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 동제의 새 문화콘텐츠 방향 제언

        이기태(Lee ki-tae) 서울민속학회 2016 서울민속학 Vol.- No.3

        이 글은 현재 서울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동제(洞祭)가 서울사람들에게 더욱 친밀한 대상으로 다가서기 위해서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의 중심지이면서도 대한민국을 구성하는 지역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서울다움은 타지역과 구분되는 서울지역의 문화가 건강하게 유지되었을 때 찾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서울문화는 조선시대의 서울문화와 인구증가와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서 흡수된 경기도의 문화와 지방의 다양한 문화들이 어우러져서 구성되었다. 또한 서울은 메트로폴리스로 발전하면서 세계의 문화를 가장 쉽게 받아들이는 지역이기도 하다. 서울은 많은 발전과정을 겪었지만 마을공동체의 동제가 현재까지 유지되는 곳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서울의 동제는 매우 쇠퇴하기도 하였고, 또한 토박이 중심으로 전승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서울의 동제가 현대인들에게 더욱 친숙한 대상으로 자리매김 되기 위한 새로운 동제문화 콘텐츠는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지역주민들이 공감하면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서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동제의 본질적 의미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의미를 돋보이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동제에 포함된 상징성과 그 의미를 현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환경에 어울리게 재해석하고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사례로 살핀 남이장군사당제의 대상신은 여러 대상으로 표현되었지만, 신들의 역할은 인간의 보편적인 삶을 충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로 이해하였다. 즉, 그들은 인간 질병의 예방과 퇴치, 장수(長壽)와 부(富)의 추구, 사회질서 유지 등을 도와주는 역할수행자였다. 한강주변 부군당에서는 바다 및 수질오염의 예방과 생명존중사상의 조력자, 다문화사회의 선구적 조력자 등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았다. 즉, 현대사회의 아이콘을 동제를 통해서 표현하려는 것이다. 대상신들은 구체적인 역할에 따라서 분화하였지만, 인간사회를 보호하고 행복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자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서울지역의 동제는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서울사람들에게도 매우 의미 있는 대상으로 친숙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는 다른 지역의 동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문화창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21세기 세계적인 대도시 서울이 세계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곳이라는 위상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적인 대도시는 곧 자신의 문화적 전통이라는 향취를 잘 간직하고 있을 때 더욱 그 빛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the writer tried to understang the derection to develop new Dong-je culture contents for more familiar things in Seoul area people. For this, I supposed that Seoul the center of Korea and a area of Korea. The identity of Seoul culture is different from other areas culture in Korea, and we can find it when Seoul area culture is continuing healthy in Seoul area. Seoul culture in contemporary society is composed Seoul culture in Chosen Dynasty and absorbed culture of Kyunggi-do province and other districts when Seoul people are increased and areas extended in modern society. Also Seoul is area that easily embracing world culture when is developing to Metropolis. Although Seoul experienced various processes of development, we can fine villages that Dong-je, the rite of village community, is continuing it in Seoul. Now many Seoul’s Dong-je that is handed down, are very declined and a few Seoulite to the backbone handed down those. I think that Dong-je in Seoul need new culture contents for familiar things and feeling sympathy and participation with people in Metropolitan Seoul and citizens of the world. These should be change Dong-je not become weak but stand out essential meanings. So symbolic meanings of Dong-je should be reinterpreted and practiced in order to share conditions of those meanings with modern. I had a case study of ‘Nam-yi Janggun Sadang-je’, which this memorial rite is dedicated to the general Nam-yi. There are diverse gods in this shrine, and the roles of gods are supporters to maintain human healthy and happy life. Namely, they are supporters of longevity and rich, fortune, public orders, ocean and water environment,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human life, multiculturalism. These meanings are another expressions of diverse issues of modern society. Like these, Dong-je in Seoul area will become familiar with Seoulite in modern society. These tryout can apply to other areas cases for culture creation. These efforts aims to introduce the importance of the center of Korean culture mor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 KCI등재후보

        비수도권-수도권으로 이주자의 이주행위 및 이주자의 주거문화 실태분석

        이은우(Lee, Eu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2010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주결정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남성보다 여성, 기혼자보다 미혼자가 이주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작을수록, 거주지 평균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수도권에서 거리가 짧을수록 이주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적자본 인구이동이론과 합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주자들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분석의 일환으로 자기집 소유 결정함수를 추정하였는데 여성보다 남성, 미혼자보다 기혼자,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서울보다는 경기, 경기보다는 인천거주자가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자를 대상으로 연령과 교육연수의 자기집 소유에 대한 한계효과를 구하였다. 한계효과 추정결과에 의하면 연령이 1세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약 1%P 증가하고, 교육연수가 1년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0.9%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and housing culture for the immigrant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used here is 2% sample data of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leased every 5 years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o the estimated migration determination function, female, young-aged and unmarried have higher migration tendenci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addition, the higher education level is, the smaller household size is, the lower average income is, and the closer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higher is the tendency to migrat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migr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house ownership determination function, male, married, and highly educated have higher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than their counterparts. Insid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is high in the order of Incheon, Gyeonggi, and Seoul. Finally, marginal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level on house ownership are estimated. In case of people aged older than 30, marginal effect of age is 1%P. In addition, the one-year increase of education length brings 0.9%P increase of house ownership.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2010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주결정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남성보다 여성, 기혼자보다 미혼자가 이주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작을수록, 거주지 평균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수도권에서 거리가 짧을수록 이주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적자본 인구이동이론과 합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주자들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분석의 일환으로 자기집 소유 결정함수를 추정하였는데 여성보다 남성, 미혼자보다 기혼자,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서울보다는 경기, 경기보다는 인천거주자가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자를 대상으로 연령과 교육연수의 자기집 소유에 대한 한계효과를 구하였다. 한계효과 추정결과에 의하면 연령이 1세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약 1%P 증가하고, 교육연수가 1년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0.9%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and housing culture for the immigrant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used here is 2% sample data of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leased every 5 years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o the estimated migration determination function, female, young-aged and unmarried have higher migration tendenci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addition, the higher education level is, the smaller household size is, the lower average income is, and the closer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higher is the tendency to migrat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migr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house ownership determination function, male, married, and highly educated have higher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than their counterparts. Insid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is high in the order of Incheon, Gyeonggi, and Seoul. Finally, marginal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level on house ownership are estimated. In case of people aged older than 30, marginal effect of age is 1%P. In addition, the one-year increase of education length brings 0.9%P increase of house ownership.

      • KCI등재

        서울지역 미세먼지 문제 개선을 위한 사회문화적 지불의사액 추정

        김재완 ( Jaewan Kim ),정태용 ( Taeyong Jung ),이태동 ( Taedong Lee ),이동근 ( Dong Ku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9 환경영향평가 Vol.28 No.2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미세먼지 문제는 지역 주민의 건강, 생태계 및 산업활동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최근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와 개인은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이 다른 두 집단(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외국인학교와 일반학교)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두 집단 간의 지불의사액이 어떻게 다른지를 추정하고자 한다. 응답자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기 위해 단일양분선택형(single-bounded dichotomous choice) 질문기법을 이용한 조건부가치추정법(contingent valuation model: CVM)을 사용하였다. 토빗과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지불의사액 추정 결과, 서울 및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학부모들은 지역 내 미세먼지 문제 개선을 위한 청정 전기(green electricity) 사용료를 가구당 월평균 3,993원 가량 더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집단 간의 지불의사액 비교 시 비내국인 그룹(international group)은 월 3,325원, 내국인 그룹(domestic group)은 월 4,449원으로 다소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각 집단이 속한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 개인적 경험,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 및 가치관 등이 개인의 지불의사를 결정하는데 다르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이 미세먼지 문제를 청정 에너지 사용과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도록 환경의식을 고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계층에 대한 정부 오염 저감 정책의 신뢰도 향상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Over the last few years, air pollution (PM<sub>10</sub>, PM<sub>2.5</sub>)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cerned and threatening environmental issues among the residents. It brings about various harmful effects on human health, as well as ecosystem and industrial activities. Governments and individuals pay various costs to mitigate the level of air pollutant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find the willingness to pays (WTP) among the parents from different socio-cultural groups - international and domestic groups to mitigate air pollution (PM<sub>10</sub>, PM<sub>2.5</sub>) in their residential area.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is used with employing single-bounded dichotomous choice technique to elicit the respondent’s WTP. Using tobit (censored regression) and probit models, the monthly mean WTP of the pooled sample for green electricity which contributes to improve air quality in the region was estimated as 3,993 KRW (3.58 USD). However, the mean WTP between the international group and domestic group through a sub-sample analysis shows broad distinction as 3,325KRW (2.98 USD) and 4,449 KRW (3.98 USD)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tha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personal experience, trust in institutions and worldview are differently associated with the WTP. Based on the results, the society needs to raise awareness of lay people to find a strong linkage between the current PM issue and green electricity. Also, it needs to improve trust in the government’s pollution abatement policy to mobilize more assertiv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from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부군당 봉안 무신도 조성 시기를 통해 본서울 마을신앙의 의미

        홍태한 실천민속학회 2019 실천민속학연구 Vol.33 No.-

        This article is on clarification of implication after examining the time to establish musindo (Portrait of Shaman God) enshrined in Bugundangs around the Seoul Area. Currently there are several pieces of musindo enshrined in approximately 30 Bugundangs around the Seoul area. A full survey of musindo in all Bugundangs was administered at the request of Seoul City and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hed the light on several pieces of musindo that is clear for its time of establishmen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most of musindo were established in the 20th century, and in particular, majority of such work was completed after 1970s. Therefore, it has looked at the musindo established prior to the 1970s and the musindo established after the 1970s. And it has presented that there may be musindos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with unclear time of establishment. As a result of discussing such a timeof establishment, the musindo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s presented a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time, and through the musindo established after the 1970s, it presented the fact that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would not damage the village faith. As such, the musindo enshrined in Bugundang of a village contains the image of change for the village.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 implies the fact that the symbol or sign of the shamanism changes, not thefact that the shamanism does not change.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hamanism does not change but it brings change to various tangible cultural elements externally displayed with the response to the flow of social change. 이 글은 서울 지역 부군당에 봉안된 무신도의 조성 시기를 살핀 후 그 의미를 규명한 글이다. 현재 서울 지역 30여 곳의 부군당에 여러 점의 무신도가 봉안되어 있다. 글쓴이는 서울특별시청의 용역으로 모든 부군당 무신도를 전수 조사하였는데 특히 조성 시기가 분명한 무신도가 여러 점 있어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조성 시기를 살핀 결과 대부분의 무신도는 20세기에 조성되었고 특히 대다수가 1970년대 이후에 조성되었다. 그래서 1970년대 이전 조성 무신도와 1970년대 이후 조성 무신도로 나누어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조성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한 무신도도 있음을 제시했다. 이러한 조성 시기를 바탕으로 논의한 결과 일제강점기 조성 무신도는 당대의 새로운 사회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1970년대 이후 조성된 무신도를 통해 도시화, 근대화가 마을신앙을 훼손한 것은 아님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마을 부군당에 봉안된 무신도는 마을의 변화상을 그대로 담고 있다. 이는 무속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무속의 상징물, 징표가 변한다는 의미이다. 무속의 본질은 변화하지 않고 외양으로 드러난 다양한 유형문화적 요소에 변화를 주면서 무속은 사회 변화의 흐름에 대응해왔다.

      • KCI등재

        수도권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희재,김근영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도권을 대상으로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의 66개 기초지자체는 2010~2016년 인구이동자료 분석을 통해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단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권역 내부의 인구이동 결정요인과 권 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결과로 수도권 전 지역에서의 인구이동에 서는 지역의 아파트 수 증가율, 단독·다세대주택 증가율, 고용자 수 증가율, 제조업체 증가율, 지식․문화․ 여가산업 증가율, GRDP증가율, 지하철역 신규개통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아파트 수증 가율,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 GRDP 증가율, 지하철 역 신규개통은 인구유입을 늘리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하였다. 결론: 권역별로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이 1권역의 인구유입에 크게 기여했으며, 2 권역에서는 지하철역 신규개통과 GRDP증가율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수 증가율과 지하철역 증가율은 3권역에서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population movement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Method: To this end, 66 basic ent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by analyzing the demographic movement data from 2010 to 2016 and the factors for determining population movement within and between region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a stepwise regression technique. Result: The maj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partments in all area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family home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es, the increase in manufacturers, the growth rate of knowledge, culture, and leisure industries, the increase rate of GRDP, and the opening of new subway stations. In particular, the growth rate of the number of apartments, the growth rate of the knowledge, culture and leisure industries, the increase rate of GRDP, and the opening of new subway stations played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population inflow.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by region, the growth rate of knowledge, culture and leisure industries contributed greatly to the inflow of population in the first region, and that the opening of new subway stations and the increase of GRDPs were the main facto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partments and subway stations were the main factors in the three areas.

      • KCI등재

        안동문화권내 일체형 뜰집의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나(Kim Mi-Na),김경희(Kim, Kyung-Hee),유재우(Yoo Jae-Woo)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2

        This study has an importance on the extract of characteristics of the Ddeul-Jip in Andong cultural areas by comparing each type. Duel-Jip is a folk house type which is for the upper class, Yangban. There are two types in Ddeul-Jip. One is a Seoul?Joongbu type and the other is a Youngnam type. That is about 77.2% and this is 22.8%, because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Andong areas, there were many Yangban class who had moved from Seoul. In the Seoul?Joongbu typ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meet the width of Anmadang with that of Andaechung. And 3×3 type Anmadang is more than any other type. On the other hand, in the Youngnam type, Anbang and Andaechung meet Anmadang. So, 4×3 type Anmadang is common. At the view of appearance of Ddeul-Jip, there are two types, a basic type and a wing type. The wing type is divided into two wings type, one wing type and an independent wing type. In the Seoul?Joongbu type, the wing type is much more than the basic type, on the other hand, in the Youngnam type, the basic type is far more than the wing type.

      • KCI등재후보

        낙성대 삼층석탑 보존처리 사례 연구

        김영택,이용운,조성남,이주목 국립중앙박물관 2020 박물관보존과학 Vol.23 No.-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the open air is mainly conducted by companies specialized in conservation treatment. This study presents cases of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housed outdoors in Seoul, including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Nakseongdae in Gwanak-gu. The present condition of and damage to stone cultur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and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are presented. The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downtown areas shows features specific to the related areas, meaning each case requires tailored conservation techniqu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reference for future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Seoul as well as others in museum collections exhibited outdoors. It is hoped that the cas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come widely known to people in charge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servation treatment applied to stone cultural properties. 야외 석조문화재는 다른 문화재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나 규모 면에서의 한계로 인해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으로 보존처리 회사가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관악구에 위치하는 낙성대 삼층석탑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존처리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석조문화재의 보존 상태와 훼손 현황을살펴보고 보존처리 사용 재료 및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낙성대 삼층석탑과 같이 도심에 위치하는 석조문화재의 표면오염은 지역적인 특징이 나타나게 되며 이에따라 보존처리 기법의 적용이 차별화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향후 박물관 소장 야외석조문화재 뿐만 아니라 서울지역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참고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여성시문집의 간행과 19세기 경화사족의 욕망 -『정일당유고』의 간행을 중심으로-

        박무영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Publishing of a scholastic lady’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s contradictory to the Confucian ideology which restricts women's social activities. Women’s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published in spite of this contradiction are the very spot where various ideologies conflict with desires. This paper intended to survey the specific aspects of that conflict through the publishing process of ‘Jeongildang yugo’(『靜一堂遺稿』) published in early 19th century. Gwang-yeon Yun(尹光演), her husband, brings Jeongildang Gang(姜靜一堂) into a ‘female Sung Confucianist(女性性理學者)’ and also brings his family into ‘literary family’ through ‘Jeongildang yugo’. In addition, by adding the poems of men out of the family who remembered Jeongildang Gang as an appendix, he displays the social ties of his family. That is, Gwang-yeon Yun is using ‘Jeongildang yugo’ to make sure of his family’s social position. Publishing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as commonly used by ruined nobles in order to preserve their families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Jeongildang yugo’ shows that that kind of thing was done even by women. While, Gwang-yeon Yun’s editing style is directly opposite to the virtue to ‘hide their names’ that women from noble classes should have. Accordingly, Gwang-yeon Yun makes Jeongildang Gang a person who earned the social respect, and on the other hand, describes her as a person who thoroughly kept ‘women’s virtues’. Even the men out of the family mobilized in publishing ‘Jeongildang yugo’ joined him in bringing Jeongildang Gang into a ‘female Confucianist’ while recalling that the publishing is contrary to the ‘women’s virtues’. All of this is attributed to Seoul cultural area in early 19th century where Gwang-yeon Yun belonged. That is, the atmosphere that women’s talents were positively recognized and women’s literary activities extending to the outside of family were not restrained was created in Seoul cultural area in early 19th century. That atmosphere in Seoul cultural area was the background that Gwang-yeon Yun’s desire could be satisfied. 사대부가 여성의 시문집 간행은 그 자체가 부덕 이데올로기에 반하는 것이다. 그런데 19세기 몰락 경화사족인 윤광연은 경제적 파탄 상황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시문집인 『정일당유고』를 간행하였다. 윤광연은 가문 밖의 외부 인사들에게 서문과 발문ㆍ묘지명을 청탁하고, 외부 인사들의 만시를 대량의 부록으로 첨부하는 등, 사대부가 여성의 문집으로서는 대단히 파격적인 편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파격적인 편집의 결과 『정일당유고』에는 대량의 남성 인명이 등재되었고, 강정일당의 문필활동은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기는 하지만 『정일당유고』 내에서 사회적 문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공간됨으로써 이러한 관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윤광연의 이런 출판행위는 몰락한 경화사족으로서의 현실적 욕망과 관련되어 있다. 즉 그는 정일당이라는 ‘여성 성리학자’를 동원하여 문한고가로서의 전통과 사회적 인맥을 과시하고, 이를 통해 몰락해가는 가문을 유지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동원된 노론 학자들은 여성시문집의 출판이 부덕과 어긋난다는 것을 지적하면서도 ‘여성 성리학자’로서의 강정일당을 인정함으로써 윤광연의 욕망을 이루어준다. 여성의 문필작업을 공개적인 맥락 속에 둠으로써 가문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윤광연의 욕망이 배태될 수 있었던 것은 19세기 전반의 서울 문화라는 현상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윤광연의 교유관계에 해당하는 노론 가문들에 여성시인이나 성리학자의 전례가 다수 존재하였고, 당대의 서울 문화권에는 청조 문인들의 영향으로 여성의 공개적인 예술 활동에 대한 경험이 어느 정도 성립되어 있었다. 여기에 출판의 보급과 더불어 문집의 발간을 가문 유지의 수단으로 삼는 풍조가 하층 사족층에 만연해 있기도 하였다. 이 모든 것이 결합하여 윤광연이 『정일당유고』를 통하여 욕망을 실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 KCI등재

        여성시문집의 간행과 19세기 경화사족의 욕망 -『정일당유고』의 간행을 중심으로-

        박무영 ( Moo Young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사대부가 여성의 시문집 간행은 그 자체가 부덕 이데올로기에 반하는 것이다. 그런데 19세기 몰락 경화사족인 윤광연은 경제적 파탄 상황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시문집인 『정일당유고』를 간행하였다. 윤광연은 가문 밖의 외부 인사들에게 서문과 발문ㆍ묘지명을 청탁하고, 외부 인사들의 만시를 대량의 부록으로 첨부하는 등, 사대부가 여성의 문집으로서는 대단히 파격적인 편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파격적인 편집의 결과 『정일당유고』에는 대량의 남성 인명이 등재되었고, 강정일당의 문필활동은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기는 하지만 『정일당유고』내에서 사회적 문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공간됨으로써 이러한 관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윤광연의 이런 출판행위는 몰락한 경화사족으로서의 현실적 욕망과 관련되어 있다. 즉 그는 정일당이라는 `여성 성리학자`를 동원하여 문한고가로서의 전통과 사회적 인맥을 과시하고, 이를 통해 몰락해가는 가문을 유지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동원된 노론 학자들은 여성시문집의 출판이 부덕과 어긋난다는 것을 지적하면서도 `여성 성리학자`로서의 강정일당을 인정함으로써 윤광연의 욕망을 이루어준다. 여성의 문필작업을 공개적인 맥락 속에 둠으로써 가문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윤광연의 욕망이 배태될 수 있었던 것은 19세기 전반의 서울 문화라는 현상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윤광연의 교유관계에 해당하는 노론 가문들에 여성시인이나 성리학자의 전례가 다수 존재하였고, 당대의 서울문화권에는 청조 문인들의 영향으로 여성의 공개적인 예술 활동에 대한 경험이 어느 정도 성립되어 있었다. 여기에 출판의 보급과 더불어 문집의 발간을 가문 유지의 수단으로 삼는 풍조가 하층 사족층에 만연해 있기도 하였다. 이 모든 것이 결합하여 윤광연이 『정일당유고』를 통하여 욕망을 실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Publishing of a scholastic lady`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s contradictory to the Confucian ideology which restricts women`s social activities. Women`s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published in spite of this contradiction are the very spot where various ideologies conflict with desires. This paper intended to survey the specific aspects of that conflict through the publishing process of `Jeongildang yugo`(『靜一堂遺稿』) published in early 19th century. Gwang-yeon Yun(尹光演), her husband, brings Jeongildang Gang(姜靜一堂) into a `female Sung Confucianist(女性性理學者)` and also brings his family into `literary family` through `Jeongildang yugo`. In addition, by adding the poems of men out of the family who remembered Jeongildang Gang as an appendix, he displays the social ties of his family. That is, Gwang-yeon Yun is using `Jeongildang yugo` to make sure of his family`s social position. Publishing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as commonly used by ruined nobles in order to preserve their families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Jeongildang yugo` shows that that kind of thing was done even by women. While, Gwang-yeon Yun`s editing style is directly opposite to the virtue to `hide their names` that women from noble classes should have. Accordingly, Gwang-yeon Yun makes Jeongildang Gang a person who earned the social respect, and on the other hand, describes her as a person who thoroughly kept `women`s virtues`. Even the men out of the family mobilized in publishing `Jeongildang yugo` joined him in bringing Jeongildang Gang into a `female Confucianist` while recalling that the publishing is contrary to the `women`s virtues`. All of this is attributed to Seoul cultural area in early 19th century where Gwang-yeon Yun belonged. That is, the atmosphere that women`s talents were positively recognized and women`s literary activities extending to the outside of family were not restrained was created in Seoul cultural area in early 19th century. That atmosphere in Seoul cultural area was the background that Gwang-yeon Yun`s desire could be satisfied.

      • 혼례제도 ‘친영’의 정착과 변화

        김연수(Yeon Soo KIM) 서울민속학회 2016 서울민속학 Vol.- No.3

        본 연구는 현대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시집살이 혼례문화의 전통이 과연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정착되었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시작점에 있는 ‘친영(親迎)’ 제도는 조선초기 주자성리학서인『주자가례』를 통해 조선에 전파된 이래로, 왕실 및 사림세력에 의해 기존 ‘서류부가(壻留婦家)’, ‘남귀여가(男歸女家)’의 혼속에는 반대되는 ‘여귀남가’의 성격을 가진 혼례문화의 기틀을 마련해나갔다. 하지만 남자가 여자집으로 장가드는 것이 아닌, 여자가 남자집으로 시집가는 ‘친영’ 문화는 조선사회에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는 17 · 18세기의 여러 사대부문집 및 왕조실록등의 다양한 자료들을 통해서 뒷받침 된다. 그럼에도 계속되는 왕실의 친영정착 노력에 의해 20세기가 되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근현대의 시집살이 형태와 유사한 구조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흥미로운 점은 이것이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논의되었던 ‘친영’의 정착이라고 보기 어렵고, 기존 혼속인 ‘우귀(于歸)’의 기간이 짧아지면서 발생한 현상이라는데 있다. 우귀는 결혼한 신부가 시댁으로 가는 절차로써 18세기까지도 그 기간이 수개월 이상이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그런데 『하재일기(1910c)』나 『현토주해 사례편람(1924)』 등의 20세기 문헌에서 그 기간이 보통 7일에서 최단으로는 당일까지로 짧아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필자는 ‘우귀친영화’라는 한 단어로 조어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처럼 우귀의 기간이 급격하게 축소된 배경으로는 첫째, 주자성리학적 종법질서 확립에 따른 가족구조의 변화, 둘째, 경제관념에 따른 인식의 변화, 셋째, 교통의 발달의 세 가지를 들어 보았다. 이는 물론 서울지역을 한정한 논점이지만, 결국 시집살이 문화 정착의 바탕은 조선시대 친영을 일상화하기 위한 이념적 목적과는 상당히 다른 현실적인 반영에 의한 수용이라고 할 수 있다. We have analyzed ideal wedding culture and fact of ritual of the Joseon dynasty era in order to look into transformed wedding culture caused by radical cultural changes in modern era.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wedding of the Joseon dynasty has followed "Ugwi(于歸, Bride Entering the Groom’s House after wedding ceremony)" custom in terms of Confucianism structure, not Chinnyeong (親迎, bridegroom personally inducting the bride into his home) This "Ugwi" was at least several months in the mid-Joseon period. However, the period became 3days at the end of the dynasty (三日于歸, Samil Ugwi, Bride Entering the Groom’s House after Three Days); and ‘a day of ugwi"(當日于歸, dangil ugwi, Bride Entering the Groom’s House after that day) became common in the 20th century. We called that culture is Sijibsari(patriloc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