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수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담론

        정영희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Before developing a program for Seon (Zen) practice,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some aspects of Seon practice, especially essential points of Seon, Seon practice system, and Seon practice leaders. First, the theory of original enlightenment, i.e., the advocacy of the possession by sentient beings of enlightenment as their basic nature, gives psychological discomfort to modern people. And this is a view of sentient beings and the world from the standpoint of enlightened teachers, which I wanted to make clear. Also, I suggested that the term ‘original enlightenment’ be changed to ‘freedom and equality,’ which represent a civic spirit of the modern and present age. Thus, we may approach the theory of original enlightenment in terms of ‘the spirit of freedom and equality which is equivalent to the discerning eye toward the objects of perception.’ Then, we can effectively convey the teaching of Seon to the public without causing psychological discomfort. The practice of Seon originally does not allow the gradual attainment of enlightenment or step-by-step approach of cultivation. However, considering such factors as the Mahāyāna spirit ‘to seek bodhi above and to save sentient beings below,’ the principle of edifying sentient beings based on their natural capacity, and a living Seon practice thoroughly rooted in everyday lives, we may positively examine the effects of gradual approach to Seon and the step-by-step understanding of it in today’s situation. From this standpoint, I suggested a plan for a gradual approach to Seon practice. Lastly, when we say we are discussing program development, the focus may be on the subject, but the leader is as important as the subject.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of a leader is compassion in one word. When the leader arouses compassion, making a great vow to remove the suffering of the subject, and when his/her compassionate mind leads to a careful observation, the leader is considered to be able to act as a means of wisdom.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step-bystep approach of Seon practice along with the correct leadership role will be the prerequisites for revitalizing and popularizing the program for Seon practice. 본고는 선수행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선의 주요 관점과 수행체계, 지도자와 관련해 살피고자 했다. 먼저, 현대인에게 심리적 괴리감을 주는 본증사상은 ‘조사의견처에서 바라보는 중생관이자 세계관’이라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그러한 입장에서 근현대 시민정신을 대표하는 자유와 평등의 용어를 적용해볼 것을 제안했다. 일체 중생은 이미 깨달아 있는 완전한 존재라는 본증사상을 ‘대상을 바라보는 바른 안목으로서의 자유와 평등 정신’으로 접근한다면 심리적 괴리감 없이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선의 가르침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선에서는 깨달음의 차제, 수행의 단계적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구보리 하화중생이라는 대승의 정신과 근기론에 입각한 중생교화의 대원칙, 그리고철저히 현실에 바탕을 둔 생활선이라는 점은 오늘날 선수행의 차제적 접근과 단계적 앎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 검토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한 입장에서 단계적접근의 구상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자칫 프로그램 개발을 논의한다고 했을 때, 대상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을 수 있으나, 대상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지도자이다. 그러한 지도자의 가장중요한 요건을 한 단어로 정리하자면 ‘자비’이다. 지도자의 자비심에서 수행자의고통을 없애주고자 하는 큰 서원이 세워지고, 자비의 마음이 정성 어린 관찰로 이어질 때, 지도자는 지혜 방편의 작용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본증사상의 현대적 적용과 선수행의 단계적 접근은 올바른 지도자의 역할과 함께 선수행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이끌고 대중화를 위한 선결 조건이 될 것이다.

      • 선 수행의 여가활동 가능성에 관한연구: 간화선을 중심으로

        정해성(Jang, Hae Sung)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선 수행은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다. 많은 불교신도들은 종교적 목적으로 선 수행에 참여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비 불교신도들 사이에서도 선 수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불교신도뿐 아니라 일반대중들도 도심의 사찰이나 시민선방 등에서 운영하는 선 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선 수행을 여가활동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선 수행을 통해 자아의식, 행복감 등이 증가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여가활동으로서 선 수행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가활동의 효과는 ⑴ 자이의식, ⑵ 사회성, ⑶ 건강, ⑷ 삶의 행복감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선 수행 참여정도에 따른 선 수행의 여가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 다. 또한 선 수행 참가정도(기간, 빈도, 방식)는 수행자의 인구 학적 요인, 신행활동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참가자의 신행생활 특성은 선 수행 수행기간, 수행빈도, 참가방식 모두에 영향을 주지만 인구학적 요인은 수행 기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선 수행의 참가정 도는 자아의식, 사회성, 건강, 행복감을 증가시키고 있다. 즉, 선수행에 보다 적극적으로 자주, 그리고 오랜 기간 수행한 참가자 일수록 여가효과는 증가하고 있다. Seon Practice is typical religious activity. Many Korean Buddhists participate in their religious life with concern in the Seon Practice. And these days, interests in Seon Practice among non-Buddhists have grown. Many non-Buddhists as well as lay Buddhists participate in Seon Practice program in Temples or Simin Seon-Bang and so on. The fact means that these consider Seon Practice as leisure activity. People who practice Seon Program hope for increasing Self-conscious, Happiness and so 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Seon Practice as a sort of the leisure activities.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are categorized ⑴ the self-consciousness, ⑵ the Sociality, ⑶ the Health, ⑷ the Happiness in everyday life.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effects of Seon Practice by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Seon Practice. And it is assumed that Seon Practice aff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ge, sex, level of living), religious activity. The results show that training attitude, frequency and term of participation of participants in Seon Practice partly influence general characteristics, religious activity. Second, participation in Seon Practice has positive influence in increasing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sociality, the health, the Happiness. The more participants active, repeatedly and longer join Seon Practice, the mor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increase.

      • KCI등재

        『선문염송』 등 선어록을 활용한 선 수행

        전재강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2 No.-

        고려에서 조선으로 내려오면서 선사들은 교의 중요성을 원칙적으로 긍정한 다. 기본적으로 이 글은 간경이 선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에서 간경을 통한 선 수행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논의했다. 선 수행에 나갈 때 전제 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고 보아 불교 존재론, 불교에서 보는 수행의 필요성, 그릇된 수행, 나아가야 할 참다운 수행의 순서로 논의를 진행했다. 먼저 불교 존재론에서 불교는 일체 존재를 공, 무아, 연기로 본다. 특히 선 수행은 다른 표현을 빌리면 형상 있거나 형상 없거나 생명 있거나 생명 없거나 존재하는 모든 것은 연기로 존재하고, 연기로 존재하기 때문에 공이고 무아, 무상이라는 역설적 존재론을 전제로 한다고 보았다. 이를 부처라고도 하고 일체를 그렇게 존재 한다고 보기 때문에 본래성불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수행 이전에 일체는 본래부터 성불해 있다는 주장이다. 수행의 필요성에 대한 논란으로 『벽암록』에서는 수행을 좋은 맨살을 긁어 부스럼을 내고 멀쩡한 길에 구덩이를 파는 것이라고 하고, 또 『선요』에서는 공부를 물으러 오는 사람을 만나 주지도 않고 두들겨 패서 내쫓는 행위를 보여 주고, 『선문염송』에서 부처가 태어나기 이전에 이미 제도해 마쳤다고 하여 역시 수행이 필요 없는 것[無用]처럼 말하고 있으나 이것은 선이 철저히 본래성불의 정신에 투철해야 한다는 것을 보인 것이고 현상의 차원에서 깨닫지 못한 사람 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부득이 수행을 하게 한다[ 有用 ]는 無用之用이라는 수행 긍정론을 살폈다. 그리고 잘못된 수행에 대하여 논의했는데 선어록 등 문헌에 나오는 사례로는 고요한 데 떨어진 수행, 옛 사람의 공부 과정을 읽고 논리적으로만 이해하는 수행 사례의 맹점을 짚어 보았고, 현재의 오류는 양변 가운데 없는 데 떨어져서 일체를 부정하는 수행, 있는데 떨어져서 이대로가 진리라고 집착하는 수행, 중도에 망집 (妄執) 하는 수행 등이 있다고 보았다. 참다운 수행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수행을 거치지 않고 본래성불을 그대로 수용하는 경우, 불조의 말씀을 듣거나 법거량을 하는 바로 그 순간 깨닫는 순간 깨침의 경우, 수행을 거쳐서 깨닫는 것을 참구 깨침의 경우가 있다고 보고 여기서 말하는 『선문염송』이나 선어록, 경전 등을 보는 것은 참구 깨침을 하는 사람에게 필요하다고 보았다. 참구깨침에 이르는 수행방법으로 대혜는 회광반조를 제시했고 고봉은 삼요를 갖춘 간화선을 주장했다. 『선문염송』 등 조사 어록이나 경전을 보는 것은 참구 과정에 지향점을 더 분명하게 해주고, 공부 과정을 점검하고 공부의 깊이를 심화해가서 삼매를 거쳐 마침내 구경각에 이르는 지남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참구 깨침의 경우도 삼매에 든 후에는 간경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깨침의 지향점은 반드시 부처의 깨침이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Seon (禪) practice by reading Seon book etc. Seonmun yeomsong (禪門拈頌). This is consisted of four themes: Buddhist ontology, the necessity of Seon practice, the problem of the Seon practice by reading Seon book, the correct way of the Seon practice by reading Seon book. Firstly, in Buddhist ontology all existences are originally Buddha, cause and effect, emptiness. Seon Buddhism has this kind of thought as well as common Buddhism does. So it’s very important to practice Seon accordance with Buddhist ontology: original Buddha, emptiness. Secondly, in the necessity of Seon practice, even though all existences are originally Buddha, they are thinking to need Seon practice. Because people dose not know they are originally Buddha, although they are really original Buddha. Sometimes Seon Buddhism insist no need to practice Seon medition. But it is meaning that Seon practice must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Buddhist ontology: original Buddha, emptiness. Thirdly, in the problem of the Seon practice by reading Seon book, there were two kinds of problems in the past. One is concentrating on emptiness by giving up dailiy life, the other is reading Sutra only for gaining Buddhist knowledge. And in the same dimension of that problem, there were three kinds problems in the present. One is concentrating on emptiness by giving up dailiy life, the other is concentrating on form without any change of daily life, the another is concentrating on Golden mean without any change of daily life. Because of these problems people can not get enlightened. Fourthly, in the correct way of the Seon practice by reading Seon book, there are two kinds of enlightenment: sudden enlightenment and long term enlightenment. Reading Seon book or Sutra should be accompanied with long term enlightenment especially in the beginning step of Seon practice. If entering deep Samadi, there is no need to read Seon book or Sutra any more for finding out correcting Seon way. And in order to follow the correct way of the Seon practice, the destination of Seon practice should be Buddha’s level enlightenment. So all people continue to practice Seon in order to arrive at Buddha’s level enlightenment. Even though the Seon practice by reading Seon book etc. Seonmun yeomsong in four aspects, there could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간화선에서 疑의 기능에 관한 고찰 에 대한 고찰 - Therav?da의 수행론에 근거한 분석 : 간화선에서 疑의 기능에 관한 고찰 에 대한 고찰

        공만식(Kong Man-Shik)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8 No.-

        The present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function of doubt(疑) in Kanhwa Seon by the way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theory in Therav?da Cultivation. Firstly, doubt plays a role which connects “a subject observing Houtou” with “Houtou as the observed object” This is the beginning state of Kanhwa Seon and should be continuous up to the time when one arrives at No-Mind Sam?dhi and awakening to Buddha Nature. Secondly, doubt has the function of concentration, and as such, functions to remove dullness and distraction, controls the 6 sense organs, and attains No-Mind Sam?dhi. Thirdly, the function of doubt in the practice of wisdom is the most critical feature in Kanhwa Seon and, unlike the awakening of 3 properties of the phenomenal world through the function of “anu” in Theravada tradition, doubt functions as intuition by which Non Discrimination Mind(also termed Original Mind, or One Mind) is directly awakened through the removal of doubts generated by huatou. Kanhwa Seon and Vipassana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functions of sati and samadhi in Theravada theory. But there is a different between the two with respect to the funtion of wisdom. In Vipassana practice the function of “anupassan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anifesting wisdom. Attaining wisdom by anupassana is achieved by observing the phenomena which are produced, remain, change, and are destroyed. The 3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al world are awakened through this observation. But in Kanhwa Seon, hautou as an observed object does not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in the practice of Vipassana; hautou is a kind of logic employing language. Therefore, hautou as observed object does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generated and destroyed, thus, the practice of “anu” which observes change in objects, is not established in Kanhwa Seon. In other words, with regard to Kanhwa Seon, the practice of “passana” is possible but the practice of “anupassana” is not. Kanhwa Seon practice disengages from the phenomenal world of subject-object duality, and awakens to Original Mind, Buddha Nature. Hence, in practicing Kanhwa Seon, observation of phenomenal objects is not made; extinction of discriminatory subject-object duality represented by language is regarded as the most significant aim. Because of this, discriminative thought and reasoning are fundamentally denied in the practice of observing huatou, even though huatou seems to pose logical questions. The function of huatou I to one by one, remove the discriminations it generates. The aim of huatou practice is to awaken Buddha Nature which has no subject-object duality, and this is achieved by extinction of phenomenal mind with its subject-object duality. Therefore, to destroy subject-object duality can be completely destroyed by thorough application of only one huatou which has power to achieve its aim and attaim Original Mind which is the goal of Kanhwa Seon. Kanhwa Seon doctrine asserts that our Buddha Nature is manifested by destroying our false cognition of the phenomenal world; whereas vipassana theory asserts that through gradual practice, our defiled mind can be purified to the state of the Buddha. The starting point for these two pratices is the cause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raditions. In Kanhwa Seon, Seeing Buddha Nature means direct intuition to Original Mind, undivided into subject-object duality; Kanhwa Seon might also be termed “the practice of intuitional passana” unlike the practice of vipassana which has the method and objects of “anu”.

      • KCI등재

        불교수행의 경로로서의 經典과 參禪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3

        경전공부와 참선은 불교수행의 주된 경로이다. 그러나 경전공부와 참선이 불교수행에서 모두 중요하다고 말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불교수행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수행의 실제에서도 수행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불교의 수행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전공부와 참선을 중심으로 한 심성함양의 기제를 명확히 드러낼 필요가 있다. 경전공부는 ‘개념’을 통하여 그것의 논리적 가정으로 들어 있는 진여를 실현하는 반면, 참선은 진여가 직접적으로 표현된 ‘상징’을 통하여 진여를 실현한다. 심성함양의 기제에 초점을 둘 때, 참선은 진여의 직접적 표현으로 이해되는 ‘진여용’과 성격을 같이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참선이 지관문 수행에 속해 있다는 점에서 드러나듯이, 참선은 진여를 직접 겨냥하는 수행이라는 점에서 진여용과 차별화된다. 경전공부와 참선은 수행의 기제가 상이하지만, 이들은 서로가 서로를 요청하는 순환 관계에 놓임으로써 수행을 보다 완전한 것으로 만든다. 이때 경전공부는 수행의 실질적인 추진력이 되며, 참선은 그 수행의 방향을 지시한다.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禪] are major channels in Buddhist practice. But only if we say that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 are all important in Buddhist practice, we would not know what Buddhist practice is, and added to this, an ascetic would not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Buddhist practice. To understand Buddhist practice correctly, above all it must be explained explicitly how the cultivation of Mind in Buddhism is realized in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 In reading of sutra, Suchness[眞如] is realized by 'concept'(the content of sutra) which presupposes Suchness; on the other hand, in practice of Seon, Suchness is realized by 'symbol' which is considered as direct manifestation of Suchness. When we attach importance to the mechanism of cultivation of Mind in Buddhism, practice of Seon shares the nature of Function of Suchness[眞如用] together which is direct manifestation of Suchness. But practice of Seon is distinguished from Function of Suchness in that it belongs to practice of 'concentration and sapience'[止觀] which points to Suchness direct. The mechanism of cultivation of Mind in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 is different, but reading of sutra demands practice of Seon, and vice versa. This circularity makes Buddhist practice more perfect. In that case, reading of sutra may be considered as real driving force of Buddhist practice, and practice of Seon as direction indicator of that practice.

      • KCI등재

        불교의 마음치유

        장진영(Jang, Jin-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Buddhist practices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various practice methods were produced as a way to heal the mind. In the case of Korean Buddhism, Ganhwa Seon (Koan meditation) is the main practice method. However, Ganhwa seon cannot play a direct role in solving the desire of practice and specific problems in secular life, because practitioners who intend to withdraw from the world and enter the monastic life use this method of practice. Since the 1990s, Vipassanā, the representative meditation of Theravāda Buddhism rapidly brought new changes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burgeoning method of practic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it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by focusing on mindfulness (sati).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recognized as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tradictory o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kind of universal direction of mind healing of Buddhism where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menting one another. These recent changes in Korean Buddhism are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ind Practice (Maeum-Gongbu) of Won-Buddhism, which was founded by Sotaesan who diagnosed the cause of society’s illne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Won-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nov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its perspective will help form a universal direction of Buddhist Mind Healing,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modern tomes. In addition, based on the two sides of ‘Mindfulness’ (Yu-Nyeom), maintaining the thought with a attention and ‘No Thought’ (Mu-Nyeom) without a thought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this study will compare the practices of Vipassanā, Ganhwa Se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Consequently, Vipassanā is used mainly to apply mindfulness in daily life, whereas Ganhwa Seon is driven by emptying the mind through the ‘Critical Phrase’ (Hwa-Du, Koan). I argue that Vipassanā is closer to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 Ganhwa Seon closely resembles the ‘No Thought’ Practice of Won-Buddhism. Furthermore, Won-Buddhist Mind Practice (Maeum-Gongbu) seems to be the only practice that balances these two aspects, ‘Mindfulness’ Practice and ‘No Thought’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specific action and life practice. Buddhism’s method of mind healing will have to go in the direction that carefully balances both ‘Self-Healing’ and ‘Relation-Healing’ and the numerous existing practice methods will also have to propose ways to go in the direction of mind healing that harmonizes the two aspects of ‘Mindfulness’ and ‘No Thought.’ 불교의 수행은 본래부터 마음치유의 역할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불교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양하고 훌륭한 수행법(마음치유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看話禪을 주된 수행법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간화선은 출세간 위주의 수행으로 세간 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의 수행에 대한 갈증과 구체적인 삶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이후 남방 상좌부불교(Theravāda Buddhism)의 위빠사나 vipassanā가 전래되면서 한국불교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위빠사나는 마음챙김(sati)을 위주로 하는 사념처 수행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두 수행법은 더 이상 배척의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로 인식되었으며, 간화선만을 고집하던 한국불교계의 수행풍토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진행중이다. 불교마음치유의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근 한국불교계의 변화는 근대기 이후 제기되었던 다양한 불교개혁논의의 연장선에서 그 구체적인 해결의 기회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근대기 이후 불교의 혁신과 사회적 실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던 원불교가 지녔던 시대 진단과 그 처방으로 제시된 ‘마음공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이는 향후 불교마음치유의 보편적 지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빠사나와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를 비교함에 있어서 불교 수행의 전반에 흐르는 ‘유념有念’과 ‘무념無念’의 두 측면에 의지하였다. 이를 통해 위빠사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챙기는 공부인 유념 공부가 위주가 된다면,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공부인 무념 공부이 위주가 된다고 보았으며, 원불교 마음공부는 이러한 유념과 무념의 두 측면의 공부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을 통한 마음치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교의 마음치유가 불교 본래적인 지향과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자기치유’와 ‘관계치유’가 잘 조화된 방향에서 제시되고, 기존의 많은 공부법도 유념 공부와 무념 공부의 두 측면이 잘 종합된 마음치유의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고우스님의 생애와 선사상 연구

        오종만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3 불교와 사회 Vol.15 No.2

        This paper is the first academic study to focus on the biography and Seon [禪] thoughts of Ven. Go-woo, a representative of Seon master of Korean Buddhism. For this study, I collected, organized, and analyzed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monk's sermons and interviews. There has been a meditation boom in Korean society since the 2000s, and many people are practicing meditation for various purposes. Along with this trend, interest in Buddhist practices has also increased, but interest is limited. Buddhist practices, most notably Ganhwa Seon, have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it is difficult. Against this backdrop, Ven. Go-Woo has devoted his life to practicing and disseminating Ganhwa Seon and establishing Seon's thoughts. Furthermore, he argued that Se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Seon can address issues of the mind on an individual level and, at the same time, explore new directions for humanity on a social and civilizational level. In this regard, this study summarizes his thoughts on (1) directness, (2) practicality, and (3) sociality. First, directness refers to Seon's practice being directed toward its original place. This characteristic is based on the long-standing Korean Buddhist concept of 'originally the Buddha.' He explained that all humans are inherently enlightened; they just do not know it and are mired in illusion. Therefore, he emphasizes faithfulness[信心], initiation of the spirit of enlightenment[發心], and right view[正見] as preparation for Seon’s practice. Second, practicality is that Seon includes practice. He explained that Seon is not a purpose in itself but rather the "practice" of Seon or following the path of wisdom and peace. Third, sociality explains that the role of Seon is to overcome the crises facing humanity; in this sense, Seon is a civilizational alternative. Thus, he argued that the wisdom acquired through the practice of Seon should be directed toward society and humanity, beyond others and oneself. His criticism of Korean Buddhism also centers on this point. Although Korean Buddhism's doctrine is profound and its athletic tradition is outstanding, he lamented that its content and practice are inconsistent. 본 논문은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선사인 고우스님의 생애와 선사상을 주제로 하는 최초의 학술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스님의 법문과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 2000년대 이후 명상 붐이 일었고,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명상을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불교 수행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지만 그 관심은 제한적이다. 불교 수행법, 대표적으로 간화선은 어려운 수행법이라는 선입견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우스님은 간화선 수행과 보급, 선사상 정립에 일평생을 바쳤다. 나아가 스님은 현대산업문명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였다. 선은 개인적 차원에서 마음의 문제를 다루며, 동시에 사회와 문명의 차원에서 인류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우스님의 선사상을 ① 직접성, ② 실천성, ③ 사회성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직접성은 선수행은 본래자리를 직접 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특성은 한국불교의 오래된 ‘본래부처’에 기초한다. 스님은 모든 인간은 본래 깨달음이 완성되어 있는데, 그것을 알지 못하고 착각에 빠져서 깨닫지 못할 뿐이라고 설명한다. 그래서 스님은 선수행의 준비 요소로서 신심과 발심, 정견을 강조한다. 둘째, 실천성은 선이 실천까지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선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선을 통한 ‘실천’ 즉, 지혜와 평화의 길을 따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셋째, 사회성은 선의 역할이 인류가 처한 위기 극복을 지향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선은 문명사적 대안이라는 의미규정과 통한다. 그래서 스님은 선수행을 통해 획득한 지혜는 남과 나를 넘어 사회와 인류를 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불교에 대한 스님의 비판도 이 부분에 집중되었다. 한국불교의 교리는 깊고 선수행 전통은 뛰어나지만, 그 내용과 실천이 일치하지 않음을 안타까워 하였다.

      • KCI등재

        禪修行의 대중화에 대한 一考 - 龍城선사를 중심으로 -

        문선희(정수) 대각사상연구원 2010 大覺思想 Vol.13 No.-

        본래면목을 自內證한 용성선사는 화두를 참구하는 법도 자세히 모르면 서 공부인을 지도하는 데에 대한 우려와 동시에 바른 공부법에 대한 한 글화의 시급함을 절감하였다. 그리고 禪의 대중화를 불교개혁의 기본으 로 보았던 선사는 도심지인 서울에 禪宗敎堂을 설립하여 많은 사람들에 게 참선을 實修케 하였다. 또한 여러 선지식과 뜻을 모아 선학원을 건립 하였고 재가자에게도 선수행을 포교의 지침으로 삼아 교화를 선양하였는 데, 비로소 근세 한국불교 최초로 재가자들이 도심생활 속에서도 참선지 도를 받을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용성선사는 선수행의 대중화를 위해 먼저 경전과 선서를 한 글화하고 선수행 결사를 단행하여 출가 수행자를 중심으로 행해지던 선 수행법을 일반 대중에게 널리 전하였으며, 이를 계승한 제자들이 제방에 서 스승의 유지를 받들어 선의 대중화에 주력하게 되었다. 나아가 선사의 헌신적인 노력이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져 간화선을 표방하는 조계종에서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간화선 입문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대학생․청소년․어린이 禪프로그램지침서를 발간하여 실시하 는 등 禪의 대중화를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 이르러 서양의 눈 푸른 불자들이 조계종으로 출가하여 선수행을 하고 있는 점으 로 보아서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선의 대중화를 한층 더 실감 할 수 있다. Master Yongseong, who had enlightenment of Buddha nature, worried that one who could not exactly understand how to pursue Gongan, tried to teach practitioners, He also realized the urgent need of making the right method of practice translate into Korean. He considered the Popularization of Seon as a basis for Buddhist reform so that he constructed the Seon practice center in Seoul, where many people could practice meditation. Also, he founded Seonhakwon with other Seon masters, teaching Buddhism by the principle of Seon practice, which means for the first time in modern Korean Buddhism, lay people were able to learn Seon practice in the middle of the city. For the Popularization of Seon practice, Master Yongseong first translated sutras and books of Seon into Korean, conducted Seon practice . As a result, the practice methods which were focused only on monks before, could be spread widely, and his disciples succeeded his principle, making efforts for the Popularization of Seon practice. Furthermore, Mater's dedicated efforts have been succeeded today,.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declaring Observing Gongan Seon, has made sincere efforts for the popularization of Seon practice, creating beginners' programs and publishing text books for lay people, university students, adolescents, and children. In Particular, lately a number of western monks have become the members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practice seon meditation.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popularization of Seon practice is worldly spread.

      • KCI등재

        불교의 마음치유: 위빠사나,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의 비교

        장진영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불교의 수행은 본래부터 마음치유의 역할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불교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양하고 훌륭한 수행법(마음치유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看話禪을 주된 수행법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간화선은 출세간 위주의 수행으로 세간 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의 수행에 대한 갈증과 구체적인 삶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이후 남방 상좌부불교(Theravāda Buddhism)의 위빠사나vipassanā가 전래되면서 한국불교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위빠사나는 마음챙김(sati)을 위주로 하는 사념처 수행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두 수행법은 더 이상 배척의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로 인식되었으며, 간화선만을 고집하던 한국불교계의 수행풍토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진행중이다. 불교마음치유의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근 한국불교계의 변화는 근대기 이후 제기되었던 다양한 불교개혁논의의 연장선에서 그 구체적인 해결의 기회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근대기 이후 불교의 혁신과 사회적 실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던 원불교가 지녔던 시대 진단과 그 처방으로 제시된 ‘마음공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이는 향후 불교마음치유의 보편적 지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빠사나와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를 비교함에 있어서 불교 수행의 전반에 흐르는 ‘유념有念’과 ‘무념無念’의 두 측면에 의지하였다. 이를 통해 위빠사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챙기는 공부인 유념 공부가 위주가 된다면,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공부인 무념 공부이 위주가 된다고 보았으며, 원불교 마음공부는 이러한 유념과 무념의 두 측면의 공부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을 통한 마음치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교의 마음치유가 불교 본래적인 지향과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자기치유’와 ‘관계치유’가 잘 조화된 방향에서 제시되고, 기존의 많은 공부법도 유념 공부와 무념 공부의 두 측면이 잘 종합된 마음치유의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Buddhist practices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various practice methods were produced as a way to heal the mind. In the case of Korean Buddhism, Ganhwa Seon (Koan meditation) is the main practice method. However, Ganhwa seon cannot play a direct role in solving the desire of practice and specific problems in secular life, because practitioners who intend to withdraw from the world and enter the monastic life use this method of practice. Since the 1990s, Vipassanā,the representative meditation of Theravāda Buddhism rapidly brought new changes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burgeoning method of practic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it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by focusing on mindfulness (sati).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recognized as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tradictory o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kind of universal direction of mind healing of Buddhism where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menting one another. These recent changes in Korean Buddhism are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ind Practice (Maeum-Gongbu) of Won-Buddhism, which was founded by Sotaesan who diagnosed the cause of society’s illne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Won-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nov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its perspective will help form a universal direction of Buddhist Mind Healing,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modern times. In addition, based on the two sides of ‘Mindfulness’ (Yu-Nyeom), maintaining the thought with a attention and ‘No Thought’ (Mu-Nyeom) without a thought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this study will compare the practices of Vipassanā, Ganhwa Se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Consequently,Vipassanā is used mainly to apply mindfulness in daily life, whereas Ganhwa Seon is driven by emptying the mind through the ‘Critical Phrase’ (Hwa-Du,Koan). I argue that Vipassanā is closer to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 Ganhwa Seon closely resembles the ‘No Thought’ Practice of Won-Buddhism. Furthermore, Won-Buddhist Mind Practice (Maeum-Gongbu)seems to be the only practice that balances these two aspects, ‘Mindfulness’Practice and ‘No Thought’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specific action and life practice. Buddhism’s method of mind healing will have to go in the direction that carefully balances both ‘Self-Healing’ and ‘Relation-Healing’and the numerous existing practice methods will also have to propose ways to go in the direction of mind healing that harmonizes the two aspects of ‘Mindfulness’ and ‘No Thought.’

      • KCI등재

        峰庵 邊月周의 禪思想에 대한 고찰 - 「禪學講義」 노트를 중심으로 -

        이수창(마성)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30 No.-

        본 논문은 峰庵 邊月周(1909∼1975)의 禪思想을 다룬 것이다. 봉암의 선사상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는 그가 남긴 「禪學講義」 노트이다. 이 「선학강의」는 1956년 봉암이 직접 육필로 작성한 것이다. 이 「선학강의」는 분량이 많지 않지만, 선에 관한 핵심은 모두 담고 있다. 특히 「선학강의」는 선의 이론을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實參實修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선학강의」는 모두 다섯 章(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장 禪의 要諦, 제2장 禪의 槪念, 제3장 話頭禪, 제4장 禪의 修習, 제5장 禪의 系譜(경덕전등록)이다. 이 가운데 봉암의 고유한 선사상은 제2장, 제3장, 제4장에 나타난다. 제2장 禪의 槪念에서 ‘禪은 자기의 心地를 가리킨 것’이라고 정의했다. 禪을 ‘心地’, 즉 ‘마음의 본바탕’이라고 파악한 것은 동아시아불교에서는 이미 오래된 전통이다. 또한 봉암은 祖師禪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頓悟漸修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大乘起信論』의 영향을 받은 荷澤宗의 특징적인 說이다. 봉암은 제2장 末尾에서 頓悟 후의 修習, 즉 保任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話頭禪은 봉암이 선에 관한 제반 서적을 통해 터득한 지식과 자신이 實參實修를 통해 증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선에 대해 재해석한 것이다. 그가 인용하고 있는 대목들을 통해 그가 얼마나 많은 禪書籍을 열람했으며 精通했는가를 알 수 있다. 제4장 禪의 修習은 坐禪儀와 參究의 要諦로 구분되는데, 먼저 ‘좌선의’에서 봉암은 좌선의 자세보다도 참선하는 자의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그는 ‘참선의 요체’에서 『博山禪警語』, 『禪關策進』, 『禪家龜鑑』에서 화두 참구에 요긴한 가르침을 뽑아 소개하면서 선의 진정한 의미는 實參實修에 있음을 다시 한 번 더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가 얼마나 투철한 禪修行者였는가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on (禪: Zen) Thought of Bong-am Beon Wol-ju (峰庵 邊月周, 1909-1975). The only source of Bong-am’s Seon thought is his note on "Lecture on the Seon Studies". This "Lecture on the Seon Studies" was created in Bong-am’s own handwriting in 1956. Though the "Lecture on the Seon Studies" is not a long article, it touches all the points on Zen. Especially, the lecture is characterized by not only the introduction of Zen theories but the emphasis on its practice as well. The “Lecture on the Seon Studies”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deals mainly with Zen’s Essence, Chapter 2 Zen’s Concept, Chapter 3 Hwadoo-seon(話頭禪), Chapter 4 Zen’s Practice, and Chapter 5 the Genealogy of Zen(Transmission of the Lamp). Among these, Bong-am’s unique Seon Thought appears in Chapters 2, 3, and 4. In Chapter 2 Zen’s Concept, Bong-am defined “Zen refers to his Simji (心地).” It is an ancient tradition in East Asian Buddhism that Zen is regarded as ‘Simji’ or ‘the foundation of the mind.’ In addition, while Bong-am’s thought is based on Josa-seon (祖師禪), he takes the positio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頓悟漸修). This is a characteristic theory of Hataek-jong (荷澤宗) influenced by the Theo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大乘起信論』). That Bong-am places a stress on the importance of probation after the sudden enlightenment at the end of Chapter 2 is the evidence of his position. Chapter 3 Hwadoo-seon (話頭禪) reinterprets Zen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 he gained through various books on Zen and experiences he attained by its true practice. Through the passages he quotes, we can see how many Zen books he read and how well versed he was in them. In Chapter 4, the Zen’s Practice is divided into sitting positions in Zen meditation (坐禪儀) and the essence of its practice. Above all, Bong-am emphasizes that a meditator’s attitude is more important than his sitting position while practicing Zen. Moreover, he once again lays emphasis on the true Zen practice as its authentic meaning by introducing the importance of essential teachings for Hwadoo-seon (話頭禪) practice in such books as Baksan seongyeong-eo (『博山禪警語』), Seongwan chaejin (『禪關策進』), and Seonga gwigam (『禪家龜鑑』). It shows what a pure Zen practicer he 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