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실도계(行實圖系) 교화서(敎化書)의 전개와 충행위(忠行爲)의 추이 : 17세기 초기의 관찬(官撰) 교화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분석을 통해

        Kaneko Yuki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1 No.-

        임진왜란 직후 조선에서 忠은 어떠한 인물상 및 행위로 나타났는가. 그리고 그러한 인물상과 행위는 어떤 경위를 거쳐 형성된 것인가. 본고에서는 官撰敎化書인 『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이용하여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찰에 있어서 행실도라고 이름 붙여진 일련의 관찬교화서들에 주목하였다. 우선, 전체 행실도 간의 관련양상을 확인하고, 그 관계 속에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에 근거하여, 세종대의 初刊『三綱行實圖』부터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이르기까지의 충신도에서 강조된 충행위의 추이 양상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확인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역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충행위에 대해 실제로 기재된 기사를 이용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사항이 밝혀졌다. 첫째, 행실도라고 불리는 교화서들은, 덕목을 忠·孝·烈로 유지하면서 간행 당시 조선의 旌表記事를 추가한 계열과,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면서 덕목을 삼강에서 오륜으로 늘려간 계열이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은 전자에 속하며, 후자의 속하는 『五倫行實圖』와의 관련은 적다. 둘째,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이전부터 그려져 온 충행위를 대체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나라나 임금을 위해 전장에서 죽는 力戰 행위를 처음으로 강조한 것과 간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신하의 隱遁을 충행위로서 처음으로 기재한 것은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독자적인 특징이다. 결국, 행실도는 두 가지 계열에 근거하며 상호 관련을 가지는 일련의 교화서 군이며, 이를 행실도계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오륜행실도』와 다른 계열에 속하며, 충행위도 이러한 계열에서 대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역점을 두는 곳이 바뀌고 새로운 충행위도 구비되었으므로, 강조되는 충신상도 이전과 달라졌던 것이다.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otherwise just afte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 How was loyalty for king drawn as a image or action? And what kind of process did they pass through?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this theme with referring to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published by King Gwanghae. In this regard, we took particular note of some books for Confucian indoctrination named Haengsildo. At first, we checked that how Haengsildo books relate each other, then, also checked Dongguk's position on their relationship. Second, we traced transition of act for putting loyalty accentuated on above relationship from King Sejong's Samgang-Haengsildo(初刊『三綱行實圖』) to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Moreover, we analyzed the focused acts on articles in it main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an make following observation. 1: Haengsildo books, the groups for indoctrination of Confucian ethics, are related as two kinds of evolution line as below; one is that edited and evolved them by current Korean articles which topics are fixed the three bonds, those are loyalty, filial piety, or chastity, the other is that edited and evolved them by biographies in Chinese classics with expanding from the three bonds to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those are seniority piety (especially brotherhood) and belief between school friends (including master and pupil), and three bonds.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the end of the former, and have little relativity with Oryoon-haengsildo(『五倫行實圖』) edited by King Jeongjoh positioned on the end of the latter. 2: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nherited previous contents about acts of loyalty from prior Haengsildos. Although it has two unique saliencies; one is desperate fight for King or dynasty(力戰) was put emphasis on there at first, the other is secluding oneself(隱遁) was provided as a new kind of putting loyalty in practice at the first time. Finally, Haengsildo group has their linkage based on two of evolutional lines. Therefore we can recognize them as Haengsildo genealogical series.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the end of one kind of line without Oryoon-haengsildo, and almost took over acts for loyalty in existence. Although image of loyalists on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differ from other Haengsildo's caused by changing emphasis and taking on a new kind of putting loyalty on practice.

      • 朝鮮時代行實圖의 書體와 木版畵樣式

        최정란(Choi, Jung-Ran) 한국서예학회 2008 서예학연구 Vol.12 No.-

        The Chosun dynasty published several Haengsildos(行實圖) to spread the moral principles of Confucianism into the populace. These can be said to have been the ‘ethic bibles’ of this period. The first of them was Samgang Haengsildo published during the Sejong era in the 15th century. It was written in the Chinese characters. It was repulished in the Korean characters during the Seongjong era. In the first half of 16th century, the two new Haengsildos were published. Their names are Sok Samgang Haengsildo and Iryoon Haengsildo, both of which were made during the Jungjong era. The former was the revised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the latter the completely new edition which contains the two moral principles excluded in Samgang Haengsildo. In the early 17th century,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Imjinwaeran', another new Haengsildo came out. It was Dongguk Shinsok Samgang Haengsildo, pulished during the Gwanghaegun era. This book is remarkable since not only it purely consisted of the stories of the Chosun people, but it also has the greatest quantity. Lastly, the Oryoon Haengsildo was published during the Jungjo era in the late 18th century. This is the book which bound the pre-existent Samgang Haengsildo and Iryoon Haengsildo together through the strict editing system of sorting and deleting. Although the purpose of the woodcut illustrations in Haengsildo is to help people understand better, the illustrations themselves are meaningful in terms of painting. Henc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ose illust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ainting, and this is the main focus of my thesis. To briefly summarize my thesis, I explained the style of calligraphy of Haengsildo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cuts in all sorts of Haengsildo dividing the chapter into the two sections such as the employment of landscape painting as backgrounds and the succession of line drawing tradition. They show various techniques of landscape paintings. Moreover, since they were monochromatic paintings, there is more focus on lines than colors. Since the woodcuts in Haengsildos were created on the purpose of mass production, and since they were not the independent paintings, they have been neglected to study till now. I hope there will be more in-depth researches in this field so that the woodcuts in Haengsildos are well recognized in the Chosun painting history.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행실도는 통치자의 입장에서 유교 이념을 보급하고 그것을 통해 백성들을 교화시킬 목적으로 국가에서 편찬 ? 간행한 유교윤리 서적이다. 세종대에 편찬된 한문본 『삼강행실도』와 성종대에 편찬된 언해본 『삼강행실도』 가 15세기를 대표하는 행실도이라면, 중종대에 편찬된 『속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는 16세기를 대표하는 행실도이다. 그리고 17세기 초 광해군대에 편찬 ?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우리나라 사람들로만 사례를 뽑았다는 점이 주목되며, 책의 분량도 행실도 가운데 가장 많다. 마지막으로 『오륜행실도』는 18세기 후반에 정조에 의해 만들어진 책으로, 기존의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친 합본적 성격을 갖는 책이지만, 편집 과정에서 선별과 삭제가 이루어져 이전의 책들을 단순히 합친 것만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행실도에는 한문과 한글로 된 본문 외에 목판화로 된 그림이 꼬박꼬박 들어갔다. 이는 문자를 모르는 백성들로 하여금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배려한 것이다. 그런데 행실도에 실린 목판화는 그 자체로 회화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미술사 쪽에서의 분석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전시기를 통해 간행된 행실도 가운데 15-18세기에 국가에서 주도하여 간행한 원간본 계 행실도를 대상으로 서체의 변천을 살펴보고, 목판화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2장에서는 각종 행실도의 판식과 서체의 특징 및 변화상에 대해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행실도 목판화의 조형적특징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행실도에서는 간행 당시에 유행한 산수화의 기법이 다양하게 활용되었으며, 단색 인쇄를 위한 그림이기 때문에 색보다는 선에 치중하여 세밀한 묘사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행실도는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제작되어 우리나라 인쇄술의 발달과 궤를 같이하였다. 그렇지만 행실도의 목판화는 단독적인 작품이 아니라 책에 들어가는 삽화라는 성격 때문에 그동안 회화사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들이 계속 나와서 행실도의 목판화가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다성성(多聲性) 연구(硏究)

        신은경 ( Shin Eun-ky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3 No.-

        The Samgang haengsildo is a collection of the biographies of filial children, loyal subjects, and faithful women,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434 by the Royal order of King Sejong. Working with three vernacular versions of the revised editi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刪定 諺解本), the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and the Oryun haengsildo,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textuality of the Samgang haengsildo. What all these vernacular versions have in common is that various heterogenious elements such as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and painting, prose and verse, fact and fiction, and Chi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coexist in a single text. In this sense, we can categorize the Samgang haengsildo as a "polyphonic text," a term proposed by Bakhtin. Yet unlike other polyphonic texts, all the heterogenious elements of the Samgang haengsildo are directed toward, centered on, and accented on a single point, i.e. Confucius moral such as filial piety, loyalty, and faithfulness. According to Bakhtin, this constitutes one of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monophonic texts. Thus, the Samgang haengsildo can be redefined as a text of "polyphonic monophony." On this basis, this article illuminated a dominant ending form "-nira," which reflects speaker's strong attitude to give Confucius precepts and information to readers, uneducated common people, exercises a crucial function to create the textual uniqueness of the Samgang haengsildo that is, "polyphonic monophony."

      • KCI등재

        단지(斷指) : 모방과 공감에 관한 함의

        윤미옥(Yun, Mi-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59 No.-

        이 글은『동국신속삼강행실도』「효자도」의 단지(斷指)에 주목하고 그 모방과 공감에 관한 함의를 탐색하려는 시도다. 외연적인 단지의 부정적 입장을 넘어 당시 사회적 환경 속에서『삼강행실도』가 출현하고 이후 200여년이 지나고『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단지의 예화가 사적(事績)으로 괄목하게 등장한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이를 단초로 하여 왜 단지의 모방이라는 ‘따라 하기’의 형태가 만연하였는가에 대해 인문학적 이해의 틀을 넘어서 자연과학의 설명을 도입하여 이해의 확장을 시도해 보았다. 행실도가 교화서로서 역할을 수행하면서 단지라는 모방[따라 하기]이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인 거울뉴런으로 설명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타진해 본 것이다. 행실도에 단지의 모방이 확산된 지점에 의문을 가지며 모방과 공감을 통한 다각적 이해의 모색이다. 물론 행실도의 단지를 보고 지금은 이 행동을 모방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당시 민중들에게 공통적으로 인식시키고자하는 주제로 제시된 국민 교과서로 유교적 도덕 실천을 가능하게 하려던 조선이라는 사회구조에서 발생된 그 사회의 영향 하에서는 당연한 결과였다. 단지와 같은 신체적 자해를 모방으로 감당하여 아픔을 공감하며 타자를 타자로 인식하지 않고 타자와 나의 간극을 잊은 행위는 여하간 공감이었다. 그렇다면 문제는 지금의 우리에게 단지의 형식을 닮은 무엇을 모방과 공감으로 발출하게 할 것이며 참된 모방의 길은 어떠한 방식이어야 되는가라는 질문을 남긴다.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finger-cutting in Dongguk Shinsok Samgang Haengsildo and Hyojado and attempts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its imitation and sympathy. It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amgang Haengsildo appeared in the then social environment beyond the negative position on finger-cutting and, after 200 years passed by, the example pictures of finger-cutting came on the scene remarkably in Dongguk Shinsok Samgang Haengsildo as an actual trace. With this clue, this article trie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why the imitation of finger-cutting was spreading all over in a shape of ‘ddarahagi’ by going beyond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frame and introducing the explanation of natural science. As Haengsilso carried out its role as an enlightening book, this article takes a careful approach to find the possibility of explaining the imitation of finger-cutting[copying=‘ddarahagi’] as a mirror neuron which is a research result of neuroscience. This is an exploration of multilateral understanding through imitation and sympathy, and it investigates why the imitation of finger-cutting was spreading in Haengsildo. Of course, people nowadays don"t imitate finger-cutting after reading about finger-cutting in Haengsildo. But it was, however, a natural result in a society generated from the social structure of the Joseon period during which the practice of Confucian morality was promoted through a national textbook suggesting the themes to be recognized to the public at that time. The behavior of forgetting the gap between others and myself, not recognizing others as others, sympathizing pains by bearing it through the imitation of physical self-injury, was sympathy after all. In this sense, there remain questions about what we should now imitate, sympathize with and express that resembles the format of finger-cutting and what genuine imitation should be.

      • KCI등재

        언해본 『三綱行実圖』 열녀도속 왜구(倭寇)의 이미지: 아사이 료이(浅井了意) 『三綱行実図』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경국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the image of Japanese pirates in 『Samgang Haengsildo』. By comparing it with the translated version 『Sankokoujitsuzu』 published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pirates image of 『Samgang Haengsildo』made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by comparing it with the figure of the Japanese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Samgang Haengsildo』was portrayed as the same human being as the other people. It can be distinguished by clothes and weapons. Only the Japanese were allowed to wear the patterned clothes, and the Japanese sword, naginata, Japanese bow. In the case of Naginata,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Naginata in the translated 『Sankokoujitsuzu』, in that the ratio of the blade and the wooden stick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1434 when the Chinese version was made and around 1660 when the translated version was made 본고에서는 언해본 『삼강행실도』에서 그려진 왜구의 이미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일본에서 발행된 화역본 『三綱行実図』와 비교해보고, 나아가 중국 명대에 그려진 왜구의 모습과도 비교하여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삼강행실도의 왜구 이미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삼강행실도』에서는 왜구의 모습을 묘사할 때에, 명나라의 회화자료에서는 맨발에 윗옷을 벗는 등 야만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있는 데 비해, 이문명의 야만인으로서가 아니라 같은 문명인으로 그린 점이 특징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삼강행실열녀도』의 출처 연구

        홍현보(Hong Hyun-bo)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6

        이 글은 세종의 지시로 처음 간행된 『삼강행실도』(한문본)의 출처를 자세히 분석하여, 뒤이어 매우 많은 종류⋅수량으로 간행된 이른바 ‘행실도류’의 책들과 내용⋅형식 면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행실도류는 『삼강행실도』(한문본), 『삼강행실도』(언해본),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열녀전(언해)』등이 있다. 『삼강행실도』한문본이 처음 나왔을 때는 3권 3책 330인의 행적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는데,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그 가운데 각권마다 35인을 뽑아 모두 105인의 행적을 묶어 한문으로 기록하고, 그 판 위쪽에 언해문을 새겨서 간행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전체를 다 살펴보지 못하고 「열녀도」만을 살펴본 것인데, 『삼강행실열녀도』의 110인은 대다수 중국사람이어서, 그 출처를 맨 처음엔 중국유향이 썼다는 열녀전(列女傳) 등에서 찾았으나, 실제로는 중국의 많은 역사서들을 망라하여 참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륜행실도』는 『삼강행실도』 언해본과 『이륜행실도』를 새롭게 언해하고 편집하여 판각함으로써 가장 발전된 양식을 보여주었다. 원문의 방대한 출처를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세종의 『삼강행실도』 편찬 의도를 찾고, 중국의 행실도류(『열녀전』)와의 연관성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I in this article focused on finding out the source of Samgang haengsildo by comparing the form and content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ich were published in a great deal of kind and quantity in Joseon dynasty,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amgang haengsildo, the first illustrated book of admonition, with other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gang haengsil yeolnyeodo and Lienu zhuan of China. Samgang haengsildo(Chinese version), Samgang haengsildo (Korean translation version), Sok Samgang haengsildo,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ryun haengsildo, Oryun haengsildo, Yeolnyeo jeon(Korean transla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en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composing 3 gwons 3 chaeks it recorded the deeds of 330 persons. The compilers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selected 35 persons from each gwon of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t recorded in Chinese the deeds of 105 persons in total and engraved Korean translation on the upper part of woodblock. Most of 330 persons were Chinese. At first, I tried to find its source from Lienu zhuan, Gu Lienu zhuan, Gujin Lienu zhuan which were compiled by Liu Xiang of China. However, I came to know the fact that the compilers of Samgang haengsildo referred widely to many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Han shu, Jin shu, Wei shu, Sui shu, Jiu Tangshu, Xin Tang shu, Song shi, Jin shi, Yuan shi. While Sok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followed Samgang haengsildo in form and content,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showed many changes in that it recorded only the deeds of about 1,590 Koreans as its title shows. Unlike precedent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s a pure creative work without any reference book. It is significant that Korean translation for the first time came to take up its position in the body of the book. Oryun haengsildo published afterwards showed the most developed form in that it newly translated the Korea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renewed its compilation and newly engraved. I in this article studied only Illustrations of Virtuous Women not the whole of Samgang haengsildo, came to find out Sejongs intent of the compilation of Samgang haengsildo by making a correct investigation on the extensive sources of the book and could trance its association with Chinas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 KCI등재

        산(散)·운(韻) 혼합담론으로서의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연구

        신은경 ( Shin Eun-ky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산문과 운문을 혼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는 방식은 특히 동아시아의 고전 텍스트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이와 같은 散·韻 혼합서술의 글쓰기 방식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것은 동아시아 고전 텍스트의 공분모를 추출하는 데 일조를 할 수 있다. 散·韻 혼합서술의 유형은 여러 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序附加型, 列傳型, 詩揷入型, 詩話型, 注釋型, 複合型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삼강행실도』는 이 중 열전형의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본고는 『三綱行實圖』를 대상으로 하여 열전형 혼합담론의 일반적 특성 및 기원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열전형의 특성은 장르적인 면과, 산문과 운문의 관계에서 발견되므로 『삼강행실도』를 이 두 가지 측면에서 집중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열전형 혼합담론에서 인물의 행적을 기록하고 기록자의 주관적 평을 곁들이는 산문부의 서술방식의 기원으로서 사마천의 『사기』 「열전」을, 산문과 운문을 섞어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의 雛形으로서 『좌전』을, 완전한 체제로서 열전형 혼합담론의 전형을 보여 주는 최초의 예로 유향의 『열녀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행적을 찬미하는 내용으로 된 운문부의 기원으로서는 漢賦의 결어 부분에 쓰이는 `亂辭`를 제시하였다. The Samgang haengsildo is a collection of the biographies of filial children, loyal subjects, and faithful women, which was written in Chinese and first published in 1434 by the Royal order of King Sejong. Working with this first edition, this article intend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 : mixed narration style of prose and verse Each text of the Samgang haengsildo consists of an illustration, prose part of biographical sketch and two hepta-syllabic quatrains recapitulating the prosaic contents with a praising tone.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structural aspect which prose and verse are weaved to construct a text. The type of the mixed pattern of prose and verse in narration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preface-added type(序附加型), poem-inserted type(詩揷入型), the type of essays on poetry(詩話型), the type of biographies(列傳型), the type of explanatory notes(주석형), and complex type(복합형). Of these, the narra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 belongs to the type of biographies. It is observed in generic facet and in the verse`s relation to prose that the biography type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five types. In terms of genre, prose part is built around a person`s biography,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ategorized as narrative mode on the one hand, but given that, from the first, this book was designed to give populace lessons of filial piety, loyalty, and faithfulness, prose part also takes a character of thematic mode on the other. As for the verse part, unlike the poems in the five types which assume lyric, those in this type come close to thematic poetry characterized by giving lessons, educating people, and aiming at conveying truth and Confucius morals. Meanwhile viewed from the relation of prose and verse, the type of biographies differs from other 5 cases in that verse part-two hepta-syllabic quatrains-recapitulate the contents of the prose, thereby assuming a duplicated narration and empathizing the Confucius morals: filial piety, loyalty, and faithfulness. The first example of the type of biographies is the Yolnyujeon by Yu Hyang in the Han period. Apart from the first case of this type, this article presented “series of biographies”(列傳) of the Sagi by Sama Cheon as the origin of the prose part of this type, and “nan”(亂), ending songs of Han fu (漢賦) as that of the verse part.

      • KCI등재

        1728년의 정치변란에 대한 정부의 대책과 규범서 -『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경민편』의 간행을 중심으로-

        정호훈(Jeong, Ho Hun)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6 No.-

        이 글에서는 1728년(영조 4)에 일어났던 정치변란 이후 조선의 정치권력이 취했던 대응책을 규범서의 간행과 보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조와 관료들은 반국가·반영조의 반란이 일어난 근본 요인은 민인들이 군주를 친애하고 관장을 신뢰하는 도덕의식을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이러한 대책을 세웠었다. 이때 중앙 정부에서는 『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지방에서는 『경민편』을 활용했다. 이 작업은 1730년(영조 6)을 전후한 시점에 본격화되었다. 당시 사용한 규범서는 기존에 간행되어 활용되던 책들을 새롭게 손질하거나 증보한 특징을 보였다.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는 영조 2년 평양에서 간행했던 수정본을 재차 간행하여 8도에 보급했다. 『경민편』은 평양과 상주에서 이전의 간본에 지역성을 반영한 내용을 첨가하여 간행했다. 1728년의 반란 이후, 중앙 정부와 지방관들이 간행하여 보급한 여러 규범서는 권력의 반란 대책의 성격을 이해함에 또한 이들 규범서의 새로운 변화를 살핌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때 인쇄된 『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경민편』은 1728년의 정치적 사건과 연관하여 검토할 때, 그 성격이 더 잘 드러날 것이다. 이들 문헌은 또한 영조 대 국가 권력이 민인들을 장악하고 통제하는 방법이 어떠했는지를 이해함에도 도움을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untermeasures taken by the political power of Joseon after the political upheaval that occurred in 1728, focusing on the pub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normative books. King Yeongjo and the bureaucrats diagnosed that the root cause of the anti-state rebellion was that the people did not have the moral consciousness to love the monarch and trust the ruler, and took these measures. At this time, the central government used the Samgang Haengsildo and Yiryun haengsildo, and the local government used the Gyeongminpyeon. The Samgang Haengsildo and Yiryun Haengsildo were republished in a revised version published in Pyongyang in the 2nd year of King Yeongjo and distributed to the 8 provinces. Gyeongminpyeon was published in Pyongyang and Sangju by adding content reflecting locality to the previous editions. After the rebellion of 1728, various norms published and dissemin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officials ar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untermeasures against rebellion by power and for examining new compilations of these no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gang haengsildo, Yiryun haengsildo, and Gyeongminpyeon printed at this time will be better revealed when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events of 1728.

      • KCI등재

        ‘행실도’와 ‘훈민가’에 투사된 이륜(二倫) 중 ‘형제’ 덕목의 특징

        권정은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6

        This paper research for the features of brotherhood among two car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engSilDo picture and HunMinGa poetry in Josoen Dynasty. North East Asia, Korea China and Japan shared the culture of hunmin(teaching public with confucious idea). By the way China and Japan only focused on Samgang(the three basic principles in human relations) though, Korean interested in Samgang oryun(the three bonds and the five cardinal relationships) with concerning the two cardinal relationship which cover Brotherhood and friendship. From old times, brotherhoods had appeard in many classic poetry. Most of all scholar noblemem in 16c tried to edify peaple with strong confucious doctrine. And HaengSilDo conceived very clear message on succinct picture, HaengSilDo show us same message by the use of strong nuanced sentence of the last line. But time goes by, the same genre of poetry depended on more soften tone and personal emotions, the image in picture of impending calamity to two Brothers published for just one family instead of for all people. These kinds of change imply the various aspects of brotherhoold that in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s instead of vertical. Originally brother kinship include the both sid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and that caracteristic lead to the various types of works. 이 논문은 조선시대의 행실도와 훈민가를 대상으로 ‘이륜’ 중 ‘형제’ 덕목이 구현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훈민 문화는 한중일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에 공존했지만, 중국과 일본의 경우 ‘삼강’의 독점적 우위가 절대적이었던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삼강오륜’ 전반에 주목하는 차이점을 보였고, 그 중심에 ‘이륜’이 존재했다. ‘형제’ 덕목은 바로 이와 같은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인데, 기존의 관련 시가 작품에서는 대립과 협력의 양면성을 다룬 바 있다. 그런데 16세기 향촌의 사대부들은 행실도의 단독장면과 훈민가의 강력한 종장의 어구를 통해 사회적 실천력을 강조했다. 하지만 17세기에는 이륜을 중심으로 하는 미풍양속에 대한 요청이 절실했음에도 불구하고, 형제 관계를 다룬 훈민가는 개인적인 감성 중심으로 변모하고, 그림은 <형제급난도>처럼 한 가문 중심으로 전승되는 변화상을 보였다. 애초에 형제는 상하관계가 아닌 수평관계에 놓이는 것으로 서로 간의 경쟁을 피해갈 수 없지만, 현실적인 이익과 우애를 위해 협력을 해야 하는 미묘하고 복잡한 상황에 놓인다. 따라서 형제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 예술적 관심과 표현 역시 단순할 수 없다. 본고는 그 가운데 조선 중기의 특징적 상황에 주목함으로써 폭넓은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