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어기조사(語氣助詞) 연구(硏究)

        정순영 ( Soon Young Jung ) 한국한문고전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5 No.-

        Grammar functions of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syntactical, morphological in the unit sentence wrer studied in this thesis using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all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appeared in Samkukyusa(『三國遺事』) which is one of the historical books of Korea.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man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iachronically. But those suudies failed to examine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cosely in connection with synchronic study. Besides, in the explanation about relevan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also, the case which was made centering around exegetic explanation was most. And, in the case to explain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have in the unit sentence also, explanation only about some functions is made, but the analysis about concrete function to have in syntactical system is being handled negligently. Thus, this study was supplemented existing study method with synchronic view point and analyzed and examined the grammar function tha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show on unit sentence systematically. To arrange by chapters is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analyzed definition and level of classifications for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which appeared Samkukyusa(『三國遺事』). In the third chapter, it was clarified that, as for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which appeared Samkukyusa(『三國遺事』),``者`` ``夫`` ``惟`` ``蓋`` ``也`` ``其`` ``耶`` ``乎`` ``矣`` ``焉`` ``爾`` ``耳`` ``而已`` ``歟`` ``斯`` ``哉`` ``也歟`` ``也哉`` ``矣哉``etc. wree appeared and anayzed these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The structure particle was anayzed syntac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and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was analyzed the concrete meaning function that narrators try to transmit to listeners with syntac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by classifying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 into original linguistic spirit, suggestion, linguistic spirit of arrangement, linguistic spirit of statement, linguistic spirit of doubt, linguistic spirit of irony, linguistic spirit of guess, linguistic spirit of limit, linguistic spirit of exclamation, and linguistic spirit of command again abou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 In the conclusion, Samkukyusa shows synchronically the feature abd level of Chinese sentence in Koryo(高麗) period as Samkuksaki. This feature shows that the expression form Koryo was changed diachronically from of Sunjin(先秦) and Han(漢) period China. The pus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role and function of linguistic spirit particles are being made in the composition of unit sentence which appeared in Samkukyusa through synchronic grammar system.

      • 『삼국유사』 ‘진정사 효선쌍미’조와 일연과 김부식의 효 인식

        金福順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9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

        이 논문은 전반부에서 ‘진정사 효선쌍미’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신라 중대 초 서민들의 생활상을 볼 수 있었으며, 서민과 여성에게까지도 출가 수도하는 것이 매우 고귀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의상이 귀국 이후 신라의 왕경이 아닌 변방의 태백산과 소백산에 정주해 있으면서 『화엄경』의 강의를 통해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 준다. 셋째, 善因善果 사상에 대한 신라인들의 인식을 확실히 볼 수 있었고, 이 사상의 연장선상에서 사후 추선법회를 통해서도 극락에 왕생한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후반부에서 일연과 김부식의 효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보았다. 이는 『삼국사기』에 나오는 ‘성각’전의 내용을 왜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언급조차 하지 않았는가 하는 이유를 찾아 살펴보았다. 일연은 승려였기 때문에 불교적 기준으로 효를 보았다는 점에서 유교적 기준을 가진 김부식과는 달랐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고 대신에 ‘향득사지 할고공친’ 내지 ‘진정사 효선쌍미’조와 ‘대성효이세부모’조를 내세운 입장을 대비해보면서, 두 사람이 서로 다른 기준으로 효를 인식하고 있음이 분명함을 짚어 보았다. 그러나 신라와 고려시대의 효가 불교와 유교 모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덕목이었기 때문에, 이를 매개로 유ㆍ불이 서로 화합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삼국유사』의 ‘진정사 효선쌍미’조는 신분제 사회인 신라에서 불교의 수행을 통하여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기 완성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 하나의 전형이라 하겠다. 또한 신라에 들어 온 불교가 왕실을 중심으로 하여 지배이념으로서의 역할을 하던 시대를 지나, 개인의 완성을 의미하는 성불을 추구해 나가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내용이라 하겠다. 그리고 『삼국유사』에 보이는 관음의 화신으로서의 여러 여성들의 모습들과는 달리 진정의 어머니는 평범한 신라의 여인으로서 불교를 믿는 신도로서 아들이 불도를 닦아 성불하기를 기원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I analyzed “Jinjungsa Hyosunsangmi(an article in the book, 『Samkukyusa』)”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n this analysis, I found the followings. First, I could find the life style of the ordinary people in the middle era of Silla dynasty.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most of the ordinary people including women believed that it is very meaningful to exercise the Buddhist spirit by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Second, the Buddhist priest, Euysang, taught his students through the lecture of “Avatamskasutra” by staying in Taeback and Soback Mountain, not in the capital area of Silla dynasty. Third, I found the Silla people's understanding about the Buddhist thought, ‘Suninsungwa’ the results of good deads that good behavior brings about good result. Accordingly, they believed that they could enter the heaven through the ‘Chusunbuphwe(pray for good behavior).’ In the second part, I illustrated Ilyeon and Kim Busik's understaing about filial piety and the main reason why Ilyeon did not mention the contents of “The Life Story about Sunggak” introduced in the book, 『Samkuksaki'』. In fact, Ilyeon as a Buddhist priest understood the filial piety differently from Kim Busik who followed Confucianism. Thus, Ilyeon emphasized the articles, “Jinjungsa Hyosunsangmi” and “Daesunghyoyisebumo” in 『Samkukyusa』 instead of “The Life Story about Sunggak” in 『Samkuksaki』. This also reflected that Ilyeon and Kim Busik differently understood the filial piety with different point of view. However, the concept of filial piety could be a medium for harmony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because the both emphasized the filial piety. The “Jinjungsa Hypsunsangmi” showed that the Silla people could seek the self-perfection beyond the limit of their social status. This also reflected that Buddhism developed as a tool for the self-perfection beyond the ruling ideology emphasized by the Royal House. For instance, unlike the various women as the symbols of ‘Avalokitesvara(the Goddess of Mercy)’ in 『Samkukyusa』, Jinjung's mother, as an ordinary woman who believed Buddhism, prayed for her son to become like Buddha through the exercise of the Buddhist spirit.

      • KCI등재

        <三國史記>, <三國遺事>에 나타나는 고대 여성의 권력과 형상화 양상

        전지원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2 No.-

        이 글은 三國史記 , 三國遺事 를 중심으로 젠더 간 권력 분기의 형상화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가부장제가 초기 문헌에서 작동되는 방식을 확인하고자 했다. 문헌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시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에서 여성은 전반적으로 주변 남성과의 관계 속에 ‘객체화’되어 존재했지만, 여성 권력의 흔적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삼국의 여성-지배층은 건국 과정에서부터 정치․종교 영역에 있어 상당한 권력과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치 권력에서는 점차 소외되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를 통해 확인한 바, 여성의 정치 권력을 축소․은폐시키고 부정적으로 형상화하는 서술 방식을 통해 드러났다. 이 밖에 여성을 피동적․수단적 존재로 형상화하는 방식이 두드러졌는데, 이와 같은 여성의 형상화 양상은 이후 전개되는 여성 담론의 기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의 여성-지배층은 정치 권력에서 점차 배제되었지만 종교계에서 권한이 건재했고 재산권 또한 상당했다. 가부장에 의해 성사되는 혼인의 구속력이나 아내로서의 역할과 신의가 강조되었지만, 혼인의 구속력이 약했고 여성도 성적 자기 결정권이 있었던 면모가 확실히 보인다. 게다가 남성을 통해 정치 영역에 있어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바, 사실상 여성의 권력은 상당했던 것이다. 하지만 권력에 있어 ‘남성을 통해’로 물러난 이 한 발이 ‘남성에게 종속’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양상의 시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shape of the power branch between genders through Samkuksagi(三國史記) , Samkukyusa(三國遺事) . This is to confirm one end of the process of forming patriarchy in our history. Women were generally ‘objectifi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men around them, but women also enjoyed power. The ancient female-dominant class enjoyed a great deal of power in the political and religious areas and property rights sinc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However, it seems to have gradually become alienated from political power. It was revealed through a narrative method that reduced and concealed women's political power and negatively embodied it. In addition, the way women were embodied as passive and meansal beings was prominent. These methods became the origin of the later women's discourse. The ancient female-dominant class was gradually excluded from political power, but religious power was strong and wealthy. The marriage, its role as a wife and faithfulness began to be emphasized, however, the marriage was weak and women had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political influence through men was still great. However, ‘through men’ became ‘subordinate to men’, this is where the history of patriarchy begins.

      • KCI등재후보

        『三國遺事』 <桃花女 鼻荊郞>의 신화적 특징과 그 의미

        엄기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5 No.-

        『삼국유사』 <도화녀 비형랑>은 신화적 특징과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주인공인 비형랑의 인물 형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화녀 비형랑>에는 비형랑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 과정에서의 고난 그리고 초월적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신성성을 입증하고 마침내 畏敬과 信仰의 대상이 되는 과정이 그려져 있으며, 이는 건국시조신화의 주인공과 유사한 면모이다. 이러한 사실은 두 가지를 의미한다. 하나는 <도화녀 비형랑>이라는 텍스트 형성에 정치적인 의도와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도화녀 비형랑>에는 다양한 층위의 복수(複數)의 텍스트들과 시각들이 병존하고 있으며, 이는 텍스트 내부에 모순과 균열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화녀 비형랑>의 의미를 사륜왕, 길달, 비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정란황음”으로 인해 폐위 당한 사륜왕과 “성제” 사륜왕 사이의 모순은,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신화적 구성을 갖춘 이야기를 선택한 결과이다. “충직무쌍”하던 길달과 여우로 변하여 도망치려 했던 길달 사이의 모순은 비형과 길달의 유사성 및 이들이 왕위를 둘러싼 대립 관계에 있음을 주목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사륜왕-진평왕-임종의 관계는 비형-진평왕-길달의 관계로 되풀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앞부분에서 정치적인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던 비형은 뒷부분에 가서는 정치적인 성격을 잃어버린 채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서만 남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김춘추가 즉위하여 김용춘이 문흥대왕으로 추증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신문왕 대에 이르러 五廟制를 통해 사륜왕의 폐위가 공식적으로 부정되고, 유가 이념에 기반한 새로운 정치체제를 필요로 하는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서 이루어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itcle is to give a new analysis of ‘Dohwanyeo(桃花女) Bihyeongrang(鼻荊郞)’ in Samkukyusa(三國遺事) by focusing on the my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s which till now researches didn't give attention to. Bihyeongrang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hero of myth-his sacred birth, sufferings in growth process, transcendental power and turning into a god. These facts has two meanings. One is that there were the political intentions, the other is that there were antinomy in ‘Dohwanyeo Bihyeongrang’. So I examined the meanings of ‘Dohwanyeo Bihyeongrang’, focusing on King Jinji(眞智王), Kildal(吉達) and Bihyeong. King Jinji had two looks-“disordered and promiscuous king” and “good and wise king”, these resulted from the process of justifying King Muyel(武烈王)'s succession to the throne. Kildal, a loyal retainer changed his figure into a fox and ran away, but he was killed by Bihyeong. It emblematize that Kidal was Bihyeong's rival i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character of ‘Bihyeong’ is political in forepart, but god of folk belief in the end part. This change had begun in the time when Kim Yongchun(金龍春) was conferred honors posthumously and Bihyeong was separated from Kim Yongchun in the reign of King Shinmun(神文王) when King Jinji's dethronement was denied officially and new political structure based on Confucianism was on the rise.

      • KCI등재

        『三國遺事』의 後人夾註에 대한 再檢討

        윤선태(Yoon, Seon-Tae)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This dissertation is a critical study on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other people except Ilyeon(一然, 1206~1289) in the compilation of Samkukyusa(三國遺事 Yusa), especially, to the problems concerning the additional record of Muguek(無極, 1251~1322) and annotation of other people except Ilyeon in the compiling process of Yusa. The compilation of Yusa was not completed while Ilyeon was still aliv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umerous Muguek’s Additional Record(無極記), such as the chapter ‘Bring several times a sarira of Buddha’(前後所將舍利), the chapter ‘Jinpyo"s epitaph’(關東楓岳鉢淵藪石記), we can reasonably assert that Ilyeon and Muguek did not get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Yusa as the general editors. Therefore, Muguek closely reviewed incomplete draft of Yusa for nearly 20 years, it may well be said that Muguek does not think that incomplete draft Ilyeon’s works. Ilyeon as writer’s name are recorded only at the preface of Vol.5 of Yusa,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only Vol.5 of Yusa was written by Ilyeon. However Ilyeon as writer’s name are not recorded anywhere except Vol.5 of Yusa,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other volume except Vol.5 of Yusa was a perfect state, not finished in his lifetime. Problematic inconsistent relation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additional annotation in the chapters of Yusa led me to suspect the high possibility that other peoples except Ilyeon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Yusa. The illogical annotation recorded in the heading of the chapter ‘Sundo was the first to propagate Buddhism’(順道肇麗) can be an evident proof that the later people than Ilyeon and Muguek got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Yusa as the general editors.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박순교(Park Soonky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三國史記≫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遊行하여 酒興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들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三國史記≫全篇의 기록에선 相異, 혼선이 있다. 경애왕 최후에 관한 한, 기록이 이처럼 난맥상을 보인다면 관련 기록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리라 여겨진다. 지금껏 경애왕 최후를 전한 기록이 等價的으로 해석되어 왔다면, ≪三國史記≫에서 全文에 가까운 형태로 인용되어 있는 왕건, 견훤의 書翰에 우선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三國史記≫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三國遺事≫에서 加減한 대목 역시 일연의 해석이라 여겨지므로 눈여겨 볼 대목이다. 왕건, 견훤의 書翰에 따를 경우 경애왕 시해의 주범은 엇갈린다. 견훤 스스로는 경애왕을 시해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이 점은 주목할 사안이며, 경애왕 시해 사건을 다시 검토할 까닭이다. 견훤의 악행 중 으뜸으로 거론되는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역시 미심쩍다. 왕건은 격문의 형태로 낱낱이 견훤의 죄상을 그악하게 공박하였다. 하지만, 왕건은 정작 대서특필해야 할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항목, 다시 말해 견훤의 파렴치를 드러내어 천하의 공분을 일으킬 ‘왕비 강간 사건’, ‘비빈들에 대한 집단 윤간’에는 침묵하고 있다. 그럼에도 ≪三國史記≫는 왕건조차 언급하지 않은 견훤의 ‘왕비 강간’, ‘비빈에 대한 집단 윤간’을 기정사실로 기록하여 견훤을 ‘악의 화신’인 양 폄훼, 재단하고 있다. 견훤의 3대 거악, 이른바 ① 경애왕 시해, ② 경애왕 왕비 강간, ③ 집단 윤간(비빈들을 대상으로 한)의 문제를 재검토할 여지, 까닭이 새삼 존재한다. 요컨대 그간 회자, 신봉되어 온 경애왕의 죽음, 그에 대한 해석(견훤의 경애왕 시해, 견훤의 경애왕비 강간 등)은 재검토의 여지를 남긴다.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GyeonHwon(甄萱) to have broken into Silla.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between the recording of all the Samkuksaki(≪三國史記≫).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all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in relation to king Gyeongae of Silla can"t be specially fixed. In the letter of G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 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Rape of king Kyungae(景哀王)"s queen which has been told as one of GyeonHwon(甄萱)"s greatest evils, is also suspicious. In the form of a declaration, Wanggeun, in detail, continued persistent attack against GyeonHwon(甄萱)"s numerous crimes. But, As for Gyeon Hwon(甄萱)"s rape crime of Silla king Gyeongae"s queen, which must be made headlines of manifesto, namely, which must disclose GyeonHwon (甄萱)"s shameless, despicable, heinous human nature, Gyeon Hwon"s shameless of a positive to cause of all the indignation. Nevertheless, Samkuksaki(≪三國史記≫) took records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as to be an established fact, and then denounced him ‘the incarnation of evil’. In short, Silla"s king Gyeongae death, interpretations of king Gyeongae(eg, G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 「수로부인(水路夫人)」 조(條)에 구현된 여성인물의 형상과 특질

        하경숙(Ha, Gyeong-su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수로부인은 『삼국유사』 속에서 매우 신비로운 매력과 동시에 강한 호기심을 갖게 하는 인물임에 틀림없다. 이처럼 우리 고전서사에서 찾기 어려운 여성인물인 수로에 대한 관심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수로부인〉 조는 〈해가(海歌)〉와 함께 『삼국유사』 속에 수록되어 당시의 시대상황을 추리하고 판단하기에 분명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수로부인 설화에는 여성을 내세워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은폐되거나 해소하고 싶었던 문제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수로부인은 현실에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나 현실에서의 문제의 해결을 민중(民衆)들이 바라는 소망(所望)의 표상으로 현상적 인간이라는 제한을 넘어 초월적인 능력을 가진 여성인물로 형상화되었다. 다시 말해 신라인들이 소망하는 집단의 안녕, 다산, 사회의 화합과 공동체의 평안을 희구하는 염원을 간곡하게 대변할 수 있는 인물로 설정되었다. 수로부인은 이러한 수동적인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유연한 사고의 행동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여성으로 자신이 경험한 것들에서 기인하는 여성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결국 수로부인의 서사과정은 한 여성이 죽음과 납치, 빈곤이라는 시련에서 벗어나 풍요, 밝음으로의 회복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일련(一連)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로부인이 지닌 독립성과 개체지향성은 여성 자신이 지닌 근원적 여성성인 생산성과 풍요성에 대한 믿음과 자각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지므로, 기존사회의 질서에서 자발적으로 분리되어 스스로의 운명을 개척하게 하는 것이다. Madam Suro in the Samkukyusa must be a character who stimulates intense curiosity as well as has very mysterious charm. People have consistently been interested in the female character Suro who is extraordinary in this way in Korean classical narratives. The Legend of Madam Suro, along with Hae-ga (海歌), are included in the 『Samkukyusa』 and are persuasive enough to help infer and judge the situation of the times. By putting up a female, the tale of Madam Suro is serving as a momentum to draw people’s attention to problems and expose the problems that have been concealed or need to be solved. She represents the hopes(所望) the public have - their desires that need to be actually fulfilled or real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She was depicted as a female character with transcendental abilities, beyond the limited existence, that is the limited human being. That is, she was set up as a character who can earnestly speak for the Shilla people about the public peace, the fecundity, community cohesion, peace in community that they sought and prayed and longed for. She does away with such passive stereotypes, and behaves actively, autonomously, and flexibly, thinking in such ways. By doing so, she highlights femininity that results from her experiences as a femal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her narration process can be seen as a series of process of showing a female coming out of the ordeal, that is death, being kidnapped, and poverty, and returning to abundance and brightness and showing her potential. In other words, as her independence and object-orientedness are achieved based on her belief and self-awareness of prolificity and fecundity, which are a female’s underlying femininity, they make the female split away from the existing social order voluntarily and seek out her destiny.

      • KCI등재

        신라 경애왕(景哀王)의 ‘포석정 유행(遊幸)과 죽음’에 관한 시비(是非) - 일연의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박순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8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also and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Kyeonhwon(甄萱) who had broken into Silla's capitol.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among all the records of Samkuksaki(『三國史記』). In relation to Silla king Kyungae’s death, there are many questions including, that is,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As a result, currently many questions on whether king Kyungae(景哀王) got stuck into the booze to imperil himself for dangerous time or not, have been raised. In the letter of K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In short, Silla king Kyungae’s death, interpretations concerning king Kyungae(eg, K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K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삼국사기』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유행하여 주흥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 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삼국사기』의 기록에선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기록의 상이, 혼선이 나타난다. 최근 일각에서는, 포석정에 포석사(鮑石祠), 충렬묘(忠烈廟) 등이 있었던 점과 『화랑세기』, 『각간선생실기』 등 문헌 등을 전거로, 『삼국사기』 기록과 달리 927년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주연을 연 것이 아니라, 전몰장병 추모와 관련이 있는 팔관회, 남산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 일련의 불계(祓禊), 혹은 제천행사를 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왕건에게 누차 독전(督戰)의 서한까지 보내는 등 적극적 행적을 보인 경애왕이, 소극적인 자세로 제사를 지내며 신의 가호만 빌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신라에서 진혼은 전쟁이 종료되고 행해진 점, 282년 동안 신라에선 아예 팔관회 자체가 개최된 전력이 없는 점, 전몰자의 진혼을 목적으로 한 행사는 주로 사찰이 중심이었으며, 주관자는 승려였던 점 등에서 모순을 드러낸다. 실제 927년 포석정 현장을 전한 기록에선 단 한 명의 승려도 보이지 않는다. 『삼국사기』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 『삼국유사』에서 가감한 대목, 곧 일연의 해석은 눈여겨 볼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일연의 지적에 의하면, 경애왕이 포석정에 유행한 시점은 견훤이 고울부(영천)를 떠나 월성의 지근인 시림(始林)에 쇄도한 직후였다. 경애왕은 생사의 위기에서 포석정에 유행한 것이었다. 결국 포석정 유행은 왕의 파천(播遷), 안위를 도모한 피신일지언정, 평화로운 시기에나 있을 주흥, 제례로 해석할 수 없다.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Park Soon-kyo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 (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