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소녀만화의 표현기법의 변화에 관한 고찰

        김소원(Kim, So-won),정규하(Jeung, Kiu-ha)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7

        다양한 만화 장르 중에서 한국의 순정만화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소녀만화’는 일본에서 시작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 된 만화 장르이다. 그리고 소녀만화를 다른 장르와 구분 하는 특징의 하나는 내면의 세계를 그리는 독특한 시각적 표현이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에 발간된『소녀』,『소녀 클럽』,『소녀 북』등의 소녀 잡지에 실린 만화의 시각적 표현, 특히 꽃의 표현과 칸나누기 연출, 속표지의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이 시기의 작품들이 소녀만화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특히 당시 소수의 여성 작가들에 의해 활발하게 시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면세계와 주인공의 심리를 시각적으로 표현 하는 특징들은 이미 1960년대 초의 소녀만화에서도 드러나 있었다. 소녀만화는 많은 선행 연구자들로부터 1970년대 초반 ‘황금기’를 맞이하며 그 형식과 표현 방법을 완성 시킨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일본 소녀만화 연구는 소녀만화의 황금기라 불리는 시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작품이 등장하고 스토리와 시각적 표현에서 완성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독자들의 지지를 받는 인기 작가들이 등장했고, 인기 작가의 등장은 소녀만화 독자층의 확대로 이어졌다는 부분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녀만화가 갖는 독특한 시각적 표현이 언제부터 등장 했는가에 대한 연구, 즉 초기 소녀 만화 연구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듯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의 소녀만화는 1970년대의 소녀만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판된 소녀잡지 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소녀만화가 성립되는 과정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했던 작품과 작가들에 대해 재평가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녀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원류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에 대한 새로운 제시가 될 것이다. Shojo manga, one of Japan’s comic genres, is well-known around the world. There is an equivalent manga genre in Korea and it is called Sunjeong Manhwa. What distinguishes shojo manga from other comic genres is its uniqu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inner world of comic characters. In this study, shojo manga depicted in various shojo magazines in the early 1960s are analyzed. The magazines reviewed include Shojo, Shojo Club and Shojo Book. Amo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flower expression, panel composition and title page design a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basic elements of shojo manga are portrayed well in manga published in theearly 1960s, during which several female cartoonists actively led the creation of the said genre.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representations adopted in shojo manga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inner world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main characters were already evident in the early 1960s.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shojo manga reached its golden age in the 1970s, when the genre’s format and representation method were developed to its full extent. Therefore, studies investigating shojo manga often focused on this golden era, during which a variety of comics emerged and stories and presentation skills further improved. An increasing number of readers began reading shojo manga. Popular cartoonists also emerged, further accelerating the genre’s burgeoning popularity. However,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n the unique representations found in shojo manga. This means that the shojo manga published between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were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ose published inthe 1970s.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reassess the comic works and cartoonists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shojo manga by analyz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shojo manga published from 1958 to 1963. This study proposes new ideas on when the unique representations of shojo manga first emerged and how those representations were described.

      • KCI등재

        少女マンガにおける「コギャル」の表象誌

        Sugimoto Shogo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4 No.-

        This paper examines how “kogal,” which means “small gal” or “high school gal,” was represented in shojo manga (comics for young girls) in Japan from the mid-1990s to the early 2000s. In the 1990s, when the bubble economy had collapsed and the postwar social system began to vacillate, young girls were divided into various cultural groups. Kogal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emale cultural groups in that age. Even though the media accused them of sexual and hedonistic behavior, kogal became popular among young females, especially high school girls, and became a huge cultural trend throughout the 1990s. This new cultural trend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girls’ culture called “shojo bunka” because “shojo” connotes sexual purity in contrast to “kogal”. This paper discusses how, as a result of cultural changes, kogal was received and transformed in shojo manga, which ha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idea of “shojo” during the postwar era. First, this study examines kogal in magazines that are geared toward elementary-school girls. Next, the study examines kogal in magazines that are mainly for teenage girls. The study also comprehensivel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kogal representation in shojo manga.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representations of kogal in magazines for elementary-aged girls and magazines for teen girls are clarified. .

      • KCI등재

        少女マンガにおける「コギャル」の表象誌

        杉本章吾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4 No.-

        This paper examines how “kogal,” which means “small gal” or “high school gal,” was represented in shojo manga (comics for young girls) in Japan from the mid-1990s to the early 2000s. In the 1990s, when the bubble economy had collapsed and the postwar social system began to vacillate, young girls were divided into various cultural groups. Kogal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emale cultural groups in that age. Even though the media accused them of sexual and hedonistic behavior, kogal became popular among young females, especially high school girls, and became a huge cultural trend throughout the 1990s. This new cultural trend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girls’ culture called “shojo bunka” because “shojo” connotes sexual purity in contrast to “kogal”. This paper discusses how, as a result of cultural changes, kogal was received and transformed in shojo manga, which ha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idea of “shojo” during the postwar era. First, this study examines kogal in magazines that are geared toward elementary-school girls. Next, the study examines kogal in magazines that are mainly for teenage girls. The study also comprehensivel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kogal representation in shojo manga.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representations of kogal in magazines for elementary-aged girls and magazines for teen girls are clarified.

      • KCI등재

        초기 순정만화와 소녀만화의 스토리 형식에 대한 비교연구

        김소원(So-W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한국의 순정만화와 일본의 소녀만화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순정만화와 소녀만화의 스토리 형식에 대한 연구이다. 순정만화는 1950∼1960년대의 작품을, 소녀만화의 경우 잡지 “소녀 클럽”에 연재된 작품으로 그 연구 대상을 한정했다. “소녀 클럽”의 경우 창간호부터 폐간될 때까지 휴간 없이 발행된 거의 유일한 소녀잡지이며 일본 최초의 장편 소녀만화인 테즈카 오사무의 ‘리본의 기사’가 연재된 잡지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순정만화와 소녀만화는 시공간적 배경, 이야기의 장르, 이야기의 길이 등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점은 당시의 사회적 배경과 만화의 역사, 작가들, 연재 매체의 특징에서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Korean Shunjung Manhwa and Shojo Manga have a unique characteristics. These genres have a close relationship each other. This study is story form of Shunjung Manhwa and Shojo Manga. In this article, a subject of study for Shunjung Manhwa is the works between 1950s and 1960s. I set limits to the works from “Shojo Club” the case of Shojo Manga. “Shojo Club” is the only girls magazine without suspend publication. Furthermore, that magazine is the one that Japans first Shojo Manga, Tezuka Osamus ‘Princess Knight’ was published serially. The results of my research work is that Shunjung Manwha has a remarkable difference on a spatio-temporal background, a genre of story, a length of story as compared with Shojo Manga. In addition, this difference is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history of comics, authors, media published serially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요시나가 후미의 「오오쿠」(大奥): 역사적 상상력과 여성만화의 가능성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비평 Vol.- No.11

        In this article, I analyze Yoshinaga Fumi’s Ooku— the Inner Chambers through three aspects- 1) rereading Japanese History through women’s perspective, 2) making gender as entertainmentthrough its reconstruction, and 3) border-crossing of shojo manga and Boys Love manga. First, heavily influenced by Yoshiya Nobuko’s novel TH e Ladies of the Tokugawa Shoguns, Ooku describes a variety of female shoguns and their man, in order to problematize the oppressive social structure and depict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men, initiated bywomen. Second, the description of the whole process of female shoguns’ advent and demise enables Yoshinaga to elucidate the change and reconstruction of ‘gender’ as a social construction. This is based on the traditions of Japanese shojo manga that has explored androgynous heroines, as well as that of BL manga that have succeeded in depicting male homosexuality through which they explored “gender as difference.”Third, Yoshinaga’s trajectory shows us that she has crossed various borders of shojo manga, BL manga, and dojinshi culture, and Ooku is one of the most powerful examples of her bordercrossings. In conclusion, Ooku should be highly evaluated in that Yoshinaga succeeds in inspiring Japanese people’s sense of gender through her manga, which is firmly rooted in the tradition of Japanese women’s manga, without losing the meaning of Ooku as popular entertainment.

      • KCI등재

        山田詠美論 ─ 「ベッドタイムアイズ」以前の女性像の特徴と変遷を中心に ─

        杉本章吾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6

        야마다 에이미(山田詠美)는 소설가가 되기 전 본명인 야마다 후타바(山田双葉)라 는 이름으로 수년간 만화가로 활동했다. 그중에는 소설 데뷔작인 『베드 타임 아이즈 (ベッドタイムアイズ)』처럼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과의 로맨스를 주제로 한 작품도 포함되어 있어, 야마다 에이미가 소설가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할 때 만화가로서의 경 험과 착상이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에는 틀림이 없다. 이 점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과의 로맨스를 주제로 한 후 타바의 만화에 주목하고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 표상의 특징과 변천을 검증한다. 후타바가 데뷔한 1970년대 후반에는 ‘갸루(gal)’라고 불리는 새로운 젊은 여성상이 표면화되었고 그 방종에 빠진 섹슈얼리티가 미디어에서도 종종 다루어지고 있었다. 후타바의 만화에도 이러한 ‘갸루’상(像)은 적극적으로 도입되었고 「메모리즈 오브 유(メモリーズ・オブ・ユー)」, 「아프로 주스(アフロジュース)」에서는 갸루가 아프리 카계 미국인과 찰나의 연애를 벌이는 모습이 주제화되어 있다. 한편, 「요코스카 프리키(ヨコスカ・フリーキー)」에서 ‘갸루’는 오히려 열등한 위 치에 놓이게 되는 대신, 수동적이고 순진한 ‘소녀’가 히로인으로 부각된다. 그렇다면 ‘갸루’와 ‘소녀’라는 대극적인 두 젊은 여성상은 후타바의 만화에서 어떤 갈등과 조 화를 보이며 표상되어 있을까. 본 논문은 양자의 중층적 관계성을 도출함과 동시에 『베드 타임 아이즈』로 이어지는 만화에서 소설로의 연속성과 차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Prior to becoming a novelist, Yamada Eimi worked for several years as a manga artist under her real name, Yamada Futaba. There is no doubt that she drew a great deal of inspiration, and experience from her former career as a manga artist.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 in Yamada Futaba’s manga works, especially focusing on those who are in love with AfricanAmerican men, including an AfroJapanese man. When Futaba made her debut in the late 1970s, a new image of a young woman called Gal emerged. In contrast to the more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a young girl called Shojo, Gal had a strong sexual connotation, and mass media often reported that Gals had sexual relationships with several AfricanAmerican men in Roppongi and Yokosuka. Paying attention to such environment with young women in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this paper analyzes how the images of Gal and Shojo were combined and contrasted in Yamada Futaba’s manga works, such as Yokosuka Freaky, Memories of You, and Afro Juice. In addition, the continuities and differences in her manga and novel works, especially her debut novel, Bedtime Eyes were also clarified conclusively in this study.

      • KCI등재

        근대 일본에서 ‘소녀’라는 문제-나카가와 히로미(中川裕美), <소녀잡지로 보는 「소녀」상의 변천-만화는 「소녀」를 어떻게 그렸는가>

        김소원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3

        Nakagawa Hiromi’s work The Transformation of “Girl” Image Seeing through Girl‘s Magazine: How the Comics Represented “Girl” is a discourse on a concept, “girl” which was formed since modern times. An image of “girl” has been transformed by several media of Japan. Furthermore, this image of “girl” symbolizes part of Japanese culture. Until now various studies of “girl” have been progressed and that is what a discourse of “girl” image is an important reason. A history of “girl” started from “female student” which was derived from an operation of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girl” has a very special image which was created by “girl’s magazine.” Nakagawa Hiromi analyzes and criticizes synthetically discourses on “girl” which was explained by several scholars after a study of Honda Masuko. By extension, she made an attempt to analyse “girl” in the shojo manga. The “girl” in the comics has been excluded from studies on “girl” by this time although tha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Nakagawa’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led the “girl” in the comics out into the field of serious “girl” discourse. This book review points out a few of problems of Nakagawa Hiromi’s analysis on “girl” and presents new discourse on “girl.”

      • KCI등재

        고전의 만화화를 통한독자의 스토리텔링 리터러시의 확대- 『아사키유메미시(あさきゆめみし)』의 전략 -

        김정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7

        『Asakiyumemishi(あさきゆめみし)』, the works of the classic cartoon(manga) stylization of Classic 『Genji monogatari(The Tale of Genji, 源氏物語)』 is the works where a variety of strategy is used by being aware of public Storytelling literacy. Having an eye on this point, this thesis considered what kind of strategy was used in 『Asakiyumemishi』 sensing readers' literacy in the aspect of strategy of enjoyment. First, I argued that the times when 『Asakiyumemishi』 was published was the period that readers' text understanding ability became mature after the heyday of girl cartoons(shojo manga), and as it adapted the original 『Genji monogatari』 for cartoons stylization faithfully, and it required a time setting of the maturity of girl cartoons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Next, we pointed out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hero Hikaru Genji(光源氏)'s ‘irogonomi(色好み)’ is the idea difficult for a moderner to understand, and therefore it transformed such a personal character into a figure required in girl cartoons. In the original, the description on woman Fujitsubo's love toward Genji is not sufficient, but this can be called as dissatisfaction which a reader feels in appreciating the original, or the crack for understanding. 『Asakiyumemishi』 describes this point exactly and extends the literacy of readers' text understanding. Likewise, the reason why it requires the method to fill up the crack of enjoying reader's understanding is connected to the property of the origin to be understood only through considerable much time and effort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it uses the method to repeat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in the front so that a reader may understand 『Asakiyumemishi』, further, the original without special efforts. Finally, I clarified the point that the storytelling method of girl cartoons genre can revive the characteristic of the works of monogatari(物語) properly, and it is aware of this point and reconstructs 『Asakiyumemishi』 original into the cartons effectively. 고전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를 만화화 한 작품 『아사키유메미시(あさきゆめみし)』는 대중의 스토리텔링 리터러시(Storytelling literacy)를 의식하여 다양한 전략이 사용된 작품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어떠한 전략이 독자의 리터러시를 의식하여 『아사키유메미시』안에서 사용되었는지를 향유의 전략화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아사키유메미시』가 발표된 시기는 소녀만화의 전성기를 거쳐 독자의 텍스트 이해능력이 성숙해진 시기라는 점, 또한 원전인 『겐지모노가타리』를 충실하게 만화화 한 만큼 원전의 특징을 소녀만화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소녀만화의 성숙이라는 시대적 배경을 필요로 했다는 점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주인공인 히카루 겐지(光源氏)의 이로고노미(色好み)라는 특성은 현대인에게는 이해하기 힘든 관념으로, 따라서 이러한 인물상을 소녀만화에서 요구되는 인물상으로 변형시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원전에는 후지쓰보라는 여성의 겐지에 대한 애정에 대한 묘사가 충분하지 않은데, 이것은 독자가 원전을 감상할 때 느끼는 불만족스러움, 혹은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빈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아사키유메미시』는 정확하게 서술하여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리터러시를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이 향유자 이해의 빈틈을 메우는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는 원전의 특성과도 연관되어 있는데, 따라서 독자가 특별한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아사키유메미시』, 나아가 원전을 이해해할 수 있도록 원전의 해석을 전면에 내세워 반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녀만화라는 장르의 스토리텔링 방법은 모노가타리(物語)라는 작품의 특징을 잘 살려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의식하여 『아사키유메미시』가 효과적으로 원전을 만화로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 KCI등재

        ‘순정’ 장르의 성립과 순정만화

        서은영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3

        이 논문은 순정만화의 형성 배경을 고찰하고 있다. 순정만화는 일본의 쇼죠망가(少女漫画)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향관계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순정만화라는 큰 스펙트럼을 이 영향관계로 하여금 지나치게 압축시켜버림으로써 순정만화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에 본고는 순정만화의 탄생을 다각적인 면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순정’이라는 단어의 의미 변화를 추적해 ‘순정’이 어떻게 만화와 교착되었는지 분석했다. 식민지기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던 ‘순정’은 문학 안으로 유입되면 ‘순수함’이 더욱 표백된 의미로 변하였다. 또한 감성/감정어인 ‘순정’은 소녀가 호명되면서 여성성을 부여받게 된다. 만화잡지사들은 만화독자로 소녀를 상정하면서 소녀 취향을 주조해 나가야 했는데, 이때 매체적 전략으로 ‘순정’의 서사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아이들을 위한 만화인 만큼 ‘순정’의 서사에서 사랑은 탈각되고, ‘순수’와 ‘감성성’만이 남게된다. 이때 ‘감성성’은 주로 신파적 감성이며, 주인공인 소녀는 수동적인 여성성을 내재한다. 이러한 초창기 순정만화의 서사구조와 인물의 특성은 식민지 시기의 소녀소설에서부터 원류를 발견할 수 있다. 가련하며, 순응적이고 감상적이며 의존적인 내면을 지닌 소녀는 1960년대 엄희자의 등장 이후로도 한동안 서사적 관습을 유지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초창기 순정만화의 특성이 일본 쇼죠망가와의 영향관계로 단순화할 수 없는 중층적인 과정 속에서 형성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소녀잡지의 등장과 순정만화의 장르확립 - 한국과 일본의 순정만화를 중심으로

        김소원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3

        순정만화는 다른 장르의 만화와 확연히 구분되는 독특한 만화이다. 쇼죠망가(少女マンガ, 소녀만화)라는 이름으로 탄생해 일본의 영향을 받은 한국 등 동아시아에서 특히 발달한 만화 장르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순정만화는 오랫동안 일본만화의 모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순정만화는 짧은 기간에 독자들에게 전폭적으로 수용 되었고 한국의 독자들이 쇼죠망가를 수용하는 데에는 별다른 시간차도 저항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거침없는 수용을 ‘일본 만화의 영향’으로 단순화하는 것은 어딘가 석연치 않다. 본 연구는 쇼죠망가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감수성을 당시 한국의 독자들도 어떠한 형태로든 공유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여러 선행연구들을 보완하고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순정만화와 쇼죠망가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만화 연구에서 주의 깊게 다뤄지지 않았던 잡지로 시선을 돌린다. 꾸준히 만화가 연재되었고 다양한 기사와 읽을거리가 실렸던 소녀잡지들이 당시의 사회상을 어떻게 투영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순정만화의 독특한 감성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었는가를 살펴본다.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소녀잡지의 주요 특징과 연재만화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이 쇼죠망가라고 하는 특수 장르를 일정부분 공유하게 된 대중적 감수성을 규명한다. 그리고 그러한 감수성이 이후의 작가와 작품들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으며 순정만화와 쇼죠망가가 장르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소녀잡지의 역할을 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