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W 264.7 세포에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iNOS, COX-2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

        이진영 ( Jin-young Lee ),유단희 ( Dan-hee Yoo ),채정우 ( Jung-woo Cha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2

        본 연구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천연물 재료인 말오줌나무 추출물 활용 가능성 연구하였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말오줌나무의 세포독성효과를 MTTassay를 통해 확인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항염증 활성을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 내 NO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griess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NO의 생성이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RAW 264.7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인자(iNOS, COX-2)들을 생성하여 측정하였다. 그 후,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50, 100, 500 μg/ml 농도에서 westernblot을 수행하였고, β-actin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iNOS와 COX-2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50, 100, 500 μg/ml 농도에서 RT-PCR을 수행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westernblot으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각각 31.2%, 54.7%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iNOS, COX-2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RTPCR로 측정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각각 72.2%, 89%정도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진 천연물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a new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possessing application possibility of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SS) extract. For this, we analyzed the toxic effect of the SS extract on macrophages (RAW 264.7 cells) by performing MTT assay. Results of the MTT assay showed ≥100% cell via-bility after treatment with 500 μg/ml SS extract.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SS extract, we examined its inhibitory effect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by performing Griess assay. Result of the Griess assay showed that the SS extract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SS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inducible NOS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First, we deter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50, 100, and 500 μg/ml SS extract on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 by performing western blot analysis, with β-actin as a posi-tive control. Results of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reatment with 500 μg/ml SS extract decreased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 by 31.2% and 54.7%, respectively. Next, we deter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50, 100, and 500 μg/ml SS extract on iNOS and COX-2 mRNA expression by performing reverse transcript-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GAPDH as a positive control. Results of reverse transcription- PCR showed that treatment with 500 μg/ml SS extract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iNOS and COX-2 by 72.2% and 8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S extract is a highly valuable natural com-pound because of its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 KCI등재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미백활성 검증

        유단희(Dan-Hee Yoo),김진태(Jin-Tae Kim),오민정(Min-Jeong Oh),염현지(Hyeon-Ji Yeom),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말오줌나무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검증하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실험은 1,000 μg/ml에서 86.21%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97.9%의 소거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 μg/ml 농도에서 37%의 효과를 보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진행하였는데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각각 100 μg/ml 농도에서 34.5%, 45.6%, 58.4%, 79.6%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발현을 RT-PCR로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85.4%, 67.5%, 85.2%, 67.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 70% ethanol extract of the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SS).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is SS extract was found to be 86.21%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97.9%. In terms of whitening activity,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was 37%, also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o explore the extractefftoxicity to B16F10 melanoma cells,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assay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90% or more cells remained viable at 100 μg/ml concentration. A Western blot of the SS extract was used to measur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 protein-2 (TRP-2), and the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t 25, 50, 100 μg/ml concentrations; β-ac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Consequently, the MITF, TRP-1, TRP-2, and the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were seen to decrease by 34.5%, 45.6%, 58.4%, and 79.6%, respectively, at 100 μg/ml concentration. These were also then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t 25, 50, 100 μg/ml concentrations with GAPDH as a positive control. As a result, the SS extract was seen to decrease MITF, TRP-1, TRP-2, and the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by 85.4%, 67.5%, 85.2%, 67.1%, respectively at the 100 μg/ml concentration. We therefor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extract as a whitening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