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안전교육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유병열 ( Yu Byung Yu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면서 학교에서도 매우 강력한 안전교육이 추구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안전교육에 관한 특별한 시간까지 배당하여 실행해 가고 있는가 하면, 교과에 따라서는 안전교육 단원이 설정되거나 관련 내용이 증대되고, 여타 학교 교육활동에서도 연간 51시간 여의 안전교육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세월호 참사를 기점으로 해서 우리의 안전교육이 완전히 달라진 모습으로 추진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적 토대에 대해 체계적이고도 종합적으로 밝혀 제시하는 바가 부족한가 하면 공유된 인식 또한 상당히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구축해 보고자 하는 관점에서 시도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먼저 안전교육이 왜 필요하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어 초등 안전교육의 기본 방향과 목표가 무엇이고 초등학생들의 발달 특성에서 볼 때 어떤 원리에 의거하여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아울러 학교 안전교육의 법적 의무가 어떻게 주어지고 있는 지와 어떤 교육정책적 노력이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면서 이를 구현해 가기 위해 학교 안전교육이 어떤 실천 과제들을 추구해 가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초등 안전교육은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과 학교 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의 두 가지를 근간으로 하여 학교별로 자율적이고도 체계적, 실효적으로 실시해 가야 하는 한편 초등1,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설치된 `안전한 생활` 교육에도 특별한 관심과 실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Since the sinking of Sewol in Korea, very strong safety education has been attempted in our education.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 even though it is in the phase of executing safety education while particular time allotment to the curriculum, it is very unsatisfactory that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most basic theoretical basis and the shared perception. So, in the paper I tried to construct the rational grounds and theoritical system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To put it concretely, first of all, I explored the meaning and explained why we urgently need the strong safety education in our schools and society. Second, I enquired the basic directions and goals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nd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we need to help our children to have the integrated competencies of safe life-cognitive capacities, behavioral skills, and values and attitude of life respect. Third, I explor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children and suggested the principles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urth, I explained legal liability of school safety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tried to elicited the practical tasks that are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our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king an effort for more systematic, intensive and effective safety education by discussing very important points to be considered in implementing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 KCI등재

        목표설정, 성과평가, 자율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경희 ( Choi Kyunghee ),박순애 ( Park Soonae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설정, 성과평가, 자율성, 심리적 안전, 그리고 주관적 성과 및 객관적 성과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가 업무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심리적 안전과 주관적 성과 및 객관적 성과, 그리고 심리적 안전의 결정변수로서 목표설정, 성과평가, 자율성을 포함하는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공공성과관리연구센터의 2018년 ‘공공부문 성과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중앙정부 공무원 1,082명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목표설정, 성과평가, 자율성, 심리적 안전, 주관적 성과 및 객관적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정책기획, 정책집행, 지원 등 업무 유형에 따른 구조모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안전은 주관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객관적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설정, 성과평가, 자율성은 모두 심리적 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전은 목표설정, 성과평가, 자율성과 주관적 성과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업무 유형에 따른 구조모형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performance evaluation, autonomy, psychological safety,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performance, and to underst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l including psychological safety, goal sett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autonomy as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performance through review of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public official perception survey on public sector performance in 201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82 public officials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performance evaluation, autonomy, psychological safety, subjective and objective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such as policy making, policy implementation, and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performance, but did not affect objective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goal sett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autonomy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performance evaluation, autonomy and subjective perform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 KCI등재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와 학습목표성향 및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김상범,이상호,이서진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3

        Recently, inclusive leadership is considered as a major leadership concept positively affecting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In this vein,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is needed to be performed across various industries. In addition, it is pointed that mor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contingency factors or boundary conditions to explain relativ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Based o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nclusive leadership on subordinates’ voic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in a bank industr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ower distance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Five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off-line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working for a large-size bank in Korea. A total of 73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es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s supported all of five hypotheses developed in this study.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a subordinate’s voice behavior. Second, inclusive leadership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s to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Third,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Forth, a subordinate’s learning goal orientation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Finally, a subordinate’s power distance orient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inclusive leadership of bank branch manager and its relationships with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and the boundary conditions explaining the relativ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voice behavior.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최근에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리더십으로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 걸쳐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의 상대적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이나 경계조건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함이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정보처리 관점에서 은행 지점장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국내 대형은행의 지점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730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5개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 지각은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 지각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심리적 안전감은 포용적 리더십 지각과 구성원의 발언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성원의 학습목표성향은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권력거리성향은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 간의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내⋅외에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은행 지점장을 대상으로 포용적 리더십이구성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선행연구의 영역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이 발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에 대한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취 목표 지향성과 안전 분위기가 안전 및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지희,박영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2

        본 연구는 개인의 성취 목표 지향성과 조직의 안전 분위기가 안전 행동과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전 행동은 준수와 안전습관 행동으로, 불안전 행동은 위반과 실수 행동으로 측정하였다. 기업에 근무하는 35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 및 수행접근 지향성은 안전 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불안전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대로 숙달회피 및 수행회피 지향성은 안전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불안전 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 결과는 숙달목표와 수행목표 지향성이 각각 적응적 및 부적응적 결과물과 관계된다는 다중적 목표 이론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이다. 경영가치, 안전실천, 의사소통, 교육훈련 및 직속상사로 측정한 안전 분위기는 안전 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불안전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 안전 분위기는 의도적 행동인 준수 및 위반 행동 보다 비의도적 행동인 안전습관 및 실수 행동과 유의하게 더 강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개인의 특성과 조직의 특성이 안전 행동 및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에 대해 마지막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참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탁제운 ( Tak Jewoon ),신제구 ( Shin Jeg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리더십 개발과 훈련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업종의 국내기업 직장인들로부터 수집된 3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참여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간 관계에는 리더신뢰를 경유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심리적 안전감은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신뢰와 발언행동 간 관계 및 리더신뢰와 목표몰입 간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을 경유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리더신뢰는 발언행동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몰입에는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고, 이를 통해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이 향상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이론적으로 참여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확장하였고, 리더십 역량 향상에 관한 실무적 제안과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 and goal commitment through trust-in-leader and psychological safety of members,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dership development and training along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A total of 33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businessmen in various indus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in-leader and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indirect effect of trust-in-lea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Psychological safety has a positive effect on voice behavior and goal commitment.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in-leader and voice behavior and between trust-in-leader and goal commitment. In addition, trust-in-leader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voice behavior, bu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oal commitmen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rust-in-leader and psychological safety, and that it improves the voice behavior and goal commitment. In addition, theoretically, we expand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studies o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suggested a practical proposal for improving leadership competen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팀 성취목표지향성과 팀의 심리적 안전이 팀 창의성 및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지원,이미나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3

        협력을 통한 학습활동에서 창의성은 추구되어야 할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 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확산되고 있는 학습공동체 활동을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팀 학습과 정에서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팀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안전을 선정하고 이들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 학에서 2016 2학기와 2017 1학기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각 자 소속팀의 창의성, 효과성, 성취목표지향성 및 심리적 안전을 평정하게 하 였으며, 총 331명의 자료를 101개 팀 수준 자료로 변환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팀 창의성에 대해서는 팀 숙달목표와 팀의 심리적 안 전이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팀 효과성에 대해서는 팀 숙달목 표, 팀 수행접근목표, 팀의 심리적 안전이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나 팀 창 의성과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학습공동체에서 팀 창의성 향상을 위해서 숙달목표와 심리적 안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대학에서 학습공동체의 양적 확산보다 팀 창 의성 향상에 초점을 둔 질적 향상으로의 전환을 고려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 시하였다. Creativity is one of the goals to be pursued in collaborative learning. Learning communities have been implemented in many universities in Korea, a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on creativity, effectiveness,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safety of their own team were administered to 33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101 teams at an university in fall semester of 2016 and spring semester of 2017.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eam goal orientation variables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to team creativity indicated team mastery goal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as the significant predictors. And the same regression to team effectiveness showed team mastery goal, team achievement approach goal,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as significant predicto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provided. In addi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university should consider the transition from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learning communities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by focusing on team creativity.

      • ASIL Decomposition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

        김학범(Hakburm Kim),박대동(Daedong Park),홍성수(Seongsoo H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최근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차량 내 전기전자시스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에 급격한 전장화는 전자적 오류에 따른 사고 위험성을 높이는 또 다른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2011년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규격인 ISO 26262를 제정하였다. ISO 26262는 차량 내 전기전자시스템의 결함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의 설계부터 검증, 양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기능안전을 제시한다. ISO 26262는 ASIL이라는 자동차 안전성 보존 등급을 제시하고 이는 전기전자시스템의 위험 수준을 의미한다. ASIL은 QM, A, B, C, D 중 하나로 결정된다. 전자식 제동 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식 안전 제어 시스템은 가장 높은 등급인 ASIL D를 부여 받는다. 이렇게 높은 위험등급을 부여 받은 시스템을 ISO 26262 요구사항에 맞게 개발하기에는 매우 긴 시간과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ISO 26262에서는 높은 위험 등급을 여러 개의 더 낮은 등급으로 낮추는 ASIL decomposition 방안을 제시한다. ASIL decomposition은 같은 안전목표를 가지고 있는 2개 이상의 상호 독립적인 요소에게 안전 요구사항을 분배하여 등급을 낮추는 것이다. ASIL decomposition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같은 안전 목표를 가지고 있고 독립적인 하위 소프트웨어 요소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가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는다. 이 논문에서는 전자식 제동 시스템에서 이 문제를 극복하여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계한 사례를 소개한다. 차량용 소프트웨어 요소는 크게 의도한 목적을 수행하는 기능 소프트웨어와 이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다. 이 둘의 조합으로 ASIL decomposition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 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 설계 가능한 소프트웨어 구조 모델을 나열해 보고 Pugh matrix를 전자식 제동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을 찾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미국 재난대비시스템(National Preparedness System)의 전략기획 사례연구

        박주혁,조성호 충북연구원 2015 지역정책연구 Vol.26 No.2

        세월호 이후 우리나라의 재난안전관리정책에 대한 취약성이 드러났다. 가장 큰 문제점은 최상위 계획인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 대한 임무, 목표, 계획 간 연계성, 평가 및 환류 등 종합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계획 설계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전략기획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전략기획을 기반으로 수립된 미국의 재난대비시스템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할 시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전략기획은 전략계획, 집행계획, 평가 및 환류로 크게 3단계로 구성되며, 각각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핵심요인들에 대하여 미국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략계획측면에서는 5개의 임무영역별 31개의 핵심역량에 기반한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고, 집행계획 측면에서는 임무영역별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여, 역할 및 책임을 명확히 제공하고, 계획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평가 및 환류 측면에서 SNRA와 THIRA와 같은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전략적 목표의 달성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매년 보고서를 통해 예산에 반영하고, 목표를 수정 및 보완하여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개선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할 시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전략계획에 따른 임무제시,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집행계획수립 시 모든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고, 계획 간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전략계획 및 집행계획을 수정 · 보완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산 및 재정투자시 반영하거나, 계획을 재수정하거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환류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the ferry Sewol incident, it is appeared to weak public policy of disas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Especially, it is the problem that the high level plan of the 「Basic Plan of National Safety Management」 is indicated about mission, goal, to connect to between planning, evaluation and feedback.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ed for the direction of public policy about to design the 「Basic Plan of National Safety Management」. So, First, it is discussed to the theory of Strategic Plan. Second, it is studied to National Preparedness System to be based strategic plan. Lastly, it is suggested that it is approached to establish 「Basic Plan of National Safety Management」 to based strategic plan. The strategic plan is consist of strategic planning, operation planning and evaluation and feedback. The result, aspect of strategic planning is established to 5 of mission, strategic goal to be based 31 core capabilities. Aspect of operation planning, it is included all stakeholder into mission area and it gives them to precisely role and responsibilities. Aspect of evaluation and feedback, it is used tools like SNRA and THIRA, so it is estimated to achieves strategic goal. As a result, if it is established 「Basic Plan of National Safety Management」, it will be approached strategic plan. So, it is developed core capabilities. And be based to operation planning, it will be included all stakeholder, to strengthen connecting to between planning. It will be developed evaluation tools for to be fertilized strategic planning, operation planning. Thus, be based evaluation, it is reflect to budget, to be fertilized all planning, to be maintained all strategic factors.

      • KCI등재

        Methodology on the Safety Goal Setting of Reactor Operation based on the Radiogenic Excess Cancer Risk in Korea

        Chang,Si-Young,Chung,Woon-Kwan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0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4 No.3

        통계청에서 최근에 발표한 한국인 인구통계 자료와 미국 학술원 산하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 위원회'의 최근 보고서(BEIR-V)의 수정 상대위험 투사모델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방사선 피폭에 의한 초과 암발생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인구통계 자료로부터 유도한 사소위험도 (trivial risk ) 및 계산된 방사선 유발 초과 암 위험도를 비교한 후 사소위험도의 수준으로 개인의 피폭선량을 유지하기 위한 국내 원전의 안전운영 목표치를 유도하였다. 방사선 피폭 유발 초과 암 위험도는 0.1 Gy의 단일 피폭의 경우에는 5.5 ×10-³, 1.0 mGy/y 로 생애연속 피폭 시엔 3.7 ×10-³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인의 모든 원인에 의한 기저사망 위험도 및 사소위험도는 각각 5.2 ×10-³및 5.2 ×10인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국인의 사소위험도 및 방사선 위험도 평가 결과로부터 유도한 국내원전운영의 안전목표치는 대략 0.05 mSv/y로, 이 값은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USNRC)가 연방규제법 10CFR50 부록 1에서 제시하고 있는 ALARA 지침값과 거의 동일한 값으로 밝혀졌다. By using the Korean demographic data and the modified relative risk projecftion model given in the Committee on the Biological Effect of lonizing Radiation (BEIR) report-V under the 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 the radiogenic excess risk in Korean population has been evaluated. On the basis of this risk, a safety goal for the safe operation of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further derived in terms of personal dose The baseline risk of death due to all causes in Korea and the trivial risk level, which the society considers safe, were estimated to be 5.2 ×10-³and 5.2 ×10, respectively. The radiogenic excess cancer risk in Korea has been estimated to be 5.5 ×10-³for the case of acute exposure to 0.1 Gy and 3.7 ×10-³for the case of chronic lifetime exposure to 1.0 mGy/y. On the basis of these risks estimate, the resulting safety goal for one year opeation of a reactor was 0.05 mSv, which is quite identical with the ALARA guideline prescribed by the USNRC in the Appendix I, 10CFR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