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관한 고찰

        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1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학논총 발간 20년 역사를 회고하며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대한 고찰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문분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학제간적인 연구 특성과 응용사회과학으로서 현장 실무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서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나, 동시에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에 맞춰서 패러다임을 변화하는 학문의 특성으로는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서학의 근간이 되는 심리학, 조직행동, 교육학, 관리, 정보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의 다양한 영역을 지식체별로 살펴보았고, 20년 동안 비서학이 산출한 연구결과를 이 지식체에 대입하여 기술하였다. 이 지식체를 통해서 비서학 연구가 수행되어온 것은 사실이지만, 다양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비서학에서도 나름의 독특한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 중에 있고, 비서학의 대표 이론을 발굴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출된 제안점은 ‘비서’와 ‘비서학’에 대한 연구자들간의 합의된 정의(定義, definition)가 필요하다는 것과 비서학의 이론적 결과가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향후 지식의 확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The study identified secretarial studies as having a relatively short life history, interdisciplinary, and strong tie with practice as an applied science. These characteristics partially contribute as a hindrance for Secretarial Science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could be leveraged to develop secretarial studies by changing its paradigm to meet societal needs. This study also revealed six bodies of knowledge of secretarial studies―psychology, organizational behavior, edu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and cases of applying their theories to secretarial studies. Although the bodies of knowledge have been the basis of Secretarial Science studies, secretarial studies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unique theories via various empirical research, and scholars should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representative theories in secretarial studies. In sum, this study suggested to draw agreed definitions of ’secretary’ and ’Secretarial Science’ among scholars and make more of an effort to disseminate knowledge and theories to the practice.

      • KCI등재

        비서학 30년, 주제어 네트워크분석

        문주영,한주원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사무경영연구』 발간 30년을 돌아보며 해당 기간의 비서학 연구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비서·사무경영연구』논문 데이터를 분석하고 30년 동안 비서학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1993년 1권부터 2021년 30권 4호까지 수록된 총 476편의 논문에서 저자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고 용어의 전처리, 정제작업을 거쳐 1,033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2편 이상의 논문에 출현한 23.4%, 242개의 단어로 단어 집합을 선정하고 자카드 유사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비서학 30년,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30년간 『비서·사무경영연구』에서 가장 많이 출현한 단어는 ‘비서’이며 ‘비서교육’, ‘비서학’, ‘직무만족’, ‘비서과’, ‘조직몰입’, ‘전문대학’의 순이었다. 이 기간 비서학자들은 ‘비서’, ‘비서교육’, ‘직무만족’, ‘조직몰입’등의 주제에 많은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분석 결과, 유사한 개념들과 가장 많이 연결된 단어들은 ‘조직시민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상사신뢰’, ‘이직의도’, ‘비서학전공대학생’ 등이다. 이 단어들은 비서학 연구의 하위 주제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주제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위 주제 클러스터링을 위해 컴포넌트 및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응집성 분석을 시행하여 10개의 하위 주제 그룹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비서학 30년의 지적구조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학문발달 전체 기간의 비서학 학문의 구조에 대한 이해, 연구 영역에 대한 이해, 관심 영역의 변화,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변화를 조망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3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re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For this purpo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author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3 to 2021. This study employed NetMiner 4.4.3 to conduct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1,033 keywords were collected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mong them, 242 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 sets based on a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of that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retary’, ‘secretarial education’, ‘Secretarial Studies’ and ‘job satisfaction’ ‘department of secretarial science’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during this period. Second, With regards to degree central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trust in supervisors’ and ‘turnover intent’ were among the highest. Third, the results of component and community analysis show 10 core subject areas. Finally, word cloud and network diagram were visualized.

      • KCI등재

        비서학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문주영(Moon, Juyoung)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학 연구들이 맺고 있는 네트워크의 형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비서학 연구에 도입하여 전체 네트워크 조망, 중심연구 및 하위연구 주제, 중심 연구 제목, 주제 전개과정 등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비서학의 대표적 학술지인 『비서학논총』12권 2호부터 17권 2호까지 수록된 논문 8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데이터 파일 구축, 색인어 추출, 코사인 유사계수 행렬생성 과정을 거쳐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성이 높은 논문들을 중심으로 가지가 분화되며 그 주제 영역은 [인사조직], [경력관리], [컴퓨터활용능력], [교육과정], [국제회의], [영어교육], [법률비서], [고용형태] 등이다. 독립 네트워크로 [비서학현황], [직업윤리], [이문화커뮤니케이션], [대통령비서실] 영역이 형성되었다. 중심성 지수가 1군인 비서학 연구로 9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는데 어떤 영역에 속해 있는 연구든지 조직유효성 관련 연구들을 주제적으로 포괄할 수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비서학 연구에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최초로 도입하여 비서학 연구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ecretarial Studies using textmining and document similarity network analysi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84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The results of network analysis show that the core subject areas are [HR], [Career Management], [Computer Literacy], [Curriculum], [International Conferences], [Teaching English], [Legal Secretaries], [Employment Types]. Independent research topics in the network are [Status of Secretarial Study], [Work Ethic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Office of the President]. Nine papers in Secretarial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centrality score. These papers belong to the realm of research that can encompass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matically.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ecretarial Studies and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sis of the network structure in the field.

      • KCI등재

        비서학내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

        문주영(Moon, Juyo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저자동시인용이라는 학술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분석하여 비서학내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구조상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비서학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비서학논총』의 10권 1호부터 19권 2호까지에 수록된 논문 160편을 대상으로 총 640건의 인용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비서학 전체 연구자 네트워크의 구조적 형태에서는 비서의 역할, 역량 등 비서학내 핵심 질문과 관련된 연구 외에 비서학 분야에서 조직유효성 변인 관련 주제로 연구한 연구자들이 네트워크의 중심 가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비서 교과과정 관련 연구, 비서학 영역, 비서학 과제 등과 관련된 연구자들의 가지가 네트워크로 형성되었다. 네트워크 주변부로 갈수록 주제 분야가 다양한 연구자들이 출현하였는데 비서영어교육 관련 연구자들, 비서고용과 고용형태 주제와 관련된 연구자들, 비서자격시험에 관한 주제를 가진 연구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가장 중심에 Ji, Jd, Jg 세명의 연구자가 위치하였고 이들은 중심성 지수가 가장 높은 연구자들이었다. 이들은 비서학논총 초기부터 활발한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로 비서학 연구 초기부터 비서의 역할, 비서의 핵심역량, 비서 상사의 관계, 비서직무 등 ‘비서’, ‘비서학’의 근본적인 부분을 고민한 연구자들이다. 두 번째 동심원에 분포하는 연구자들은 주로 직업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경영학적 주제를 접목한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이 함께 분포하고 있다. 상관분석 결과, 비서학 내에서는 저자동시인용빈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의 중심에 놓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서학 최초의 연구자 중심의 네트워크 분석으로 인용분석의 대표적 기법 중 하나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해 비서학의 연구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Network of Secretarial Studies using by analyzing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1 to 2010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data used were 160 articles and 42 auth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by means of network analysis techniques using Netminer4.0 software in order to express the research discipline and research patterns of Secretarial Studies. The results of network analysis show that main research topics of researchers were <secretary"s role and role understanding>, <secretary"s performance and abilit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secretarial department>, <secretary and boss relationship>, <English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Three researchers in Secretarial Studies were selected from centrality score. These researchers were belong to the realm of research that can encompass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matically.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o make the research network of Secretarial Studies.

      • KCI등재

        2000년대 비서학연구의 저자동시인용분석

        문주영(Moon Ju Yo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해 2000년대 비서학 연구의 지적구조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비서학의 대표적 학술지인 『비서학논총』의 2001년 10권 1호부터 2010년 19권 2호 까지 10년분의 학회지에 수록된 160편 논문 중 640건의 인용데이터를 분석하였다. 149명의 제1저자 중에서 6회이상 인용된 37명의 대표저자를 분석대상 저자로 선정하여 각 저자쌍에 대한 동시인용빈도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총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주제는 〈비서역할ㆍ역할인식〉, 〈교육과정〉, 〈실무중심교육〉, 〈직무수행ㆍ직무역량〉, 〈비서-상사관계〉, 〈조직문화ㆍ고용형태〉, 〈영어ㆍ국제 비서자격시험〉으로 나타났다. MDS 지도상의 중심부에 〈비서역할, 역할인식〉주제 군집이 위치하여 이 주제 분야가 분석기간 동안 비서학 연구의 중심 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로축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조직문화ㆍ고용형태〉, 〈비서-상사관계〉, 〈비서역할ㆍ역할인식〉, 〈직무수행ㆍ직무역량〉 등의 경영학 및 직업교육 관련 이론들을 접목한 주제들이, 왼쪽에는 교육학 및 어학 관련 이론들을 접목한 주제들(교육과정, 실무중심교육, 영어ㆍ국제비서자격시험)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인용분석의 대표적 기법중 하나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해 비서학의 지적구조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ecretarial Studies by analyzing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1 to 2010 with author co-citation analysis. Altogether, 160 articles and 37 auth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in order to expres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scipline and its research patterns. To the analysis of this intellectual structure, main research topics were the secretary’s role and role understanding, secretary’s performance and abilit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secretarial department, secretary and boss relationships, English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hands-on training in the secretarial field,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ment types. The results of ALSCAL analysis show that the core subject area is the secretary’s role and understanding of that role.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최근 비서학 연구 분석

        문주영(Juyoung Moon)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자연언어로 된 비정형 데이터인 비서학논총 논문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비서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비서학논총』의 2011년 20권 1호부터 2016년 25권 2호까지 수록된 총 98편 논문을 대상으로 국문초록을 추출하여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고 용어의 전처리, 정제 작업을 거쳐 총 1559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빈출 상위 10%, 빈도수 23번을 기준으로 150개 단어들을 키워드 집합으로 선정하고 키워드 간 유사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비서학 연구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시각화는 단어클라우드와 단어네트워크를 도식화 하였으며 중심성 분석과 응집구조 분석을 통해 비서학 연구의 중심 주제와 하위 군집 구조를 밝히고 비서학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키워드 출현빈도 분석을 통해 볼 때 최근 비서학은 ‘비서’에 관한 연구 중 ‘직무’와 ‘조직’에 관한 연구, ‘교육’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활발했으며 주로 ‘∼에 관한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중심성 분석을 통해 단어 네트워크의 중심에는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 취업준비 등과 관련된 단어들과 전통적인 비서학 연구 주제인 조직 유효성 관련 연구가 중심에 포진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컴포넌트 및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11개의 하위 주제 그룹으로 군집화하였으며 이중. 특기할만한 것은 연결중심성 상위 12단어 중 8개단어가 [1]그룹 ‘대학생활 적응’, ‘전공만족’, ‘학업적응’, ‘전공선택동기’ 관련 주제, [4]그룹 ‘이직’, ‘이직의도’, ‘상사’, ‘조직’ ‘조직몰입’관련 주제의 그룹에 속해있어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비서학을 대표하는 하위그룹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re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tudies. For this purpo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11 to 2016. This study employed NetMiner Program to conduct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1559 keywords were collected for past 6 year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mong them, 150 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 sets based on a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of that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retary’, ‘duty’, ‘organization’ and ‘education’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bstracts during this period. Second, With regards to degree centrality ‘effect’, ‘subdivision’, ‘organization’, ‘major’ and ‘work’ were among the highest. Third, the results of component and community analysis show 11 core subject areas. Finally, word cloud word netword were visualized.

      • KCI등재

        비서학 논총 2000년대 8년간의 언어네트워크분석

        문주영(Juyoung Moon)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자연언어로 된 비정형 데이터인 비서학논총논문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2003년부터 2010년까지의 비서학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8년간 『비서학 논총』에 수록된 연구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12권 2호부터 2010년 19권 2호까지 수록된 총 113편 논문을 대상으로 국문초록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용어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총 1798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빈출 상위 10%, 빈도수 20회를 기준으로 179개 단어들을 단어 집합으로 선정하고 코사인유사계수 행렬을 작성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시각화는 단어클라우드와 단어네트워크를 구조화 하였으며 중심성 분석, 응집구조 분석을 통해 비서학 연구의 중심 주제와 하위 군집 구조를 밝혔다. 빈출 단어 분석을 통해 분석기간 가장 많이 출현한 단어는 ‘비서’이며 다음 ‘교육’, ‘조직’, ‘직무’에 관한 주제가 활발히 논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어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해당기간 비서학자들은 ‘비서’, ‘교육’, ‘직무’, ‘조직’ 관련 비서학 논문을 썼지만 좀 더 심층적이고 내면적인 고민은 ‘여성’, ‘직장’, ‘미래’, ‘직업’, ‘현장’, ‘경쟁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분석을 통해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들은 ‘교육’, ‘영향’, ‘조직’, ‘비서’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 단어들이 비서학의 핵심단어로 여러 다른 단어들과 함께 쓰인 경우가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응집성 분석 결과, 이시기 『비서학 논총』의 연구는 크게 전문대 비서과 학생들의 취업과 진로에 관한 주제[1], 비서의 역할, 역량, 자질 규명에 관한 주제[2], 전통적인 비서학 연구 주제인 조직만족, 조직몰입, 신뢰관계에 따른 영향을 보는 주제[3], 비서교육 및 교육 프로그램 관련 주제[4] 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re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tudies. For this purpo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3 to 2010. This study employed NetMiner Program to conduct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1,798 keywords were collected for past 8 year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mong them, 179 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 sets based on a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of that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retary’, ‘education’, ‘organization’ and ‘duty’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bstracts during this period. Second, With regards to degree centrality ‘education’, ‘effect’, ‘organization’ and ‘secretary’ were among the highest. Third, the results of component and community analysis show 8 core subject areas. Finally, word cloud word netword were visualized.

      • KCI등재

        비서학논총의 20년간의 분석과 종합

        김효선(Kim, Hyosun)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비서학논총 연구동향의 분석하고 종합하여 비서학의 현 상황을 이해하고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서학논총에 20년간 게재된 총 296편의 논문을 분석틀에 의거하여 발표자,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분석, 연구주제 영역, 주제어와 같은 질적자료들을 코딩하여 분석항목별로 해당 논문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여 그간 비서학논총의 경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의 연구유형이 전반 10년(1993-2002)에 비하여 후반 10년(2003-2011)에는 문헌연구가 감소한 반면, 양적인 연구로서 조사연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비서학논총의 연구대상은 비서에 집중되어 있고 일반적인 비서나 기업비서에 치중되어 있었다. 셋째, 비서학논총의 연구주제는 비서실무 또는 비서의 사회 ? 심리적특성에 관련된 것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조사연구 논문의 자료분석은 다양한 정보 탐색에 적합한 추리통계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많았지만 비서관련 연구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조사분석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서학의 향후 연구 영역의 확장과 비서학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비서학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노력, 다양한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 및 새로운 정보탐색을 위한 통계 방법의 사용, 비서학 연구를 위한 주제 및 연구영역의 확장, 학문중심의 전문학회지로서의 비서학논총을 위한 개선점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trends and changes of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or about two decades, 1993-2011. All 296 research articles were used for the study to pursu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occupied content analysis and developed a research framework and coded the journal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uthor, research topic, key words,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ticles conducting literature reviews as a research type have been decreased, but quantitative researches have been increased during the recent decade, 2003-2011. Seco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target of articles in the journal was secretaries and most of research articles have focused on company secretaries. Third, the practice of secretaries and their social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research subjects gained a majority portion of 296 articles. Fourth, in comparison with the articles before 2002, the recent 10 years(2003-2011) showed a growth in the usage of the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HP. In the end of the study, several significant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s well as secretarial studies.

      • KCI등재

        국내 법률비서 연구동향 분석

        김지영(Kim, Ji-Young),박윤희(Park, Yoon-Hee)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법률비서 연구들을 종합하여 법률비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연구물 특성,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방법, 연구주제 및 주제어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법률비서를 제목과 키워드로 검색하여 1995년부터 2021년 9월까지 27년간 발표된 법률비서 관련 논문 총 25편(학위논문 6편, 학술논문 19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물 특성 분석 결과 법률비서 관련 논문은 1995년 시작되어 2010년부터 2014년 시기에 7편으로 가장 많이 발행되었으며, 2015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게재지별로는 비서·사무경영연구(비서학논총) 논문이 가장 많았고, 저자 수별로는 저자 수가 1∼2명인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현직 법률비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최근에는 전·현직 법률비서 등 연구대상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대상의 소속기관은 대형 로펌이 가장 많았고, 소재지는 모두 서울지역이었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동일하게 많이 활용되었으며, 혼합연구 순이었는데 다양한 연구방법을 시도한 법률비서 관련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설문지, 인터뷰, 문헌조사가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양적연구에서는 기술통계와 관계연구가 함께 진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에서는 개발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다섯째, 법률비서 관련 연구주제는 법률비서실무, 법률비서의 사회·심리적 특성, 법률비서교육, 기타 순으로 많았다. 법률비서 관련 주제어는 ‘법률비서’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역량’, ‘직무분석’, ‘직무만족’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방향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legal secretaries and identify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main word characteristics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total of 25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September 2021 were finally remained for the analysis.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year, paper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began in 1995 and were published the most in 7 articles from 2010 to 2014, and research has been steadily conducted from 2015 to the present. By publication paper,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was the most. By author number, papers with one to two authors were the most. Second, there were many studies on current legal secretaries, and recently, research subjects such as former and current legal secretaries are diversifying.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used equally, and it was in the order of mixed research, and various research method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needs to be conducted. Fourth, research topic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were in the order of legal secretary practice,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gal secretaries, legal secretary education, and others. The main word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were ‘legal secretaries’ with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competency’, ‘job analysi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자연언어 처리를 통한 최근 비서학 연구 지식 네트워크 분석

        문주영(Moon, Ju-Young)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연언어로 된 비정형 데이터로 구성된 『비서·사무경영연구』논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최근 비서학의 지식 구조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서·사무경영연구』의 2017년 26권 1호부터 2020년 29권 4호까지 수록된 총 78편 논문을 대상으로 국문초록을 추출하여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고 용어의 전처리, 정제 작업의 자연언어 처리를 거쳐 총 1,498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후, 빈출 상위 9.8%, 출현빈도 15를 기준으로 153개 단어들을 키워드 집합으로 선정하고 비서학 연구의 지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워드 클라우드와 단어네트워크를 도식화 하였으며 중심성 분석과 응집구조 분석을 통해 비서학 연구의 중심 주제와 하위 군집 구조를 밝히고 지식구조를 파악하였다. 키워드 분석 결과, 분석기간 비서학 연구에서는 ‘조직’, ‘경력’, ‘직무’, ‘업무’, ‘역량’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였으며 중심성 분석 결과, ‘교육’, ‘개발’, ‘적용’, ‘교수’, ‘교육과정’ 등의 단어들이 다른 단어들과 연관 수가 가장 많은 핵심단어이었다. 응집성 분석결과 도출된 7개의 하위 그룹은 현재 비서학 내 수행되고 있는 전체 연구에 대한 주제 지도를 보여준다. 연구 결과, 분석기간 내 비서학 연구는 비서학 내 전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비서직무, 성과, 과업, 특성, 일, 경력에 대한 연구들이 비서직에서 나아가 사무직 여성을 대상으로 확산되어 수행되고 있었으며 스마트폰 및 인공지능 사용 업무 환경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그간 비서교육과 관련된 주제는 학교 교육과 관련된 주제가 중심 이었다면 분석기간 비서교육은 전문적 비서 분야 및 성인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공, 진로, 취업 등의 외적인 연구 주제에서 나아가 학생들의 여러 가지 심리적 이유와 윤리적 특성에 따른 종속변수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re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tudies. For this purpose, a knowledge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17 to 2020. This study employed NetMiner Program to conduct a knowledge network analysis. A total 1,498 keywords were collected for past 4 year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mong them, 153 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 sets based on a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a knowled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of that keywor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ics related to secretarial education have been mainly related to college education, but recently, many studies related to adult education in the secretarial field have been conducted. In addition, it has evolved from external subjects such as major, career, employment, etc. to a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various psychological reasons and eth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lso, studies on secretarial jobs, achievements, tasks, and careers that were traditionally conducted are spreading from the secretaries to the office workders. In addition, research related to work environment using smartpho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