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프로젝트 수행 교수학습법 연구

        김지윤,윤호경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ed to devise some methods of teaching that fit the current era and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implement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meet digital natives’ needs. To show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the notion, a note-taking software platform to organize assignments, manage lesson plans and project based on learning. Notion is effective for using when carrying out cooperative projects because it is easy to structure ideas, visualize thoughts, use intuitive data, and share announcements and schedules. The ability to cooperate, which is essential for the future, can be cultivated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digital tools. This study selected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s the subject that allows learners to present productive alternatives through cooper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lass, in the survey,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tools, and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literacy. By correcting and making up the problems foun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tudy suggested a student directed project learning model using the digital tools and literature-based activities to foster digital literacy and have opportunities for humanistic reflection. 디지털시대에 교양교육은 온라인 수업 구축 및 디지털 인문학과관련해서 현 시대에 적합하고 미래를 예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탐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 네트워크로 인해 다중의 연대를모색할 수 있는 오늘날, 교양교육은 협업을 통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애자일방법론을 기반으로 노션(Notion)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높인 협력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인 노션은 아이디어의 구조화, 사유의 가시화, 직관적 자료 활용, 공지사항 및 일정 공유 등이수월하여 협력적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협력적프로젝트의 주제로 가능한 다양한 주제 중에서도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만하면서 생산적인 대안 제시가 가능한 주제로생태계의 위기를 선정하였으며, 문제의식을 내면화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문제를 다룬 현대시 작품들을 활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한 결과,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협동력 향상, 노션 활용, 문학 작품 활용, 생태감수성 향상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시간의 한계 상 실제 강의에서 수행하지 못했던 과정들을 보완하여 수업 모델을 설계・제시하였다. 수업 모델은 ‘작품 읽기-문제의식 체화하기-주제 확정 및 개요 작성-글쓰기 및 피드백-수정 및퇴고-콘텐츠 제작, 발표, 평가’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교수자의 강의, 학습자의 개인 과제, 팀 과제, 발표, 평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창의적 교양교육 방안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프로젝트 과정을 직접 관리하며 효과적인 협업을 수행하고 협력적 글쓰기 수행 및 콘텐츠 기획 제작 과정을 통해 배우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 모델을 제시하려 하였다는 점, 또한 문학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식성과 인문정신을 함께 함양할 수있는 교양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국내 협업툴 기능 요소 분석을 통한 활용 방안 연구

        임정은,김승인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2 No.3

        Recently, the market of collaboration tools is growing rapidly with wider adopt of telecommuting, but there is not criteria for evaluating service quality of the collaboration tools, so that the quality could only be discussed with simple standards, such as the number of users. Firstly in this regard, this study collected functions from ‘NAVER WORKS’, ‘Dooray!’, ‘JANDI’ and ‘flow’, which are domestic collaboration tools, and derived primary function elements, using affinity diagram. Secondly the derived function elements were applied into Kano model and conducted online survey targeted office workers using collaboration tool at current job. Lastly, for suggesting utilization methods of collaboration tools, the quality attributes of the function elements were analysed through the Better and Worse coefficient proposed by Timko.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ecurity function is the indifferent element for users as an employee, but it can be the must-be element for the users as an enterprise.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collaboration tools seek a balance between supervision and surveillance to prevent overload of collaboration, and the enterprises require to lead the way of using collaboration tools while improve vertical organizational culture. It is looking forward to assist finding the utilization methods and preparing criteria of service quality for collaboration tools through this study. 최근 재택근무 시행의 확대와 함께 협업툴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협업툴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단순한 사용자 수로 서비스 품질을 논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협업툴 서비스인 네이버웍스, 두레이, 잔디, 플로우의 기능을 수집하여 협업툴 기능 요소를 도출한 후 Kano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직장에서 협업툴을 사용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수행했으며, 카노 모델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하여 협업툴 기능 요소의 품질 속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보안 기능 요소는 직원 사용자에게는 무관심 품질로 나타났으나, 기업 사용자에게는 필수적 품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협업툴은 감독과 감시의 균형을 찾아 제시하여 협업 과부하를 방지하고, 기업은 새로운 시스템 도입으로서의 협업툴 사용에 머무르지 않고 수직적인 조직 문화를 개선하며 협업툴 활용에 앞장서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협업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협업툴의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마련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