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읍치 성황제의 이원성과 순창의 향리 사회 그리고 이들의 역사 서사로서 성황대신사적기

        이훈상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8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라도 순창의 성황사의 현판에는 1563년, 1633년, 1743년, 1754년 그리고 1823년에 작성한 기문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중에는 고려시대인 1281년과 1297년의 성황 첩문도 수록하여 일찍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다. 그런데 이 기문의 서술 주체는 순창 향리로서 향리들이 주재하는 성황제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문들은 향리들의 시점과 목소리를 담은 역사적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 같은 전제 아래 중요한 역사적 현실을 담고 있는 1563년과 1743년의 기문에 초점을 맞추어 순창 향리들의 변화하는 현실에 대한 대응 노력과 그 의미를 밝혔다. 그 결과 1563년의 기문은 조선왕조의 祀典에 기초한 성황제의 표준화에 대응하여 향리 중심의 오랜 성황제를 암묵적으로 인정받고 이를 드러내는 등 읍치 성황제의 이원성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작업으로 보았다. 그리고 1743년의 것은 17세기 이후 향리사회의 종족화에 따른 가계 분화 및 율생들의 증가에 따른 이서집단의 이원화와 1728년 무신난 이후 지방 통제에 따른 향리들의 긴장과 불안이 성황사 중수 프로젝트를 통한 문화적 통합 노력으로 이어졌음을 알려준다고 이해하였다.

      • KCI등재

        순창 성황제의 현대적 의미와 재현 방향

        심승구(Shim Seungkoo)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순창 성황제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간직한 郡縣祭儀라는 특징을 갖는다. 1992년에전북 순창에서 발견된 「성황대신사적현판」(국가민속문화재 제238호)에는 13세기에서 19세기까지 600년간 성황제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16세기 중엽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전국의 군현에 330개나 되는 성황제가 확인된다. 하지만 그 가운데 현재 관련 자료가온전하게 남아 있는 사례는 거의 없다. 그런 점을 감안할 때, 「성황대신사적현판」은 순창의성황제와 지역사회 연구는 물론이고 한국 성황제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유일한 사료라는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성황신은 군현 단위의 지역을 지키는 고을의 수호신이다. 성황을 모시는 사당을 ‘성황당’, ‘성황사’, ‘성황묘’라 하고, 성황을 모시는 제단을 ‘성황단’이라고 불렀다. 순창 성황제는 단오절을 전후로 처음에는 산성대모를 성황신으로 모시다가 15세기에 들어와 薛公儉으로 전환되었다. 13세기 말에 여러 차례 封爵과 함께 國祭로 중시되던 성황제는 조선에 들어와 유교식 삭망제로 바뀌었다가 조선후기에 다시 단오절에 시행되는 등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그러다가 향리 주도로 오랫동안 유지되던 성황제는 근대 이후 점차 무속인이 주도하는 방식으로바뀌었다. 그 결과 고을축제로 시행되던 성황제는 점차 그 기능이 약해져 祭儀보다 단오 행사인 두령정이 물맞이, 단오난장, 응양정 그네뛰기 등에 더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사라져갔다. 순창의 「성황대신사적현판」이 주는 가치는 성황제의 유래와 변천을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옛 성황제의 모습을 되찾는 기회를 제공한다는데 있다. 특히 단오절에 순창의 대모산성과읍치 성황사, 그리고 읍치 내에서 지역민과 함께 베풀어졌던 성황제는 고려 이래 지방의 행정구역이 어떻게 지역공동체로 유지·전승되어 왔는지를 엿보게 해 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로써 볼 때, 순창 성황제는 순창이 간직해 온 소중한 유산인 동시에 오늘의 순창이되살려야 할 새로운 문화라는 점에서 오래된 미래이다. The Sunchang Emperor is characterized by the Emperor, which has the oldest record in Korea.,The Seonghwang-Daesinsajeokjeppan (National Folk Cultural Property No. 238), which was discovered in Sunchang, Jeonbuk in 1992, vividly conveys how the Emperor has changed for 600 years from the Emperor of the 13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In fact, there were 330 great emperors in the 16th century in the county prefectures across the country, but few cases of the relevant data remain intact on the coming day. Considering this, the Sunghwang- Daesinsajeokjeonpan i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that can examine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Korean Emperor, as well as the study of the Sunghwangje and the community in Sunchang. The Seonghwangsin is the guardian of the Goeul, which protects the area of the county unit. The shrines that serve the Seonghwang are called the Seonghwangdang, the Seonghwangsa, and the Seonghwangmyo, and the altars that serve the Seonghwang are called the Seonghwangdan. The Sungchang Emperor, which was implemented since the Goryeo Dynasty, was made up of the Emperor before and after the Dano Dynasty, and especially the Sungchang Emperor was regarded as a sacrifice of the state in the 13th century. The Emperor, who was popular even in Joseon, became more popular after the modern era, and the proportion of the Dooryeongjeong was increased. The value of the Holy Emperor s Representation does not just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Holy Emperor,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gain the image of the old Emperor today. The Dano Emperor, which was developed between the Daemosan of Sunchang and the Euphonic Emperor of the Euphonic Province, provides u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history and is likely to be used as a place of vivid history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unchang Dano Emperor is an old future in that it is a precious heritage that Sunchang has kept and a new culture that today s Sunchang should create.

      • KCI등재

        고려시대 지역성과 문화권-12목을 중심으로-

        홍영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1 No.-

        12Mok, a big town of Goryeo were organized based on 9Ju(州) 5Sogyeong(小京) in Silla. 9Ju were organized of old lands of Silla, Goguryeo, and Baekje_three Ju each land. 5Sogyeong were organized of old lands of Goguryeo,Baekje, and Gaya. Goryeo reorganized nationwide administrative district to 5Doand Yanggea(五道兩界) based on Gunhyeon-je of 9Ju(州) 5Sogyeong(小京) toeffectively govern regions. ‘Three nations restoration movements’ happened ina period when soldiers came into power seemed to occur with such regionalattribute. Regional color of 12Mok is characterized by prosperity of population,transportation point, military strategic point, production and active distributionof goods, marriage relationship of Goryeo Royal family etc. And from earlytimes, local official, Uihakbaksa(醫學博士) and Gyeonghakbaksa(經學博士) weresent, a school was constructed. Thus, 12Mok had political, thoughts, culturalbenefits compared to other regions. But region’s own identity maintained whileoperating Seonghwangsa etc. And doctrinally-oriented tradition(敎宗) andmeditation tradition(禪宗) temples established there earlier than other areas. Soit seems that Buddhist thoughts were accepted early. From such point, it canbe said that 12Mok would form unique cultural area while governing otherminor Gunhyeon. Accordingly, 12Mok area could maintain a position of a bigtown through Goryeo, Joseon, even today. 고려의 대읍인 12목은 신라의 9주 5소경을 모태로 편제되었다. 9주는 신라・고구려・백제의 옛 땅에 각각 3주씩 배정되었으며, 5소경은 고구려・백제・가야의옛 땅에 설치되었다. 고려는 신라의 9주 5소경의 군현제를 바탕으로 지방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하여 전국을 5도와 양계로 행정구역을 재편하였다. 때문에 무인집권기에 일어난 ‘삼국부흥운동’은 그러한 지역적 속성을 가지고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12목의 지역적 특색은 인구의 번성, 교통의 요지, 군사적 요해지, 물자의 생산과 활발한 유통과 함께 고려왕실의 혼인관계 등의 특징을 가진다. 또 일찍부터 12목에는 외관과 함께 의학박사와 경학박사가 파견되었고, 학교가 건립되는 등 다른지역에 비해 정치 및 사상과 문화적 해택을 입을 수는 있었다. 그러나 성황사 등을 운영하면서 지역 나름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교종과 선종사찰이 다른 지역에 비해 일찍 들어선 지역으로 불교사상 또한 일찍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은 다른 군소의 군현을 통할하면서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해 갔을 것이다. 때문에 12목 지역은 고려시대와 조선을 거쳐 오늘날까지 대읍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