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박순교(Park Soonky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三國史記≫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遊行하여 酒興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들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三國史記≫全篇의 기록에선 相異, 혼선이 있다. 경애왕 최후에 관한 한, 기록이 이처럼 난맥상을 보인다면 관련 기록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리라 여겨진다. 지금껏 경애왕 최후를 전한 기록이 等價的으로 해석되어 왔다면, ≪三國史記≫에서 全文에 가까운 형태로 인용되어 있는 왕건, 견훤의 書翰에 우선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三國史記≫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三國遺事≫에서 加減한 대목 역시 일연의 해석이라 여겨지므로 눈여겨 볼 대목이다. 왕건, 견훤의 書翰에 따를 경우 경애왕 시해의 주범은 엇갈린다. 견훤 스스로는 경애왕을 시해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이 점은 주목할 사안이며, 경애왕 시해 사건을 다시 검토할 까닭이다. 견훤의 악행 중 으뜸으로 거론되는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역시 미심쩍다. 왕건은 격문의 형태로 낱낱이 견훤의 죄상을 그악하게 공박하였다. 하지만, 왕건은 정작 대서특필해야 할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항목, 다시 말해 견훤의 파렴치를 드러내어 천하의 공분을 일으킬 ‘왕비 강간 사건’, ‘비빈들에 대한 집단 윤간’에는 침묵하고 있다. 그럼에도 ≪三國史記≫는 왕건조차 언급하지 않은 견훤의 ‘왕비 강간’, ‘비빈에 대한 집단 윤간’을 기정사실로 기록하여 견훤을 ‘악의 화신’인 양 폄훼, 재단하고 있다. 견훤의 3대 거악, 이른바 ① 경애왕 시해, ② 경애왕 왕비 강간, ③ 집단 윤간(비빈들을 대상으로 한)의 문제를 재검토할 여지, 까닭이 새삼 존재한다. 요컨대 그간 회자, 신봉되어 온 경애왕의 죽음, 그에 대한 해석(견훤의 경애왕 시해, 견훤의 경애왕비 강간 등)은 재검토의 여지를 남긴다.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GyeonHwon(甄萱) to have broken into Silla.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between the recording of all the Samkuksaki(≪三國史記≫).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all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in relation to king Gyeongae of Silla can"t be specially fixed. In the letter of G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 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Rape of king Kyungae(景哀王)"s queen which has been told as one of GyeonHwon(甄萱)"s greatest evils, is also suspicious. In the form of a declaration, Wanggeun, in detail, continued persistent attack against GyeonHwon(甄萱)"s numerous crimes. But, As for Gyeon Hwon(甄萱)"s rape crime of Silla king Gyeongae"s queen, which must be made headlines of manifesto, namely, which must disclose GyeonHwon (甄萱)"s shameless, despicable, heinous human nature, Gyeon Hwon"s shameless of a positive to cause of all the indignation. Nevertheless, Samkuksaki(≪三國史記≫) took records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as to be an established fact, and then denounced him ‘the incarnation of evil’. In short, Silla"s king Gyeongae death, interpretations of king Gyeongae(eg, G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 KCI등재

        『삼국사기』초기 기록과 삼국 초기사의 재검토

        최범호 전북사학회 2009 전북사학 Vol.0 No.35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e will actually understand the records of the early times in Samkuksaki(『三國史記』). First of all, this saw how a angle of disbelief in them was formed and have been changed, and then whether the records of "Dong-i chon"(「東夷傳」) in the Samgukchi(『三國志』) were trusted which were used to deny early records of Samkuksaki. And by trying to more actively interpret early records of Samkuksaki, the thesis is to push the button of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at we should newly interpret them. For early history of establishments of the Three-Kingdoms in the surveys of Korean history, history of Shilla was recorded to skip suddenly from founder Park Hyeokgeose(朴赫居世) in 57 B.C. to 17th Nea-mul Maripkan(奈勿麻立干: 356∼402), history of Goguryeo from founder King Dong-myeong(東明王) in 37 B.C. to 6th King Tea-Cho(太祖王: 53∼146) and history of Baekje from founder King On-cho(溫祚王) in 18 B.C. to King Ko-I(古爾王). Contemporary records of "Silla-bonki"(「新羅本紀」), "Goguryeo-bonki"(「高句麗本紀」) and "Baekje-bonki"(「百濟本紀」) in the Samkuksaki were quite rich, and recorded dynamic and varied appearances of Three-Kingdoms. Nevertheless, early history of Three-Kingdoms in the surveys of Korean history was neglected. For most Korean historians mainly avoided that age with accepting the disbelief in early history as the orthodoxy of Korean history. Although some records were mentioned, they were treated as history of Sam-Han(三韓) on the basis of "Dong-i chon" or early histories of Samkuksaki were seen as the later age's articles after Japanese analyzed and readjusted contemporary records' chronology(紀年). Because this phenomenon was influenced by a view of disbelief in early records of Samkuksaki which was produced to limit, distort and obliterate Korean history in the end of 19th. In this manner, they modified the king genealogy(王系) and chronology of Three Kingdoms, analyzed some of records with other records, and reformed early records of Samkuksaki. This, however, was based on the records of “Dong-i chon” in the Samgukchi. After all, they could not believe early records of Samkuksaki in themselves, and thus reform them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Dong-i chon”. While we distrusted the early records of Samkuksaki and denied the history of Three-Kingdoms, Chinese and Japanese have taken up this historical blank, distorted the Korean history and stolen Korea`s ancient history. Accordingly, we need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at we accept positively and interpret the early records of Samkuksaki, and thereby require to fill up the blank in history of Three-Kingdoms.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 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 KCI등재

        『삼국사기(三國史記)』 「검군전(劒君傳)」의 인물 형상과 입전 의도

        엄기영 ( Ki Young Um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논문은 『三國史記』 「劒君傳」을 대상으로 劒君의 인물 형상 및 갈등의 성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검군전」의 입전 의도와 그 이면에 담긴 의미를 짚어 보았다. 검군은 스스로를 "丈夫"라 칭하고 있는데, 당시 신라에서 장부란 상황에 구애받지 않으며, 자신의 뜻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죽음을 향해서도 서슴지 않고 나아가는 사람을 의미했다. 그리고 이러한 ``장부``형의 인물들은 신라가 백제, 고구려와 숱한 전쟁을 치르면서 삼국을 병합해 가는 7세기에 대거 등장하였다. 「검군전」은 장부로서의 검군을 형상화하기 위해 대화를 적극 활용하고, 특정 요소를 부각시키거나 과감히 생략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非"나 "不"과 같은 부정사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그의 비타협적이고 단호한 면모를 그려내었다. 검군의 의연한 태도와 죽음에 초점을 맞춘 결과, 그를 독살한 舍人들의 존재는 극히 피상적으로 그려지고 말았다. 연속된 전쟁과 자연재해로 인해 하급 관리들의 생계조차 감당할 수 없었던 당시 신라의 상황, 가혹한 처벌을 피하기 위해 동료의 독살을 모의하고 실행해야 하는 사인들의 처지 등은 충분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채 오로지 이들의 파렴치한 면만이 강조된 것이다. 그 결과 「검군전」에서는 역설적인 상황이 빚어진다. 사인들의 파렴치함이 강조될수록 검군의 당당함이 부각되지만, 결국 이로 인해 검군의 죽음이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것이었음이 자명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점들을 감안할 때, 『삼국사기』 편찬자는 「검군전」을 「實兮傳」, 「勿稽子傳」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검군의 처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검군의 죽음에 대한 "마땅히 죽어야 할 바가 아닌데 죽었다"는 평은 "마땅히 죽어야 할 바"가 있다는 전제에서 나온바, 여기에는 개인보다 집단을 우선시하고 개인의 가치를 집단적 가치에 무조건적으로 종속시키는 폭력성이 내재해 있다. This paper is aimed to explicate Keomkun`s character and the conflict on Keomkunjeon(Biography of Keomkun) in Samkuksaki(the Chronicle of the three Kingdom) and the writing intent. Keomkun claimed himself to be ``the man``, a lot of people who claimed themselves to be ``the man`` appeared in the bruising 7th century of war among three kingdoms. ``The man`` is this kind of person who never care about the perilous situation, and willingly prepare for death to carry through his convictions without hesitation. The editor of Samkuksaki make use of three ways to express Keomkun as ``the man.`` The first is the using of dialogue, the second is the etching and omitting of certain factors, and the third is the effective using of the negative words such as "非" or "不". On the other hand, Keomkun`s colleagues and the background are expressed cursorily, for example successional war, natural disaster, and severe famine. So his colleagues are portrayed only as the shameless. In Keomkunjeon, readers meet the paradox. The more colleagues` shameless is emphasized, the more Keomkun`s brave stands out, it finally reveals that his death is meaningless and worthless. And the contempt on the individual and nationalism inhere in the comment on his death.

      • KCI등재

        신라 경애왕(景哀王)의 ‘포석정 유행(遊幸)과 죽음’에 관한 시비(是非) - 일연의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박순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8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also and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Kyeonhwon(甄萱) who had broken into Silla's capitol.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among all the records of Samkuksaki(『三國史記』). In relation to Silla king Kyungae’s death, there are many questions including, that is,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As a result, currently many questions on whether king Kyungae(景哀王) got stuck into the booze to imperil himself for dangerous time or not, have been raised. In the letter of K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In short, Silla king Kyungae’s death, interpretations concerning king Kyungae(eg, K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K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삼국사기』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유행하여 주흥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 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삼국사기』의 기록에선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기록의 상이, 혼선이 나타난다. 최근 일각에서는, 포석정에 포석사(鮑石祠), 충렬묘(忠烈廟) 등이 있었던 점과 『화랑세기』, 『각간선생실기』 등 문헌 등을 전거로, 『삼국사기』 기록과 달리 927년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주연을 연 것이 아니라, 전몰장병 추모와 관련이 있는 팔관회, 남산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 일련의 불계(祓禊), 혹은 제천행사를 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왕건에게 누차 독전(督戰)의 서한까지 보내는 등 적극적 행적을 보인 경애왕이, 소극적인 자세로 제사를 지내며 신의 가호만 빌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신라에서 진혼은 전쟁이 종료되고 행해진 점, 282년 동안 신라에선 아예 팔관회 자체가 개최된 전력이 없는 점, 전몰자의 진혼을 목적으로 한 행사는 주로 사찰이 중심이었으며, 주관자는 승려였던 점 등에서 모순을 드러낸다. 실제 927년 포석정 현장을 전한 기록에선 단 한 명의 승려도 보이지 않는다. 『삼국사기』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 『삼국유사』에서 가감한 대목, 곧 일연의 해석은 눈여겨 볼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일연의 지적에 의하면, 경애왕이 포석정에 유행한 시점은 견훤이 고울부(영천)를 떠나 월성의 지근인 시림(始林)에 쇄도한 직후였다. 경애왕은 생사의 위기에서 포석정에 유행한 것이었다. 결국 포석정 유행은 왕의 파천(播遷), 안위를 도모한 피신일지언정, 평화로운 시기에나 있을 주흥, 제례로 해석할 수 없다.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Park Soon-kyo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 (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 『삼국유사』 ‘진정사 효선쌍미’조와 일연과 김부식의 효 인식

        金福順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9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

        이 논문은 전반부에서 ‘진정사 효선쌍미’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신라 중대 초 서민들의 생활상을 볼 수 있었으며, 서민과 여성에게까지도 출가 수도하는 것이 매우 고귀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의상이 귀국 이후 신라의 왕경이 아닌 변방의 태백산과 소백산에 정주해 있으면서 『화엄경』의 강의를 통해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 준다. 셋째, 善因善果 사상에 대한 신라인들의 인식을 확실히 볼 수 있었고, 이 사상의 연장선상에서 사후 추선법회를 통해서도 극락에 왕생한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후반부에서 일연과 김부식의 효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보았다. 이는 『삼국사기』에 나오는 ‘성각’전의 내용을 왜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언급조차 하지 않았는가 하는 이유를 찾아 살펴보았다. 일연은 승려였기 때문에 불교적 기준으로 효를 보았다는 점에서 유교적 기준을 가진 김부식과는 달랐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고 대신에 ‘향득사지 할고공친’ 내지 ‘진정사 효선쌍미’조와 ‘대성효이세부모’조를 내세운 입장을 대비해보면서, 두 사람이 서로 다른 기준으로 효를 인식하고 있음이 분명함을 짚어 보았다. 그러나 신라와 고려시대의 효가 불교와 유교 모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덕목이었기 때문에, 이를 매개로 유ㆍ불이 서로 화합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삼국유사』의 ‘진정사 효선쌍미’조는 신분제 사회인 신라에서 불교의 수행을 통하여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기 완성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 하나의 전형이라 하겠다. 또한 신라에 들어 온 불교가 왕실을 중심으로 하여 지배이념으로서의 역할을 하던 시대를 지나, 개인의 완성을 의미하는 성불을 추구해 나가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내용이라 하겠다. 그리고 『삼국유사』에 보이는 관음의 화신으로서의 여러 여성들의 모습들과는 달리 진정의 어머니는 평범한 신라의 여인으로서 불교를 믿는 신도로서 아들이 불도를 닦아 성불하기를 기원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I analyzed “Jinjungsa Hyosunsangmi(an article in the book, 『Samkukyusa』)”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n this analysis, I found the followings. First, I could find the life style of the ordinary people in the middle era of Silla dynasty.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most of the ordinary people including women believed that it is very meaningful to exercise the Buddhist spirit by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Second, the Buddhist priest, Euysang, taught his students through the lecture of “Avatamskasutra” by staying in Taeback and Soback Mountain, not in the capital area of Silla dynasty. Third, I found the Silla people's understanding about the Buddhist thought, ‘Suninsungwa’ the results of good deads that good behavior brings about good result. Accordingly, they believed that they could enter the heaven through the ‘Chusunbuphwe(pray for good behavior).’ In the second part, I illustrated Ilyeon and Kim Busik's understaing about filial piety and the main reason why Ilyeon did not mention the contents of “The Life Story about Sunggak” introduced in the book, 『Samkuksaki'』. In fact, Ilyeon as a Buddhist priest understood the filial piety differently from Kim Busik who followed Confucianism. Thus, Ilyeon emphasized the articles, “Jinjungsa Hyosunsangmi” and “Daesunghyoyisebumo” in 『Samkukyusa』 instead of “The Life Story about Sunggak” in 『Samkuksaki』. This also reflected that Ilyeon and Kim Busik differently understood the filial piety with different point of view. However, the concept of filial piety could be a medium for harmony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because the both emphasized the filial piety. The “Jinjungsa Hypsunsangmi” showed that the Silla people could seek the self-perfection beyond the limit of their social status. This also reflected that Buddhism developed as a tool for the self-perfection beyond the ruling ideology emphasized by the Royal House. For instance, unlike the various women as the symbols of ‘Avalokitesvara(the Goddess of Mercy)’ in 『Samkukyusa』, Jinjung's mother, as an ordinary woman who believed Buddhism, prayed for her son to become like Buddha through the exercise of the Buddhist spirit.

      • KCI등재

        高麗時期의 中國史 認識

        조성을(Cho, Sung-Eul) 한국사학사학회 200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6

        First, Samkuksaki thought that there were two kinds of official beginning of new king. The one is to begin with the next month, and the other is to begin with the next year.Second, Samkuksaki used Chinese History Books to justify to follow the native naming of Silla Kings.Third, Samkuksaki was very critical of female Emperors in Chinese History. Fourth, Samkuksaki used Chinese History Books to criticize to yield the crown to his younger brother instead of his son. Fifth, Samkuksaki thought that the Confucian Civilization began by Kija in Korean History. Sixth, Samkuksaki used Chinese History Books to criticize the betrayers in Paekche History. Seventh, Samkuksaki adopted the official Calendar of Chinese Dynasties and did not recognize Korean own calendar. Eighth, Samkuksaki used Chinese History Books to justify to record mysterious stories in the Book. Ninth, Samkuksaki thought that Wei-Dynasty was the only legitimate on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Chinese History. Tenth, Samkukyousa adopted the more simple system of dynasties about Chinese History. Eleventh, Cheuangunki is more close to Suma Kuang than Chou Shi in the legitimate Theory of History.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고려 구원군 파병의 진위 문제

        박순교(Park Soon Kyo)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927년 정월~8월 왕건은 경애왕과 합동으로 경북 내륙 일대를 점령했다. 그럼에도 이후 여덟 달에 걸쳐 당대의 무신(武神) 견훤은 침묵을 지켰다. 견훤의 침묵은 불안한 평화, 전쟁이 예견된 폭풍전야의 시간이었다. 그럴수록 고려에서 후백제로 파견된 세작(細作)의 활동이 없었을 리 없고, 탐마(探馬)가 없었을 리 없다. 주적(主敵) 견훤의 일거수일투족은 필시 왕건에게 보고되었고, 왕건은 삼국의 정황을 누구 보다 면밀히 꿰뚫었다고 여겨진다. 우려했던 견훤의 보복은 927년 9월부터 개시되었다. 견훤은, 왕건이 앞서 점령한 지역 일대를 겨냥했다. 즉 치열한 교전이 동일 전역(戰域)에서 시간상 교차(927년)한 셈이다. 한데 견훤의 반격이 개시된, 초미의 상황에서 신라의 구원 요청이 있기까지 왕건은 선제적 대응을 취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 심지어 기록에선 왕건이 견훤의 침습정보를 아예 인지하지 못한 듯 묘사되고 있다. 심지어 왕건은 경애왕의 구원 요청이 있은 후에조차 즉각 친정하지 않았다. 대신 뚜렷한 군공이나 무용조차 알려지지 않은 공훤을 주장(主將)으로 삼아 출정하게한 것이 대응이라면 대응의 전부였다. 한데 공훤이 거느리고 출병했다던 ‘경병(頸兵) 1(만)萬의 구원군’마저 경애왕 죽음의 순간까지 서라벌에 이르지 않았다. 출발은 있었으되, 도착이 없는 셈이다. 구원군의 궤적 등도 죄다 미궁에 빠져 있다. 일련의 사실들은 흔히 있을 수 없는 일로서, 저간의 의혹을 증폭시키기에 마땅하다. 기록상, 신라 왕도의 위기를 구하려 한 고려의 시도(파병)는 세 차례였다. 한데, 가장 출병 규모가 컸음에도, 유독 공훤이 통솔한 ‘경병 1만’만이 실패했다. 936년 신검과의 최후 회전(會戰)에서 공훤은 3군의 원병, 보급 역할을 맡았을 뿐 실제 전투에조차 투입되지 않았다. 당시 고려군 편제에서 확인되는 37명의 장수(견훤 제외) 중 공훤은 35번째로 거명되고 있다. 또 휘하의 기병 역시 불과 300이었을 뿐이다. 주장 공훤의 여러 전력을 살펴볼 때, 그는 위기를 타파하고 적선(敵線)을 허물며 돌격할 성정(性情)의 인물이 아니었다. 결국 왕건은 선택할 여러 경우의 수, 최적의 인물들 가운데 가장 묘연한 인물(공훤)을 택했다. 요컨대 경애왕 죽음의 일인(一因)에는 왕건의 방관, 심지어는 방조가 엿보인다. 왕건은 경애왕의 위기를 적극적으로 구하지 않았다. 외려 교묘한 방법으로 방관, 조장하였다. 이에는 1) 견훤에 대비(對比)한 군사의 열세, 2) 경애왕과의 미묘한 정치, 외교적 갈등, 3) 경애왕과 신라의 부흥에 대한 견제와 차단 4) 견훤에 의해 경애왕이 시해되었을 경우 이뤄질 민심의 극적 반전과 자신에게 떨어질 현실적 이득, 5) 새로 옹립될 신라왕의 정통성 한계를 이용한, 신라 지역 내귀부와 병합의 가속화 등 현실적 셈법이 작용하였다고 헤아려진다. Silla king Kyungae(景哀王) and Koryo WangKeun(王建) together occupied inland areas Kyungpook(慶北)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August 927. Nevertheless, god of war, Kyeonhwon(甄萱) kept silent. Kyeonhwon(甄萱)"s silence was the time of the night before the wind storm, where anxiety, uneasy peace, war were foreseen. From the consideration, there must have been activities of moles, fixed agent whom WangKeun(王建) had sent.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all movements of Kyeonhwon(甄萱) had been reported to WangKeun(王建). WangKeun(王建) pierced the situation of the Three Kingdoms more closely than anyone else. Kyeonhwon(甄萱)"s retaliation was begun in September, 927. And Kyeonhwon(甄萱) aimed at the area that WangKeun(王建) had previously occupied. That is, intense battle crossed over time in the same war zone (927 years). The moment that Kyeonhwon(甄萱)"s counterattack was initiated, WangKeun(王建) drew time without taking preemptive action until Silla"s request for relief was received in a bogus situation. Furthermore, in the record, it appears as if WangKeun(王建) had not recognized the invasion information of Kyeonhwon(甄萱) from the beginning. the rescue army of the 1st cavalry did not reach Sorabol, until the moment of king Kyungae(景哀王)"s death. The traces of the relief forces have fallen into the labyrinth, and it is only natural to increase the suspicion of allegation, because a series of facts is unavoidable. Three attempts (soldier) were tried to help the crisis of the Silla Kings on record. One point, even though the size of the dispatch soldier was the largest, only “Ironside of ten thousand soldiers” that Konghwon(公萱) had led, failed. In the final battle in 936, Konghwon(公萱) underwrote only the supply role of the 3 groups, and was not put into actual battle. Of the 37 longevity (excluding Kyeonhwon(甄萱)) who was confirmed by the Koryo(高麗) military organization at that time, Konghwon(公萱) was listed as 35th. Also, there were only 300 cavalry members. Konghwon(公萱) was not a person which could breaks down the crisis, breaches the enemy line and assaults. In the end, WangKeun(王建) chose the most mysterious person, Konghwon(公萱) as commander-in-chief(總帥), of multiple cases of choice, among the best people. This can only be seen as WangKeun(王建)"s serious onlooking equanimity in the death of king Kyungae(景哀王).

      • 전설에 나타난 궁예왕

        유인순(Yoo In-S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태봉국을 세운 궁예왕(弓裔王)에 대한 평가는 완전히 상반된다. 궁예왕 관련 문헌자료로 가장 오래된 『삼국사기』는 태봉국 패망 227년 뒤에 간행된 것이다. 인간의 기억력이 과연 믿을 만한 것인지, 그리고 문헌자료가 검증받은 사실(史實)을 사실적(事實的)으로 기록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자신이 없다. 전설(인물전설 및 지명전설) 속에 나타난 궁예왕의 인간상을 찾아보려고 했다. 인물(人物)전설에서 궁예왕은 표면적으로 악귀(惡鬼)의 화신이다. 그러나 이들 이야기의 이면에는, 궁예왕의 결정에 분노하고 절망하는 산신과 용을 통해 궁예왕이 이들 초자연적 대상들에게까지 인정받는 존재였음을 보게 된다. 궁예왕은, 의도적으로 그를 왜곡한 문헌자료 때문에 오랫동안 악인으로 오해받고 매도(罵倒)되어 온 것이다. 지명(地名)전설에 나타난 궁예왕의 모습은 거룩하다. 특히 평강(平康) 지역의 지명전설에서 보이는 궁예왕은 풍천원 시절의 엄격한 왕이 아니라, 삼국통일의 욕망에서 한 걸음 벗어나 여유를 가지고 백성을 다스리는, 즐길 것은 즐기고 제왕의 임무에도 소홀하지 않는 그런 모습을 보여준다. 적어도 평강 지역 지명전설에서 궁예왕은 그가 그토록 원하던 미륵세계를 도래(到來)시킨 것으로 보인다. 문헌자료에서 궁예왕은 왕궁에서 단신 탈출, 이틀 뒤에 부양 지역에서 백성에게 살해당한다. 지명전설에서 궁예왕은 수하들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 왕건 일당과 투쟁하며 보개산성으로, 명성산성으로, 운악산성으로, 평강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백성의 마음을 헤아리는 왕이 된다. 이 과정에는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궁예왕과 왕건 사이에 모종의 묵인 내지 협약 불가피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의 기록은 과연 믿을 만한 것인가. 궁예왕에 관해서 만은 감히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King Gungye who founded Taebongkuk country could be estimated in quite opposite way. Samkuksaki that was the oldest History regarding King Gungye was published 227 years after Taebongkuk country's defeat. It was unknown whether men's memory was reliable, and whether the History recorded historical facts realistically. The study examined character of King Gungye in legend (character legend and geographical name legend). At the character legend, King Gungye seemed to be a devil incarnate superficially. At background of the legend, however, the god of mountains as well as dragon was angry to hear King Gungye's decision to show that the king could be admitted by even supernatural objects. King Gungye was intentionally distotted by historian to let him be misunderstood and blamed for a long time to be a bad man. At geographical name legend, King Gungye looked to be great. In particular, at geographical name legend at Pyungkang, King Gungye was not strict king in the era of Pungcheonwon but the one who was free from desire of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o govern people and to enjoy life and not to neglect king's duties. At least the geographical name legend at Pyungkang seemed to introduce Maitreya world where the king sincerely wanted to live in. In histories, King Gungye was killed by people at Buyang two days after escaping alone from his palace. At geographical name legend, King Gungye and his followers fought against Wangkeon and his followers for a long time to move to Bogaesanseong, Myungseongsanseong, Unaksanseong and Pyungkang, etc and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people's mind. In the process, some kind of consent and agreement between King Gungye and Wangkeon that was not recorded at history seemed to be made inevitably. Was historical record reliable? However, the historical record of King Gungye was thought not to be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