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눌의 깨달음과 수행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지눌 선사의 일생은 출가와 깨달음 그리고 정혜결사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기록으로 나타난 삶 전부가 정혜결사와 관련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선사는 수선사 결사에서 삼문을 열어서 수행을 지도하고, 『금강경』과 자신의 깨달음에 계기가 되었던 경론에 의거해서 법을 펼쳤다. 아울러 자신의 저술로써 수행 지도의 내용을 보완해 나갔다. 선사의 저술에 나타난 수행관련 내용은 돈오점수론 및 돈오점수에 의거한 정혜수행과 경절문 간화선으로 압축된다. 선사는 ‘돈오점수는 모든 성인들이 법칙으로 삼아 닦았던 수행의 원칙이며, 정혜수행은 모든 수행문의 귀결처’라고 하였다. 또 경절문은 정혜수행 이외에 선문에서 말을 여의고 깨달음에 들어가는 별도의 수행문이라고 하였다. 돈오점수는 자기의 마음이 본래청정하고 본래 번뇌가 없어서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자기의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자기의 무명으로 분별하는 마음이 바로 제불의 보광명지임을 信解하고 이 믿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이 깨달음과 닦음은 선문과 교문이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마음이 부처이고 자성이 불성임을 깨닫고 닦기 때문에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를 성인의 태를 기르는 수행[聖胎長養]이라고 하며, 이 수행을 오래 오래하면 성인을 이룬다[久久成聖]고 하였다. 선사가 가르치는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도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이다. 다만 근기에 따라 다를 뿐이다. 정혜수행은 공적영지하며 적적성성한 자기 마음의 체와 용을 닦는 수행이다. 근기가 뛰어나지 못하다면 먼저 정을 닦아서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 뒤에 혜를 닦아서 혼침을 다스려서 선후로 혼침과 산란을 고르게 조화시켜 성적등지, 정혜등지에 이를 수 있고, 근기가 뛰어난 사람이라면 한 생각에 정혜가 함께 밝아서 성성적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근기의 차이를 지눌 선사는 수상문과 자성문으로 설명하였다. 달인의 정혜 닦는 수행은 정혜가 원명하며 功用에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경절문 수행은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절요』와 이후의 저술에서는 원돈문에서 남을 수 있는 알음알이의 장애와 정혜수행의 자성문에서도 닦는 남을 수 있는 공용의 장애를 없애는 수행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지만 선사가 지적한 것은 자신의 체험에 비추어 이러한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의 수행문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수행하는 사람의 근기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근기의 차이를 먼저 말한 것이다. 지눌 선사는 경절문 수행에도 참구문과 참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참구문은 일념으로 의심을 타파하여 몸소 일심의 도리를 증득하고 반야를 발휘하여 불법을 널리 유통시키는 사람들이 닦는 수행이다. 참의문은 당시 간화수행자가 의심을 타파했다는 경우는 대부분 참의에 해당하며, 이는 원돈문으로 正見을 드러낸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見聞解行의 功이 있어서 이양만 추구하는 문자법사와는 달라서, 참의문으로 바른 지견을 나타내는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당시에는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참구문을 닦는 것이 마땅하지만 참의문이라도 바른 수행의 문에는 든 것이다. 정혜수행을 자성문은 물론 수상문도 바른 수행의 길이라고 수용했던 것과 같은 설명이다. 경절문을 닦는 수행자 각자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각각의 수행문은 모두 먼저 깨닫고 돈오한 이 깨달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다만 수행을 하는 사람이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각각의 수행문으로 입문하여 닦아나갈 따름이다. 지눌 선사의 체험에서처럼 원돈문과 자성문에서 남는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애는 加行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수행문의 차이가 아니라 수행자의 근기에 따른 것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도 마찬가지다. 경절문은 돈오돈수의 수행이며 나머지는 돈오점수의 수행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돈오를 의지하여 닦는 悟後修의 내용을 근기에 따라 구분한 이름일 뿐이다.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을 돈·점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행문에 돈수하고 점수하는 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정혜수행은 근기에 따라 자성문과 수상문으로 구분하고, 경절문도 근기에 따라 참구문과 참의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수행문이 아니라 수행하는 사람에 달렸다.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전법륜 이후 오늘날까지 모든 수행자들은 각각의 수행문으로 각각 수행의 길을 걸어갔다. 다만 각각의 근기가 달라서 빠르게도, 느리게도, 전혀 수행의 공이 없는 듯 보이기도 했을 뿐이다. 깨달음의 길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지눌 선사에 따르면, 이들이 돈오했다면, 이들 모두는 聖胎를 長養하는 수행으로 성인을 이루는 수행의 길을 갔을 따름이다. 선사는 이 길을 牧牛行이라 하였다. Seon Master Jinul (知訥, 1158~1210)'s life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words: his leaving home, his awakenings,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Furthermore,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his whole recorded life is related with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or Seon Cultivation Community. He guided people's practice with his own three major approaches and he talked the dharma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by which he could awake before. Besides, he supplemented his teaching with his own writings. His teaching of practice seen in his writings is, also, summarized into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of Hwadu seon. He said,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 principle of practice which every saint takes a rule and cultivates,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conclusion of all practice approach,” and added that the shortcut method was another approach to awakening without language in seon beside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First of his three major approaches,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non-deluded and that everyone is not different from Buddha at all, practicing one's mind relying on this awakening. It is also, after having the faith and understanding that one's delusively discriminating mind is just like the bright radiating wisdom of all buddhas, practicing mind depending on this faith. These awakening and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between seon and doctrines from each other. Because one cultivate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just Buddha and that one's own nature is the Buddha nature, cultivating after awakening is called by the practicing of cultivating saint's womb (聖胎長養), and, therefore, everyone can make oneself saint through these practice for long and long time (久久成聖). Jinul's other two practice,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are also cultivating after sudden awakening. These are classified just by people's capacities. The seco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practic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mind that has both the voidness and numinous awareness (空寂靈知) and the calmness and alertness (寂寂惺 惺). Practitioner with low capacity must calm down his/her restless mind through practicing samādhi first, and then control his/her depressed mind through prajñā. This practice makes his/her restless and depressed mind harmonious, and enable the practitioner to reach attaining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or the concurrent samādhi and prajñā. Meanwhile, practitioner with high capacity can develop samādhi and prajñā concurrently at the first moment, and then reach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without pause. Jinul explained these different capacities with terms of the Following Appearance Gate (隨相門) and the Own Nature Gate (自性 門), and said that practice of samādhi and prajñā by whom had reached such a position cultivated was those of samādhi and prajñā were bright and perfect, and those of no falling to function. The last third, the shortcut method is practicing of cultivating Hwadu. In his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法集別行錄 節要) and other works, he explains that the shortcut method is the practice of removing both obstacles of knowledge remained in the Perfect and Sudden Gate (圓頓門), and obstacles of function in the Own Nature Gate (自性門) of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His point, from his own experience, is that these obstacles arisen during the practice can be removed by the shortcut method. Although practice after sudden awakening is equal to everyone, people's various capacities makes

      • KCI등재

        曉峰의 定慧結社와 시대적 의의

        김경집(Kyung-Jib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효봉(1888-1966)은 1925년 출가한 이후 철저한 수행으로 1931년 여름 깨달음을 얻었고, 보임의 길에서 만공과 한암을 만 나 결사의 정신을 계승할 수 있었다. 그런 수행력은 뒷날 한국불교의 고비 때마다 바른 지침을 제시하는 지혜가 되었다.그의 생애는 한국 근, 현대사와 그 궤를 함께 한다. 그런 까닭에 일제 강점에 의한 한국불교의 변질을 지켜보았고,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무엇보다 전통을 정립하는 것이 급선무임을인식하였다. 그래서 1937년부터 송광사에 주석하면서 보조 지눌의 결사정신을 바탕으로 변질된 수행풍토를 바로 잡아 한국불교를 중흥하려 하였다. 이런 정신은 광복 후에도 계속되어1946년 7월 15일 송광사 三日禪院에서 3년을 기한으로 定慧結社를 시작하였다.이 결사는 1946년 8월 교무원이 모범총림을 설립하고 수행력이 높은 효봉을 조실화상으로 삼아 한국불교의 앞날을 도모하면서 교단 차원에서 실행하게 되었다. 한국불교의 수행풍토와인재양성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던 효봉도 자신의 결사를 해인사로 옮겼다. 이후 결사는 1950년 6.25가 발발하기까지 5년간지속되었다.이와 같이 광복 후 실시된 효봉의 정혜결사는 다음과 같은의의를 지니고 있다. 먼저 한국불교 있어 현대에 실시된 정혜결사의 효시라는 점이다. 그것은 광복 후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나자 한국불교의 중흥을 위한 움직임이었고, 이후 교단 차원의 수행풍토를 조성하기 위한 모범총림으로 이어져 한국 현대불교의 시금석이 되었다.효봉의 정혜결사는 멀리 보조의 사상과, 가까이는 경허와 만공 그리고 한암의 정혜결사를 계승하면서 한국불교 선풍운동을계승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후 제자인 구산에 의해 송광사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져 현대에 이르고 있다. In this paper, I present Ven. Hyo-bong's life and practice asceticism in modern times. Ven. Hyo-bong became a Buddhist monk at the age of 38 in 1925. He was practicing asceticism in the Geumgang mountains and became an excellent zen master in modern times. His life agreed with the period when Korean Buddhism lost the fundamental meaning and the spirit of the times of religion. This period was very difficult but he gained new courage and he took actions. He established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in Songkwang korean traditional Temple in August 1946.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by improving Korean zen practicing method in depressed Korean Buddhism. Ven. Hyo-bong'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in Songkwang korean traditional Temple was moved in Haein korean traditional Temple by korean Buddhist Order in November 1946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has lasted for 5 years and Ven. Hyo-bong educated many Buddhist Priests and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Therefore, thi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was the first practice system Korean Buddhism in present-day, and its had a historical meaning that was continued from Ven. Man-gong and Ven. Han-am's movement of zen trend in 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滿空 月面의 사상과 활동

        김경집(kim kyung-jib)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2 No.-

          In this paper, I present Ven. Mangong"s life and activity in modern Korean Buddhism.<BR>  Ven. mangong was an excellent zen master in modern times. His life agreed with the period when Korean Buddhism lost the fundamental meaning and the spirit of the times of religion. This period was very difficult but he gained new courage and he took actions.<BR>  First, he established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Priest and a foundation of the Buddhist Priesthood through the right way of devotion to the pursuit of Buddha"s faith.<BR>  Second,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by improving Korean zen practicing method in depressed Korean Buddhism.<BR>  Finally, he made a fresh atmosphere by developing the various Buddhist activities.<BR>  He educated many Buddhist Priests and built many temples. His beliefs thoroughly succeed to the thoughts of ven. Kyungheo, who was his master.<BR>  Ven. Mangong guided a society of priests that influenced the idealogical meaning of the Sam?dhi and Praj?a Community, and published ven. Kyung-heo"s writing.<BR>  In this course,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and popularization through the Sunhakwon, which was established as a zen Order in Korean Buddhism in November 1921.

      • KCI등재

        한국 근ㆍ현대불교의 普照 영향

        김경집(Kim Kyung-jib)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보조국사 지눌은 한국불교 근 현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 계승된 보조의 사상 가운데 두드러진 것은 결사의 정신이다. 그런 정신은 경허와 한암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현대에는 재가 불자들에 의해서도 계승되었다.<BR>  보조의 사상은 한국불교 선종의 근간을 정립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근대불교 연구자들은 한국불교 선종이 그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보조를 중심으로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였다. 또한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의 선가에서 중요하게 여겼던 전적에서 보조의 저술은 강조되었다.<BR>  이런 보조사상은 현대 한국불교학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전문적인 보조 연구자가 배출되어 보조에 관한 깊은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연구에 의해 한국 현대불교에 있어 보조의 영향이 매우 컸음이 증명되었다.<BR>  또한 보조의 실천이 이어져 온 송광사에서 근 현대의 선지식인 효봉과 구산이 보조의 선사상을 계승함으로써 승보종찰의 이미지는 물론 가풍의 계승이라는 의의를 회복할 수 있었음도 역사적 영향의 중요한 부분이다.<BR>  따라서 이런 점을 종합해서 고찰할 때 근 현대 보조사상의 역사적 영향은 한국불교 전체에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족적을 남겼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한국불교에 선명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평가될 수 있다.   Ven. Bo-jo has many influenced to Korean Buddhism in modern times. In this time, the remarkable thing handed down in the mist of Ven. Bo-jo"s thoughts was the Sam?dhi-Praj?? Community. This spirits handed down by ven. Kyung-Heo, Man-gong and a believer in Buddhism in modern times. Researchers who attention to Korean Buddhism in modern times concluded that the Korea seon order succeed to ven. Bo-jo"s thoughts.<BR>  Ven. Bo-jo"s works emphasized in Korean Buddhism from in modern times to in the present age. He"s thoughts has a enormous effects on Korean Buddhist study. A specialist researchers appeared and accumulated a many research papers on ven. Bo-jo.<BR>  Such researchers works demonstrated that ven. Bo-jo"s thoughts has effected Korean Buddhism in the present age. And ven. Bo-jo"s thoughts succeed to Songkwongs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by ven. Hyo-bong and Gu-san who seon master from in modern times to in the present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