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정선경,정남운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1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self-esteem, self-concept clarity and indecisive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investigated. After assu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was conducted. For these purposes, 477 college students (male 150, female 327)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Frost's Indecisiveness Scale (FIS), Separation-Individuation scale (SIS),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RSE), and Self-Concept Clarity Scale (SCC). This study used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AMOS 18.0 program for establishing the analysis of study ques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indicating that the more difficult the separation-individuation, the higher the grades and self-esteem, together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concept clar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decisivenes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indecisiveness.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suppor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ffecting the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분리개별화, 자기존중감, 자기개념 명확성과 우유부단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남녀 대학생 547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477부(남자 150명, 여자 327명)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우유부단척도(FIS), 분리개별화척도(SIS), 자기존중감척도(RSE), 자기개념 명확성척도(SCC)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 자기존중감, 자기개념 명확성, 우유부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점수가 높을수록 분리개별화에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내는 분리개별화는 자기존중감,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유부단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존중감은 자기개념 명확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우유부단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과 우유부단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우유부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을 거쳐서 우유부단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차 분리개별화가 폭식 및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 능력 및 정서조절 곤란의 순차 매개효과

        이도영,이훈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6 No.2

        This study explored the role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binge-eating, and self-harm behavior. Using a sample of 238 college students, we studied the relationships among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self-soothing ability, emotional dysregulation, binge-eating, and self-harm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soothing abil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binge-eating, and self-harm behaviors. Furthermore, self-soothing abil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effect of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binge-eating sequentially. Self-soothing ability, not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effect of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self-harm behavior, However, in a sample of 89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self-ha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harm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 하위집단에 따른 분리-개별화의 차이

        이시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 수준에 따라 어떠한 하위집단이 형성되는지를 탐색하고, 각 군집별로 분리-개별화(공생관계, 의존부정, 자기도취, 친구결속, 분리불안, 함입불안, 거부기대, 건강한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3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Feningstein, Scheier, 그리고 Buss(1975)가 개발하고 김현진(2002)이 재번안한 자의식 척도(Self-Consciousness Scale: SCS)와 Levine, Green, 그리고 Millon(1986)이 개발하고 장근영과 윤진(1992)이 번안한 분리-개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이 높을수록 분리-개별화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낮은 사적자의식/낮은 공적자의식 집단, 낮은 사적자의식/높은 공적자의식 집단, 높은 사적자의식/높은 공적자의식 집단, 높은 사적자의식/낮은 공적자의식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공생관계, 자기도취, 분리불안, 함입불안에서 각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건강한 분리-개별화와 관련된 자의식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atural groupings of 33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terms of their level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cores on separation- individuation. The instruments included: (a) Self-Consciousness Scales (Feningstein, Scheier & Buss, 1975), (b) Separation-Individuation test for Adolescence (Levine, Green & Millon, 198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paration- individuation. Secon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Low Private self-consciousness/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Low Private self-consciousness/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High Private self-consciousness/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High Private self-consciousness/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turance symbiosis, self-centeredness, separation anxiety, as well as engulfment anxiety within each cluster.

      • KCI등재

        심리적 독립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의 매개효과

        조한익,원상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5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4개고교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독립, 자기 주도적 학습, 몰입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9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심리적 독립의 하위요인 중 갈등적 독립과 자기 주도적 학습, 몰입경험은 정적상관을 태도적 독립은 자기 주도적 학습, 몰입경험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몰입경험과 자기 주도적 학습은 강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한 심리적 독립의 설명력보다 몰입경험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경험이 심리적 독립과 자기 주도적 학습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부모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그리고 태도적 독립이 낮을수록 몰입경험이 증가됨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고등학생 내담자의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기제를 이해하고, 매개요인인 몰입경험에 초점을 둔 개입을 시도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키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95 students of high school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three measures were employed: (a)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PSI, (b)Flow Experience Inventory for youth, (c)Self-Directed Learn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flictual independ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also with flow experience. And attitudinal independ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also with flow experience. Second, wh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flow experience were simultaneously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self-directed learning, only flow experience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Third, it was found that flow experienc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mplications for counseling high school students having problems of conflict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어머니의 부부애착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통제와 분리불안

        임세늬(Se Neui Im),김영희(Yeong Hee Kim)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0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oung children's self-control and separation anxiety by mother's attachment typ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0 mothers of children aged 3, 4 and 5 drawn from the kindergarten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for frequencies, percentages, t-test, F-test with Tukey post-hoc test,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means clustering.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attachment types, children's self control and separation anxiety were correlated partially. Mother's anxiety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related to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positively, but related to self-control negatively. That is, the higher mother's anxiety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more separation anxiety children had experienced and less self-control children had. Second, children's self-control differed from mother's attachment types. Children showed higher self-control when mothers had secure attachment than those who had anxiety or avoidance attachment. Thir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differed from the types of mother's attachment. That is, children showed higher separation anxiety when mothers had anxiety attachment than those who had secure or avoidance attachment. However, children showed less separation anxiety when mothers had secure attachment than those who had anxiety or avoidance attachment.

      • KCI등재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분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최은아,이희선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participants were 221 mothers with 3-5 aged preschool children.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Revise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and Children Self-regulation Scal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version 1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a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exist. Also a mother's adults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a child's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mother's adults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negatively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분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21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김성현(2003)의 어머니의 성인애착척도, 안지영과 도현심(1998)의 어머니의 분리불안 척도, 이정란(2003)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불안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통제가 낮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회피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점검에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회피가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점검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분리불안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인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점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자기점검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회피, 어머니의 분리불안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자기통제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불안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성인애착과 분리불안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존재효과, 친환경 태도, 그리고 자의식의 역할

        김담율,김종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an individual's eco-friendly attitude o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to promote eco-friendly behavior. The situation was set with two conditions: being alone and being with another pers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eco-friendly attitudes was analyzed to confirm how social influenc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s affects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Additionall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attitudes on garbage separation are mediated by self-consciousness. Self-consciousness was divided into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was higher under the condition of being with anyone than under the condition of being alone, and the higher the eco-friendly attitude wa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wa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the eco-friendly attitu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under the condition of high eco-friendly attitude. However, under conditions with low eco-friendly attitudes, being with another person showed a higher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than being alone.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sciousness,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o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mediate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attitude o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on individual eco-friendly behavior, and the reason could be found in the individual's public self-conscious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s eco-friendly attitude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influence, such as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This is why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is insignificant for individuals with a strong eco-friendly attitude. Therefore, to strengthen an individual's eco-friendly attitud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education 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friendly behavior.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타인의 단순존재효과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타인의 단순존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상황을 혼자 있는 조건과 타인이 있는 조건으로 구분하였다. 타인의 존재 여부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면 개인의 친환경 태도와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타인의 존재 여부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타인의 존재 여부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가 쓰레기 분리수거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인의 자의식에 의해서 매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자의식은 공적 자의식과 사적 자의식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혼자 있는 조건보다 타인이 있는 조건에서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를 높은 수준으로 나타냈고 개인의 친환경 태도가 강할수록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타인의 존재 여부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 태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타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친환경 태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혼자 있는 조건보다 타인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의식에 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적 자의식은 타인의 존재 여부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적 자의식은 타인의 존재 여부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타인의 단순존재효과가 소비자의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그 이유를 개인의 공적 자의식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의 단순존재효과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개인의 친환경 태도임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 태도가 강한 개인에게는 타인의 단순존재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환경오염 문제와 친환경 행동 실천 방안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친환경 태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

        송연주(Song, Yeonjoo)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개입 방안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이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남녀 4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분리개별화는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에, 정서조절은 자기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리개별화와 자기수용은 관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 검증 결과,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동등성 검증 결과, 본 연구의 최종모형은 성차와 결혼 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의 분리개별화가 자기수용을 높여 관계중독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분리개별화는 정서조절 수준을 높임으로써 자기수용을 통해 관계중독적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A total of 448 adults, aged between 20 to 50, was recrui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emotional regulation, self-accept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we found that self-accepta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Moreover,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had a dual-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single persons with a healthy resolution of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enhanced the degree of self-acceptance than married ones. This study confirm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of adults can not only reduce the level of relationship addiction by increasing self-acceptance but also can reduce symptoms of relationship addition through self-acceptance by increasing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분리-개별화 수준이 이성관계집착에 미치는 영향 : 자기 개념 명확성의 매개 효과

        신한별(Hanbyul Shin),송현주(Hyunjoo Song)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리 개별화 수준이 이성관계 집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개념 명확성 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의 분리 개별화, 자기 개념 명확성, 이성관계 집착 간의 상관관 계를 조사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이성관계 집착 간의 관계에서 자기 개념 명확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절차와 Sobel test를 실시하여 간접 효과의 유 의성을 확인함으로써 모형을 최종 검증하였다. 전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54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247부(여자 165명, 남자 82명)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도구 는 분리 개별화 척도(SIS), 자기 개념 명확성 척도(SCS), 관계중독질문지 척도(RAQ)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 개별화, 자기 개념 명확성, 이성관계 집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리개별 화는 이성관계 집착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 개념 명확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기 개념 명확성은 이성관계 집착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이성관계 집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개념 명확성의 매개 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분리개별화와 이성관계 집착 간의 부적 영향관계를 자기 개념 명확성이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리 개별화 수준이 낮을수록 이성관계 집착 성향이 높아지 고 이 과정에서 자기 개념 명확성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이성관계 집착 성향을 보이는 내담자들을 이해하고 병리적인 관계 패턴을 스스로 자각 및 통찰하 여 건강한 관계를 맺도록 도움을 줄 것이며, 자기 개념 명확성 수준을 높이는 것이 주체적이고 발전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중요함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are often found in the field of actual consultation and clinical practice, but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tips for the specific intervention in a therapeutic setting by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For this study, 249 college students (female 165, male 82)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separation- individuation (SIS), self-concept clarity (SCS), relationship addiction (RAQ). This study used the SPSS 20.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for establishing the analysis of study ques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the lower the grades and self-concept clarit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in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model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impact of separation-individuation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it was proven to be a partial mediation model where separation-individuation affects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through self-concept clarity.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n difficulty in separation-individuation can not only influence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directly and positively but decrease self-concept clarity resulting in reinforcement of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will help counselor and clinical psychologist understand clients struggling with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and form a healthy relationship, allowing them to realize problematic patter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lso,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essential to enhance and develop self-concept clarity in forming independent relationshi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분리개별화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박희경,권경인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남녀 초등학생들의 부모애착과 분리개별화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4개 초등학생 남자 220명과 여자 256명(총 476명)을 대상으로 애착 척도, 분리개별화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에 있어서 성차를 알아보았으며 측정변인간의 관련성을 보았다. 또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측정 변수들 간의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은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과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자아존중감은 각 변인들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남학생의 경우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여학생의 경우 부의 애착은 완전매개, 모의 애착은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넷째, 부모와의 분리개별화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whether parent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of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have an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For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475 elementary-school students(220 boys, 256 girls), and self-report measures including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ternet addic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Internet addiction depended on the gender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boys showed higher Internet addiction than the girls. Second, the variables including Internet addiction,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esteem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self-esteem variable was the parameter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Specifically, in boys’ case,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relation have a mediator effect in which the self-esteem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girls’ case, self-esteem wa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 of parental attachment with their father and Internet addiction. Fourth,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ternet addiction was meditated by a self-esteem variabl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