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渤海 上京城 佛敎寺院址의 建立年代와 佛像 奉安의 復原

        양은경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지금까지 조사된 상경성 寺院址에 대해 소재지, 발굴과 시굴 년대, 조사기관, 조사대상, 구체적인 조사내용, 출토유물에 대해 종합정리하였다. 특히 1933ㆍ1934년 발굴된 제4, 5, 6사지와 1964년 발굴조사된 제1, 9사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조사내용을 언급하였다. 기존 학계에서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寺院址名, 소재지, 건물지 크기, 출토유물의 출토지점, 출토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종합정리하였다. 상경성 제5, 6사지에서처럼 방형의 불단이 불전 중앙에 설치된 것은 중국의 7세기 말∼8세기대 사찰 건축물, 석굴과 관련이 보이며 제1, 9사지의 ⩎형 불단이 설치된 예는 당나라 7세기대 궁전 건축물과 유사성이 확인된다. 더욱이 8세기 후반∼11세기 사찰 건축물, 석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보였다. 상경성 제4, 5사지에서 출토된 소형 소조상(전불)의 양식은 下代 新羅 혹은 唐末五代시기로 편년될 뿐만 아니라, 기타 상경성 사원지에서 발견된 금동불, 석불상의 조각양식 역시 羅末麗初나 唐末五代로 비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상경성 발해 사원지는 상경성이 발해의 수도로 사용된 755∼785년, 794∼926년의 기간 중 마지막 수도로서 사용된 794∼926년에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음을 시사한다. 상경성 사원지 금당에서 불상의 봉안원형과 공간조성에 대해 동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복원안을 추정해 보았다. 제1, 9사지의 불단(안칸)에 마련된 벽면은 보조기둥과 외, 진흙을 바르고 회칠로 미장하여 벽체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안칸(불단) 벽체의 제작기법은 삼국시대 백제에서 예가 확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한대∼당대, 동시기 일본 사찰 건축물의 벽체에서도 보인다. 상경성 제1, 4, 5, 6, 9사지 불전에서 안칸, 바깥칸으로 구별되고 바깥칸을 비롯한 안칸에도 벽체가 설치된 것은 당대 불교사찰에서 유사한 예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제1, 9사지에서처럼 보조기둥, 외, 진흙으로 조성된 안칸 벽체는 동시기 기타 예에서 쉽게 찾기 힘들었고 더욱이 제4, 5, 9사지에서처럼 불단과 벽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된 점 혹은 제9사지와 같이 보조기둥ㆍ외ㆍ진흙의 벽체가 안칸의 네 면을 모두 둘러싼 예는 지금까지 비교대상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제1, 4, 5, 6, 9사지 불단 주위에서 출토된 대형, 중형의 소조상편들을 통해 불대석에 봉안된 주불상과 협시상은 소조상이라고 추정하였다. 또한 제4, 5사지에서 출토된 소형의 소조상(전불)들의 원래 봉안처에 대해서는 주불상 광배에 부착된 화불, 안칸 벽면에 꽂혀졌을 가능성, 안칸과 바깥칸 사이 혹은 안칸의 벽면과 불단 사이의 공간에 안치되었다는 세가지 추정안을 제시하였다.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두 번째, 세 번째 추정안이 설득력 있었고 세 번째 추정안, 즉 따로이 마련된 불단에 전불이 안치되었다는 내용이 더욱 原狀에 가깝다고 추론하였다. The mainstream of scholarly discussion on the investigation of the buddhist templ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on Sanggyeongcheng City of Balhae was carried out. In Chapter Ⅱ, I arrange synthetically about the location of the Sanggyeongcheng City buddhist temples that were excavated up to the present, the year of excavation and trial pits, research institutions, research objects, definite contents and excavated materials. Especially, I mention the specific substances about the 4ㆍ5ㆍ6 temple sites which were excavated in 1993ㆍ1994 and the 1ㆍ9 temple sites which were excavated in 1964. I also arrange collectively the names of the temple site, locations, the size of the buildings, the spots of excavated materials and the excavated circumstances to colligate things which were mixed through the academic world. In Chapter Ⅲ, I observe the Building history of Sanggyeongcheng City buddhist temples through Buddhist altars and shrines. Like the 5․6 temple sites, the Buddhist altar of square on the middle of the Buddhist shrine is similar to temple structures and stone caves of the late of 7C~8C in China. The Buddhist alter of ⩎style in the 1․9 temple sites is similar to palace structures of the 7C in Tang Dynasty, but they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temple sites and stone caves of the late of 8C ~ 11C. Furthermore in the 4․5 temple sites, the style of small modeling is in the latter period of Silla or the latter period of Dang and Five dynasty, and also the gilt bronze statue of the Buddha and the style of the stone statue of the Buddha which were excavated in other Sanggyeongcheng City temples ar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period. Namely, the temple site of Sanggyeongcheng City in Balhae was possiblly established during 794~926 during the period of the last capital. In Chapter Ⅳ, I present assumption proposals for the buddhist templ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and I assume some restoration proposals about prototype enshrinement and space form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China for the same period. The wall inside the Buddhist altar of the 1․9 temple sites is made with plaster composed of mud and lime, and supportive poles. Those techniques for plastering wall were confirmed in Baekje of the Three period kingdom, in Han and Dang dynasty of China, and also in Japanese temple sites. The ㆍ․4ㆍ5ㆍ6ㆍ9 temple sites are separated into interior and exterior partitions, and the structural walls are established in the both partitions, those are similar to the temple sites in Tang Dynas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similarities with the 1․9 temple sites which have structural walls that are composed with supportive pole, structural walls which were made by mud, furthermore it is also hard to find the comparative objects. Like the 4ㆍ5ㆍ9 temple sites, empty space between the buddhist altar and structural walls, and the 9 temple sites has specific composition of the interior partition which are covered on 4 sides with supportive pole․ structural walls which were made by mud. I assume that the main buddhist images and assistant buddhist images that were enshrined on pedestals are molded statues, this is confirmed by the pieces of large and middle size molded statu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buddhist altar around the 1ㆍ4ㆍ5ㆍ6ㆍ9 temple sites. Also I indicate three assumption proposals about the original enshrinement spots of small molding statues in the 4ㆍ5 temple sites - a Buddhist image which was sticking on halo of main buddhist images, the possibility to stick interior partition walls, and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partition or between wall of the interior partition and the buddhist altar. In comparison with chinese examples, the second and the third assumption proposals are persuasive, especially I inference the third one, namely the molding statues were enshrined on independent buddhis...

      • KCI등재
      • KCI등재

        발해 상경성 출토 사리구의 구성과 특징

        이송란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발해의 사리구는 모두 6 세트가 확인되었다. 발해 사리구들은 작은 수량은 아니지만, 출토지에 대한 성격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어 체계적인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 글에서는 발해 상경성의 1975년 봄 흑룡강성 영안현 발해진 토대자촌에서 발견된 석제함, 평탈칠함, 동제함, 금동제함, 은제함, 금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함과 1997년 발해진 백묘자촌에서 출토된 석제함, 철제함, 동제함, 평탈칠함, 금동제함, 은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기의 2 세트를 중심으로 발해 사리기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발해의 사리와 사리구에 대한 기록이 희박하여 발해인들의 사리 신앙과 사리관을 파악하기 어렵다. 더욱이 발해 사리기의 전모가 공개되지 않아 발해 사리기의 구성을 온전히 복원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사리구와 중국 수당대 사리구 그리고 발해 사리구를 교차 비교하여 동아시아에서 발해 사리구가 차지하는 의의와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낸 발해 사리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안쪽으로 갈수록 귀한 재료가 사용하면서 중첩하는 방식을 따라 구성된 발해 상경성의 사리구는 사리가 담긴 유리병을 제외하고는 모두 녹정형함의 기형이며 모두 7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러한 중첩 구조는 『大般涅槃經』,『長阿含經』등의 경전을 따른 것이다. 녹정형의 함의 형식이 중첩된 예는 9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법문사 후실지궁에서 출토된 금동제함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석함이 외함의 기능을 하는 고식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인도의『마하밤사(Mahāvamsa, 大史)』의 6매의 큰 돌로 짠 석함에 菩提樹, 香水甁, 金佛像을 넣으라는 내용에서 석함을 외함으로 규정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중국에서도 북위 이래 수대까지 석함이 외함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백제 왕흥사지, 미륵사지, 분황사지에서도 석함이 확인된 바가 있다,. 또한 백묘자촌의 사리기의 경우 철제함이 사용된 예가 주목된다. 이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구성이다. 돈화, 화룡, 寧安, 東寧 등 발해의 유적지와 무덤에서 많은 수량의 철기가 출토된 바가 있다. 다음으로는 상경성 출토 발해사리기의 편년을 토대자촌의 선조사천왕문은제합을 살펴보았다. 이 사리기의 4면에 새겨진 천왕상은 8세기 후반과 9세기 전반 사이에 중국에서 유행한 도상으로 생각된다. 693년에 한역된『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에 명시된 지물을 통해 4명의 천왕이 사천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대자촌의 사천왕상은 모두 두 마리의 악귀에 걸터앉아 있는데, 두 상은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은 반면 나머지 두 상은 두 다리를 다 내리고 있다. 이에 앉은 자세에 주목하여 좌상으로도 부르지만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는 경우는 반가의 자세라고도 한다. 두 마리의 악귀에 앉아 있는 사천왕의 모습은 679년(문무왕 19)에 창건된 신라 사천왕사 목탑지의 기단부를 장식하였던 녹유사천왕상에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사천왕이 들고 있는 지물은 신라 사천왕사지의 상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지물과 자세 면에서 근접한 예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중국 안서 유림굴 제 15굴 전실 남벽에 그려진 천왕상이 주목된다. 이 상은 두 마리의 악귀 위...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features of buddhist reliquaries excavated from Sangkyungsung, the capital of Balhae. Until now there has been 6 sets of buddhist reliquaries from Balhae. Among these those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was a 7 dimension buddhist reliquaries was composed of a stone box, a wooden box, a copper casket, a gilt-bronze casket, a silver casket, golden caske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from Heukryonggangsung, Younganhyung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spring, 1975. Also, another 7 set relic reliquaries consisted of a stone box, a iron casket, a wooden casket, a copper casket, a gilt bronze casket, a silver ches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1997 were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f buddhist reliquaries of Balhae. The uncovering of pertinent archaeological and textual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characterize the excavation site, posing numerous problems for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buddhist reliquaries are not disclosed, it is not possible to actually demonstrate the full composition of the buddhist reliquaries. However,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liquari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Sui and Tang Dynasty of China with those of the Balhae reliquaries' composition and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were designated by defining the reliquaries' traits that have reflected the craft of Balhae. The characteristics of Balhae reliquaries that have found a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many other unique elements of style and iconography of Balhae reliquaries. Apart from the glass bottle that holds the relic, all reliquaries have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and they are all super positioned in seven folds. This is the form that follows the books of Buddhist Sutra. The chests in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can be compared to the gilt-bronze chest excavated from Famensi(法門寺)In relation to this stone chest was found to do the role of a outer chest. The use of stone casket as outer chest can be proved by ploding through India's sutra, Mahāvamsa, where it asserts that in a stone casket made up of 6 pieces of stones. China also have used stone chests as outer casket since the Northern Dynasty for many dynasties and in Korea stone box were found in Wangheung Temple(王興寺) Ground, Mireuk Temple(彌勒寺) Ground of Baekje. and Bunhwang Temple(芬皇寺) Ground of Shilla. In addition, a iron casket the case of reliquaries from Baekmyojachon should be noted. This is a unique composition that cannot be found in China or Korea. In other Balhae ruins, there has been numerous stone sarira caskets excavated. Next is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Former Four Devas Silver casket of the Todaejachon for the chronical recording of Balhae relic dishes excavated in Sangkyungsung. The Four Devas inscribed in this casket thought to be a then popular icon in China during the late 8th century and early 9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se icons were Four Devas since the 693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Pu k'ung chüan so t'o lo ni tzu tsai wang chou ching(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 points this out. The all of Four Devas figure of Todaejachon sit on two devils and two of the figures have one leg down whereas the other two have both legs down. Regarding the sitting position these statutes are sometimes categorized as seated figures but in case of one leg down position it is also categorized as one leg half crossed position. The Four Devas sitting on two devils can find its lineage from the Four Devas figures that decorated the tiles on a coated green-glass of Gameun Temple which was built in 679(King Moonmu 19). But the items that the Four Devas are carrying do not match. Similarity in items and positions of Four Devas can be found with the Deva drawn on the southern wall of 15th cave in Ansu Yurim Cave of China, which seem to be drawn between late 8th century and the early 9th century. This fig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