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가(怨歌)>의 재구성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따른 문학적 해석 -

        고운기 ( Ko Woon-kee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3 No.-

        역사서 기술의 大綱을 『삼국유사』에 보수적으로 적용하는 狹量은 경계해야 한다. <怨歌> 읽기 또한 그렇다. 信忠의 일은 一然으로부터 무려 600여 년 전이다. 부실한 기록과 오랜 口傳 사이에서 어떤 변이가 일어났는지 측정하기란 참으로 어렵다. 일연은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신충과 단속사를 이어보고 싶었을 것이다. 그 의도란 避隱 편에 맞는 아름다운 삶의 주인공 찾기였고, 그래서 이야기는 설화적 원리의 작동 아래 증식되어 간다. 두 가지 점을 새로 해석하였다. 첫째, <원가>의 끝에 붙인 ‘後句亡’이다. 사라진 후구의 두 줄은 어떤 내용이었을까? ‘원망하여 노래를 지었다’고 하나, 노래가 원망만을 표현했을 리는 없다. 일연은 신충이 만년에 아름다운 은거의 길로 들어섰다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그것이 『삼국사기』의 誤讀이라도 어쩔 수 없다. 오독이라면 분명 흠이 되지만, 오독하지 않았다면 避隱 편의 꽃이라 할 ‘신충괘관’은 성립하지 못했을 것이다. 贊을 붙이는 次第에 장년에서 만년까지 신충의 생애를 縱觀하되, 사라진 후구에 대신할 역할까지 부여해 보고 싶었다. 실제 잃어버린 두 줄은 회한의 영탄 정도였겠지만 말이다 둘째, 贊에서 ‘吾皇’이다. 번역하여 ‘우리 임’이라 하고, 뜻으로는 ‘부처님’으로 본다. 벼슬을 놓고 절로 들어간 신충이 임금을 위해 복을 빌겠다고 했다. 그렇다면 부처님에게 비는 것이 당연하다. ‘祝吾皇’은 ‘오황의 (복을) 빈다’가 아니라 ‘오황에게 (복을) 빈다’로 볼 수 있다. 좀 더 부연해 번역하면, “우리 부처님에게 나라와 임금과 백성의 강녕을 빌리.”가 된다. 일연이 생각한 신충의 바른 은거는 이렇다. 그런 신충의 모습이 드러나도록 <원가>의 잃어버린 두 구절을 贊으로 대신해 본 것은 아닐까. 앞에 <원가> 여덟 줄을 놓고 贊의 마지막 두 줄을 “저 편(隔岸), 산 구비는 꿈에 자주 어리니/ 이제부터 길이 향불 피워 부처님께 복 빌리.”와 같이 번역해 이어 보면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隔岸은 隔句처럼 들린다. 굳이 ‘後句亡’이라 밝히면서 두 줄이 사라진 사실을 환기시킨 저변에는 이렇게 補入해 보려는 뜻이 도사려 있는 듯하다. 이것이 ‘<원가>의 재구성’이다. Sin-chung(信忠)’s story was over 600 years ago from Il-yon(一然).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what variation has occurred between poor records and long-standing transmission. Il-yeon would have wanted to continue Sin-chung and Dansoksa(斷俗寺) with certain intentions. The intention was to find the beautiful protagonist of life on the side of Piun(避隱), so the story multiplied under the operations of the narrative principle. Two points were interpreted anew. First, it is the ‘Lost the back phrase(後句亡)’ attached to the end of ‘The song of resentment(怨歌)’. What were the two lines of the missing epigram? The song cannot have expressed the only resentment. Il-yeon read an article that Shin-chung entered the beautiful hidden path later in life. Even if it misread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Misreading is flawed, but the story wouldn’t have been made without it. Second, in Chan(贊), it is the ‘Our Emperor(吾皇)’. Translated into ‘Our Lover’, meaning ‘Budda’. Shinchung, who entered the temple after leaving his government post, said he would bless the king. Then it is natural to pray to Buddha. Here’s what Il-yeon thought of Shin-chung’s right secret. Perhaps he replaced the two lost verses of ‘The song of resentment’.

      • KCI등재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박재민(Park, Jae-Min)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本考는 『三國遺事』에 수록된 10句體 향가 <원가>를 文證을 통해 해독하고 문학적 의미를 덧붙인 결과물이다. 어학적 해독 결과 중, 주요한 것을 각 句별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1句. ‘物叱好支’는 ‘갓 됴?으로 읽힌다. 의미는 ‘物 중에서 가장 좋은’. 2句. ‘爾屋?’에 대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온 바 있으나, 이는 양주동의 ‘이우러(시들어)’에서 이미 올바로 해독된 곳임을 확인하였다. 3句. 이곳은 “汝於 / 多齊 / 敎因隱”로 분절된다. ‘多支’은 다히’를 표기한 것으로 현대어로는 ‘함께’로 풀이된다. 4句. ‘仰頓隱’의 ‘頓(돈)’은 차자 ‘던’이 아닌, 漢字 본연의 쓰임새로서의 ‘頓’이다. ‘조아린’ 즉, ‘절한’의 뜻이다. 말미의 ‘冬’ 또한 借字로 본 견해도 많으나, 문맥상 한자 그대로의 의미 ‘겨울’로 판단된다. 5句. ‘影支’는 명사가 아닌 용언으로 ‘말갛게 비치-’의 의미. ‘古理因’는 명사 ‘옛날’이 아닌 용언 ‘오래되다’의 의미. ‘之叱’은 해독의 일각에서 보고 있는 ‘가(邊)’의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처격의 ‘잇’이다. 6句. ‘行尸浪’은 통설 ‘흘러가는 물결’이 아니라, ‘일렁이는 물결’이다. ‘沙矣’는 借字가 아닌 한자 본연의 쓰임새로 쓰인 字로 ‘모래’로 풀이된다. ‘以?如?’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차자표기이다. 7句. 양주동에서 이미 해독이 완료된 곳이다. 8句. ‘都之叱’는 ‘모두옛’, ‘逸烏隱’은 ‘잊혀진’, ‘第’는 ‘等第(功에 대한 報償)’의 의미이다. 이상 1-4句의 해독을 통하여 ?落의 계절을 견디는 常綠의 잣나무, 표정이 변해버린 겨울날의 님(王)의 모습을 뚜렷이 파악해 낼 여지가 생겼으며, 특히 3句의 해독으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원가>와 <정과정>의 문학사적 공통 脈絡 一忠臣戀主之詞一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8句의 해독을 통하여 그간 異見이 심했던 ‘月?淵?浪?沙’에 대한 문학적 풀이를 반성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달빛이 말갛게 비치는 오래된 연못, (나는) 그 아래의 모래로다. 달의 모습이야 바라보나 세상 모두에게 잊혀진 等第여!’로 해독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月 = 王’, ‘淵 = 政治의 場’, ‘浪 = 政爭(或은 王의 萬機)’, ‘沙 = 信忠’임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interpreted <Wonga(怨歌)>,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and considered of its literary mea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half, I could envisage clearly the poetic images such as the big cone pine that overcame the season of withering and the king that changed his mind in that season. Especial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hird line, I could find a concrete relation between the two poems of loyalty, <Wonga(怨歌)> and <Jonggwajong (鄭瓜亭)>, which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of. In the mean tim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half, I reconsidered of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wol(月)?yon(淵)?lang(浪)?sa(沙)’, which has provoked many arguments so far. I interpreted this part as follows: 'A pond reflecting the moonlight clearly, the sand under the pond. The sand is staring the moon, but the compensation has been forgotten by everyone in the world!'. Based on this translation, I argued what the poetic terms imply. The moon implies the king, and the sand means the writer, Sin Chung(信忠). The pond implies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waves mean the political conflict.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the newly interpreted phrases in this paper:<br/> Line 1: ‘muljilhoji (物叱好支)’ in this line should be interpreted as got dyoh?n(갓 됴흔);, which means the best of a species.<br/> Line 2: ‘yiokbok(爾屋?)’ in this lin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However, I verified that the early interpretation by Yang Judong was correct. According to him, this part is interpreted as ;yiul?(이우러);, which means to be withered.<br/> Line 3: This line should be divided into four segments: “y??(汝於) / tabok(多支)/ haengje(行齊) / kyoineun(敎因隱)”. Especially ‘tabok(多支)’,the second part of them can be decoded as ‘tahi(다히),, which means together.<br/> Line 4: ‘Ton(頓)’ in ‘angdoneun(仰頓隱)’ was not used as a chaja(借字),a sign that indicates the Korean vernacular by borrow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contrary, it functioned as a Chinese character itself in this part. ‘Tong(冬), at the end of the line also has been often considered as a chaja (借字). However, this wor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hinese character too.<br/> Line 5: ‘Yongbok(影支)’ is not a noun but a verb, which means to reflect clearly. ‘Koliin(古理因), is not a noun either but a verb, which means to get old ‘Jijil(之叱), has been translated as a border by some scholars. However, I argued that it has only a grammatical function and can be translated as ;at (잇);.<br/> Line 6: ‘Haengsirang(行尸浪)’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as flowing water, but in fact it means waving water. ‘Saui(沙矣)’ is not a chajai借字) but functions as a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s sand On the contrary, ‘Yibokyobok(以?如?)’ is a c/각/a(借字) that indicates ‘yida(-이다)’.<br/> Line 7: Yang Judong already interpreted this line perfectly.<br/> Line 8: I interpreted ‘Tojijil(都之叱)’ in this line as ‘moduyet(모두옛)’. I also argued that ;yilloeun(逸烏隱)’ means to be forgotten, and that ‘je(第)’ has the same connotation as ‘Teungje(等第), that means compensation for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