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세기 동아시아의 정세와 전쟁

        김영하(Kim, Young Ha)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한국사에서 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전을 파악하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그 하나는 신라의 백제통합론이고, 다른 하나는 신라의 삼국통일론이다. 본고는, 신라가 국제전의 결과로 차지한 영토는 대동강 이남이 아니라 임진강 이남이라는 전자의 관점에서 7세기 동아시아의 정세와 전쟁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국제전은 나 · 당 연합의 결성에서 비롯되었다. 신라는 642년 이후 백제의 파상적 공격으로 말미암아 위기를 맞고 있었다. 당은 645년 이후 세 차례에 걸친 고구려에 대한 원정 실패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김춘추와 당 태종은 648년에 신라의 백제 통합과 당의 고구려 점령을 서로 돕는다는 약속을 맺었다. 둘째, 신라와 당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신라를 도와 백제 원정에 임하는 당의 입장은 달랐다. 당은 660년 백제의 멸망 이후 그곳을 간접 지배하는 한편, 고구려를 점령하기 위한 후방 기지로 삼았던 것이다. 당은 백제 원정에 앞서 왜의 사신이 돌아가는 길에 백제와 내통할 것을 염려하여 귀국을 보류시키기도 했다. 당은 고구려의 강력한 방어 역량 때문에 전략을 세 차례나 바꾸지 않을 수 없었다. 백제 멸망 이전의 요동공략책과 그 이후의 평양직공책은 모두 실패했다. 문무왕은 백제 고지를 차지하려는 전략적 판단에 따라 당 고종에게 고구려 원정을 요청했다. 당은 마지막으로 고구려의 내부를 이간시킨 끝에 668년에 멸망시킬 수 있었다. 셋째, 나 · 당 전쟁으로 신라와 당의 관계는 반전되었다.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백제를 둘러싸고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신라와 당은 전쟁 상태에 돌입했다. 신라는 당을 상대로 싸워 675년 임진강 이남의 백제 영토를 모두 차지하는 통합을 이루었다. 당은 토번과의 전쟁으로 인해 676년에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철수함으로써 장기간의 국제전은 종막을 고했다. There are two viewpoints understanding the 7th century international war of East Asia in Korean history. One is Silla"s integration of Baekje, and the other is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aking the former perspective regarding Silla"s territory resulting from the international war as the south of Imjin River, not the south of Daedong River, the paper examines the circumstances and the war of 7th century East Asia. First, the international war started with an alliance of Silla and Tang. Silla had encountered a crisis due to Baekje"s stream attack since 642. Tang was in a difficult position because it had failed military expeditions to Goguryeo thrice since 645. Therefore, Kim Chunchu and Taizong of Tang signed an agreement to cooperate in SIlla"s integration of Baekje and Tang"s conquest of Goguryeo. Second, despite the pledge, Tang took a different stance from SIlla when they helped Silla"s expedition to Baekje. When Baekje collapsed, Tang controlled Baekje"s old territory indirectly and designated the area as a rear base to occupy Goguryeo. Tang delayed the return of Wa"s ambassador before the expedition to Baekje, worrying the envoy would be in the league with Baekje. Tang needed to change strategies three times on account of Goguryeo"s strong defensive power. Tang attacked Yodong and Pyeongyang before and after the fall of Baekje, but both ended in failure. King Munmu asked Gaozong of Tang for the expedition to Goguryeo as a strategy to occupy Baekje. Causing internal conflicts in Goguryeo, Tang finally brought the country to the ground in 668.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ng reversed by the Silla-Tang War. After Baekje and Goguryeo collapsed, Silla and Tang entered into the war according to the respective interests in Baekje. Silla integrated Baekje by occupying the whole territory, the south of Imjin River in 675. Waging war against the Tibetan Empire, Tang transferred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Andong Duhufu) to Yodong, and the lengthened war finally came to an end.

      • KCI등재

        新羅와 北魏 ? 隋 ? 唐의 書藝 比較 硏究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서예학회 2001 서예학연구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신라와 동시대 중국 서예의 비교를 통해서 신라 서예만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6-7세기 신라 서예는 원필의 예기가 많은 고졸한해서체에서 수 ? 당풍의 방필의 해서로의 변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신라서예의 변화는 동시대 북위와 수 ? 당 서예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초기의 신라 금석문의 서체는 북위에서 황실 또는 귀족계층을 중심으로 유행한 유려한 원필 해서와 유사한 면이 있고, 말기의 신라 금석문의 해서는 장방형의 정연하고 주경한 수?당풍의 해서를 닮았다. 이것은 신라의 대중국 교섭의 결과이다. 신라는 6세기 초 2차례에 걸친 북위와의 직접 교섭으로부터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에서북위를 배웠다. 또한 7세기 중반 삼국통일을 위한 나 ? 당연합군의 결성 과정을 통한 양국 왕실간의 교류, 귀족계층의 유학생, 불교계 유학승의 장기간 당나라 체류등을 통한 신라로의 서예 유입을 통해 수 ? 당의 서예를 접했다.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신라 서예는 나름대로의 신라적인 독창성을 나타내고 있다. 6세기 동안 사용된 예기가 있는 원필의 해서는 북위 원필의 글씨와 유사한 면도 있지만, 그 졸박함은 통일기의 일부 글씨에서도 계속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신라 글씨만의 독특함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의 북방적인 요소와 남방적인 요소를 잘 조화시킨 7세기 중반의 신라 글씨도 신라인의수준 높은 서예 미감을 잘 보여주고 있다.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동질성 속에서 이질성을 찾을 수 있다면 그 부분이곧 그들만의 독창성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신라의 서예도 어떤 면에서는중국과는 다른 그들만의 취향을 분명히 지니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lla calligraphy to that of the Northern Wei, Sui, and Tang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calligraphy. The Silla calligraphy shows the change from the round kiashu (regular script) with the taste of lishu(official script) to the elongated angular kiashu. This change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calligraphy of the Northern Wei, Sui, and Tang. The calligraphy of the early Silla is similar to the flowing round style spread among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cy of the Northern Wei, and that of the late Silla resembles to the arranged powerful style of the Sui and Tang. It is the result of interactions with China of the time. The Silla dynasty learned many system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 on from the Northern Wei through two interactions in the early sixth century. It also imported Sui and Tang calligraphy in the middle of the seventh century through the interactions of royal family, students, and monks who had studied in China. Despite the Chinese influence, the calligraphy of Silla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wn style of Silla. It can be said that during the sixth century the naturalness of Silla calligraphy, with the taste of kiashu of the Northern Wei, is the characteristic of its own, because the naturalness is also seen in some writings of the United Silla period. The calligraphy of Silla in the middle of the seventh century shows a high sense of beauty of the Silla people, because it combined some elements of the northern part with those of the southern part in China. The difference is therefore said to be the identity of Silla calligraphy.

      • KCI등재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신숙(Shin Suk)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平脫技法으로 장식된 器物은 통일신라시대에 크게 선호되었던 공예품으로, 금이나 은판을 이용해 문양을 만들어 금속이나 목재 등의 素地에 부착하고, 칠과 건조과정을 여러 차례 거친 후, 문양의 표면을 다듬어서 검은 바탕 위에 금은편 무늬가 돋보이게 한 장식기법이다. 평탈기법은 섬세하고 정교한 세공기술을 바탕으로 고가의 재료인 金 또는 銀과 옻칠을 이용하기 때문에 당시의 공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평탈의 유행과 선호는 중국의 唐에서 비롯되어 통일신라와 일본 奈良時代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평탈유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공예기법의 발전과 전개 과정에서 통일신라가 차지했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통일신라 평탈공예의 의미와 역할을 조명하는 시도는 한국공예사의 일변을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平脫’ 이라는 용어는 중국의 고대 문헌기록에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三國史記』에 보이는 ‘平文’이라는 기록이 평탈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존하는 통일신라의 평탈공예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2점의 銅鏡과 안압지에서 출토된 장식부재가 있으며, 호암미술관과 東京國立博物館에 각 1점의 盒이 보관되어 있다. 통일신라 공예품의 현존 유물이 적은 것과 마찬가지로 평탈공예품도 남아 있는 수량은 많지 않다. 그러나 평탈기법의 유입이 이미 삼국시대에 시작되었고 상대적으로 많은 유물이 전하는 중국 당의 평탈기물과 비교하여 통일신라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 평탈공예품의 종류는 동경과 합, 장식부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종류는 현존하는 당의 평탈유물 가운데 거울과 합이 주류를 이루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佛龕과 악기의 일부로 추정되는 안압지 출토품과 육각의 형태를 가진 합, 그리고 자연 조개에 평탈을 응용한 貝盒 등은 唐代에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드문 경우로 통일신라의 독자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당과 구별되는 통일신라 평탈공예품의 특징은 문양의 구성과 표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거울의 경우, 당의 평탈경을 대략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지만 우리나라의 평탈경은 어느 유형에도 해당되지 않는 문양 구성임이 확인된다. 즉 2점의 거울은 모두 내구에 간략한 花文을 시문하고 그 사이에 작은 크기의 동물문양을 동반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같은 시대 나전경에도 나타나지만 당의 평탈경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꽃무늬와 간단한 동물장식의 조합은 통일신라의 거울에 유행한 문양 패턴의 하나였을 것이다. 그 밖에 2점의 합과 안압지 출토품에 장식된 각종 문양의 구성과 배치, 세부 표현 등을 통해서도 통일신라의 평탈기물이 당의 영향을 받았지만 다양하게 변형되어, 주체적인 수용과 발전을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통일신라 평탈기물의 특징을 바탕으로 正倉院에 소장된 평탈유물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평탈기물이 적기 때문에, 正倉院의 유물과 직접적인 관련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문양과 기법의 세부의 표현에서 통일신라 평탈공예의 특징이 반영된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 평탈 공예품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금은 사용의 국가적 규제와 선호도의 변화에 따라 점차 제작이 줄어들게 된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나전이 중요한 장식기법으로 자리잡고 크게 번성하게 되면서, 평탈의 유행을 대신하게 되었다. 통일신라의 평탈기법은 옻칠을 통해 문양을 부착하고 장식한다는 측면에서 나전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나전의 선구적인 기법으로 볼 수 있으며, 평탈기물의 제작기술과 문양의 특징은 고려시대 나전기법이 고도로 발달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따라서 평탈을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사라진 장식기법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고려시대 나전기법으로 계승되고 나아가 조선시대 화각기법으로 이어지면서 새롭게 발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Objects adorned with pyeongtal technique was one of the favored artefacts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Patterns are cut out from the gold or silver plates to be pasted on either metal or wooden surface, and after repeating the process of lacquer coating and drying a number of times the surface is finely finished up to reveal the gold and silver designs underneath. Pyeongtal technique serves as a Significant reference in understanding the level of craft 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s it requires delicate craftsmanship and highly valued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and lacquer. The technique, which originated and flourished in Tang China, was transmitted to Korea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Japan during the Nara period. Therefore, studies on pyeongtal works enable us to see where Unified Silla stoo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pyeongtal technique in East Asia. It is also provides a chance to understand better a phas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pyeongtal craf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term pyeongtal first appears in an ancient Chinese literature, and in Korea the word “pyeongmun”, recorded in Samguksagi (『三國史記』), has been understood to correspond to pyeongtal. The extant pyeongtal work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include two bronze mirr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rnamental parts excavated from Anap-ji (雁鴨池), and two boxes in the He-am Art Museum and the Tokyo National Museum. Only a small number of specimen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remain today. Howeve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lacquer works are identifiable by comparing them with Chinese works, which are extant in large numbers. Pyeongtal artefacts from the Unified Sill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ronze mirrors, boxes and ornaments, and they coincide with the major types of Chinese pyeongtal objects, minors and boxes. Nevertheless, a portable Buddhist shrine excavated article from Anap-ji that is believed to be a musical instrument, a hexagonal box, and a clam box, which is a lidded case made of a natural clam decorated with pyeongtal technique, are this technique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distinct from Chinese examples, and this indicates in the Unified Silla.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yeongtal artefact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apparent in the designs and composition. First for none of the pattern compositions of the Unified Silla mirrors, parallels are found in the three categories of Chinese Tang bronze mirrors. Two mirr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simple floral designs inside the inner circle with small animal figures placed between the flowers. While this type of composition is also seen in the contemporary najeon (螺鈿, lacquer with mother-of-pearl inlay) mirrors, it was not found amongst the pyeongtal mirrors of the High Tang. Therefore, it is speculat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loral and simple animal designs was particularly popular in Unified Silla mirrors. It is also affirm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omposition, arrangement, and detailed depiction of the ornamental patterns on other boxes and excavated articles from Anap-ji that although the lacquer objects were influenced by the Tang style, they were transformed into their own unique style evidencing their independent reception and development. An examination was also attempted on the relations with the pyeongtal objects in Sh?s?in (正倉院)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lacquer objects. By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production of pyeongtal artefacts gradually decreased due to the state regulation of the use of gold and silver and a decline in its preference. In the succeeding Goryeo dynasty, najeon flourished and found its place as an important method of lacquer decoration replacing the prevalence of pyeongtal. The production process of pyeongtal in Unified Si

      • 新羅와 北魏 ․ 隋 ․ 唐의 書藝 比較 硏究

        정현숙 한국서예학회 2008 서예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lla calligraphy to that of the Northern Wei, Sui, and Tang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calligraphy. The Silla calligraphy shows the change from the round kiashu (regular script) with the taste of lishu(official script) to the elongated angular kiashu. This change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calligraphy of the Northern Wei, Sui, and Tang. The calligraphy of the early Silla is similar to the flowing round style spread among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cy of the Northern Wei, and that of the late Silla resembles to the arranged powerful style of the Sui and Tang. It is the result of interactions with China of the time. The Silla dynasty learned many system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 on from the Northern Wei through two interactions in the early sixth century. It also imported Sui and Tang calligraphy in the middle of the seventh century through the interactions of royal family, students, and monks who had studied in China. Despite the Chinese influence, the calligraphy of Silla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wn style of Silla. It can be said that during the sixth century the naturalness of Silla calligraphy, with the taste of kiashu of the Northern Wei, is the characteristic of its own, because the naturalness is also seen in some writings of the United Silla period. The calligraphy of Silla in the middle of the seventh century shows a high sense of beauty of the Silla people, because it combined some elements of the northern part with those of the southern part in China. The difference is therefore said to be the identity of Silla calligraphy. 이 연구의 목적은 신라와 동시대 중국 서예의 비교를 통해서 신라 서예만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6-7세기 신라 서예는 원필의 예기가 많은 고졸한 해서체에서 수 ․ 당풍의 방필의 해서로의 변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신라 서예의 변화는 동시대 북위와 수 ․ 당 서예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초기의 신라 금석문의 서체는 북위에서 황실 또는 귀족계층을 중심으로 유행한 유려한 원필 해서와 유사한 면이 있고, 말기의 신라 금석문의 해서는 장방형의 정연하고 주경한 수․당풍의 해서를 닮았다. 이것은 신라의 대중국 교섭의 결과이다. 신라는 6세기 초 2차례에 걸친 북위와의 직접 교섭으로부터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에서 북위를 배웠다. 또한 7세기 중반 삼국통일을 위한 나 ․ 당연합군의 결성 과정을 통한 양국 왕실간의 교류, 귀족계층의 유학생, 불교계 유학승의 장기간 당나라 체류 등을 통한 신라로의 서예 유입을 통해 수 ․ 당의 서예를 접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신라 서예는 나름대로의 신라적인 독창성을 나타내고 있다. 6세기 동안 사용된 예기가 있는 원필의 해서는 북위 원필의 글씨와 유사한 면도 있지만, 그 졸박함은 통일기의 일부 글씨에서도 계속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신라 글씨만의 독특함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의 북방적인 요소와 남방적인 요소를 잘 조화시킨 7세기 중반의 신라 글씨도 신라인의 수준 높은 서예 미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동질성 속에서 이질성을 찾을 수 있다면 그 부분이 곧 그들만의 독창성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신라의 서예도 어떤 면에서는 중국과는 다른 그들만의 취향을 분명히 지니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라도의 노선과 교류

        윤재운(YUN, Jae-woo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발해의 교통로 가운데 하나인 신라도의 신라 측 구간의 노선과 이를 통한 교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쓰였다. 발해의 교통로는 국가전략이 반영된 수로, 육로, 해로가 결합하여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新羅道는 발해에서 신라의 수도 경주까지 이르는 길이다. 신라도는 크게 육상교통로와 해상교통로로 나누어진다. 신라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발해와 신라의 경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발해 무왕 시기에 대동강과 원산만 방면으로도 진출하여 신라와의 경계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735년에 당나라가 신라에 보낸 칙서에 의하면, 신라가 발해에 대비해 浿江에 방어기지를 설치하고자 요청하였고, 당나라가 이를 승인하고 있다. 이를 보면 발해가 한반도의 서북쪽으로 이미 진출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동해안에서 신라와 泥河를 경계로 접경했던 시기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721년 7월에 신라가 하슬라도의 장정을 동원하여 북쪽 경계에 장성을 쌓았다는 것은 이 무렵에 발해가 이곳으로 진출하였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후 발해와 신라 양국은 적어도 721년에서 757년(경덕왕 16)에 주군현에 대한 정비 차원에서 국경을 확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로 발해와 신라와의 교통로를 동부와 서부, 육로와 해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동부교통로는 신라의 ‘北海通’에 해당한다. 그 구체적인 노선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동해안을 통했다고 보는 설과, 동해안 경유와 내륙경유 두 개의 루트가 있다고 보는 설이 있다. 문무왕 18년(678)에 北原小京이 설치된 것을 계기로 溟州街道에서 朔州街道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남북국시대 발해와 신라의 동부 육상교통로는 북해통 그 가운데서도 朔州街道를 통했다고 보인다. 한편 溟州街道는 對북방 국경 연락의 역할을 상실한 뒤에도 溟州의 치소로 향하는 지선으로 기능을 계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로 발해에서 신라로 가는 교통로인 新羅道는 크게 동쪽 노선과 서쪽 노선으로 나누어지고, 그 길을 통해서 사절단의 왕래와 민간인들의 교섭이 이루어졌다. This paper was used to understand the route of Silla Road section of Silla, which is one of the transportation routes in Balhae, and the meaning of the exchange. Balhae"s traffic route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waterways, land routes and sea routes that reflect the national strategy. Among them, the new road extends from Balhae to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Silla Road is largely divided into land and sea transport routes. After reviewing Silla Roa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First, I looked at the boundary between Balhae and Silla. During King Mu"s reign in Balhae, Daedonggang River and Wonsan Bay were also located in the area, creating a boundary with Silla. According to an edict sent by the Tang Dynasty to Silla in 735 the Silla kingdom requested the establishment of a defense base in Paegang(浿江) in preparation for Balhae, which is approved by the Tang Dynasty. This suggests that Balhae had already advanced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transportation routes between Balhae and Silla were divided into east and west, land and sea routes. First of all, the eastern transportation route is equivalent to Silla"s "Bookhaetong(北海通)". The specific routes on the Korean Peninsula about Donghae the estimates for the view that, via East Sea coast and inland there is a theory that there are two root of the way. With the establishment of Bookwonsokyeong(北原小京) in the 18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8), the transition from Myeongjoogado(溟州街道) to Sakjoogado(朔州街道) was made, and the eastern land transportation routes of Balhae and Silla during the North-South period seem to have been through Sakjoogado among them. Meanwhile, it is presumed that the province continued to function as a branch to the northern border after losing its role. Third, the road from Balhae to Silla was largely divided into east and west routes, which led to the movement of envoys and civilian negotiations.

      • KCI등재

        신라 금관과 시베리아 샤머니즘

        이송란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이 글에서는 그간에 논의되었던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신라 샤머니즘의 관계를 신라 금관의 조형성을 통해 그 연결고리를 살펴보았다. 이를 究明하기 위해서 신라금관을 착장한 신라 상층 지배집단 가진 샤먼의 성격을 고찰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즉 신라금관을 착용한 신라 지배자계층이 샤먼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문제를 다루었다. 샤먼은 초자연적인 존재와 접신할 수 있는 존재이다. 신라에서 천신의 개념은 초자연적인 존재로 상정되는 始祖王에서 비롯된다. 신라의 왕들은 실제 巫는 아니었지만 하늘에서 내려온 天神의 대리자라는 종교적 권위를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천신과 소통하는 귄위는 조상 숭배 의식과 연결된 시조 신앙과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신라사회에서 始祖廟 祭祀는 지배자를 초자연적인 존재와 연결시키고 그 권력을 정당화시키려는 사회 통합적 기능을 수행한 특수 의례였는데, 삼국사기의 기사를 통해서 즉위 의례로 판단되는 시조묘 제사를 신라왕이 친사한 기록을 주목하였다. 여성왕족이 금관을 착용하는 문제는 시조묘 제사권의 일부를 여성왕족에게 나누어 준 것과 연관시켰다. 결국 신라금관은 신라 왕급의 지배자 계층이 초자연적인 천신을 접신할 수 있는 장치로 생각하였다. 신라 금관의 조형으로 볼 때 신라의 금관문화는 시베리아로 대표되는 북방 유목문화의 샤머니즘의 원형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iberian Shamanism and Silla Shamanism discussed until now through the formativeness of the Silla golden crown. To investigate this, this study adopted the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Shama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ruling) class of Silla, who wore the Silla golden crown. In other words, this study dealt with the issue of the Shamanistic property of the ruling class of Silla, who wore the Silla golden crown. A Shaman is a being who can be possessed with a supernatural being. In Silla, the concept of heavenly god is derived from the first king assumed to be a supernatural being. Kings of Silla actually were not Shamans, but it is judged that they had a religious authority as a representative of the heavenly god from heaven. Also, the authority to communicate with this heavenly god was judged to be connected to the belief in the progenitor connected to the cult of ancestor worship. In the Silla society, a memorial service for the progenitor’s mausoleum was a special ritual that functioned as social integration to connect the ruler to a supernatural being and justify the power, an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cord in which a king of Silla he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progenitor’s mausoleum, judged to be a coronation ceremony through the story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Samguk Sagi). The issue of a royal woman wearing a golden crown was related to sharing part of the right to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progenitor’s mausoleum. Consequently, the Silla golden crown was judged to be a device through which the king-level ruling class of Silla could be possessed with a heavenly god. From the formativeness of the Silla golden crown, Silla’s culture of the golden crown has a prototype of Shamanism in northern nomad culture represented by Siberia.

      • KCI등재

        9세기 在唐 新羅人 社會 自治의 실상과 형태

        ZHANG YUAN 진단학회 2024 진단학보 Vol.0 No.142

        본고에는 소그드인을 비롯한 재당 異民族의 自治 양상을 참고하여 在唐 新羅人의 자치 실상을 검토했다. 재당 신라인 사회는 주로 이하 3가지의 특징으로 자치의 모습이 나타났다. ⓵ 신라인 사회 내부의 관리를 담당한 관직을 맡은 사람은 新羅系 唐人이다. ⓶ 文登縣에 신라인들은 '新羅風俗'대로 불교 의식을 진행할 수 있었다. 엔닌이 巡禮 과정에서 주로 신라인 취락에서 머물었고, 나중에 會昌法難의 와중에 신라인 취락에서 보호도 받았다. 다만 村正이 확인된 3처의 신라촌 중에 촌정이 신라 출신인 경우는 하나 뿐이다. 그리고 張詠은 登州諸軍事押衙로서 행정상의 결정권이 없었다. 다음으로, 재당 신라인 사회 자치의 범위는 入唐求法巡禮行記 에 나온 신라계 官人들의 직함과 직책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당나라 다른 이민족의 경우를 참고하면, 부락 수령에게는 재판권과 세습관이 부여된 반면에 재당신라인 관리에게는 부여되지 않았다. 따라서 신라인의 자치 면모를 다른 재당 이민족, 특히 귀부한 유목민족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오히려 당나라 일반 鄉里로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마지막으로 엔닌의 투숙은 사실상 사찰을 중심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엔닌이 일본으로 돌아가기 직전에 신라인 집락에서 투숙할 때 신분은 이미 승려가 아니라 환속한 속인이었기 때문에 신라인들이 엔닌에게 보호를 제공하였다고 하기도 어렵다. 赤山法花院에 '신라풍속'의 불교의식이 진행되었지만, 사실 이른바 신라풍속은 단지 신라 음악이고, 의식 전체가 모두 당과 다른 신라의 풍속인 것이 아니다. 이것은 역시 종교 그 자체가 동일한 불교로 인해 나타난 신라계 당인의 자치 양상이다. 또한 소그드인 취락의 祆祠에는 五代까지 祆教 활동이 계속 진행되었으나, 소그드인 취락은 이미 唐 초부터 鄉里로 편입되어 전의 자치 양상을 잃게 되었다. 따라서 비록 적산 법화원에서 "신라풍속"인 불교 의식이 진행하더라도 이것을 통해서 어떤한 자치의 양상이 드러나는지 깊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재당 신라인 사회의 이러한 자치 양상을 초래한 원인은 당시 唐朝에 의한 지배 체제는 동심원처럼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심원과 같은 시스템 가장 바깥에 있는 이민족들은 바로 非朝貢 외국과 朝貢 외국이었고, 그다음 층차에 있는 은 신라를 비롯한 독립 국가로 된 羈縻州이다. 그다음은 속성이 당나라 백성인데 호적에 등록되지 않고 課稅도 당연히 부담하지 않은 이민족들이었다. 이어서 다음 동심원 계층에 있는 이민족은 호적에 등록되어 있지만 과세 면제를 받은 사람들이었다. 다음 층차는 輕稅州의 경우인데, 이 층차로부터 이민족 백성들이 생활한 지역이 성격상은 羈縻州가 아니라 正州였다. 과세 금액은 대략 일반 당인 백성이 부담하는 것의 반이었다. 開元 25년 이후로 당나라에서 거주한 이민족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졌으며, 일부는 일반 당인 백성과 합류되었고, 나머지 일부는 "邊遠州民"이 되었다. 당인 백성과 합류된 이민족 백성은 당인과 똑같이 과세를 부담하고, 원칙상 법률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할 텐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唐律의 규정에 의하면 당나라 백성은 사절을 비롯한 외국인들과 대화나 교역 등 ’交雜‘ 행위를 하면 안 된다. 하지만 행기에서 나오듯이, 엔닌이나 일본에서 온 견당사 등 일본인들은 원칙상 당나라 백성인 신라인들과 교류하거나 ... This paper focuses on reexamining the so-called “autonomy” (自治, Zizhi) of the Silla people in the Tang Empire, with regard to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 applied to various ethnic groups labeled as “autonomous," including the Sogdians. In the case of Silla people's society, three criteria of “autonomy" can be identified. First, those holding official posts such as Zong Guan(總管) of Silla Fang(新羅坊) and Cun Zheng(村正) of Silla Cun(新羅村) were Tang people of Silla origin. Second, Silla people living in Wendeng Xian(文登縣) could perform their Buddhist rituals in accordance with the “Silla Custom(新羅風俗).” Lastly, Ennin stayed predominantly in Silla people's community villages during his pilgrimage and even found protection in those villages during the Huichang Buddhist Persecution. However, even though the Zong Guans of Silla Fang were Silla-originated Tang People, amongst three Cun Zhengs of Silla Cun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records, only one was of Silla Origin. Even in this one case Zhang Yong, Cun Zheng was only in charge of delivering administrative documents as a Deng Zhou Di Jun Shi Ya Ya(登州諸軍事押衙) and did not have any authority to make decisions. Furthermore, when stating that Buddhist rituals were performed following the “Silla Custom” at Chishan Fahuayuan, the “custom” includes no more than Silla music. It does not mean that the whole ceremony was practiced in the Silla way, distinguished from the Tang custom. Also, although Zoroastrianism was practiced until the Five Dynasties at Zoroastrian temples in Sogdian villages, Sogdian villages still became parts of Tang’s local district system, incorporated into Xiang Li(鄉里) and lost the status as “autonomy.” Thus, even if Buddhist rituals by “Silla Custom” were performed at Chishan Fahuayuan, it would be difficult to use this as a standard for “autonomy.” For the last, Ennin’s stay was actually centered around the temples, not the Silla people’s villages. In addition, it might be hard to argue that Silla people provided Ennin with “protection,” since Ennin’s status was no longer a Buddhist monk but a layman when he stayed at a Silla people’s village just before his final return to Japan. The extent of “autonomy” of Silla People’s society in the Tang Empire can be seen through the titles and positions of Silla-originated officials appear in Ennin's Diary. Thus, titles such as Ya Ya, Tong Shi Jiang(同十將), Zong Guan provide a clue to examine the reality of it. Referring to the case of other ethnic groups throughout the Tang Dynasty, two crucial factors can be found-the authority of jurisdiction and the right to inherit of the village chief. And Silla People’s community was lack of both. Therefore, Silla People’s society could not be considered “autonomous,” at least not by the standards of other ethnic groups in the Tang Empire, especially the immigrated nomads. Rather,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think of it as the “autonomy” granted to Tang’s local districts in general. This aspect was caused from the Tang Empire’s ruling system at the time which was organized in concentric circles. The immigrant peoples on the outermost layer of this concentric circle were the non-tributary foreign states and the tributary foreign states; on the inner layer were the Jimi Zhou(羈縻州) consisting of independent states, including Silla. One more step inside, there were the immigrant peoples who were Tang subjects but were not officially registered, and of course, did not pay taxes. The next concentric circle was filled with ethnic groups who were official Tang residents but were exempted from taxation. The next tier was the Qingshui Zhou(輕稅州), in which ethnic people basically lived in the boundary of Zheng Zhou(正州), not Jimi Zhou. The amount of taxation was roughly half that of the general Tang people. After the 25th year of Kaiyuan(737), eth...

      • KCI등재

        금성산 고분군 신라 장신구의 특수성

        김재열 영남고고학회 2019 嶺南考古學 Vol.- No.83

        의성지역 금성산 고분군은 삼국시대 신라 북부 지방에 존재한 유력 정치체였다. 금성산 자락에 조영된 탑리, 학미리, 대리리 세 고분군이 금성산 고분군으로 통칭되고 있다. 금성산 고분군 장신구에 대한 관심은 1960년 탑리 고분의 고구려계 금동관 발굴을 시작으로 최근 대리리 고분군의 금동관모 발견으로 이어지고 있다. 금성산 고분군 장신구 자료는 신라 주요 지방 고총·고분군 출토품과 동질의 장신구이다. 따라서 금성산 고분군의 신라 장신구 출현과 전개는 신라 영역에 걸쳐 진행된 신라 장신구 사여체제 작동의 결과로 해석된다. 장신구 사여체제는 신라 중앙과 지방 현지 집단의 장신구 공급과 수요 과정을 정치 역학적으로 설명한 고고학 개념이다. 장신구 사여체제가 성립되기 위해선 공급자와 수요자, 즉 신라 중앙과 현지 집단의 양립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신구 賜與에 내재된 需給 過程에는 양 집단이 상호 대응하는 이원성이 예견된다. 필자는 신라 장신구 사여의 이원적 구조를 금성산 고분군 장신구에서 찾고자 했다. 금성산 고분군 장신구 자료는고구려계, 경주식, 현지 제작품으로 구분된다. 금성산 고분군 집단의 고구려계 장신구 사용은 신라 중앙과 현지 집단의 상호 절충의 결과이다. 고구려와의 대외 관계를 의식한 신라 중앙의 입장과 변경지란 지정학적 특수성에 입지한 금성산 고분군 집단의 상호 절충으로 우모형 대관으로 상징되는 고구려계 장신구 需給이 진행되었다. 이후 경주식 장신구의 비중이 높아진다. 그 상징적인 사건이 고구려계 우모형 대관에서 경주식 수지형 대관으로의 대체이다. 신라 중앙의 탈고구려 정책과 맞물린 경주식 장신구 선택의 加壓, 그리고 신라 지배층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경주식 장신구를 적극 수용한 금성산 고분군 집단의 選擇이 상호 맞대응된 결과이다. 경주식 장신구의 농도가 짙어지는 시기 금성산 고분군엔 現地 製作 裝身具가 등장한다. 파손된 장신구 수리를 시작으로 금동 관모와 이식 등 완성품 제작 수준까지 도달한다. 신라 중앙 장신구를 本形으로 삼았기에 현지 제작품의 성격은 경주식 장신구의 再現品으로 보아야 한다. 장신구 현지 제작을 범신라적 정체성에 반하는 독립성의 요소로 볼수 없는 이유다. 신라 중앙으로부터 장신구 受容과 選擇을 넘어선 장신구의 現地 再現은 범신라적 정체성과 지방 지배층을 표출하려는 금성산 고분군 집단의 적극적인 대응 전략의 한 수단이다. 장신구를 매개로 한 신라 중앙의 지속적인 選擇壓과 그에 맞대응한 금선상 고분군 집단의 고구려계, 경주식, 현지 재현품으로 이어지는 능동적 選擇, 양자는 新羅 裝身具 賜與體制의 二元性이며 금성산 고분군 신라 장신구의 特殊性으로 지적된다. The tombs of Mt. Geumseong in the Uiseong area represented an influential political entity that existed in northern Silla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Created at the feet of Mt. Geumseong, Tapri, Hakmiri, and Daeriri are collectively called the tombs of Mt. Geumseong. Interest in the ornaments found in the tombs has continued from the Goguryeo-style gilt bronze crown found in a tomb of Tapri in 1960 to the gilt bronze official hat found in a tomb of Daeriri recently. The materials of ornaments in the tombs of Mt. Geumseong are the same as those excavated in old tombs around Silla, which means that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Silla ornaments in the tombs of Mt. Geumseong was the result of Silla's grant of ornament system that was operated across its territory. The grant of ornament system is an archeological concept to explain the supply and demand patterns of ornament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roups of Sill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dynamics. The system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were the supply and demand sides or the central and local groups in Silla. It was thus predicted that the supply and demand process at the bottom of grant of ornaments was a dual structure of mutual rea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vestigator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Silla's ornaments found in the tombs of Mt. Geumseong based on this. The ornament materials found in the tombs of Mt. Geumseong were categorized into the Goguryeo style, Gyeongju style, and local creations. The use of Goguryeo-style ornaments by the group of tombs of Mt. Geumseong was the result of mutual compromise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roups of Silla. The supply and demand of Goguryeo-style ornaments developed based on mutual compromise between central Silla, which was conscious of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Goguryeo, and the group of tombs of Mt. Geumseong with its geopoliticaluniqueness as a frontier. Later, the percentage of Gyeongju-style ornaments rose in the group of tombs of Mt. Geumseong. A symbolic event took place as the Goguryeo-style Woomo-shaped crown was replaced with the Gyeongju-style Suji-shaped one. It was the result of mutual reactions between the pressure from central Silla to choose Gyeongju-style ornaments according to its anti-Goguryeo policy and the emphasis on pan-Silla identity in the group of tombs of Mt. Geumseong. Ornaments made locally appear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percentage of Gyeongju-style ornaments increased. They started with the repair of damaged ornaments and reached the level of making a complete work such as gilt bronze official hats and Isiks. They were the reproduced versions of central Silla's ornaments by the group of tombs of Mt. Geumseong, which is why their creation is not considered to represent the group's independence against pan-Silla identity. The group's reproduction of ornaments beyond the acceptance and acquisition of ornaments from the central region was the result of its active reactions to reinforce pan-Silla identity.

      • KCI등재

        경주 지역 축제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제47회 신라문화제를 중심으로-

        이채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This study presented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nalysis of storytelling strategies regarding the 47th Silla Cultural Festival and deduced elements constituting images and storytelling of the Festival. Based on this, this study subdivided debate into 1) Space storytelling, 2) Storytelling of event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by type and 3) Storytelling of narrative composition by level. Firstl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directionality, territoriality and transition, it is evaluated that space storytelling of Silla Cultural Festival lacks intrinsic features of “Silla” that is supposed to be realized in the outward appearances of structure and spatial elem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the space hosting Silla Cultural Festival to imprint narrative or cultural archetype representing intrinsic features of “Silla” or “Gyeongju” on participants in the Festival through physical symbolization. Secondly, according to analysis of storytelling of event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by type with respect to Silla Cultural Festival, the greatest proportion lies in performances while a number of event plans far from “Silla culture” were observed as well.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to firmly establish the identity of all festivals encompassing performances, experiences and exhibition events while reducing proportion of performance events. Thirdly, according to analysis of storytelling of narrative composition by level, the macronarrative of Silla Cultural Festival lies in inheriting culture of Silla by way of Hwarang sprit and Pungryudo. However, peripheral micronarratives deviated from the theme and context of the Festival played a negative role in damaging macronarrative or identity of the Festival.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make an overall analysis and evaluation to see if macronarrative is in smooth implementation based on the network of central micronarrative and peripheral micronarrative. Based on this analysis, storytelling strategy of Silla Cultural Festival was presented on Chapter 6.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from multiple directions how storytelling strategies of Silla Cultural Festival give influences on enjoyment of the festival of the public.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expects to be served as a way of organizing storytelling of Silla Cultural Festival, and furthermore, a way of organizing and conducting storytelling of many other festivals. 본 연구는 제47회 신라문화제의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축제의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1)공간 스토리텔링, 2)유형별 행사 구성과 배치 스토리텔링, 3)층위에 따른 서사 구성 스토리텔링으로 논의를 세분화하여 진행했다. 먼저 신라문화제의 공간 스토리텔링은 연속성, 방향성, 영역성, 전이성의 측면에서 볼 때 구조물·공간 요소의 외형에서 구현되어야 할 ‘신라’의 특징이 부족하다고 평가된다. 따라서 신라문화제의 개최 공간에서는 물리적 표상화를 통해 ‘신라’와 ‘경주’의 특색을 잘 드러내는 서사나 문화원형이 축제 참여자에게 직관적으로 각인될 필요가 있다. 둘째, 신라문화제의 유형별 행사 구성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한 결과, 공연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신라 문화’와는 동떨어진 행사 기획도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연 행사의 비중을 줄이되, 공연, 체험, 전시 행사 모두 축제의 정체성을 잘 확립할 수 있는 기획 및 구성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층위에 따른 서사 구성 스토리텔링을 분석한 결과, 신라문화제의 거시 서사는 화랑정신과 풍류도를 통해 신라 문화를 계승하는 것이다. 그런데 축제의 주제와 맥락에서 이탈된 주변 미시 서사들은 거시 서사나 축제 정체성을 훼손하는 부정적 기능을 하였다. 따라서 중심 미시 서사, 주변 미시 서사의 관계망을 기반으로 거시 서사가 잘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6장에서는 신라문화제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신라문화제의 스토리텔링 전략이 대중의 축제 향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본 논의가 추후 신라문화제 스토리텔링 기획, 나아가 여타의 축제 스토리텔링 기획·진행의 분석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 산성과 역사적 의미

        홍영호 한국이사부학회 2019 이사부와 동해 Vol.15 No.-

        이 글은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산성과 그 역사적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원도 영동지역의 수많은 산성들 가운데 문헌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 논증과 함께 고고자료들을 분석하여 신라~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는 8곳의 산성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여러 가지 고고학적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고, 역사적인 실상에도 접근 할 수 있었다. 우선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도 신라와 통일신라시대의 행정단위인 주-군-현마다 산성들이 있었고, 산성의 규모도 행정 구역 단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주(州) 단위는 1,000m 이상이며, 현(縣) 단위는 200~600m 정도로 구분된다. 또한 일찍이 설치된 실직주와 하슬라주의 산성(州城)들은 테뫼식 가운데 산복식(山腹式)의 토성이고, 이후에 만들어지는 현 단위의 산성(縣城)들은 테뫼식 가운데 산정식(山頂式)의 토성이 많았다. 그리고 신라의 진흥왕 북진기 이 전에 축조한 산성의 성벽은 토루에 돌을 피복하는 공통점도 보였다. 특히 강릉 경포호 강문동토성과 삼척 오화리산성은 바닷가의 곶[산]에 석호나 강을 끼고 입지 하고 있는데, 이들 산성이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관련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런데 그 이후의 시기에는 이들 산성이 다소 내륙으로 들어가 산의 정상부에 입지 하는 경향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진흥왕 북진기부터 통일전쟁기에는 그 입지의 변화가 잘 나타난다. 나아가 강릉 경포호 강문동토성과 삼척 오화리산성의 존재는『삼국사기』에서 실직(城)과 하슬라(城主) 등과 함께 나오는 사료들이 역사적 사실임을 입증해준다. 아울러 삼척 오화리산성은 북해(北海)의 제장(祭場)인 비례산(非禮山)으로 추정된다. 이 글은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비교적 확실한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산성들을 최초로 다루었다는 의의가 있는데, 앞으로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사와 신라고 고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Silla-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and to examin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mong the numerous mountain fortresses of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through critical studies on literary material and by analyzing archaeological data, three mountain fortresses corresponding to the Silla- Unified Silla Kingdoms were extracted. In result, it was possible to discover various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ke an approach on the historical facts. First, there were mountain fortresses at each ju, gun and hyeon, which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Silla and 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East Coast regions of Gangwon-do as well, and it is also evident that the size of the mountain fortres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In other works, they were 1,000m or longer for ju (states) and 200-600m for hyeon (prefectures). Furthermore, the mountain fortresses (village fortresses) of Siljik-ju and Hasla-ju, which were installed early on, were mountainside earthen walls among mountain walls, and mountain fortresses (prefecture fortresses) of hyeon made later were mostly comprised of mountain-top earthen walls among mountain walls. Also, the walls of mountain fortresses built prior to the northern push of Silla King Jinheung had the common trait of covering the mountain fortress walls with earthwork. In particular, Gangmun-dong Fortress in Gyeongpo-ho, Gangneung an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were located near lagoons or rivers next to ocean-side mountains. This implies that these are related to the coastal navigation of the East Coast of Silla. But in later periods, these mountain fortresses tended to move further inland and were situated on the tops of mountains, and the change of location is more apparent from King Jinjeung’s push forth and during the war for unification. Moreover, the existence of Gangmun-dong Fortress in Gyeongpoho an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proves that the historical records together with Siljik and Hasla that appeared in th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historical facts. Also,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is presumed to be Biryesan (Mt.), which was the ritual site of the northern seas.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t with the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Silla-Unified Silla Kingdoms that are relatively certain in the East Coast area of Gagnwon-do for the first tim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significantly in Silla history and Silla archaeology studies of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