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종교와 경전 ; 신종교의 경전에 대한 개설

        윤승용 ( Sueng Yong Yun ) 한국신종교학회 2007 신종교연구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riptures of Korean new religions into the process of constitution, the system and the organization, the contents, and then to take a look at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spect. Generally, the religious teachings of scriptures are formed by the founder`s spiritual dogma. After his or her death, lots of ideas about the administration of religious orders are surrounded over the dogma. Accordingly the outlook of the records is needed about the sayings and the teaching of the founders. At this point, the system and form of each religious scriptures is influenced by its characteristic of religious matters and experiences. The deductive belief, emphasizing on the revelation of God, produces the formal scripture. But, various scriptures filled with religious experiences is produced by the inductive belief on the seeking after truth. In addition, scripture is possible to reinterpret about the original thought solely through the meeting of believers. And the religion still remains as lively as ever when the reinterpretation is combined with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This study looks at the five leading Korean new religions in order to get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ir scriptures. Namely, there are Cheondogyo as the beginner of new religion, Jeungsangyo abundant in Korean cultural heritage, Daejonggyo founded on the belief in Tangkun(단군) as the founder of Korea, Won-Buddhism changed into the modern-styled Buddhism of form and contents, and Tongilgyo directing to Korean new Christian order. Cheondogyo is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of scripture written by the founder himself on the basis of his personal undergoings. Then its successor made an addition of writings solely concerned with its interpretation, but there is no change of contents no matters what the changes in the religious order are abundant. Compared by the scripture of Cheondogyo, there are many things mysterious and transcendental about that of Jeungsangyo. Also, in accordance with the Jeungsan`s life story, the scripture is composed of chapter and paragraph. The introduction of new formality is influenced largely by the New Testament. Next, the scripture of Daejonggyo is composed of the revelation scripture involving the cosmic philosophy and the Genesis and the scripture of successor in charge of its explanation. Its contents are characteristic of the glory of Korean nation. The scripture of Won-Buddhism observes the formality of Buddhism. As the name of religious order changes, its name and the organization gain more changes. The Tongilgyo advances into oversea, with no formal scripture. It`s based on the Bible. The founder still remains real life. ``Discussion of Principle`` (원리강론) is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in the oriental and Korean way of the Bible and history. On the whole the scriptures of new religions are formed on the base of th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but in the part of system and contents they are largely affected by the Christian scripture. For example, they are put on a highly emphasis of the achievements of the founder and the works of the redemption. various scriptures are made into one book of scriptures involving a hymn. By the way, they still think highly of religious experiences or undergoing of practice in the succession of the Korean style and the Orientalism In the future, the scripture of new religion should aim at perfection by itself. It also should make an effort to ensure the universality and to communicate about its meaning properly with the believers.

      • KCI등재

        본문이 살아나는 성경 봉독법

        임도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6 No.-

        공중예배에서의 성경 봉독(Public Scripture Reading)은 초대 교회뿐 만 아니라 개혁교회의 전통에서 매우 중요한 순서이다. 하지만 현대의 편리주의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문화가 예배에 영향을 주면 서 성경 봉독이 축소 또는 소홀히 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성경 봉독 을‘성경적으로, 신학적으로, 설교학적으로’고찰하여 볼 때 예배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성경 봉독과 성경에 충실한 말씀 선포는 이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선상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 국교회의 예배 중 성경 봉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본문이 살아나 게 하는 성경 봉독 방법의 준비와 실제적인 전달 방법을 소개한다. 효 과적인 성경 봉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봉독자는 먼저 본문에 의도 된 의미와 들려지는 효과를 올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봉독자는 본 문의 중심 단어, 중심 메시지, 장르, 주된 감정, 움직임 등을 파악할 필 요가 있다. 봉독자가 소리 내어 읽을 때는 발음, 소리크기, 높낮이, 봉 독 속도, 봉독 중 중지 등을 고려하여 읽어야 한다. 봉독자의 자세에 관 해서는 강대상에 입장하는 걸음걸이, 성경을 잡는 자세, 봉독자의 표 정, 청중과의 시선 접촉, 호흡 등을 고려해야 한다. Public Scripture reading is an important procedure in pubic worship service. In the early church and reformed church tradition it is altogether crucial. However modern day convenience entertainment culture causes scripture reading in worship to be reduced or neglected. With a reflection of Scripture reading biblically and theologically, it is such a valuable element in worship service. Scripture reading and scripture faithful sermon are not bisect areas but need to be treated equally. This study will emphasize the significant of Scripture reading in worship. More over, this study will introduce Scripture reading preparation and delivery method that makes the text alive. In order to make effective scripture readings, Scripture readers need to understand the intended meaning and aural effects in the Scripture. Scripture readers need to comprehend the central word of the text, a main idea of the text, the main emotion of the text, and the movement of the text. While they read a Scripture, they need to consider verbal delivery elements: pronouncement, volume, pitch, rate, and pause. Moreover they need to consider non-verbal elements: walk, grip, facial expression, breath, and eye-contact.

      • KCI등재후보

        바울의 선교적 구약 사용

        정성국(Jung, Sungkoo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1 신약연구 Vol.10 No.2

        New Testament scholars have generally dealt with Paul's use of Scripture without full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Paul was a cross-cultural missionary, persuader to the Gentiles. This means that the scholars have not paid due attention to the universal challenges and responses that every cross-cultural missional context evokes. By highlighting the challenges and responses, this article discusses how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particular form and emphasis of Paul's use of Scripture. Therefore, the main concern of this article is hermeneutical and methodological. If we acknowledge that Paul's use of Scripture is a cross-cultural missional, communicative phenomenon, we need to move beyond the current emphasis that Paul reinterpreted Scripture in the light of Christ event within the Jewish, apocalyptic context. Along with his Christotelic reinterpretation of Scripture, Paul was also concerned with persuading his audience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of the scriptures. Inevitably this concern led Paul to contextualize the scriptures for his Gentile audience. In his missional, rhetorical use of Scripture, Paul was not only communicating his own interpretive judgments; he was also recasting Scripture, taking into account his Greco-Roman audience'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 their current needs and concerns, and their level of biblical knowledge. This article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by drawing on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nsights of missiology and the New Rhetoric, both of which have pointe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communicator's formulating and delivering a message by taking into account the audience's context. In essence, the alternative approach conceptualizes Paul's use of Scripture as an interpretive process of contextualizing a deep, Christotelic understanding of Scripture for newly converted Greco-Roman audiences. This conceptualization requires us to read Paul's use of Scripture in two stages with two different hermeneutical strategies; Paul-centered reading and contextualized reading. The proposed approach is applied to Paul's use of Scripture in 2 Cor 3:1-6. This application shows that while Paul's native and fundamental stance on many issues may be framed in terms of his Christotelic understanding of Scripture, his expression and development of that fundamental stance in his letter to his church is strongly affected by his mission of persuasion.

      • KCI등재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권위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해석학의 삼중적 과업을 활용하여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7 No.-

        개혁주의 관점에서 볼 때, 성경은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그 권위를 지닌다. 이는 개혁주의 성경권위담론에서 궁극적인 질문이 ‘어떻게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더 신실하게 경청하고 지금 여기의 삶에서 살아낼수 있는가’여야 함을 상기시켜준다. 성경권위에 대한 진정한 인식과 고백은 결국 ‘어떻게 하면 성경이 스스로 말하게 하고 우리의 가장 깊은 내면이 성경을 통해 듣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도전받고 재형성되고 변혁되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인식은 해석학적 차원이 성경권위담론의 핵심적이고 결정적인 구성요소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현대의 철학적 해석학의 분야에서 성경권위담론을 위해 매우 적절하고 가치 있는 목소리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통찰들은 해석학의 삼중적 과업, 즉 ‘해석적 우상 제거하기,’ ‘삶과의 지속적 연관성을 촉진하기,’ 그리고 ‘타자의 소리를 경청하기’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해석적 우상을 제거하는 해석학의 기술은 성경을 우리 자신의 이익과 욕망과 이해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막고,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성령의 임재를 분별하게 해준다. 둘째, 해석학은 성경읽기의 우선적 목표가 무엇보다도 독자의 성품과 사고방식과 삶을 형성하고 변혁하는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구체적 삶 속에서 성경을 체현하도록 돕는다. 셋째, 해석학은 타자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에 자신을 개방하여 성경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존중하고, 결국에는 궁극적인 초월적 타자이신 하나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도록 돕는다. 우리가 성경을 읽고 성경의 권위를 고백하는 데 있어서, 성령은 성경뿐만 아니라 기독교 전통과도 깊이 공명되는 이러한 해석학적 통찰을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성경 안에서 하나님이 실제로 말씀하시는 바를 깨닫게 하고, 더 나아가 성경의 실천과 실행이 그 해석에 굳게 결합하게 하신다. 따라서 현대 철학적 해석학의 중요한 통찰들을 비판적으로 활용하여 우리는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다시금 선언하고 고백할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필자는 성경권위와 성경읽기 사이의 해석학적역동성이 회복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더 나아가 해석학적 차원이 성경권위 담론에 재통합되어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From a Reformed point of view, Scripture claims its authority as the living Word of God. It means that a crucial question in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should be ‘how to hear more faithfully the living Word of God and furthermore to live it here and now.’ Acknowledging and confessing authentically Scripture`s authority relates to the matter of how to let Scripture speak for itself and how to let our innermost challenged, reshaped, and transformed by the living Word of God we hear through Scripture. Upon this,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hermeneutical dimension must be thought of as a constitutive and critical part of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In the area of contemporary philosophical hermeneutics, we can recognize some relevant and valuable voices for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These voices and insights can be summed up as the threefold task of hermeneutics, that is, ‘removing interpretive idols,’ ‘facilitating ongoing life-engagement with Scripture,’ and ‘listening to other voices.’ Firstly, a hermeneutical art of removing interpretive idols prevents us from using Scripture as a manipulating tool to legitimate our own interests, desires, and understanding, and thus helps us to discern the presence of the Spirit speaking through Scripture. Secondly, hermeneutics emphasiz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our character, habits of thought, and life as the primary aim of reading Scripture, and by so doing facilitates the embodiment of Scripture in our concrete life. Thirdly, hermeneutics would render us open towards the Word of God as otherness and enable us to respect the plurality and unity of Scripture and eventually to listen to the viva vox Dei, the voice of the ultimate transcendent Other. For the Christian practice of reading Scripture and confessing Scripture`s authority, the Holy Spirit uses those hermeneutical insights, which seem to resonate deeply with the theological resources found in the Bible and the Christian tradition, not only in leading our interpretation to what God is really saying in and through Scripture, but also in wedding our performance of Scripture as closely as possible to our interpretation. Therefore, critically appreciating contemporary hermeneutical insights, we can reclaim and confess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the living word of God. In this study, I intend to stress the need to retrieve the dynamic hermeneutical relation between the authority of Scripture and the reading of Scripture and hence the need to reintegrate the hermeneutical dimension into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 KCI등재

        성경과 전통의 관계의 신학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명배(Myung-Bae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1 현상과 인식 Vol.35 No.3

        이 논문은 교회사 속에서 성경과 전통의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는 것이다. 종교개혁 이래 성경과 전통의 관계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의 대화에 있어서 논쟁적 주제였다. 로마 가톨릭 편에서 전통은 일반적으로 거룩한 성경 뿐 만 아니라, 전승에 의해 구전을 통해 전달된 신적 진리로 이해되어져왔다. 즉 로마 가톨릭 교회는 종교개혁기간 중 성경과 전통의 관계에 관하여 두 가지 원천이론을 주장하였다. 그것은 트렌트 공의회의 공식적 입장이었다. 반면, 개신교의 입장은 모든 인간적 전통들이 종속되어야만 하는 무오류하고 충분한 권위로서 오직 성경에만 호소하였다. 특별히 로마 가톨릭교회에 의해 주장되는 전통을 거부하면서, 개혁교회의 대표적인 신앙고백서 가운데 하나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8)는“오직 성경”을 주장하였다. 나의 연구에 따르면,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회의 관점들은 계몽주의의 도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계몽주의의 주체와 객체 사이의 엄격한 분리는 신학에도 적용되었다. 이러한 이분법은 특별히 성서학 분야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성경과 전통의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20세기에 일어났다. 그것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와 세계교회협의회의 몬트리올 신앙과 직제대회 보고서(1963)에서 일어났다. 몬트리올 보고서에 따르면, 성령의 인도아래 예언자들과 사도들에 의해 구전되고 기록된 전통은 성경을 형성하고 신구약 성경을 교회의 성경으로 경전화 하였다. 이것은 전승이 성경과 전통의 관계 속에서 성경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몬트리올은 전승, 성경, 전통들을 말한다. 전승은 교회에 의해, 교회 안에서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된 복음자체를 의미한다. 전통은 전승과정을 의미한다. 전통들은 다양한 표현의 형태들, 교파적 신앙고백들, 예를 들면 개혁교회 전통, 루터교 전통 등을 가리키는데 사용되었다. 비슷하게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의 계시론은 예수 그리스도를 계시자체로 선언하고, 복음을 성경과 전통의 근거로 선언하였다. 트렌트 공의회와 달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성경과 전통이 계시의 두 원천이 아니라, 하나의 근원에서 기원하였음을 선포하였다. 즉 로마 가톨릭과 WCC는 성경과 전통의 관계에 있어서 하나의 원천이론을 주장하였다. 이 논문에서 나는 교회사에 있어서 성경과 전통의 관계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변화는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도래를 통해 일어났다고 주장하였다. 특별히 이 패러다임 변화의 원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the paradigm shift of the relation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in Church History. “Scripture and Tradition” since the Reformation has been a matter of controversy in the dialogue between Roman Catholic and Protestant theology. On the Roman Catholic side, tradition has generally been understanding as divine truth not only expressed in the Holy Scripture, but also orally transmitted by the Tradition. Namely, the Roman Catholic had asserted the two Source theory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It was the official view of the tridentine Council(1546). The Protestant Position has been an appeal to Holy Scripture alone as the infallible and sufficient authority, to which all human traditions should be subjected. Specially, rejecting the “Tradition” advocated by Roman Catholic Church, Westminster Confession(1648) as one of representative confessions of Reformed Church had asserted “Sola Scripture”. According to My study, view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Reformed Church was influenced from the advent of the Enlightenment. the Enlightenment’s strict separ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was applied to theology. this “ditch” became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biblical science. However, the paradigm shift of the relation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had happened in the twentieth century. It was occurred at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65) and the Montreal report(1963)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ccording to the Montreal report, the oral and written tradition of the prophets and apostles under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led to the formation of Scriptures and to the canonizati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as the Bible of the Church. This means that Tradition precedes the Scriptures in relation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And also, It speaks of the “Tradition”, “tradition” and “traditions”. By the Tradition is meant the Gospel itself,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nd by the Church. By tradition is meant the traditionary process. The term traditions is used to indicate both the diversity of forms of expression and confessional traditions, for instance the Reformed traditions and the Lutheran traditions. Similarly, Dogmatic Constitution on Divine Revela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had declared Jesus Christ(Gospel) as the Revelation itself, and also pronounced the Gospel as the foundation of “Scripture and Tradition”. Apart from the view of the tridentine Council,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clared that “Scripture” and “Tradition” had not the two foundation of the Revelation, but originated from the One foundation(The Gospel). Namely, the Roman Catholic and WCC had asserted the One Source theory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In this article, I asserts that this paradigm shift of the relation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in Church History had happened through the advent Post-Modernism after the first World War. Specially, the cause of this paradigm shift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설교와 주석에 나타난 성서 해석의 실천적 원리와 실제에 대한 고찰

        홍성혁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이 연구는 존 웨슬리의 설교와 주석서에 나타난 성서 해석 원리와 실제에 관한 것이다. 웨슬리는 네 가지 해석 원리, 곧 성서, 이성, 체험, 전통에 의거하여 성서를 해석했다. 지금까지 국내의 많은 연구는 이 네 가지 원리에 관한 논의는 있었지만, 이 원리가 성서 본문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에 관하여 웨슬리의 설교문과 신구약 주해서를 통해 실제적으로 보여주지 못했다. 이 연구는 웨슬리가 구약성서와 신약성서 해석에 이 원리들을 실제로 어떻게 적용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점은 이 연구의 의의를 말해준다. 웨슬리의 글 속에서 나타난 성서 해석 원리는 다음과 같다. 웨슬리의 첫 번째 성서 해석 원리는 해석에 있어 성서 자체를 가장 중요시 한다는 데 있다. 성서 자체에 근거한 해석은 성서의 다른 본문과 모순되지 않으면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존중하면서 성서를 성서에 근거하여 해석할 뿐만 아니라 의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맥에 의거하여 해석하는 것을 뜻한다. 두 번째 해석 원리는 난해한 본문이나 다른 본문과 일관성이 없는 본문을 해석할 경우에 이성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비교‧평가의 방법을 사용하여 모순되는 본문의 뜻을 조화시키는 방법이다. 해석의 세 번째 원리는 체험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성서의 진리는 체험을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네 번째 원리는 전통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초대 교회 교부의 글과 같이 영감과 권위를 지닌 고대의 저작을 고증하고 자신의 해석과 비교함으로써 난해한 본문의 의미를 찾는 것을 말한다. 앞에서 보았듯이, 웨슬리는 성서를 가장 중요한 성서 해석의 원리로 여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구절이나 다른 구절과 모순이 되는 구절이 있으면, 이성과 체험과 전통과 같은 해석 원리를 통해 보완하였다. 이 과정에서 웨슬리가 모순되는 부분을 자의적인 해설‧첨가를 통해서 해결하려 한 점은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웨슬리가 보여준 네 가지 핵심 해석 원리는 성서 해석은 임의적으로 해서는 안 되며 원리적 토대를 분명히 해야 함을 잘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John Wesley’s principl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Wesley interpreted Scripture based on the Wesleyan Quadrilateral like Scripture, reason, experience, and tradition. But many studies in Korea have not yet shown concretely how the four principles can be applied to Scriptu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Wesley actually applies the principle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the New Testament. First, Wesley stressed the exploration of Scripture itself in interpreting Scripture. His exploration of Scripture can be grasped in three-fold dimensions. Scripture should be interpreted literally, if it be not contrary to some other texts. Scripture should also be interpreted according to Scripture, which Wesley calls the “analogy of faith.” In addition, scripture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its context, so that the meaning of Scripture may not be easily perverted. The second principle of the Wesleyan Quadrilateral is to employ reason in interpreting Scripture. It contributes to preventing unchecked interpretation of Scripture through the rationa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passages. The third principle of interpretation is to use experience. It refers to the importance of inner witness to the truth of interpretation. Wesley thought that the truth of the Scripture should not remain merely a process of thinking but be examined by experience in life. The fourth principle of interpretation is to use tradition. It refers to the inspired ancient writings like those of Church Fathers. Wesley found their writings helpful in clarifying difficult or vague passages. Wesley considered Scripture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interpretation. Nevertheless, he valued reason, experience, and tradition, below the authority of Scripture, in interpreting difficult and doubtful passages. The four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proposed by Wesley is still useful in preventing all manners of arbitrary interpretation of Scripture. While we put a high value on Wesley’s effort to interpret Scripture accurately, however, we should be wary of his deliberate insertion of words in interpreting difficult or doubtful passages.

      • KCI등재

        칼빈 신학을 통해 본 성경 권위와 해석의 상호관계에서 성령의 중심성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3 No.-

        후근대의 인식론적 위기 속에서 성경의 권위를 온전히 인식하고 그에 따른 신실한 해석적 삶을 살고자 애쓰는 복음주의자들에게 칼빈은 어떠한 유용성을 지니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변으로서 본 논문은 칼빈 신학에서 성경의 권위를 어떻게 재정립하고, 성경의 권위와 해석을 어떻게 상관적으로 통합시키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그러한 상관관계에서 성령의 핵심적 역할을 어떻게 강조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칼빈에게 성경은 죄로 인해 봉착한 인간의 인식론적 혼돈과 무능을 타개하고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가능케 한 구원경륜에서의 언약의 책이다. 성경은 무엇보다도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이기에 신적 권위를 교회나 인간의 이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입증(자증)한다. 하지만, 칼빈의 신학에서 성경의 자증적 권위는 성령의 내적 증거(testimonium Spiritus sancti)와 분리되지 않는다. 성령은 신자로 하여금 성경의 가르침을 하나님의 진리로 믿게 하고 구원의 확신을 갖게 한다. 마찬가지로 칼빈의 신학에서 성경의 권위와 해석은 밀접하게 연관되어서 서로로부터 떼어서 말할 수 없다. 성경의 권위는 성경의 신적 저자이자 참된 해석자이신 성령의 조명으로 그 내용을 깨달음으로써 더욱 확고히 고백될 수 있다. 칼빈이 계승한 종교개혁의 해석학적 원칙인 성경 자해석과 성경의 명료성은 성경해석에 있어서 성령의 중심성을 상기시켜준다. 성경 자해석의 원칙은 결국 하나님이 스스로 맞추어 주시는 말씀을 통해서 하나님을 뜻을 소통시키시는 성령의 해석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성경의 명료성은 믿음 공동체의 해석학적 미성숙함과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성경 안에서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게 하는 성령의 능력으로만 가능한 것이라는 종교개혁자들의 확신이다. 이러한 주장을 통해서 칼빈은 성령을 교회라는 형식적 기관에 내재화하고 순치시킨 로마교회의 신학적 주장을 반박하고 바로 잡으려 하였다. 칼빈은 성령의 임재와 역사가 자신을 굳게 결속시킨 외재적인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What is the relevance of Calvin to evangelical Christians, who try to chart the way beyond the postmodern epistemological crisis, for a full acknowledgement of Scripture`s authority and accordingly a more faithful hermeneutical life? As an answer to that question, in this paper I look into Calvin`s thoughts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y of Scripture and its interpretation, and particularly his insight of the pivotal role of the Holy Spirit. For Calvin, Scripture is the book of covenant in the trinitarian economy of redemption, which can undo human being`s epistemological impotency by the corruption of sin and bring the actual possibility of genuine knowledge of God. Scripture is above all the Word of God. Scripture does not derive its divine authority from outside such as the church or the reason, but from itself, and thus ‘self-authenticating’. In Calvin`s thought, however, the self-authentication of Scripture is never isolated from the internal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us believe the teachings of Scripture as the truth of God and leads us the trust and assurance of salvation. According to Calvin, the authority and the content of Scripture are so interrelated closely as to confirm its authority by its content illuminated by the Holy Spirit, who is the divine Author and the authentic Interpreter of Scripture. The Reformation`s hermeneutical principles of the self-interpretation and clarity of Scripture also remind us of Calvin`s emphasis on the pivotal work of the Holy Spirit. The self-interpretation of Scripture is none o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the Holy Spirit, through whom God`s self-accommodating Word can serve God`s self-communication. Likewise, Scripture can be clear only due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it possible for the faith community to hear the living Word of God in Scripture, in spite of its hermeneutical immaturity and vulnerability. By all these, Calvin sought to rebuff and correct Roman Catholic position to domesticate and internalize the Holy Spirit within the formal institution of the church. Instead, Calvin insisted that the Holy Spirit wills to be conjoined with Scripture by an indissoluble bond, the external Word of God, and, by means of that Word, wills to make His presence and to work for the salvation of believers.

      • KCI등재

        유가경전에서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구현 사례

        김병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3 No.-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교사의 전문성과 학습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유가경전 텍스트의 핵심역량 함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유가경전에서 핵심 역량을 선정하고, 교과서에서의 진술 방안을 논의하고, 유가경전에서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유가경전 수업에서 ‘자기 관리 및 계발 역량’이 가장 잘 길러진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유가경전 수업 이후 학생들이 느끼는 감정은 부정의 감정 상태에서 긍정의 감정 상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가 경전을 유가경전으로 모두 수정함. 유가경전 학습을 통해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가 유가경전 학습에 대한 내용의 전문성, 교수ꞏ학습의 전문성, 평가의 전문성을 길러야한다. 또한 단편 지식을 암기하는 교육이 아니 라, 유가경전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상황과 맥락 속에서 선택, 조절, 조합, 통합하는 메타인지와 문 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수행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역량이 지속적으로 제고될 수 있도록 소규모의 참여형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가경전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장기적 과제로는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한 중ꞏ고등학교 한문 학습용 유가경전 텍스트의 표준화와 유가경전에서의 역량 세부 지표를 제작하는 것 등이 있겠다. In competence oriented curriculum,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learning capability is required more than ev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plan to cultivate core competence of Chinese literature and Confucian scripture text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this research selected core competence among Confucian scripture texts, discussed the statement method of textbook, and suggested a method to cultivate core competence out of Confucian scripture. Students appeared to cultivate ‘self-management and improvement competence’ well in Confucian scripture class. Also, the emotion that the students felt after Confucian scripture class showed change to positive state from negative state. To cultivate core competence through Confucian scripture class, first, teachers should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Confucian scripture study, professionalism in teaching・ learning, and professionalism in evaluation. Also, instead of simply memorizing fragmentary knowledge, teachers should cultivate meta-cogni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to select, adjust, combine, and integrate in the new situation and context through Confucian scripture study, and increase the capability to create a new value. For this, the researcher considers small-group participatory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enhance teachers’ competence. As the long-term task for enhancement of Confucian scripture core competence, there are standardization of Confucian scripture text for middle・high school Chinese literature study use Confucian scripture text to reduce burden of study of learners and production of detailed index of competence of Confucian scripture.

      • KCI등재

        『만법전(萬法典)』에 실린 가사의 내용과 의의

        김탁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7 No.-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was first published in 1986 and then reprinted in 1994 and 1995. It gained widespread recognition as a mysterious text or a Buddhist document containing enigmatic content that deemed difficult to compreh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it was revealed that the book was published by the Dragon Flower Order, a Jeungsanist religion founded by Seo Baek-Il (徐白一). Therefore, the various texts included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can be classified as ‘Songs of Jeungsanism’ (Jeungsan-gyo Gasa 甑山敎歌辭).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often mention terms unique to the Jeungsanist orders, such as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presiding over cures’ (醫統), ‘Degree Number’ (度數), ‘the West God’ (西神), ‘the nobility of heaven’ (天尊), ‘the nobility of earth’ (地尊), ‘the nobility of humanity’ (人尊), ‘ruling the world for 50 years’ (治天下五十年), and ‘the era of Resolving Grievances (解冤時代).’ It also discusses the birthplace and birth date of Kang Jeungsan, his family name, and the duration of his existence. The contents directly quote the words spoken by Jeungsan and incorporate them into songs. They also mention unique Jeungsan terms such as ‘Five Immortals Playing Baduk’ (五仙圍碁), ‘open-weight wresting match,’ ‘birth, growth, harvest, and storage’ (生長斂藏), ‘the god who listens to words’ (言聽神), ‘pillar of foundation’ (基礎棟樑),’ ‘Ocean Seal’ (海印), and ‘the higher gods’ (上計神). It is also notable that some verses of Chinese poetry that Jeungsan taught his disciples are directly quoted in this scripture. Furthermore, the scripture shows traces of Buddhist salvational beliefs; particularly those that emphasize faith in Maitreya Bodhisattva (彌勒信仰). However,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differs from traditional Buddhist beliefs in that it anticipates and emphasizes the birth of a specific individual endowed with the power and abilities of Maitreya Buddha. While emphasizing Maitreya Buddha (彌勒世尊) and the Dragon Flower Gathering (龍華會上), the scripture also specifically mentions Geumsan-sa Temple (金山寺) located on Mount Moak (母岳山) in North Jeolla Province, and these details are sung about in a special manner. This positive portrayal serves to affirm the belief of followers that Jeungsan, centered around Geumsan-sa Temple, was an incarnation of Maitreya Buddha. Moreover,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subtly asserts that Seo Baek-il, the leader of the Dragon Flower Order, who is mentioned in the scripture, is the absolute savior who has come to this world in place of Jeungsan. In support of this teaching, his birth date, birthplace, years of imprisonment, release date, and honorific name (號) are all recorded in precise detail. 『만법전(萬法典)』은 1986년에 처음으로 간행되었고, 1994년과 1995년에도 재간행되어 정체를 알기가 어려운 신비한 내용을 지닌 수련서 혹은 불교 계통의 서적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이제 『만법전』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증산교단(甑山敎壇)의 한 파인 서백일(徐白一)의 용화교(龍華敎)에서 간행한 책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만법전』에 실린 여러 가사는 ‘증산교가사’로 규정할 수 있다. 『만법전』에 실린 가사에는 천지공사(天地公事), 의통(醫統), 도수(度數), 서신(西神), 천존(天尊), 지존(地尊), 인존(人尊), 치천하오십년(治天下五十年), 해원시대(解冤時代) 등 증산교단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용어들이 많이 언급되었고, 증산의 탄생장소, 탄생 시점, 성씨, 생존 기간 등이 읊어져 있다. 그리고 증산이 했다고 전하는 말을 그대로 인용하여 노래하였고, 오선위기(五仙圍碁), 상씨름, 생장염장(生長斂藏), 언청신(言聽神), 기초동량(基礎棟樑), 해인(海印), 상계신(上計神) 등의 증산 고유의 용어에 대해서도 읊고 있다. 특히 증산이 제자들에게 외워준 한시(漢詩)의 일부 구절이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한편 『만법전』에는 불교적 구원관도 확인이 가능한데, 특히 미륵신앙(彌勒信仰)을 중점적으로 노래하였다. 그런데 『만법전』은 전통적인 불교의 미륵신앙과는 다르게 미륵불의 기운과 능력을 지닌 특정한 인물의 탄생을 예고하고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미륵세존(彌勒世尊)과 용화회상(龍華會上)을 강조하면서도 전북에 있는 모악산(母岳山) 금산사(金山寺)를 특별하게 읊고 있어서 금산사를 중심으로 한 증산이 바로 미륵불로 오셨다는 증산교인들의 믿음을 긍정적으로 노래한다. 나아가 『만법전』에는 용화교(龍華敎)의 교주인 서백일(徐白一)의 탄생일, 탄생장소, 수감년도, 출옥 시기, 호(號) 등이 언급되어 있어서 이미 세상을 떠난 증산을 대신해서 이 세상에 나온 구원의 절대자가 바로 서백일이라고 은근히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전경(典經)』의 기사(記事)를 통해 살펴본 대순사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경』 속 인물을 중심으로

        박건우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7 No.-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典經)을 중심으로 전경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대순사상적 의의와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경은 상제의 말씀에 대해서 그 신앙과 행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경의 말씀을 따른 종도의 기억을 통해 구성되었다. 즉, 전경은 상제의 종교적 행위와 가르침을 담고 있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으로 이해된다. 이는 「행록(行錄)」, 「공사(公事)」, 「교운(敎運), 교법(敎法)」, 「권지(權智)」, 「제생(濟生)」, 「예시(豫示)」 등 총 7편 17장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상제의 일생을 담은 행록과 교운 및 교법 그리고 예시 등에서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 행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편에서는 상제의 가르침과 신앙적 행위를 서술하며, 다양한 역사적 인물의 생애와 내용을 들면서, 대순사상의 요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들의 소개가 각 편에서 나타남으로써, 전경의 말씀과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적 대순사상의 종교적 가치와 연계하여 전경에 소개된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대순사상의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전경』 속 인물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대순사상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various figur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ir contents.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is a record of the beliefs and deeds of Kang Jeungsan, composed through the memories of the followers of Kang Jeungsan who followed the words of The Canonical Scripture. In other words, The Canonical Scripture is understood as the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that contains the religious deeds and teachings of Kang Jeungsan. It is divided into seven parts and 17 chapters. Those seven parts, some of which contain more than one chapter, are as follows: Acts, Reordering Works, Progress of the Order, Dharma, Authority and Foreknowledge, Saving Lives, and Prophetic Elucidations. In particular, The Canonical Scripture records the deeds of historical figures from both China and Korea, and this prominently includes the life history of Kang Jeungsan, and this is an especially pronounced feature of the sections Acts, Progress of the Order, and Prophetic Elucidations. In addition, each chapter describes the teachings and faith-inspiring acts of Kang Jeungsan and presents the gist of the Daesoon Thought while referring to the lives and actions of various historical figures. In this paper, introductions to the figures that appear in each section are provided to help readers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major figures introduc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values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is, a contribution is mad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Daesoon Thought by specifically explor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figures who appear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is is a surprisingly underdeveloped area of study in Daesoon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