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조소연,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influence of them on SNS addiction proneness in order to find a way to conduct an intervention for the SNS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using SNS within the past one week, and finally, the data of a total of 341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the sense of alienatio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lienation, and self-esteem on SNS addiction proneness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e higher the levels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the lower the level of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verified for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lthough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may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proneness,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ing variabl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as the levels of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ere increased, the level of the self-esteem was lowered,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SNS addiction proneness. In order to form a proper network culture for adolescents, education on appropriate use of SNS that can be put into practice in everyday life should be conducted, and healthy and desirable SNS culture should be created. In addition, systematic educ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gulate themselves.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로 조절된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

        김서인,이창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자기자비로 조절된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 김 서 인ㆍ이 창 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에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유능성 간의 관계를 사회비교경향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자기자비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24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비교 경향성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조절하였다. 셋째,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유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SNS 중독경향성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사회비교 경향성 감소 혹은 자기자비의 증진을 포함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SNS 중독경향성, 사회비교 경향성, 자기자비, 대인관계유능성,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Moderated by Self-compassion Seoin Kim* & Changhyun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sychological processes SNS addiction tendency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verify whether self-compassion regulates this mediating effect. An online survey of 246 adults living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econd, self-compassion control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controlled by self-compa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intervene, including reducing social comparison tendency or promoting self-compassion, to clients who complain of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SNS addiction tendency at the counseling site. Key Words: SNS Addiction Tendency, Social Comparison Tendency, Self-compa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oderated Mediation Effect □ 접수일: 2024년 2월 13일, 수정일: 2024년 3월 31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주저자, 가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전임연구원(First Author, Researcher, Gachon Univ., Email: kdasol@naver.com)**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소장(Corresponding Author, Director, Hana 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 KCI등재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

        이정화,김호영,강정석 한국임상심리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외로움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또한 이들 변수간의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 살펴보았다. 인터넷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학생들 295명(평균연령 23.05세, 표준편차=2.69; 남 143명, 여 152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 경향성 질문지, 외로움 척도 및대인관계 지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로움과 대인관계 지향성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SNS 중독 경향성에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 대학생들보다 남자 대학생들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외로움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는 여자 대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지향성이 높을수록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인관계 지향성이 높은 외로운 사람들은 SNS 중독에 더 취약함을 시사한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차는 남성과 여성의 SNS 중독 기전이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SNS 중독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외로움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가 성차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생 집단의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 온라인 익명성, 자기애, 정신건강 및 대학생활 변인들을 중심으로

        김정화,이영호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의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838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인터넷 중독, 온라인 익명성, 외현적 자기애(NPDS), 내현적 자기애(CNS), 우울(CES-D), 불안(STAI) 및 대학생활적응(SACQ)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 모두 온라인 익명성,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우울 및 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대학생활적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부분의 변인에서 인터넷 중독 집단이 SNS 중독경향성 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았는데, 이는 정신건강 및 적응적인 측면에서 인터넷 중독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각 변인들이 두 가지 중독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본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불안이 가장 잘 설명하고 그 다음 외현적 자기애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은 내현적 자기애의 설명량이 가장 크고 온라인 익명성, 외현적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in college students. For the purpose, a total of 838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scales of the SNS and Internet addiction, the Anonymity in online, the Overt and the Covert Narcissism,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net addi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anonymity in online,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anxiety,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adjustment to college life. Second, because Internet addiction group scored higher than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in variables,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was more vulnerable in aspects of mental health and adaptation to reality than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Third, in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anxiety and overt narcissism was to significantly explained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By the way, covert narcissism was the most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and second, anonymity in online; and, third, overt narcissism.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주리,이주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구분한 후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둘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층인 20대와 30대 322명(남 117명, 여 205명)에게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에서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비교했을 때, 개방형 집단이 SNS 중독경향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에서 두 집단 모두에서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을 확인하였고, 이 관계에서 FoMO가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상향비교 경향이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을 강화시켜 SNS 중독경향성을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SNS 중독으로 인한 문제에서 상향비교와 FoMO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특히 개방형 SNS 집단과 여성이 SNS 중독경향성 문제에 취약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장병준(Byoungjun Jang),이주은(Jueun Lee),이재연(Jaey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을 매개로 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 재학생 18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 간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상관분석을 하고,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6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경험회피, 사회불안, SNS 중독 경향성은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둘째, 남녀 대학생 모두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경험회피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 모두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사회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험회피 또한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남학생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SNS 중독 경향성이 높으며 두 변인의 관계는 경험회피 및 사회불안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가 남녀 대학생 간 성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SNS 중독 경향성을 치료할 때 성별에 따른 다양한 치료계획과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we established a model in which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s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in the path to SNS addiction tendency, and checked the model's fit and the relevance of each variable. Methods For the study,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182 students going to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Chungnam, and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on effect.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experience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did not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tendencies of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but it affected experience avoidance. Third, for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experience avoidanc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r female students, but not for mal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e higher rejection sensitive is, the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an be explained by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shows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uggesting that different treatment plans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according to gender are needed to treat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권예진,김다빈,서보경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 - esteem, and attachment instability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in the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we surveyed 330 colleg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offline and onlin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271 valid on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87.4% of college students used SNS, and the most used SNS was 'Facebook (82.3%)'. The most frequent use of SNS per day was 'over 1 hour ~ less than 2 hours (24.7%)'. Second, wo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than men. Third,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ur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addiction tendency. Fifth, the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affects negatively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nd only the attachment anxiety among attachment instability affects the addiction tendency. Finally, we discussed the risk of SNS addi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 실태를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 중 불안정 애착(애착불안, 애착 회피)이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30명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그 중 유효한 27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87.4%가 SNS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82.3%)’이었다. 일별 SNS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24.7%)’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여성이 남성보다 SNS중독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 중에 애착불안와 애착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SNS 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안정 애착 중 애착불안만이 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생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 위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순차매개효과

        황유나(Hwang, Yoona),이정윤(Lee, Jungyoo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성인 초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각각 매개하는지, 더 나아가 두 변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비교 경향성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순차매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매개함을 밝힘으로써, SNS 중독경향성을 높이는 기제와 경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proneness,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medit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the medit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 KCI등재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강나연(Na-Yeon Kang),이영호(Young-H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SNS 사용의 정적 강화 동기 및 부적 강화 동기의 매개효과와 더불어 SNS 사용동기와 자기통제력 및 고통감내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SNS 이용 경험이 있는 34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체계, SNS 사용동기, 자기통제력, 고통감내력, SNS 중독경향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로,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수준은 각각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SNS 사용동기 중 정적 강화 동기는 행동활성화체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적 강화 동기는 행동억제체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로, 수동적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행동활성화체계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적 강화 동기의 매개효과를 자기통제력이 조절하였다. 넷째로, 행동억제체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SNS 사용의 부적 강화 동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고통감내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및 동기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행동억제체계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는데 고통감내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and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on social network service(SNS) addiction proneness, the mediation effect of SNS use motive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and distress tolerance in the link between BAS, BIS, SNS use motive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Methods BAS, BIS, SNS use motives, self-control, distress toler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342 adults were measured online. Results First, BAS and BIS predicte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positive reinforcement motiv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negative reinforcement motiv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self-control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inforcement motives between BAS and SNS proneness among passive users. Fourth, distress tolerance moderated the path from negative reinforcement motives to SNS addiction proneness in the mediation model. Conclusions These results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he organic and motivational factors o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suggested that distress tolerance could have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effect of BIS on SNS addiction proneness.

      • KCI등재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SNS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매개된 조절효과

        조진행,송원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In this research, we attempt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SNS usage motivation in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ities Chungcheongnam-do, Daejeon, and analysed through multiple-path mediated effect, applying bootstrapping technique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as a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Second,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usage motivation, excluding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 Third, only self-status, entertainment motiva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etween SNS usage motiv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scales of SNS usage motivation (self-status, entertainment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covert narcissism, self-status motiva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Mediated moderation analysis shows that men are more likely to have SNS addiction proneness due to the influence of self-status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내현적자기애를 설정하고, 내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SNS 이용동기(대인관계 추구동기, 지위추구동기, 정보추구동기, 오락추구동기)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권의 중․고등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과 PROCESS Macro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현적자기애와 SNS 이용동기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추구동기, 지위추구동기, 오락추구동기만이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SNS 이용동기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지위추구동기, 오락추구동기만이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동기 중 지위추구동기와 오락추구동기가 내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내현적자기애, 지위추구동기, SNS 중독경향성의 변인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매개된 조절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현적자기애가 높은 남성은 내현적자기애가 높은 여성보다 지위추구동기를 통해 SNS 중독경향성에 빠질 경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내현적자기애 성향의 개인이 지위추구동기, 오락추구동기를 갖고 SNS를 사용할 때 SNS중독이 될 위험이 높으며, 지위추구동기가 높은 남성은 SNS에 중독될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