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재해요양 이후 원직장복귀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와 고용 Vol.26 No.3

        본 연구는 산업재해요양 이후 원직장복귀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에서 구축한 제2차 산업재해패널조사(PSWCI)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산업재해요양 이후 원직장복귀자 45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넷째,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산업재해요양이후 원직장복귀자의 자아존중감 또는 자기효능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향상을 통해 그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that have returned to their original workplace after industrial medical care. For this study, data were drawn from the 2nd wave panel data provided at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It included 457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elf-esteem directly effected on life satisfaction. (2) Self-efficacy directly effected on life satisfaction. (3) Job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4) Job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that have returned to their original workplace after industrial medical care through improving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윤해옥(Yoon, Hae-Ok),최효식(Choi, Hyosi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7

        이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부터 4차까지 4개년도의 종단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네 시점에 걸쳐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교차지연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만족도와 부부갈등은 상보적 인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은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상호 영향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ur waves(2008-2011) of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First, it was found from the data of the four waves that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in the total four waves data. Seco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the prior job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the lat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significantly as well 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predicted the later job satisfaction. However, a reciprocal-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In addition, prior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ate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martial confli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longitudinal analysis of dynamic causa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인주 ( In Ju Cho ),구형선 ( Hyoung Sun Go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가교역자 6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생활만족도에 관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적 특성, 종교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생활만족도는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전체평균이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남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상급자 만족도, 직무만족도, 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사회적지지, 직무만족도,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In this stud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data collected from 601 Won-Buddhist ministers residing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how socio-demographic, personal,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above the mean. However, the mal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female respondents` level of i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superiors`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fe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n-Buddhist minist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원불교 성직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조인주(Cho, In 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성직자의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개인적, 조직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성직자들은 종교 단체를 운영 및 관리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들의 직무는 성직자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교인들과 조직, 더 나아가 지역사회로까지 확대되기에 더욱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목회자의 직무만족도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기독교 목회자 이외의 성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 성직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이상이었으며, 남성의 직무만족도가 여성에 비해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있어서는, 전체 연구대상자의 경우, 성별, 월수입, 소진, 교단 헌신도, 신앙?수행생활만족도, 상사만족도, 동료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여성 연구대상자의 경우, 월수입, 소진, 교단헌신도, 신앙?수행생활만족도, 상사만족도가, 남성 연구대상자의 경우, 소진, 교단헌신도, 동료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불교 성직자들의 직무만족도를 위한 실천적 함의 및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by examining how job satisfaction i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above the mea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ntire respondents revealed that gender, monthly income,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superiors’ satisfaction, and colleague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For the female respondents, it revealed that monthly income,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and superior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Lastly, for the male respondents, it revealed that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lleague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책만족도와 소통만족도 간의 영향요인 분석: 정부 소통노력의 직·간접적 효과를 중심으로

        윤수재,황태연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3

        The policy satisfaction survey on the presidential agenda, a policy task that the government focuses on, is of great importance in evaluating major government policies. Therefore, every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idential agenda system, Korea has investigated public satisfaction with the presidential agenda. Despite the importance of policy satisfaction for presidential agenda, academic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affect policy satisfaction with presidential agenda and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ose effects. Based on the necessity of such a study,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olicy performance factor(necessity, adequacy, and achievement of policies) on the satisfaction of the public with regard to presidential agenda.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atisfaction with the government's communication efforts. The analysis showed that policy adequacy, policy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affect policy satisfaction, and that some item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aken or strengthen the effect of policy performance factors on policy satisfaction.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o strengthen logical links between policy means and goals and to produce practical results, while managing expectations for policies by communicating based on accurate policy information. 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정책과제인 국정과제에 대한 국민만족도조사는 정부 주요정책에 대한 평가라는 차원에서 큰 의의를 지니며, 우리나라는 국정과제 체계가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매년 국정과제에 대한 국민만족도를 조사해오고 있다. 그러나 국정과제 정책만족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정과제에 대한 정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어떤 규모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의 필요성, 정책내용의 적절성, 정책효과의 달성도가 국정과제에 대한 국민의 체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정부의 소통노력에 대한 국민만족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책적절성과 정책달성도, 그리고 소통체감만족도가 정책 체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통만족도의 일부 항목이 정책 항목만족도가 정책 체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 혹은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책홍보 및 소통 노력에 앞서 정책수단과 목표 간의 논리적 연계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정확한 정책정보를 바탕으로 소통하여 정책에 대한 기대수준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직장기혼여성의 부부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진영(Song, Jin-Yeong),황치정(Hwang, Chi-Jeo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40

        본 연구는 직장기혼여성이 가정에서 겪는 남편과의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이들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1년 여성가족패널 3차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0.0을 이용하여 이들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부갈등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사노동분담만족도는 부부갈등과 직무만족도 간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생활을 하는 기혼여성들이 가정에서 남편과의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을 높임으로써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gainst married women with job. To achieve the goal,?2011 Woman Family Panel Survey Data?was utilized for analysis. SPSS were applied in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artial conflict had nega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2)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presented as a positively moderator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 got the information as follows. The more the married woman with job has experienced a conflict with a husband in home, the less job satisfaction appears. The confirmation that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are an excreted that raises job satisfaction as a moderator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is very significant. At this situation, I proposed some pla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rough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elevations.

      • KCI등재

        연령과 삶에 대한 만족도

        정명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 total of 1,067 participants (145 middle school students, 135 highschool students, 184 university students, 465 adults, and 138 older adults) took part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wo scale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veloped by Diener et al.(1984) to assess their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a scale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in each of four domains of life. Physical, material, social, and productive domains of life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e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was the highest for the older adults and the lowest for the highschool students. A similar pattern of the results was obtained for satisfaction in material, social, and productive domains of life, whereas not the older adults but the middle and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be the most satisfied in the physical domain. Second, among 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examined, socioeconomic statu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four domains of life as well as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Third, the age variable was found to interact with several other demographic variables: They were gender by age interaction i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productivity; education level by age interaction in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health; and family type by age interaction in materi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Finally, for the younger as well as the older people, satisfaction in material and productive domains had great influences on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whereas satisfaction in physical and social domains had relatively little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고․대학생, 성인, 그리고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삶 전반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과 삶의 각 영역에서 느끼는 만족감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1) 삶 전반에 대한 만족감과 삶의 각 영역에서 느끼는 만족감이 연령에 따라 어떤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2) 경제수준, 교육수준 등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이 삶에 대한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각각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3) 전반적 만족도와 영역별 만족도는 어떤 관계이며 영역별 만족도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각각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노인이 가장 높았고 고등학생이 가장 낮았다. 영역별 만족도의 경우에도 물질, 사회, 생산 영역의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노인이 가장 높고 고등학생이 가장 낮은 양상을 보였으나, 신체영역 만족도는 중학생과 대학생이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더 만족하고 있는 편이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에서는 경제수준이 전반적 만족도와 영역별 만족도 모두에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다른 여러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간에 상호작용이 여러 군데서 발견되었다. 사회․생산영역 만족도에서는 성별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전반적․신체영역 만족도에서는 교육수준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그리고 물질․사회영역 만족도에서는 가족유형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끝으로, 모든 연령집단에서 물질영역과 생산영역의 만족도가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영역과 신체영역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기관별 만족도 비교 연구

        송재숙,정종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1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에게 제공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활동보조서비스(PAS)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기관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장애인복지관, 지역자활센터) 서비스만족도의 차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배경요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서비스제공기관에 따른 만족도의 측정에서는, 서비스내용만족도나 활동보조인 만족도에서 집단 간 차이에 대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기각되었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의 경우, 지역자활센터, 장애인복지관, 자립생활센터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배경요인의 분석결과, 자립생활이념의 이해정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용자의 IL이념의 이해정도가 높은 집단인 자립생활센터가 PAS 만족도와 서비스내용 만족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PAS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자립생활이념에 대한 이해정도가 영향요인으로서의 유의미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활동보조인 특성에 따른 만족도 요인분석에서 연령이 높을수록(40대 이상), 직업적으로는 전업 활동보조인일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보조인에 대한 만족도나 제공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활동보조인의 경력이 많을수록 낮게 분석되었다. 이는 경력자의 경우 활동보조인의 의사결정력이 커지면서 업무의 능숙함으로 인해 이용자의 욕구를 파악하려 하지 않는 등의 태도로 나타나면서 상호관계의 불균형이 일부 반영되어 전체적으로 서비스만족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PAS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활동보조인과의 관계, 코디네이팅, 필요한 시간에 활동보조인의 이용 여부, 이용자의 IL이념에 대한 이해정도, 활동보조시간의 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활동보조서비스 제도개선책으로, 활동보조인에 대한 IL교육의 강화, 장애인특성에 따른 활동보조의 대처기술 개발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PAS 기관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질적 서비스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aradigm of the welfare for disabled people is shifting from the approach of institute accommodation through deinstitutionalization and rehabilitation to the idea of independent living. As the paradigm shift, the key service for the heavily disabled people can live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 is PAS(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e final goal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people is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integration. Although many institutes(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gional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 provide PAS, the systematic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these institutions and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service satisfaction was rarely execu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PA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nstitutes providing PAS : We classified the institutes into 3 such as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gional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 We analyzed the results under the hypothesis of PAS satisfaction of PAS consumer will differ according to institute idea, operating type, and operating system. Meaningful results in satisfaction at service contents and personal assistant were derived between groups. 2. PA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ssistant :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ttendant is analyzed as high when personal assistant is old and personal assistant is a full time personal assistant or a house wife. Although the satisfaction at service contents is analyzed as high when personal attendant has long career as a personal attendant, the satisfaction at personal attendant and the institutes is analyzed as low. 3.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independent living: PAS consumer's satisfaction at the service contents, personal attendant, and the institutes is high when personal attendant understands the spirit of independent living well. Whereas the satisfaction at personal attendant and the institutes is low when PAS consumer understands the idea of independent living well. So, PAS satisfaction is degraded. 4. The factors affecting PAS satisfaction: The factors affecting PAS satisfaction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 consumer and personal attendant, coordinating, and using personal attendant when PAS consumer needs personal attendant. The most powerful factors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 consumer and personal attendant, and coordinating.

      • KCI등재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권혁기(Kwon, Hyukki),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일치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변수 간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년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6GOMS)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만족도는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대학 재학 중 경험한 전공교육과 교육인프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에서 부여받은 업무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일치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일치도에 따라서도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여성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취업 후 직장에서 경험하는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남성 대졸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일한 교육을 경험하더라도 성별 변인에 따라서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대학은 재학생들이 취업 후 만족스러운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제고에 힘쓰면서도,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성과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그 원인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합한 대학 운영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job match,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and to find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paths between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data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6GOMS) for college graduates in 2017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fter employ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educ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experienced while attending colle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 assigned. Second, job matching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partial parametric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may directly affect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but indirectly, i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match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had a relatively higher static impact (+) than male college graduates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experienced at work after employment. This means that even if the same education is experienced, the effect on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gender variables. In conclusion, universities should work h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after employment, but should closely examine the causes of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performance.

      • KCI등재

        회계교육만족도에 관한 분석:수강자 특성과 교수법을 중심으로

        김주은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e course of the financial accounting. We aimed at seeking the improved direction of the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through which students w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financial accounting major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s.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satisfaction and according to genders. In the case of females, they were analyzed by low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major learning satisfaction compared to males. Retaking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first student. This is likely due to the upper limit of credit about retaking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analyz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ajor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urse objectives. The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redit that is lower than student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certification. Dependence on student’s learning metho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eaching methods. And lectures and semina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jor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student presentations, discussions had shown a very low satisfaction with teaching satisfaction and major learning satisfaction. So the professor will induc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you need to run a proper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may explore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accounting by reflecting the student’s needs. 본 연구는 재무회계 분야의 주요과정을 이수한 회계전공 교과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재무회계 학습에 대한 교육만족도를 분석하여 기대교수법 및 재무회계 강의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 간 재무회계 전공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4학년생의 재무회계강의에 대한 전공학습만족도가 타 학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고급회계강의 등 상급과목에 대한 학습과정 및 수준의 적절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둘째, 성별 간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강의만족도와 전공학습만족도의 수준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과거 선행연구에서 특정의 방향성을 살펴볼 수 없는 다양한 결과들이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전반적인 교육만족도 부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임으로서 강의방식과 학습수준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셋째, 일부의 선행연구에서 회계원리 등의 기초과목에 대한 회계전공 및 경영계열 학생의 우수성이 입증된 바 있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전공에 따라 강의만족도와 전공학습만족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평가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수강목적에 따라 강의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점이수 목적의 수강생은 교수 강의 시 적절한 미디어의 사용, 사례제시 및 전공지식의 정확한 전달력에 대해 자격증 취득목적의 수강생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교수법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분석결과, 학생들의 강의법에 대한 의존도가 타 교수법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전공학습에 대한 세미나 운영이 교육만족도와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참여가 필요한 학생발표, 토론 등의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강의만족도와 전공학습만족도에 매우 낮은 만족감을 나타냄으로서 학생들 스스로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고 이에 대해서도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