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법체계의 개선방안

        이중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8

        This paper is of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and system of legal on the social welfare. Here is examining difference of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On the side social welfare science and jurisprudence. the concept of seeing any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is that where is occurring, and what legal basis, a system of social law how it was at the Look. Naw days, Service practice cases is tend to put too much emphasis in the areas of Social Welfare. No matter how good the services of social, services are also service subject and demander passed they are made through trail and error. Consequence, the time and cost of importing waste. Social welfare policies, no matter how good the law can take effect without the constitutional Artical 10 to Joe because Joe Artical 34 of essential social welfare and social welfare laws so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law and Social Security Business Act. However, the ideological premise of social welfare-related ideas and concepts mentioned at fault ‘as a means of social welfare gwangui’. In other words, learn about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welfare scholars have classified the scheme would also briefly mentioned. The actual circumstance of studies on the legisl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in korea is insufficient, so the more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for systematization of social welfare laws. The social welfare law is defined in this study as every laws that insure the human life within social relations and rule the public, and private systems & politics etc. for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legisl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in korea divided into the social security act and the laws in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appling the concept in broad sense. It included in the social security act, general social security(2), social insurance(10), public assistance(6), social welfare service(21) laws and included in other laws in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the laws(151) that legislated for insuring the human life of constitutional law trying to categorize by classifying into public health․hygiene, residing․environment, education, employment․labor, traffic, feminine․family, children․adolescent, veteran․compensation, human rights․protection and other general social welfare area. 사회복지법은 학문적․실천적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해방법과 범주, 그리고 체계적 특성이 모호한 상태에 있다. 사회복지법은 헌법의 구체화법으로 존재한다. 즉 사회복지법이 정치타협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은 이제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관련법 전반을 우리 헌법의 기준으로 재설계하고 재구성하여야 할 시점이 아닌 가 사료된다. 기본적 헌법 원리로서 민주국가원리, 법치국가원리, 사회국가원리의 기반 하에 사회복지법제의 체계정립이 다시 이뤄져야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행정법 체제에 기반 하여 사회복지법의 전반적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법치행정의 원칙 아래서 사회복지법을 검토․분석․비판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사료되며, 결국 사회복지의 수혜자- 이른바 ‘사회복지권자’-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의 실체적 내용과 절차적 체계에 대한 법제완비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그간 급부행정의 영역이라 해서 다소 관대하게 취급된 법률유보의 원리를 사회복지 입법이나 법률해석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어야 함을 기조로 이른바 ‘사회복지권’ 개념의 명확화, ‘사회복지권’ 집행을 위한 절차규범완비 및 법제의 체계․균형․ 합목적성 도모를 개선의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관련 법령에 대한 소고

        양승미(Seung Mi Y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0 행정법연구 Vol.- No.26

        The social welfare law is a branch of administrative law, the Constitu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law. Nevertheless the research to concretize administrative law theory on the social welfare part is not inadequate. Reviews for the social welfare law has focused on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right in the lawsuit. This paper is reviewed from point of general theories of the administrative law, the Constitu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law o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law. It is important that the legal provisions of social welfare law is changed from the terms-program provision, rule that reads the sole way, supply-centered regulation, to the purpose-program one, discretion rule, consumer-centered regulation. It is emphasized on provisions of standard for social service facilities and persons engaged for social welfare service. It could be promoted to multi-functionalize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scope of the social welfare law is not limited to the relation of the Judiciary, the Administration, person. It should consider multi-dimensional relations of lawmaking by the Assembly, rulemaking by the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al laws, appointees of the privat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environment of administrative law is rapidly changing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The process of forming a social consensus in the interpretation and re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law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법체계의 개선방안

        이중호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5 복지상담교육연구 Vol.4 No.1

        사회복지 관련법은 학문적?실천적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해방법과 범주, 그 리고 체계적 특성이 모호한 상태에 있다. 사회복지 관련법은 헌법의 구체화법으로 존재한다. 즉 사회 복지법이 정치타협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은 이제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관련법 전 반을 우리 헌법의 기준으로 재설계하고 재구성하여야 할 시점이 아닌 가 사료된다. 기본적 헌법 원 리로서 민주국가원리, 법치국가원리, 사회국가원리의 기반 하에 사회복지법제의 체계정립이 다시 이 뤄져야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행정법 체제에 기반 하여 사회복지법의 전반적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법치행정의 원 칙 아래서 사회복지 관련법을 검토?분석?비판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사료되며, 결국 사 회복지의 수혜자- 이른바 ‘사회복지권자’-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의 실체적 내용과 절차적 체계에 대한 법제완비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그간 급부행정의 영역이라 해서 다소 관대하게 취급된 법률유보의 원리를 사회복지 입법이나 법률해석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 어야 함을 기조로 이른바 ‘사회복지권’ 개념의 명확화, ‘사회복지권’ 집행을 위한 절차규범완비 및 법제의 체계?균형?합목적성 도모를 개선의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of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and system of legal on the social welfare. Here is examining difference of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On the side social welfare science and jurisprudence. the concept of seeing any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is that where is occurring, and what legal basis, a system of social law how it was at the Look. Naw days, Service practice cases is tend to put too much emphasis in the areas of Social Welfare. No matter how good the services of social, services are also service subject and demander passed they are made through trail and error. Consequence, the time and cost of importing waste. Social welfare policies, no matter how good the law can take effect without the constitutional Artical 10 to Joe because Joe Artical 34 of essential social welfare and social welfare laws so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law and Social Security Business Act. However, the ideological premise of social welfare-related ideas and concepts mentioned at fault ‘as a means of social welfare gwangui’. In other words, learn about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welfare scholars have classified the scheme would also briefly mentioned. The actual circumstance of studies on the legisl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in korea is insufficient, so the more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for systematization of social welfare laws. The social welfare law is defined in this study as every laws that insure the human life within social relations and rule the public, and private systems & politics etc. for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legisl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in korea divided into the social security act and the laws in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appling the concept in broad sense. It included in the social security act, general social security(2), social insurance(10), public assistance(6), social welfare service(21) laws and included in other laws in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the laws(151

      • KCI등재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광병(Kim Kwang-byung) 사회복지법제학회 2015 사회복지법제연구 Vol.6 No.1

        사회복지법제론은 교수와 학생 모두가 부담스러워 하는 교과목으로 인식되었고, 사회복지법제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교육 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사회복지법제 교육은 부실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제 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사회복지법제 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교과목 지침서에서 제시한 내용과 분석을 위하여 선정된 9개의 사회복지법제론에 수록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복지법제의 총론으로서 사회복지법제 기초 지식과 이론적 부분이 미흡한 수준으로 사회복지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복지법제의 각론으로서 개별사회복지법은 법률 내용만을 나열하는 수준이며, 그 범위가 변화하는 사회복지법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제 총론 부문에서 사회복지법이 지닐 수 있는 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판례 및 사회복지법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법과 관련법을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사회복지법 방법론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복지법의 범위를 재설정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법제 각론의 개별 사회복지법에 대한 교육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사회복지법제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수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특별 교육프로그램을 사회복지법제학회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공동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Social welfare law courses have come to be regarded as burdensome by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alike, and, and the lack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aw, which is being provided in the academic field, has resulted in inadequate levels of such education. Motivated by this fact,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social welfare law education, and to propose some possible measures for improvement, which includes exploring what should be taught in said courses.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2012 curriculum guidelines set out by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with those of nine social welfare law courses currently being provided. Through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issues: First, in introductory courses on social welfare law, the treatment of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aspects are inadequate. Consequently, courses are unable to nurture the capacity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laws. Second, on the subtopics of social welfare law, courses often simply enumerate the individual laws, without reflecting the changing environment in which social welfare laws operate. In view of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following possible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otential particularities of social welfare laws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ourse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instruction of judicial precedents and jurisprudence of social welfare laws. Third, methodology training must be strengthened in order to nurture the ability to analyze and interpret social welfare and other related laws. Fourth, the scope of social welfare laws must be redefined. Fifth, better education methods for the subtopics of social welfare laws must be considered. Sixth, special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the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law instructors should berunjointlybytheKoreanAcademyofSocialWelfareandLawandtheKoreanCouncilonSocialWelfareEd ucation.

      • 사회복지법 체계에 관한 연구

        최용민(Choi, Yong-Min) 한국복지행정학회 2006 복지행정논총 Vol.16 No.1

        社会福祉法은 伝統的인 市民法의 対立物로서 등장한 社会法의 한 領域으로서 存在하며, 그 주된 法的 指導原理는 市民法上의 자기책임의 原則을 수정하는 集合的 責任의 原則이며 附随的으로 所有権의 相対原則, 自由契約 制限의 原則 등을 原理로 하는 法이라는 事実이 確認되었다. 이러한 社会福祉法은 内容上 社会保障法, 社会福祉서비스法, 기타 社会福祉関聯 法律 등으로 그 範疇를 形成하며, 社会保障法은 社会保険法과 公的扶助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範疇에 包含되는 社会福祉法은 憲法 제10条 및 제34条 제1項을 頂点으로 하여 法律, 施行令, 施行規則 등으로 垂直的 体系를 이루고 있다. 垂直的인 法体系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憲法上 社会福祉給与나 서비스가 國民 個人들의 具体的인 権利로서 認定되어야 한다. 이러한 垂直的 体系는 社会福祉法의 違憲性과 違法性을 밝혀내는 道具로 活用될 수 있었다. Social Welfare Law is a part of Social Law that has been an opposition to traditional civil law. The important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Law are the principle of congregational responsibility that amends the principle of self responsibility under the civil law, the relative principle of proprietary rights and the principle of restraint of free contract. Social Welfare Law is consist of Social Security Law, Social welfare service law, other laws that are related with social welfare. Social Security Law is consist of social insurance law and public assistance law. Like this, Social Welfare Law shows vertical system from Article 10, Sub Section 1 of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to laws, practice orders and practice rules. For the vertical system of law, social welfare benefit and social welfare service are recognized as a concrete right of people. This vertical system is used to examine whether Social Welfare Law violates the Constitution or violates other law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15 사회복지법제연구 Vol.6 No.-

        사회복지법제론은 교수와 학생 모두가 부담스러워 하는 교과목으로 인식되었고, 사회복지법제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교육 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사회복지법제 교육은 부실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제 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사회복지법제 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교과목 지침서에서 제시한 내용과 분석을 위하여 선정된 9개의 사회복지법제론에 수록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복지법제의 총론으로서 사회복지법제 기초 지식과 이론적 부분이 미흡한 수준으로 사회복지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복지법제의 각론으로서 개별사회복지법은 법률 내용만을 나열하는 수준이며, 그 범위가 변화하는 사회복지법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제 총론 부문에서 사회복지법이 지닐 수 있는 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판례 및 사회복지법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법과 관련법을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사회복지법 방법론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복지법의 범위를 재설정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법제 각론의 개별 사회복지법에 대한 교육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사회복지법제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수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특별 교육 프로그램을 사회복지법제학회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공동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Social welfare law courses have come to be regarded as burdensome by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alike, and, and the lack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aw, which is being provided in the academic field, has resulted in inadequate levels of such education. Motivated by this fact,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social welfare law education, and to propose some possible measures for improvement, which includes exploring what should be taught in said courses.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2012 curriculum guidelines set out by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with those of nine social welfare law courses currently being provided. Through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issues: First, in introductory courses on social welfare law, the treatment of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aspects are inadequate. Consequently, courses are unable to nurture the capacity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laws. Second, on the subtopics of social welfare law, courses often simply enumerate the individual laws, without reflecting the changing environment in which social welfare laws operate. In view of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following possible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otential particularities of social welfare laws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ourse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instruction of judicial precedents and jurisprudence of social welfare laws. Third, methodology training must be strengthened in order to nurture the ability to analyze and interpret social welfare and other related laws. Fourth, the scope of social welfare laws must be redefined. Fifth, better education methods for the subtopics of social welfare laws must be considered. Sixth, special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the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law instructors should berunjointlybytheKoreanAcademyofSocialWelfareandLawandtheKoreanCouncilonSocialWelfareEducation.

      • KCI등재

        사회복지법제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최승원 교수의 사회복지법제 연구를 기초로 하여 -

        김대인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2

        This paper reviews the Professor Seung Won Choi’s Study on social welfare law, and suggests the way to improve the methodology of social welfare law study. Professr Cho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right’ and induces customer-oriented & locally-focused welfare based upon this concept. In this process,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or Choi’s study shows man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law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ocial welfare law system. Each branch of social welfare law, such as social insurance law, social service law & social assistance law, should be ‘internally’ systematized in relation to welfare right. And social welfare law should be ‘externally’ systematized in relation with other legal areas such as human rights law, social economy related law, and ICT law. Second, in relation to interpretation of social welfare law,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conforming ‘constitution’ interpretation and constitution conforming ‘social welfare’ statute & regul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this process, the legal nature of social right can be an issue, and 1) strengthening the legal nature of social right and 2) guaranteeing social right indirectly through civil right should both be used in interpretation. Third, in relation to legislation of social welfare law, nature of state, such as Gewährleistungsstaat(guaranteeing state) or Sozialstaat(social state),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welfare law should be dealt with. Furthermore, in comparative law study, various models of welfare law (liberal, conservative-corporatist, social-democratic) should be considered. keywords : Social Welfare Law, Social Security Law, Social Right, Gewährleistungsstaat, Sozialstaat, Convergence between Social Welfare Study and Legal Study, Professor Seung Won Choi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학과 법학을 통합적으로 다룬 최승원 교수의 사회복지법제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향후 사회복지 연구방법론의 발전방안에 대해서 검토해보았다. 최 교수는 사회복지권의 개념을 구축하고 이것이 수요자 중심, 지역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지식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최 교수의 연구는 사회복지법제 연구방법론의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법제의 체계정립이 필요하다. 사회보험법, 사회서비스법, 공공부조법 등 사회복지법제의 각 분야들을 권리성과 연계하여 ‘내부적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법제와 인권법, 사회적 경제 관련법, 과학기술법 등 다른 법제간의 관계를 정립함으로써 ‘외부적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법제의 법해석론과 관련해서는 국제인권법에 부합하는 헌법해석과 헌법합치적 법령해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사회권의 법적 성질이 문제될 수 있는데, 사회권 자체의 권리성을 인정하는 방안과 사회복지와 관련한 권리를 자유권으로 포섭하여 이해하는 방안 모두를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법제의 입법론과 관련해서는 보장국가, 사회국가와 같은 국가의 성격과 사회복지법제간의 관계를 고려한 입법론이 제시되어야 하며, 사회복지법제에 대한 비교법 연구를 함에 있어서 복지모델유형(자유주의, 보수주의-조합주의,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사회복지학의 연구성과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른 사회보장법체계의 재검토

        조만형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1 No.3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which is on the top of social security laws, was completely reformed on January 26, 2012, and has its implementation ahead on January 27, 2013, and other 30 or so welfare laws were enacted or amended. This has brought up the need to reexamine wholly the system of the social security law. The legal system is divided into two. The outer system sets up the external scope,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ystem unifies all the principles of law. This manuscript attempts to define the outer and inner system of social security law according to the new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 new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provided ‘Social Service’ as a new system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orms such as the social insurance and the public assistance. Analysing this Act, I found that the new terminology of ‘Social Service’ was introduced to include both the ‘Relevant Social Welfare Regime’ and the ‘Social Welfare Service’ that consist of the ‘Social Security’ in the old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refore, the old concepts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Relevant Social Welfare Regime should not be discarded, but used as academical concept tools the way they have been up to now. Furthermore, it is rational that the area of ‘Social Compensation’ should be embraced into the system of social security considering its welfare motive. In the sense of the pursuit of study, the system of the social security law is made up of the social insurance law, the public assistance law,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and the social compensation law. I intended to enhance the degree of the constitutional completion by systemizing the inner system of social security law with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each constituent laws. 2012년 1월 26일 사회보장법의 최정점에 있는 총칙적인 사회보장기본법이 전면적으로 개편되어 2013년 1월 27일 시행에 들어갔으며, 30여개의 복지법들이 제정 또는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보장법체계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법체계란 구성적 체계, 즉 외적 범위를 설정하는 외적체계와 체계 내에 있는 법들의 통일적인 법원리를 나타내는 내적체계로 살펴볼 수 있는 바, 본고에서는 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내적ㆍ외적 법체계 정립을 시도하였다. 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에서는 사회보장을 전통적 유형인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외에 새로운 체계로서 사회서비스를 내용으로 구성한다고 규정하였다. 분석의 결과 ‘사회서비스’라는 새로운 용어는 구 사회보장기본법의 사회복지서비스와 관련복지제도를 포함하여 일컫는 용어로서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구 사회보장법체계의 사회복지서비스 개념과 관련복지제도의 개념을 폐기할 것이 아니라 학문적 도구로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관련복지제도는 너무 넓은 개념이어서 사회보장법체계 속에 편입시키는 것은 무리라고 분석되었으며, 다만 사회보상 영역을 심도있게 살펴본 결과 사회보장법체계에 포섭하는 것이 사회보상의 복지적 성질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강학상의 사회보장법체계는 사회보험법과 공공부조법, 사회복지서비스법 그리고 사회보상법으로 구성적 체계를 이룬다고 보았고, 이들 구성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영역의 법률들이 지닌 공통적 속성을 밝히는 내적체계화를 시도함으로써 구성적 체계에 관한 완성도를 높였다.

      • KCI등재

        사회적 기본권과 권리구제

        박정선(Jeong Seon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수급자의 침해된 권리를 보장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제 학설들과 헌법상 규정된 사회적 기본권의 조항들을 검토한다. 사회복지법의 권리구제 조항들을 분석하여, 사회복지법들의 권리구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 사회서비스법 등의 권리구제 조항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보장기본법은 권리구제 조항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반면에, 사회보험법은 권리구제 조항과 절차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사회적 기본권의 권리를 실현하고자 했다. 사회복지사업법은 권리구제 조항이 부재하였고, 사회서비스법은 일부 법률만이 권리구제 조항을 두었다. 둘째, 개별 사회복지법마다 권리구제 조항이 상이하게 규정되어 있어 법의 통일성과 일관성이 부족하다. 즉, 권리구제 절차, 권리구제 청구기간, 심사청구 결정기간 등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법 상의 권리구제 조항의 신설, 권리구제 절차와 내용의 구체적인 규정을 통한 실체적 권리의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 실현을 위하여 사회복지와 사회보장의 개념 정의, 사회서비스와 사회복지사업의 개념 정의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social welfare legislations regarding social right and relief. Social welfare law includes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social insurance law, public assistance law, social service law. Each law does have diverse version of relief for legal right, so it lacks consistency. Social Right of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Service Act does not include relief for legal right. The parts of social service law include some items regarding relief for legal right, but do not include process for relief for legal right. Only social insurance law includes relief for legal right and its process. The study examined the relief for legal rights on social welfare legislations. In addition, each law does have different due process, appealing period, decision due date for appealed case for relief for legal right. Therefore, social welfare law should include relief for legal right and provided concrete process and regulations for it. Furthermore, it is time to redefine definition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security, social servi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 KCI등재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3

        The specialty of Korean social welfare has been that, it is developed with a focus on micro-social welfare practices. However, as the course of ‘Social Welfare Law’ changed to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as an example of macro level social welfare, the legal practice of such a welfare has become one of its specialties. However, research on the legal practice of social welfare remains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is limitation exists because,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present legal practices that social workers cannot or do not need to perform, or they are at a level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legal practice in an extremely fragmented manner.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social workers to practically use legal practic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refining the contents of social welfare legal practices. Since social workers are not legal experts, they should only use the law at the level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pursued by social welfare experts.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three legal practices for social workers’ ease of usage. First, it is a legal practice to guarantee the clients’ righ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ient’s rights regarding social welfare, and enable the client to assert them himself. In the case of a right’s infringe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medy through the procedure for its reversal. Second, it is a legal practice to identify th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of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should accurately identify the rol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law, and carry out their duties. In terms of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these should be executed by distinguishing between what is to be performed and what is to be prohibited. In particular, being subject to penalties should be cautiously avoided. Third, it is a legal practice to change the social welfare system. There is a need to lead change towards the purpose pursued by social welfare, through litigation and enacting related laws, such that social welfare works formally and institutionally. In conclusion, social welfar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law and along with the law. Thereby, legal social welfare should be examined, and carried out professionally as a macro social welfare practice.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의 전문성은 미시적 사회복지실천에 중심을 두고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사회복지법제’ 교과목이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으로 변경되면서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으로서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이 사회복지의 전문성 중 하나가 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일부 진행된 선행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할 수 없는 또는 수행할 필요가 없는 법적 실천까지를 제시하거나 매우 단편적으로 법적 실천의 방향성만 제시하고 있는 수준이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회복지 법적 실천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법적 실천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법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는 수준에서만 법을 활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활용할 수 있는 법적 실천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권리보장을 위한 법적 실천이다. 클라이언트의 사회복지에 관한 권리의 내용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이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권리가 침해되었을 경우 이를 되돌릴 수 있도록 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책임과 의무를 위한 법적 실천이다. 사회복지사는 법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 임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며, 책임과 의무에 있어서 해야 할 것과 금지할 것을 구분하여 준수해야 할 것이다. 특히 벌칙 대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복지제도 변화를 위한 법적 실천이다. 사회복지가 공식적이고 제도적으로 작동되도록 관련 법 제정을 위한 역할 수행과 소송을 통해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적으로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는 법을 통해 실천되고 법과 함께 실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은 사회복지의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으로서 전문적으로 연구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