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려후기 성주사의 중건

        임종태(Im, Jong-tae)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1

        본 논문은 성주사 중건기 가람을 고고학적인 관점에 검토하여 이 당시 조성된 건물의 배치현황과 특징 등을 살펴 성주사가 중건된 시점과 조성배경 등을 추론한 것이다. 보령에 위치한 성주사지는 통일신라 말기에 낭혜화상 무염대사가 주석하게 되면서 창건된 사찰로 이 무렵 형성된 선종 구산문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주사지는 가람 중심부에 대한 조사가 1990년대에 최초 실시된 이후 2000년대 들어 그 주변일대에 대한 추가적인 연차 발굴조사가 실시되면서 대략적인 가람의 변천단계 과정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확인된 성주사는 성주사 창건기 가람과 중건기 가람으로 구분이 된다. 여기서 성주사 중건기 가람은 성주사 창건기 가람의 소실로 인해 형성된 가람으로 창건기 가람의 소결원인은 몽고의 침략으로 인한 화재가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렇게 화재로 소실된 가람은 즉각적인 재건이 이루어지는데, 그 중심연대는 고고자료를 근거로 1250년 이후인 13C후반기경으로의 추정이 가능하다.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중건기 가람의 특징은 기존의 정형화된 건물배치가 붕괴되고 경내에 불전과 주거목적의 건물이 함께 조성되는가 하면, 사역의 경계를 이루는 회랑이 폐기되면서 이를 대체하는 담장시설이 조성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중건기 가람이 조성되는 과정에서 사역 내 생산시설 등이 공존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주사의 중건을 도운 세력으로는 성주사의 창건기 가람과 혈연적 관계를 맺고 있던 김인문의 후손들이 시주와 같은 경로로 지속적인 後援을 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This research paper makes inferences about the time and background of the rebuilding of Seongjusa Temple. These inferences were made by studying how the temple buildings were arranged and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t that time, based on examinations of the temple rebuilding process from archaeological perspectives. Seongjusa Temple site is located in Boryeong and was established by the Buddhist priest Nanghye (Great Master Muyeom)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temple was one of the Nine Mountain Monasteries of the Zen Sect. After the first investigative work on the center of the temple site in the 1990s, the vicinity of the temple site was excavated annually in the 2000s. These excavations confirmed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temple site’s transformation. The history of Seongjusa Temple is divided into the initial stage and rebuilt stage of the temple. The temple of the rebuilding stage refers to the one that was reconstructed after the loss of the previous one. The cause of the original temple’s destruction is presumed to be a fire during the Mongolian invasion, and the temple was reconstructed immediately after the fire. The reconstruction work is thought to have occurred sometime in the 13th century, after 1250.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rebuilding stage temple lie in the coexistence of the Buddhist shrine and residences, the absence of the earlier standardized placement of buildings, and the replacement of the corridors with walls as borders of the sanctuary. Seongjusa Temple has another unique trait of placing production facilities inside the temple. Those who suppor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with such means of continued offerings to the temple are presumed to be the descendants of Kim In-mun, who had ties to the original templ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