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변화의 방법으로서 학교문화 변화전략

        이정선 ( Jeong Seon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학교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학교문화나 학교문화 자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러한 문화를 의도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교육인류학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교를 바꾸기 위해서 학교문화의 변화가 중요함에도 학교개혁의 연구에서 많은 부분 학교문화가 간과되었다는 점, 학교변화의 조건으로서 학교문화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 학교문화의 변화 가능성 및 속도, 학교변화의 형태로서 구조적 변화와 규범적 변화, 그리고 변화의 전략으로서 목표, 내용, 방법을 학교문화 관련 자료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중요한 것은 학교문화를 변화시키는 일이고, 학교문화의 변화 동인으로서 학교장의 상징적 리더십과 연구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구조적 변화 보다는 구성원의 의식, 사고, 행동의 변화를 강조하는 규범적 변화를 통하여 성공적인 학교문화 만들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학교문화 변화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가 반성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One of the Anthropological concerns on school has been focused the changing strategies of school culture. The theme has been discusse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cultural phenomena and realities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changing strategies of school culture, consequently to shape the successful culture in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reanalysis of relative data, the study has discussed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to restructure the school, the possibility and the degree of change in school culture, the type of school change(structural change and normative change), and the strategies of school change(purpose, content, and methods).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key is the school culture.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o implement the change of school is to change the school culture. The embryo of the school change initiates from the symbolic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 as a researcher. In this sense, normative change of the people(esp. principal and teacher) in school, which emphasizes the changing the way of thought, way of seeing, way of behaving in school rather than the structural change, is the sine qua none for the successful school.

      • KCI등재

        가족변인의 변화와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 변화

        이여봉(Yeobong Lee)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본 연구는 가족변인의 변화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주목하고, 그 연관성에 있어서 성별 및 발달단계 그리고 학교 적응성의 하위범주 청소년과 상위 범주 청소년 간에 어떤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 2차 연도와 5차 연도에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본은 2차 연도에 초등학교 5학년이었고 5차 연도에 중학교 2학년이 된 학생들과, 2차 연도에 중학교 2학년이었고 5차 연도에 고등학교 2학년이 된 학생들, 그리고 그들의 주양육자이다. 학교 적응성은 학습태도, 교칙 준수성,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4 차원의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가족관계를 양육행동으로, 가족배경을 거주지와 양육자의 취업 여부 및 한 부모 여부 그리고 가족수입 등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변인들에 있어서 3년의 시차를 둔 변화정도에 주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 및 Chi-검증 그리고 일반최소자승 회귀분석(OLS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이 높은 청소년의 경우 최종값 역시 높지만 그 개선 폭은 좁거나 오히려 감소 폭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이 낮은 청소년의 경우 개선될 여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행동의 온정성 및 그 변화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이 상위 범주인 청소년들의 경우에 더 일관적이긴 하지만 하위범주인 청소년들의 경우에도 학습태도를 제외한 나머지 세 영역에서 상당한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양육행동의 변화만큼은 아니더라도, 가족배경의 변화 역시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 변화와 다양한 모습으로 연관되었다. 이는 개별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단계 및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에 대한 판단에 따라 양육행동 및 가족배경 변수 중 일부를 적절히 변화시키는 맞춤형 전략을 통해, 학교 적응성의 저하를 막고 개선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changes of family variables affect the change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It also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between younger and older adolescents, and between the two categories of initial school adjustment leve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Panel Data of Child and Youth - Wave 2 & Wave 5,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es are those who were the 5th graders in wave 2 and became the 8th graders in wave 5, and those who were the 8th graders in wave 2 and became the 11th graders in wave 5. The school adjustment was estimated in four dimensions: the study attitude, the compliance to school rules,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 utilized t-test, ANOVA, Chi-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The adolescents who were initially higher in school adjustment level, also show higher score in the final school adjustment. Even so, those who were initially lower i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have higher potentials of change.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the change of it have more consiste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changes of school adjustments in the higher level category.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the change of it in the lower level category als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changes in the three dimensions of school adjustments, but not in the study attitude dimension. The family backgrounds and the changes of them also revealed various relationship to the changes of school adjustments. Therefore, this study offers that the intensionally designed change of child care and the planned change of the family background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level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 KCI등재후보

        학교변화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양성관,이승덕,전상훈 한국교육정치학회 2010 敎育政治學硏究 Vol.17 No.2

        New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call on schools to make a change as well to nurture creative and competent people. Actually, there have been lots of efforts to change schools, but it's just been a passing phenomenon in many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achers perceived changes in school while they witnessed the rearran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changes in work handling and teaching methods in a bid to seek ways of having their efforts bear fruit, since they underwent a lot of tough chang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both top-down and bottom-up changes in school. Any attempt to give a change to school would strike a snag if teachers aren't persuaded to reach a consensus. Second, teachers should accurately be informed about what for and in which way schools have to change in order to prevent any possible anxiety or conflict. They should be given a fuller explanation if a more far-reaching and tough change is required. Third,schools could make a more successful change when there is a better personal tie-up among school members. If promotion is taken advantage of as a means to change a school, it will trigger conflicts among teachers and draw a backlash from them, which results, in turn, in deterring it from changing. Fourth, a successful change requires enough time and good strategies. Heavy workload takes teachers away from meditating and thinking, as they say that less is more. In conclusion, making a change in school is a journey that every member takes together, and that will be crowned with greater success when every teacher joins forc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변화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학교변화를가능하게 하는 혹은 학교변화를 가로막는 변화 실행방안의 특성들을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의 상대적 이익, 변화의 적합성, 변화의 복잡성 등 세 가지 변화의 인지된 특성이라는 관점에서 연구 참여자에 대한 면담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변화의 상대적 이익에 대하여교사들은 교과교실의 도입으로 7차 교육과정에 맞는 수준별 수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고인식하였다. 그러나 일부 과목에서 시설부족으로 인하여 수업 내용의 질적 향상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둘째, 변화의 적합성에 대해서 교사들은, 연구학교가 목표로 추진한 변화의 실행방안들이 교육수요자들의 요구인 수준별 수업과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어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가치나 요구에도 매우 적합했던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변화의 실행방안과 관련된 업무량이 너무 많아서, 이에 따른 시간 부족으로 수업개선이나 교재개발에 소홀하게 되어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에 부적합했던 점을 지적했다. 셋째, 변화의 복잡성에 대하여 연구학교의 운영에 참가한 교사들은 일을 하면서 서로 느꼈던 심리적 갈등을 가장 힘겨워 했다. 그리고 학교 변화의 실행 프로그램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 하였으며, co-teaching이나 Team-teaching 등의 수업 방식에 대해서도이해가 안 되어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힘들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학교변화의 목적과수단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심어주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명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변화의 복잡성을 줄이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principal's leadership style on support for innovation: evidence from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change

        박주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3 No.1

        A climate of innovation and principal leadership in schools are regarded as significant factors in successfully implementing school change or innovation.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limate supportive of innovation and the principal's leadership has rarely been addressed to determine whether schools successfully perform their intended change. In this ve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on the teacher's perceived school climate in terms of support for innovation. The participants were 981 full-time teachers in 32 public vocational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o examine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principals that promote a school climate supportive of innovation, both traditional multiple regression and HLM analyses were conducted and compared to the estimated effects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s a predictor at both the teacher level and the group level. While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of school type and principals' demographics were considered,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leadership style of the principal significantly affects how the teachers perceive the school climate in terms of support for innovation. More specifically, the findings of the study assert that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s an Initiator or a Manger, rather than a Responder, can provide support for an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enhances innovation in schools. Additionally, evaluating the government's change initiative, the study illustrates that the government's top-down mandate requiring schools to change was not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climate supportive of innovation in schools.

      • KCI등재

        교사의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 타당도 검증

        박주호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If teachers do not make sense or agree with why school change or resists implementation, change implementation will not succeed. Therefore, the extent to which they resist to school change or innovation is critical in the implementation of a successful school change (Reimer & McGinn, 1997). However, there has been a paucity of empirical study of measuring teachers' resistance to change in regard to leading a successful school change. In this vein,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validity of a model to measure teachers' resistance to change. The participants were 1152 full-time vocational and academic teachers in 37 vocational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instrument developed by Oreg(2003) was used in this study. To test its validity in CFAs, a hypothesized hierarchial factor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hypothesized model was tested using bo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multi-group CFA.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CFA reveal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 structure, factor loadings, error variance, and factor variances were not detected across two different teacher groups (Vocational and academic). Strong evidence was provided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o measure the extent of resistance to change in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also supported the notion that the model to measure resistance to change in organizations, initially developed against the background of American culture, can apply to a Korean school context, reflecting Asian culture. 학교변화나 혁신에 있어 그 핵심 구성원인 교사의 저항정도가 변화를 성공적으로 집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한편, 교사 개인의 변화에 대한 인식 정도,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저항적 태도를 보이는 가를 개념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측정도구 개발이나 그 측정모델 검증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못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국의 37개 전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1,152명의 정규교사를 대상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우선 미국에서 기 개발된 저항측정 질문지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변화에 대한 저항측정의 위계적 요인모델을 수립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우리나라 전문계고교 교사들은 가설로 설정한 저항측정의 위계적 요인모델에서와 동일하게 4가지 요인, 즉 1)일상생활 반응, 2)정서적 반응, 3)단기적 사고, 그리고 4)인지적 일관성에 16개 저항측정 항목들을 각각 뚜렷이 구분․반응하고 있음을 확인적 요인분석기법을 통해서 밝혔다. 둘째, 두 그룹 확인적요인 분석 결과는 교사교육 내용, 교직경험 등 여러 면에서 성향과 특성이 다른 전문 교과와 일반교과 교사 집단들 간에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 요인의 동일성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에서 개발된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이 우리나라 전문계고교를 배경으로 해서도 강한 구성 타당도가 입증되는 증거들을 제공하였으며, 우리나라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박나실 ( Nashil Park ),장연우 ( Yeon Woo Chang ),소경희 ( Kyung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Interest in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has proliferated in school reform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studies about such communitie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mid-2000s. Because existing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changes in teachers, however, they have not yet clarified how teachers’ changes affect overall school change.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chool-base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the relation to school change. By utilizing a case study o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this study investigates how such a community is forged and developed, and contributes to school change. The study finds that the community serves a critical function in changing the school, as it provides a foundation upon which teachers share their ideas and practice them together in order to address “our school’s” problems. In particular, the study shows that the roles of teacher l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flexibility of community organizations are all essential to the community function.

      • KCI등재

        The effectiveness of charter school: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changes

        정제영,신인수,Heesook Lee 한국교육개발원 2009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tudent achievement between charter schools and other public schools us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effects of charter schools on student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are mixed and unclear. According to this research synthesis of 395 mean‐change effect sizes of 13 studies, charter school students’ test scores over time a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ublic schools by 0.06 standard deviations. Furthermore, the results of fixed‐effects regression analysis by duration reveal that the coefficient is positive. Although it is a small difference,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learning gains in charter schools are higher than other public school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tudent achievement between charter schools and other public schools us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effects of charter schools on student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are mixed and unclear. According to this research synthesis of 395 mean‐change effect sizes of 13 studies, charter school students’ test scores over time a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ublic schools by 0.06 standard deviations. Furthermore, the results of fixed‐effects regression analysis by duration reveal that the coefficient is positive. Although it is a small difference,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learning gains in charter schools are higher than other public schools.

      • KCI등재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우정애 ( Jung Ae Woo ),남영숙 ( Young Sook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을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한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과학과 교과시간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은 8개의 주제가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및 대응방안 등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기후변화가 가지는 지구시스템 과학 교육의 특성과 지속가능 발전 교육의 통합적인 특성을 반영하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이해 수준 및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실천 의지의 향상에 기여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apply the program,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mprove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ability to take action about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cover eight topics. The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contained the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the cause of climate chang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 climate change measurement system. These content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global science education syste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econdly, the results of the program`s application showed that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levels of students, awareness, attitude towards, and the will of students to act in accordanc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의 실행: 관련 요인과 과제 - 초등혁신학교의 초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박상완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through innovation schools and to explore the model of school innovation. For this purpose, I systematicall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by using the change model of Fullan (2016/2017) as an analysis framework, with the examples of the seven preliminary reform schoo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hange (necessity, clarity, complexity, quality), the context of the region (role of office of education, community, parents, principals, teacher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d o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However,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is relatively smal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as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school innovation needs to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meaning sharing, changes within the school, school-based change, overall systematic change, and diffusion of change. Second, it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promotion should be based on a dynamic and flexible change model instead of the linear model among preparation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posterior (sustainable)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change and school innovation models. 이 연구는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교육변화)의 실행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ullan (2016/2017)의 교육변화 모델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K 교육청 7개 초등 예비혁신학교의 학교혁신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 운영(실행)에서 변화의 특성(필요성, 명확성, 복잡성, 질), 지역적 맥락(교육청, 지역사회·학부모, 교장, 교사의 역할), 외부 요인(중앙정부 등)이 영향을 미치나, 그 정도는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학교 정책이 시도교육청 중심으로 추진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첫째, 학교혁신은 의미 공유, 학교 안의 변화, 학교 주도, 전반적 변화, 외부 확산 등의 방향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교혁신 추진과정은 준비(도입), 실행, 사후(지속) 단계 간 역동적·유연한 변화 모델에 기반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혁신학교를 사례로 분석한 것이나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의 실행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 것으로 교육변화, 학교혁신에 관한 이론적·실제적 논의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과 학교의 변화

        서봉언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change in high schools in the processing of introducing, accepting, implementing and improving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by analyzing the storie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hool culture in high schools did not change much, and the reason was the college entrance exam. However, some teachers have begun to show signs of change. In other words, high schools were undergoing a period of transi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ep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ir career, teachers began to communicate a lot, and began to have a mind as a manager of the class. Students attending a high school implemented the credit system are having a new experience. The learners were respected in the course of choosing and taking classes in person. Teachers were also aware that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the class than before because it was their own choice. It is also true, however, that students are restricted from choosing classes because they have to think about the CSAT. Second, the work that teachers have to take on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hanged in quantity and quality. Moreover, the application program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nconvenient, so all teachers are using private programs. There are many urgent tasks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ystem to settl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ddition, selfishness in the subject, solidity in the subject class, and hiring instructors were difficult poi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re were hidden efforts by the teachers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in practice. Various ideas were discovered and a venue was proposed to share trial and error among teachers.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urgent to nurture teachers who can take charge of multi-grades and multidisciplinary teaching, to clarify the criteria for hiring instructors, and to change the admission policy for local universities.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담당 부장교사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정책의 도입-수용-실행-개선의 과정 속 고등학교의 학교문화, 교사의 업무 변화, 학생의 변화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등학교 내 학교문화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대입에 있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의 변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즉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변화의 과도기를 겪고 있다. 고교학점제를 수용하며 진로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학생, 교사들 간의 협의 증가, 그리고 수업의 경영자로서의 교사 마인드 변화가 감지되었다. 특히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있다. 직접 수업을 선택하고 수강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존중받고 있으며, 본인이 선택한 수업이기에 이전보다 수업 집중도도 높아짐을 교사들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여전히 ‘수능’을 생각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수업 선택에 제약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사가 담당해야 할 업무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가 있었다. 더욱이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수강신청 프로그램은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 모든 교사들이 사설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등 고교학점제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 및 시설, 제도 개선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또한 교과이기주의, 공고히 되는 교과계급, 외부강사 채용의 어려움 등도 실행의 난점으로 등장하였다. 실행의 여러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였고, 교사들 간의 시행착오를 공유할 장 마련을 개선책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학년 다교과를 맡을 수 있는 교원 양성, 외부강사 채용 기준 명확화, 지역 대학 입시 전형의 변화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