력의 전문성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서울시 조례가 이상적인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에 가장 부합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서울시의 조례를 자치단체의 실정에 맞게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한 조례 개정 논의로서, 주민의 권리 규정 신설, 자치단체장의 책무성과 재정책임성에 대한 임의규정을 강행규정으로 변경, 자치단체장의 책무·기본계획의 수립·지원사업의 종류에서 포괄적 규정, 적용대상에서자발성(청년 스스로 고립) 규정 삭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고립청년의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제고되고, 사회복지조례에 관한 비교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ordinance amendment plan for isolated youth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o this end, the ‘Ordinances on Support for Socially Isolated Youth’ of 13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were compared by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s autonomous law system.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ordinances, the right(the purpose of the ordinance, the accountability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the universalism of allocation, the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in the normative validity, and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and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and professionalism of manpower in the normative effectiveness, were utili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verall, the ordinances of Seoul were the most suitable for ideal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benchmark the ordinances of Seoul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local government. As a legal discus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new regulations on civil rights, change of voluntary regulations to compulsory regulations in the accountability and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the head, comprehensive regulations in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establishment of basic plans, and types of support programs, deletion of spontaneity(selfisolated youth) in benefit qualificat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ocial interest in the lives of socially isolated youth will be enhanced and comparative research on social welfare ordinances will be ac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