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소셜미디어 콘텐츠 특성이 고객인게이지먼트를 매개하여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의 비교

        Jungwon Lee(이중원),Cheol Park(박철) 한국경영학회 2021 經營學硏究 Vol.50 No.2

        Recently, main marketing channels of brands are moving from traditional media to social media. Social media platforms are regarded as an effective tool for developing brand equity, and companies are expanding the use of social media content to induce customer engagemen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to verify the complete path of how a companys social media strategy affects brand equity through customer engagement, and it is limited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content strategies according to cultur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content mediate customer engagement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quity.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se pathways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Facebook data of US and Korean companies from 2013 to 2018 and brand equity data of Interbrand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405 company-year data were analyzed by the PLS-SEM method.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customer eng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content characteristics and brand equ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paths differ according to culture.

      • KCI우수등재

        개인 여행방송 콘텐츠 특성이 시청자의 사회적 현존감과 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준호,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2

        Personal travel media content has become an important form of marketing tool for the travel industry given its characteristics of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creators and the viewe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viewer’s psychological decision-making process in order to utilize it as a marketing tool in an effective wa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0-R mod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82 viewers who watched personal travel media within the last 6 months in which the creator is shown directly in the cont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our characteristics of personal travel media contents were derived as in the theoretical study: para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quality, creator’s attractiveness, and real time broadcast. All content characteristics showe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resence. In particular, real time broadcast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viewers’ social presence. Social pres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a viewer’s behavioral intention too. Based on the results, providing useful and genuine information through attractive creators who can communicate in real time in an effective way is needed to get positive responses from the vie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personal travel media contents through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decision making process of viewers. It also provided an effective way of utilizing personal travel media content as a new marketing tool. 실시간으로 크리에이터와 소통이 가능한 개인 여행방송의 경우 온라인 내에서 불특정 다수와 적극적인 소통 매체로 활용되어 관광업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개인 여행방송을 집중으로 다룬 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며, 이를 효율적인 관광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청자의 심리적 의사결정과정을 파악해 볼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착안하여 개인 여행방송을 통해 시청자가 소개된 관광지에 대한 행동결정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S-O-R 모형을 토대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해 일반인 크리에이터가 직접 출연하여 진행하는 개인 여행방송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외부요인으로서 개인 여행방송의 콘텐츠 특성 4가지를 도출하였고, 내적요인으로서 사회적 현존감, 반응요인으로서 관광행동의도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특성인 의사상호작용성, 정보품질, 크리에이터 매력성, 실시간성이 시청자의사회적 현존감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고 사회적 현존감을 지각하였을 때 소개된 관광지로의 행동의도로 이어짐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개인 여행방송 콘텐츠 제작 시 시청자의 사회적 현존감을 높이기 위해 매력적이며 소통능력이 뛰어난 크리에이터를 활용해 시청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실시간성이 사회적 현존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관광지에서 발생할수 있는 현실적 상황이 잘 반영되도록 콘텐츠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시청자의 사회적 현존감을 높이면 관광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여행을 소재로 개인방송을 활용하고자 하는 관광업계 등에 시청자들과 가깝게 소통할 수 있도록 유용한 방송 제작 지표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업 페이스북 게시글 인기에 영향을 미치는 콘텐츠 특성 분석: 한영 페이지 비교

        이중원,김오성,이윤혜,김수정,박철,정옥경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광고연구 Vol.0 No.121

        In recent years, social media has been actively utilized as a marketing tool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IT services and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and the academic world is also focusing on content strategies to increase corporate popularity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However,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various variables reported in the prior study is limited. Social media is also an important tool for global marketing strategies, but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cultural moderate is very small. For this, this study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that affect the popularity of Facebook’s postings by global companies and see how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ffect the popularity of posting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pages, it presents some suggestions for global companies to improve their marketing outcomes. For the analysis, 1,400 pieces of Korean and English Facebook contents of seven Korean global companie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ntent characteristics on the popularity of cont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at affect Facebook’s popularity are promotion, vividness, utilitarian, and hedonic, and that promotion, Interactivity and brand cue are moderated by page language. Based on this analysis, we discusse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in Korea and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tent outcomes of global companies. 최근 IT 서비스의 발전과 모바일의 대중화로 많은 기업들이 SNS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중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이미 형성된 관계망이나 네트워크상에서 정보를 생산, 공유, 재생산하고, 다른 SNS와 비교해 신속하고 생동감 있게 정보 전달을 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페이스북 게시글의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콘텐츠 특성을 알아보고, 콘텐츠 특성이 게시글 인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글 페이지와 영문 페이지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글로벌 기업이 마케팅 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7개 글로벌 기업의 한글과 영문 페이스북 콘텐츠 1400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콘텐츠 특성이 게시글의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글로벌 기업의 페이스북 게시글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콘텐츠 특성은 프로모션, 생동감, 유용성, 쾌락성으로 나타났으며, 프로모션, 상호작용성, 브랜드 신호는 페이지 언어에 따라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영어권 국가에 따른 소비자의 언어적 차이를 논의하고 글로벌 기업의 콘텐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광고성 트윗과 비광고성 트윗의 확산 특성 비교 연구: 전자담배 트윗을 중심으로

        백현미,이새롬,백혜진 한국정보사회학회 2019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0 No.1

        As social media allows people to share information and has an influence on individual opinions, firms focus on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firms’ commercial tweets are diffused. To do so, we compared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weets and non-commercial tweets for electronic cigarettes, which garnered attention as substitutes after the South Korea government’s announcement to raise the price of traditional tobacco as a policy. We gathered 59,147 tweets containing the keyword “electronic cigarette” from September 11, 2014 to December 10, 2015. We categorized the collected tweets into commercial tweets and non- commercial tweets using the Naïve Bayes classification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usion trends of commercial tweets and diffusion network between commercial tweets and users. Furthermore,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tweets were compared in terms of diffusion quantity, diffusion speed, and diffusion duration. An analysis of diffusion trends in each period found that the quantity of commercial tweets tended to increase sharply even when there was no particular issue unlike public opinion trends. A network analysis between commercial tweets and users revealed that there were user groups who tried to diffuse commercial tweets intentionally. Moreover, even though commercial tweets had more diffusion quantity than non-commercial tweets, their diffusion speed was slower and their diffusion duration was longer than non-commercial tweets.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에 기업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마케팅 활동에 주목하고 있으나,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 확산 전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위한 광고성 트윗이 어떻게 확산되는지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궐련 담배 가격 인상 정책 발표와 함께 대체재로 주목받았던 전자담배에 대한 광고성 트윗과 비광고성 트윗의 확산 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4년 9월 11일부터 2015년 12월 10일까지 “전자담배”라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트윗 59,147개를 대상으로, 나이브 베이지안 방법을 활용하여 광고성 트윗과 비광고성 트윗을 분류한 후, 광고성 트윗의 시기별 확산 추이, 유저들의 리트윗 확산 형태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리트윗이 10회 이상 이루어진 트윗들의 확산 특성을 확산 양, 확산 속도, 확산 기간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시기별 확산 추이 분석 결과, 일반 여론 추이와는 달리 특정 이슈가 없는 시점에도 광고성 트윗 양이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광고성 트윗 글과 유저와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광고성 트윗 글을 의도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하는 유저 그룹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성 트윗은 비광고성 트윗에 비해 확산 양이 많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확산 속도가 느리고, 확산 기간은 긴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 마케팅의 소셜미디어(SNS) 콘텐츠 유형이 사용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가영,이우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3

        The development of web technologies and the generalization of smartphon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social media users using the Internet. As a result, companies are perceived social media as a major marketing tool and operate a variety of SNS channels. In particular, start-ups conducting businesses with limited resources, social media is being us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to meet many potential customers at a low cost. Among them, facebook is the most used channel in the world and plays an important promotional tool not only in overseas but also in marketing activities of domestic start-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four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use social media contents an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type and purchase intention. To this end, w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social media content is provided to 200 fans of Minbak Danawa(Minda), one of representative start-ups related to accommod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3 weeks, and a total of 145 copies were collected. All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PSS 18.0.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three types of content, such as task-oriented, self-oriented, and interaction-oriente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Among them, it i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plays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oriented contents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user 's personal characteristics showed a partially moderate effect on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Therefore, social media content provided by corporations has an important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 order for start-up to prevail in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have an operational strategy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continuously through systematic contents analysis and planning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ways to build a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y for start-ups and suggests ways to utilize cont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rs. 웹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는 인터넷을 활용한 소셜미디어 이용자 수를 폭발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소셜미디어를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인지하고 다양한 SNS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한정된 자원으로 비즈니스를 실행하는 스타트업(Start-up)에게 소셜미디어는 적은 비용으로 많은 잠재고객들을 만날 수 있는 효율적인 마케팅 수단으로써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네 가지의 개인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고 소셜미디어 콘텐츠 유형과 구매의도간의 관계에 있어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대표적인 숙박관련 스타트업 중 하나인 ‘민박다나와(이하, 민다)’ 페이스북의 팬(fan)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145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 전체를 SPSS 18.0을 통한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홍보성, 정보성, 소통성의 세 가지 유형의 콘텐츠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홍보성 콘텐츠는 만족도가 구매의도에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용자 개인특성은 콘텐츠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만족도에 조절 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콘텐츠는 소비자의 만족과 구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타트업이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콘텐츠 분석과 기획을 통해 지속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는 운영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스타트업에게 효율적인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구축 방안과 인터넷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