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화를 그린 작품 : 사이렌, 음악에 관한 욕망과 초월의 담화

        박윤경 ( Yoon Kyung Park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이렌 신화가 고대로부터 시공을 초월하여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온주제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분야의 문헌과 서술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문화적 의미와 상징성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이렌 신화가 시각적 이미지, 문학과 음악 예술의 작품으로 체현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사이렌은 물의 판타지에서 기원한 이래 신화, 종교, 예술, 사회학, 심리학, 정신분석학 등 다방면에 걸쳐 그 의미와 상징성이 추구되어 왔고, 감각 세계와 초월성 모두와 연관되어 있다. 사이렌의 노래는 에토스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음악의 초월적인 힘을 부정적인 측면에서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즉 들음에서 쾌락과 갈망이 자극되고 결국 그 댓가로 죽음과 파멸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 사이렌 신화는 음악 예술에서의 주된 신화적 소재인 오르페우스와 대조를 보이나, 음악의 감각적 위력과 초월성을 비등하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예술가들은 이를 창조의 소재로 활용해 왔다. This thesis considers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symbolism of the Siren mythology by looking into various sources and narratives, based on the fact that this mythological subject has been continually discussed beyond time and space. It also exemplifies the relating visual images, and literary and musical works that capture the mythology. Siren originated from the watery fantasy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and symbolism has been pursu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ythology, religion, arts, sociology,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t has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both sensory world and transcen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thos, Siren’s song tends to present the power of music in a negative way. In other words, hearing stimulates pleasure and longing, and ultimately costs destruction or death. In this regard, Siren contrasts with Orpheus, the major mythological character in musical art. However, artists have employed the Siren mythology as artistic inspiration, in that it equally projects sensory and transcendental power of music as in the Orpheus mythology.

      • KCI등재

        서양의 예술에 반영된 사이렌 내러티브

        박윤경 ( Yoon-kyung Park ) 세계음악학회 2017 음악과 문화 Vol.36 No.-

        This thesis considers the cultural and artistic implications of the Siren mythology by looking into various narratives in literature and art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image of women and hearing . It also exemplifies the relating poem, visual images, and musical works of the Renaissance and modern era. Representing water spirits, the Sirens achieved cultural significance by the ancient authors such as Homer and Plato who invented concepts of the earthly and heavenly sirens. Based on these ancient sources, Renaissance authors cultivated various Siren narratives such as artistic talent and sensual seduction. Narratives of the Siren mythology has also engendered various symbolism and metaphors, which illustrates femininity relating to nature and sensory and transcendental power of singing and hearing. Moreover, some Siren narratives suggests the social position and self-consciousness of female musicians.

      • KCI등재

        경종과 전자사이렌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 특성 분석

        김영현(Kim, Younghyun),김보섭(Kim, Boseb),정종진(Jung, Jongji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시설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청각, 시각, 후각 등을 이용하여 얼마나 빨리 화재를 인지하느냐는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소방대상물에 거주자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건물 내의 거주자에게 경보하는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게 된다. 화재초기에 고음의 경보음을 발하여 재실자에게 화재를 인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비상경보설비로서 음향 장치는 경종(벨)과 전자사이렌을 사용하고 있으나 소화설비의 일부 외에는 대부분 경종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회로집적 기술 등의 발달로 가격 경쟁력이 생겨나고 성능도 향상되는 등 전자사이렌 확대사용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소리를 내는 전자사이렌이 사용되면 기존 경종 소리음에 익숙한 거주자들은 혼란을 겪을 우려가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자사이렌의 소리를 경종의 소리와 유사하게 만들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경종과 전자사이렌을 대상으로 각각의 제품이 가지는 고유 음압 특성과 주파수 특성 측정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각 시료별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자사이렌 경보음 보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event of fire, how quickly occupants can hear, see, and/or smell the fire and then exit the building are important for reducing the number of potential casualties. After a person or an automatic fire-detection system detects a fire, an installed emergency alarm system is used to alert building occupants about the fire. The emergency alarm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erting the occupants to the fire by emitting a high-pitched sound when the fire is initially detected. Although bells and electronic sirens can both be used in fire-alarm systems, usually only bells are used in most commercial fire alarms except for a few fire extinguishers. Recently, however, the development of circuit integration technology and subsequent competitive pricing and improved performance have fostered an environment favorable for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electronic sirens. However, because electronic sirens that emit various sounds will likely confuse building occupants used to hearing familiar-sounding conventional fire-alarm bells, electronic sirens must be engineered to sound like conventional fire-alarm bells. Therefore,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specific sound pressure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fire-alarm bells and electronic siren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ells and sirens were analyzed to develop a plan for supplementing warning sounds of electronic sirens.

      • KCI등재

        구급대원의 출동벨에 대한 스트레스 인지 비교

        김성령(Sung-Lyoung Kim),이남종(Nam-Jong Lee),신교석(Gyo-Seok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현 출동벨에 대한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출동벨에 대한 요구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출동벨 변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 28일부터 9월 21일까지 자발적 의사에 의해 연구에 동의하는 대상자 2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 및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현 근무지의 구급 출동벨 유형은 복합형이 143명(53.4%)으로 가장 많았고 출동벨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132명(49.4%)으로 높아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상황별 스트레스로는 취침 중에 출동벨을 들었을 때 4.35±0.94로 가장 높았다. 일평균 구급출동 횟수에 따른 취침 중 스트레스에서는 9회 이상과 9회 미만 출동하는 그룹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구급대원이 원하는 출동벨의 유형으로는 "부드러운 음악"과 "자연의 소리" 등으로 현 출동벨의 교체를 원하는 비율이 168명(62.9%)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24개월 이내로 주기적인 출동벨의 교체를 원하는 비율도 163명(91.6%)으로 높기 때문에 출동벨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alistic applicable changes of sirens by identifying the stress due to the currently used sirens and the need for improving sire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267 subjects who voluntarily agreed to join this study from August 2019 to September, 2019.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ercentages and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s using SPSS. For the current workplace emergency siren type, it is believed that the number of hybrid formats was 143, the most negative opinion of the siren is high at 132, so periodic replacement is needed. For contextual stresses, the highest was 4.35 ± 0.94, when the siren was heard during bedtime. In the stress during sleep, which was based on the daily mean number of movem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groups of 9 or more movements and below 9 movements (p <0.05). The type of siren paramedics wanted was "soft music" and "sound of nature". More than half of 168 people (62.9%) wanted to replace the current siren, and 163 (91.6%) wanted that periodically within 24 month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iren.

      • KCI등재

        세이렌과 무사

        이태수(Lee Tae-Soo) 韓國西洋古典學會 2011 西洋古典學硏究 Vol.43 No.-

        이 글은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와 세이렌의 조우가 의미하는 바를 규명하려는 시도다. 그 시도는 두 가지 질문 즉 세이렌의 진정한 정체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세이렌의 유혹에 대한 오디세우스의 대처 방식이 지닌 함축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는 과제를 포함한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하여 이 글은 세이렌이 사실은 『일리아스』적 영웅주의를 노래하는 여신 무사라는 해석을 답으로 제시한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으로는 오디세우스의 대처가 『일리아스』의 영웅 세계를 현실의 세계가 아닌 문학의 세계에 위치시킴으로써 그 세계와 거리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영웅주의를 극복하려는 방안이라는 해석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I inquire into the meaning of the encounter between Odysseus and Siren in Odyssey. The meaning of this encounter can be illuminated by answering the following two questions: the question of what the true identity of Siren is and the question of what the implication of metis applied by Odysseus to resist the seduction of Siren.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consists in revealing Siren as Muse singing about the iliadic heroism. Th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consists in the interpretation that the aim of Odysseus’ metis is to keep a safe distance from the world of heroism without denying any value to it; this is achieved by relegating the iliadic heroism to the fictive world of literature.

      • KCI등재

        카프카의 서사전략과 사이렌 신화변용 - 유혹하는 사이렌?

        김연수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0 독일언어문학 Vol.0 No.89

        In diesem Aufsatz wird Kafkas Abwandlung des Sirenen-Mythos betrachtet, indem sein Prosastück Das Schweigen der Sirenen(1917) im Kontext der literarischen Welt Kafkas und auch im kulturgeschichtlichen Kontext des Ersten Weltkriegs analysiert wird. Zunächst wird Kafkas eigenes Bild der Sirenen aus seinen Briefen und Tagebüchern herausgelesen: Er sah ihr Lied nicht als eines zur Verführung an, sondern als die Klage dieser menschlich-tierischen Lebewesen. Das Charakteristikum des Liedes der Sierenen nach Kafkas Auffassung wird im Vergleich mit der Deutung des französischen Autors Pascal Quignard in seinem Roman "Boutès" und auch mit Kafkas Prosa "Josefine, die Sängerin oder das Volk der Mäuse" beleuchtet. Dann wird die rätselhafte Erzählstruktur in Das Schweigen der Sirenen analysiert, indem der Erzählakt des Erzählers und die Modalität des Erzählens betrachtet werden. Aufgrund des Verstehens der Erzählstrategie wird der Nervenkrieg zwischen Kafkas Odysseus und den Sirenen im kulturgeschichtlichen Kontext der Zeit des Ersten Weltkriegs beleuchtet, in der diese Prosa entstand. Da lässt sich eine Kritik Kafkas an dem egozentrischen, unkommunikativen Patriarchat und den schauspielernden, heimlichen Kriegsführern bzw. männlichen Subjekten der europäischen Modernisierung feststellen. 본고에서는 카프카의 산문 <사이렌들의 침묵>을 분석하면서 카프카의 사이렌 신화 변용의 기획의도를 추적해본다. 그의 편지, 일기, 다른 작품 등 그의 문학세계 분석을 기반으로 그의 ‘사이렌’ 이미지가 사이렌에 대한 전통적인 고정관념을 어떻게 탈피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사이렌’ 이해를 토대로 이 작품을 분석한다. 이때 ‘본문’과 ‘덧붙여진 이야기’로 구성된 이 텍스트의 수수께끼 구조를 보다 실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화자의 서술행위와 서사의 양태성에 주목한다. 그리고는 이 작품에서 이야기되는 카프카 시대의 오디세우스와 사이렌의 이야기, 즉 20세기 오디세우스와 사이렌의 신경전을 분석하면서 이 신화의 변용이 이루어진 1917년, 다시 말해 1차 세계대전의 맥락에서카프카의 변용된 신화이야기를 조명함으로써 신화변용의 저변에 깔린 카프카의 기획의도를 밝힌다. 카프카는 당시 1차 세계대전을 주도하고 소위 유럽의 근대화를 주도해온 이성 중심의, 남성 중심의 문명화 과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당시 자신의 시기를 읽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The siren noise of ambulance is killing me!

        Ko, Kyung-Ja,Kim, Hyung-Min Cellmed Orthocellular Medicine and Pharmaceutical 2019 셀메드 (CellMed) Vol.9 No.2

        Noise pollution is present all places and affects health negatively. It feels more like that to the patients. When the patient in severe condition is being taken to the emergency room, we have to overcome the siren noise of ambulance. Patients are also more terrified by the sound of sirens. Instead of siren noise, why not use the sound of Buk (Korean drum) for patient, citizens, and social elements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 KCI등재
      • KCI등재

        양식, 무엇이 문제인가?

        김혜원(Kim, Haewon),송은석(토론자) 서양미술사학회 2012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6 No.-

        본 논문은 중국 불교조각에 대한 논의에서의 양식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중국 불교조각의 양식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던 20세기 전반기의 주요 논의를 살펴보고, 양식과 더불어 미술, 심미적 가치에 주목한 맥락을 논한다. 이어 최근 연구 중 일부 사례를 통해 방법론에 따라 양식이 논의되는 방식과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양식이 중심이 되는 논의와 그 외의 요소, 즉 정치, 사회, 종교적 측면이 중심이 되는 논의는 모두 필요하지만, 이러한 두 가지 방법론은 시각 자료의 양식에 대한 파악은 공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discusses several issues regarding style in the study of Chinese Buddhist sculpture. The first part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the style was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field, focusing on some of the major works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cluding Osvald Siren’s Chinese Sculpture from the Fifth to the Fourteenth Century (1925) and Ludwig Bachhofer’s A Short History of Chinese Art (1946). It is noted that some of the principal and prevalent notions of that time in this field, such as art’s autonomy and Western aesthetic values, provided important background for the discussion of style. The second part of the essay discusses the status of style in recent studies. Angela Howard’s “Pluralism of Styles in Sixth-Century China: A Reaffirmation of Indian Models” (2008) was selected as a case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 of style. In this paper, Howard criticized the theoretically driven works in recent decades for their disregard to stylistic analysis and aesthetic aspect of art. She made important observations on Buddhist images from Shangdong and Sichuan, which helps our understanding of their stylistic characteristics. However, her analysis of individual images was overshadowed by old premises of art history that were inherited from the early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such as period style and naive view of “influence.” Katherine Tsiang’s “Changing Patterns of Divinity and Reform in the Late Northern Wei” (2002) was selected as an example of the recent studies that focus on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art. By bringing in much of textual evidences, she offers a new perspective on the sinicized Buddhist images of the late Northern Wei. While her discussion offers a coherent narrative that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her visual evidences for this argument appeared to be somewhat problematic. In the conclusion, it is noted that the above mentioned studies both have their roles in the study of Chinese Buddhist sculpture as warp and woof, and their crossing points would be the stylistic features of visual materials. And theref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tyle of the materials in discussion is required in order to weave a coherent picture of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art.

      • KCI등재

        이덕무(李德懋)의 산수유기(山水遊記)에 관한 연구 : 만명(晩明) 왕사임(王思任) 과의 비교를 겸하여

        정우봉 ( Woo Bong Chung ) 한국한문학회 2012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0

        이 논문은 李德懋의 山水遊記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점에 유의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덕무 산수유기의 구체적 실상을 밝히기 위해 글쓰기 방식이 지닌 실험적 성격과 작품의 특징적 면모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덕무가 남긴 대표적인 산수유기인『記遊北漢』,『七十里雪記』,『西海旅言』가 지닌 주요한 특징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덕무는 산수유기 장르의 글쓰기 방식을 다양하게 시도하였다. 조합화 방식과 필기잡록화 방식의 글쓰기 방식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덕무의 산수유기가 지닌 특징적 면모로는 기발하고 정교한 언어표현, 詩的境界의 창출, 유머와 해학의 정취, 타자에 대한 인식 등을 지적하였다. 둘째, 명말 소품작가인 王思任의 游喚 과 이덕무의『西海旅言』을 상호 비교 분석 함으로써 晩明산수유기가 조선후기의 지식인들에 의해 수용, 변용된 실상을 밝혔다. 참신한 비유와 기이한 발상, 유머와 해학적 정취의 운용 등은 이덕무와 왕사임의 산수 유기가 지닌 공통적인 특징이다. 차이점과 관련해서 왕사임의 작품이 날카로운 풍자의 정신이 강하며, 이덕무는 산수유기에 筆記雜錄化방식의 글쓰기를 적극 도입하여 여행도중의 견문과 지식, 정보 등을 다채롭게 기록한 점이 두드러진다. This thesis was focused on explaining the writ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Lee Deokmu`s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18th century. I was concerned about writing style which Lee Deokmu made attept to innovate in landscape essays. Lee Deokmu`s writing style in landscape essays is a collection of miscellaneous writings. And Lee Deokmu`s landscape essays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e has a command of delicate language. He makes good use of metaphor, personification. And his landscape essays is full of humor. I made a comparison between Lee Deokmu`s landscape essays and Wang Sirens`s landscape essays to study out the characteristics of Lee Deokmu`s works. I believe that analyzing wrt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in Lee Deokmu`s landscape essay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andscape ess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