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비사』에 나타난 숫자의 상징성

        장장식(Jang Jang-Sik),D.Ulziibat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숫자는 수를 가리키는 기호이며 기본적으로 수량을 지시한다. 그러나 숫자는 문화적으로 여러 가지 상징의미로 확장되어 쓰인다. 이 글은 몽골 최초의 문헌기록인 『몽골비사(蒙古秘史)』에 나타나는 숫자 3과 9의 용례를 통해 몽골인의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숫자 1은 협력과 강화라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홀로, 멸망, 약화’ 등의 부정적 의미로도 쓰인다. 숫자 4는 공간적, 위치적 상징성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충성과 신뢰의 의미를 담고 있다. 숫자 7 역시 공간적, 시간적 상징성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설화에서는 ‘악화, 낙후, 빈곤’의 부정적 의미를 갖는다. 숫자 13은 샤머니즘의 전통과 관련된 숫자이며, 최고의 신성성을 담는 민속적 상징으로 현재하고 있다. 『몽골비사(蒙古秘史)』에 나타나는 숫자 3과 9의 용례를 통해 역사적으로 3과 9에 어떤 상징성을 담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 3은 ‘아주 멀리’라는 공간적 의미와 함께 시간적인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3일로 시간을 정하고, 3일을 두고 약속을 하는 용례들은 3이 지닌 완전성을 바탕으로 특정의 사건을 기술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자리잡고 있다. 둘째, 숫자 9의 쓰임은 역사적으로 B.C. 3세기의 흉노(匈奴, Huns) 유물에서 찾을 수 있듯이 고대의 관념과 연결되어 있고, 신앙적으로는 샤머니즘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다. 숫자 9는 ‘하늘, 천신, 황제’의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최고의 수, 최상의 수, 하늘의 수’로 확대하여 우주적 상징성을 함의한다. 이 글의 주된 대상인 『몽골비사』 외의 민속자료를 들어 숫자 관념 및 상징성을 살핀다면 더욱 풍성한 숫자 상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숫자 3은 몽골인의 일상과 민속현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길수(吉數)이고, 3의 3배수인 9는 ‘하늘의 수’ 또는 ‘인간에게 있는 하늘 힘의 최대치’를 상징하여 ‘가장 큰 수’, ‘완전한 수’로 간주한다. 몽골의 겨울추위를 설명할 때, ‘첫 9일’에서 ‘아홉번째 9일’까지 계산하는 셈법(9×9=81)도 이런 상징의 표현이다. 브랴트(Buryat) 족 무당이 행하는 굿 차나르(chanar) 제장(祭場)에서는 81그루의 자작나무를 세우는 것이나 9명의 보조무(yesunchin)를 쓰는 것도 이런 상징성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민속현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숫자 상징이다. 99천신의 경우, 9×9가 아닌 99로 읽어야 하며, ‘최대, 최고, 최상의’ 의미를 상징한다. The number is indicating the sign which fundamentally represented the quantity. However, the number culturally is used to expand for the symbol meaning of various culture. This article have focused on the mongolian symbolism through its literature records of the first Mongolia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s shown the numbers on the 3 and 9. The number 1 is used a cooperation and reinforcement on the positive aspects. Also it is used in the negative meaning such as ‘alone, destroy, weaken’. The number 4 is used in a spatial and geographic symbolism that has some meanings such as the loyalty and trust. The number 7 is used a spatial and temporal symbolism as well. The tale has the negative meaning of ‘worse, backwardness, poverty’. The number 13 is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 of shamanism that it is the best divine nature with the ethnic symbol. Through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s shown the examples of the numbers on the 3 and 9, the numbers on the 3 and 9 historically discussed what they mean to include for meaning of symbolism. Firstly, the number 3 is ‘very far’ with a spatial meaning which is containing the symbol of time. Especially, the time decide for 3 days which is usual the examples of promise what kind of event description with expression. Secondly, the number 9 is historically related to ancient notion that it can be found the relics from the Huns in the 3rd century B.C. The reason of shamanistic term is based on faith. The number 9 is putting in the symbol of ‘Heaven, God, Emperor’ which includes the meaning of ‘the best number, the top number, the number of sky’. The main theme of this article is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However, if other folk references go over ideas,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abundant about the symbolism of numbers. For example, the number 3 can easily find the daily routine of Mongolian and the field of folklore. Again, 9 is multiples of 3 which completes the symbol of ‘the number of heaven’ or ‘the maximum force of heaven for human’ about ‘a considerable number’, ‘a complete number’. When the weather of Mongolia explain for the cold winter, those symbols represent to count the calculation(9×9=81) from ‘the first 9 days’ to ‘ninth on 9 days’. To exorcise shaman of the Buryat family for Chanar, the chief priest is used to set up 81 birch trees and Yesunchin of 9 people which is based on symbolism. Those cases can be easily found in the field about the number symbol.

      • KCI등재

        이스라엘 진영(민 1-4장)에 반영된 이스라엘의 꿈

        한동구 한국구약학회 2014 구약논단 Vol.20 No.4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Numbers 1-4 to find what theological significance could be presented in the sacred organization and order in the Israelite camp. Particularly it aims to find what ideal nation is sought after by the Israelite religious community. An exegesis of the texts in Numbers 1-4 is made in detail. A further comparison with other thoughts in the Old Testament is also made in the history of their traditions, which is a must in the present study. A theological question is asked concerning the total number of the men who are able to serve in the army in Numbers 1, in which the numbering of the Israelites is mad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sus in Numbers 1 and the arrangement and order of the camp in Numbers 2-4 is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ological meaning of the camp arrangement in Numbers 2 are examined. The Israelite camp was arranged on every side of the Tent of Meeting, with the Levites standing in the center.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arrangement is a development from the thoughts about the center of the world and the universe proposed by the prophets. The rule of the Levites’ duties is examined. Their overall duties are prescribed in Numbers 1, and they are, in Numbers 3, assistants to ritual duties and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furnishings in the Tent of Meeting. In Numbers 4 their duties relate to carrying the tabernacle and its furnishings.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arrangement and the Levites’ duties is examined. The arrangement and their duties not only make manifest the value of the sacred separation but also serve to realize it completely. The ultimate value of the sacred separation lies in setting up a nation of value. The ritual community of Israel could develop as a truly strong nation when it was based on mental and religious values, not on material power.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rgues that Numbers 1-4 imply the aspiration to build up a strong nation by seeking mental values, and that it is an aspect of the theological tendencies of the Sinaitic tradition and post-exilic period. 본 연구에서는 민수기 1-4장에서 추구하는 이스라엘 진영의 거룩한 조직과 거룩한 질서가 갖는 신학적 의미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이스라엘 제의 공동체가 어떤 이상적 국가상을 추구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민수기 1-4장을 정밀히 주석하고, 나아가 이스라엘 진영의 신학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관련된 구약성서의 다른 사상들과 전승사적 및 전통사적으로 비교할 것이다. 민수기 1장에서는 인구조사의 결과 파악된 병사의 총수가 갖는 신학적 의미를 질문하며, 나아가 인구조사와 2-4장의 진영의 배열 및 질서와의 관계를 질문한다. 2장에서는 진영배열의 특성과 신학적 의미를 질문한다. 이스라엘 진영은 회막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배열되어 있었는데, 중앙에 레위인들이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진영배열의 신학적 의미는 예언자들에게서 제시되었던 세계와 우주의 중심에 관한 사상에서 발전된 것이다. 이어서 레위인들의 직무규정을 밝힌다. 1장에서는 레위인의 직무를 종합적으로 규정하고, 3장에서는 제의적 직무의 보좌와 회막 기구의 관리로 규정하며, 4장에서는 성막 및 기구의 운반의 직무로 규정한다. 이러한 진영의 배열과 레위인의 직무규정의 신학적 의미를 밝힌다. 진영의 배열과 레위인의 직무는 거룩한 분리의 가치를 강화시킬 뿐 아니라, 완전히 실현시키고 있다. 그리고 거룩한 분리의 가치는 궁극적으로 가치 중심의 국가를 형성하려는 데 있다. 이스라엘 제의 공동체는 물리적 힘이 아니라 정신적, 신앙적 가치를 기반으로 할 때, 진정으로 강한 민족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민수기 1-4장에서 정신적 가치의 추구는 강한 국가의 열망을 내포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것은 시내전승과 포로후기의 신학적 경향의 한 측면임을 밝힌다.

      •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 구조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우실하 ( Sil Ha Woo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필자는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되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이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사유체계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하고 있는 북방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한국, 중국, 몽골 등에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흔적들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 음악, 무용, 신화, 전설, 민담 등 대부분의 기층문화 연구에 있어서 숫자 3이 지닌 상징성은 늘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숫자 3’에만 주목하였지, 그 연속선상에 있는 3, 9(3×3), 81(9×9) 등에 대해서는 주목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 이 글은 한국문화의 심층구조에 면면히 살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에 대하여 살펴보고,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확산’에 대한 필자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가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1) 몽골 등 북방 소수민족의 샤머니즘 안에 보존되어 있으며 몽골리안 루트를 따라 남-북 아메리카쪽으로도 전파되었고, (2) 한반도 쪽으로는 내려오면서 선도와 풍류도 그리고 각종 민족종교에 전승되고, (3) 중국 쪽으로 남하하면서 도교, 신선사상 등에 전승되고, (4) 유목족들의 이동과 교류를 통해서 중앙아시아의 샤머니즘에 전승되고 있고, (5) 북유럽으로이 기층문화를 이루는 북유럽신화나 고대 켈트족의 드루이드교에 전승되고 있으며, (6) 기원전 2000∼1500년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고대 아리안족의 남방이동으로 페르시아 지역과 인더스 문명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선도,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불교와 습합되면서 독특한 신불교(神佛敎: 유동식 교수의 개념)의 모습으로 지속되어왔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교가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하면서 과거의 모습들이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중국에 비하면 많은 것들이 그대로 기층문화에 남아 있는 것이다.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숫자 3을 비롯한 9, 81 등의 상징성은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지론이다. 그리고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는 홍산문화 후기(B.C. 3500∼B.C. 3000)에 체계화되었다고 본다. 이런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전통문화 각 부분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보면 필자가 미처 보지 못한 많은 흔적들이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각 분야별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르기를 바란다.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Europe through Druidism of the Celts who were among the ancient Aryans sharing the spirit of Northeast Shamanism mostly. I am trying to explain the symbolic meaning of ``Holy Numbers (3, 9, 81)`` in detail, which is just based on ``World View oF Trichotomy``. Therefore, these symbolic meanings of 3, 9(3×3) and 81(9×9`` in Korean culture have their deepest origin in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And that is exactly why I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cannot be explain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with no consideration of ``World View of Trichotomy``and its ‘Holy Numbers (3, 9, 81)``.

      • KCI등재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의 기원과 홍산문화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한국의 전통 음악, 무용, 신화, 전설, 민담 등 대부분의 기층문화 연구에 있어서 숫자 3이 지닌 상징성은 늘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숫자 3’에 주로 주목하였지, 그 연속선상에 있는 3, 9(3×3), 81(9×9) 등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 필자는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되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이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사유체계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하고 있는 북방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한국, 중국, 몽골 등에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흔적들을 연구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1)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가장 핵심적인 논리인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라는 사유체계는 3개의 태양이 동시에 떠오르는 환일 현상에 대한 경험이 체계화된 것이고, (2) ‘3수 분화의 세계관’에서 가장 중요한 성수인 3은 홍산문화 후기 단계에서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었으며, (3) 천지인 관념, 삼계관(하늘세계, 인간세계, 지하세계), 천원지방 관념, 3.1신 혹은 3신 관념 등의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핵심적인 논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각종 유물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선도,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불교와 습합되면서 독특한 신불교(神佛敎: 유동식 교수의 개념)의 모습으로 지속되어왔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교가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하면서 과거의 모습들이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중국에 비하면 많은 것들이 그대로 기층문화에 남아 있는 것이다.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숫자 3을 비롯한 9, 81 등의 상징성은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리고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기초적인 형태는 홍산문화 후기(B.C. 3500 - B.C. 3000)에 체계화되었다고 본다. 이런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전통문화 각 부분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보면 필자가 미처 보지못한 많은 흔적들이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각 분야별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르기를 바란다.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1-3-9-81)’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Europe through Druidism of the Celts who were among the ancient Aryans sharing the spirit of Northeast Shamanism mostly.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4500-3000 BCE.) is the most famous neolithic era culture in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around the Liaohe(遼河 = Liao river). This paper insists that, (1) ‘World View of Trichotomy’ has it’s origin on Sun dog(= Mock sun = Parhelion) phenomenon with 3 Suns in the sky, (2) the essence of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tructured at Hongshan Culture period, (3) and the earliest form of ‘3.1 philosophy’ , ‘3.1 god’ etc. begin at Hongshan Culture period. So, I am trying to explain the ‘Holy Numbers (3, 9, 81)’ in the remains of Hongshan Culture.

      • KCI등재

        축제 문화의 원형: 노루즈(신년제)의 상징체계

        신규섭 ( Gyu Seob Shi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0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7 No.-

        Even though the Persian Civilization has played a great role as the prototype of human civilization, it was destined to be the `Lost Civilization`. What does `Lost Civilization` mean? It means that the history of World including the festivity studies has been distorted. I suggest that we should compare the Persian Learning with India(Pakistan), China, Arab and Greek Learning in the field of History, Religion, Thought, Philosophy and so on. So, we have got to find out distortion of each field. What is the purpose of Learning? Above all, to purse the Learning is to seek the Truth. We has continued to pursue for the Truth. However it has been distorted and concealed. This is the big contradiction and we fall into the tremendous chao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Culture. This article is focusing on Nawruz. It is widely known as the Iranian New Year and held in the Central Asia and Caucasus and Mesopotamia, as well. This article is dealt with the origin and meaning of Nawruz, the Secret of Number `7`, Belief system of the Sacred tree, the entity of `Two Fishes Design` and the festivity of fire. In other words, Nawruz is consisted of the Sofreye-Haft Sin, Chaharshanbe Suri and Sizdah Beda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