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속지적도를 이용한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분석

        박곤,김윤기,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2

        서울시의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녹지축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현황 및 면적 등의 필지정보를 제공하는 연속지적도를 활용하여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현황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964,674개 필지정보와 토지피복지도의 일치 비율을 산출하여 필지정보의 활용 적절 여부를 분석하였고, 각 지목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방해수치를 도출하여 서울시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방해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구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1㎡당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1인당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와 권역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시급지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와 같은 환경 분야에 필지정보의 활용방안 및 중요성을 제시한다. Seoul city established the 2030 Seoul City Master Plan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 green corridors. Green strategies of Seoul city have limitations of planing because of their conven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re only classified into protection areas and conventional development. Thus, this study assesses green infrastructure of 25 boroughs within Seoul city to identify significant areas for green strategies. To apply parcel data of cadastral information, 964,674 of parcels were compared with 135 of land use maps with calculating percent agreements of land categories of parcel data and land uses from satellite imagery. Impedance values of land uses were applied to land categories to assess green infrastructure of Seoul city. This study indicates levels of green infrastructure of 25 boroughs, per person, and per 1㎡, and suggests site prioritization for green infrastructure initiatives of Seoul city.

      • KCI우수등재

        김현옥 시정(1966-1970)의 ‘새서울’ 구상과 한강 및 여의도 개발

        성나연,전봉희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significance of the New Seoul Plan and the Han River development under Kim Hyun-ok's mayoralty in the late 1960s. Asa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Han River development process in detail,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related parties, some notable meanings were found. The Han River development was the fruit of transferring the exploitation system of national land and resourc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to theAmerican one. As the full flood control of the Han River became possible through technical aid from America,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began to dream of changing its riverside into an urban space.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New Seoul, the development authority of the Han River wastransferred from the ROK's Ministry of Construction to the SMG, and then the Han River began to be 'Seoulized'. As president Park Chung-hee and theadministrative officers of the SMG imagined Seoul's new figure modeled after American cities, the areas around the Han River were reinterpreted as theproper environment to develop a modern riverside city such as Manhattan, New York. The planners proposed the new city center around the Han River inorder to overturn the old Seoul's mono-centric structures, and tried to realize their ideal linear city model between Seoul and Incheon. Their challenge failed,however, because the Kyoung-In axis develop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gan to decline and the previous geographic cognition on the center andperiphery was so strong. The fundamental change the Han River development brought was the emergence of the new city axis along the Han River. It washandled as a minor part of the river development plan, but fully implemented because of its compatibility with reality. That axis became the most importantcomponent of new Seoul's space structure. Finally, the Han River development was an attempt to transfer the defense space during wartime to the living spaceduring peacetime, though the special status of the Han River as a militarily strategic location left its traces in the new city. 이 연구는 1960년대 후반 김현옥 시정의 새서울 구상에 의한 한강 및 여의도 개발 과정을 살펴보고 그 도시사적 의의를 이해하고자 한다. 관련 개발 계획안과 관련 행정 문서, 관련 인물들의 구술 및 저술의 수집, 직접 인터뷰 등을 통해 한강 개발 과정을 재구성하고 이에 관련한 여러 이해 주체들과 그들 간 상호작용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아, 다음의 내용을 새롭게 정리했다. 첫째, 한강 개발은 일제강점기의 국토 개발 및 자원 동원 체계가 미국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산물이다. 미국의 기술 원조를 통해 수자원 개발과 관리가 시작되면서 한강연안의 성격은 대전환을 맞게 되었으며, 이를 도시 공간으로 포섭하려는 서울시의 구상이 시작되었다. 둘째, 수도 건설의 가시화를 우선하는 분위기 속에서 한강연안은 ‘국가 자원을 안전하게 담는 용기(容器)’ 대신 ‘새 도시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보다 중요시되었다. 한강연안의 개발 통제권은 중앙부처인 건설부에서 서울시로 이양되었으며, 이로써 한강연안의 ‘서울화’가 시작되었다. 셋째, 대통령과 행정 관료들은 미국의 도시를 모델로 삼아 새서울의 모습을 구상했는데, 한강연안은 ‘뉴욕 허드슨강과 맨하탄 일대’와 같은 근대적 수변도시의 경관을 재현할 수 있는 환경으로 재해석되었다. 넷째, 한강연안의 도시화를 담당한 계획가들은 새서울을 선형도시로 구상하면서 일제강점기부터 추진된 경인 지역의 대상(帶狀) 개발 구도를 지지하고 그 속에서 한강연안을 인식했다. 그들은 경인축과 한강연안의 교차부에 신도심을 제안함으로써 구도심 중심의 도시 구조를 전복하고자 했다. 그들의 시도는 경부축의 부상으로 인한 경인축 중심 구조의 정당성 약화와 도심·변방에 대한 지리적 인식의 관성으로 인해 실패했다. 다섯째, 한강 개발이 불러온 근본적인 변화는 한강연안을 따르는 새로운 도시축의 출현이었다. 이 축을 따라 형성된 한강 양안의 고속 교통체계와 고층 아파트군은 한강 도심화 계획에서 주변적으로 다루어졌지만, 교통체증과 주택부족, 시 재정 부족 등 도시 현안을 해결하면서도 과도기에 있는 한강의 야생성에 대응하는 기획으로서 지속되고 실천되었다. 이는 이후 한강 경관을 특징짓는 요소이면서, 서울의 독자적인 도시 구조를 형성했다. 마지막으로, 한강 개발은 도시의 확장 속에서 전시(戰時)의 방어공간을 평시(平時)의 생활공간으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한강의 군사적 위상을 유지하려는 저항에 부딪혔으며, 한강연안에서는 유사시에 대비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

        도심지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도시 내 지역 간 경제적 격차에 미치는 영향

        홍준현(Hong Jun Hyun),김민곤(Kim Min G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30 도시기본계획』상 서울 3도심에 해당하는 지역들에 대한 서울 자치구들의 경제적 의존도가 이들 간의 경제적 지역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규명하고, 둘째, 이러한 영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리고 지역별(구도심, 강남권 및 영등포권)로 어떻게 바뀌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생활수준(소득수준, 소비수준)과 재정력 격차를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 통근통행량을 측정되는 경제적 의존도를 설정하였으며, 통제변수로 내생적 성장이론과 신고전파성장이론에 의한 경제성장요인들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구도심에 대한 여타 지역의 경제적 의존도는 지역격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던 반면, 강남ㆍ영등포권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는 지역격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대체로 더 커져왔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서울 구도심뿐만 아니라 강남ㆍ영등포권에 대한 중심지 기능의 강화가 서울시의 3도심 체제로의 개편이 다핵중심도시로의 변화 및 자치구들 간 균형발전이라는 목적이 달성되기 보다는 자치구들 간 경제적 격차를 오히려 심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irst, what impacts economic dependency of districts in Seoul on city center areas did on regional economic disparities, and second, how these impact have changed over time and by areas (old city center and new city centers). For this analyses, this study employs living standards (income and consumption) and fiscal capacity as dependent variables, economic dependency measured by commuting ratio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various economic growth factors based on indigenous growth theory and neoclassical growth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economic dependency on old city center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regional disparity, while economic dependency on new city centers did have very strong influence on regional disparity and its influence has been in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transforming to multi city center system in Seoul does not benefit to the balanced growth among districts, rather it could worsen regional economic disparities among distr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