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 고양동기, 대처동기의 매개효과

        조혜빈,임영진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를 살펴보고,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0명(남학생 97명, 여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충동성 척도, SNS 사용동기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성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SNS 과의존의 가능성이 높았으며, 고양동기는 계획성 부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지 않았다. 감각추구는 SNS 과의존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고양동기는 감각추구와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지 않았다. 부정 긴급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대처동기는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 긴급성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과의존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치료기관에서 대처동기를 표적으로 삼아 개입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NS usage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planning, sense seeking, negative urgency and SNS overdepen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impulsivity. For this purpose, conducted the impulsiveness scal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and SNS usage motivation scale for 300 college students (97 male students and 203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As a resu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planning and overdependence of SNS, coping motivation and disadvantage concealment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seeking and SNS overdependence, disadvantage concealment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SNS overdependence, coping motivation and disadvantage concealment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useful to target coping motivation when intervening in SNS overdependence of college students with high negative urgency tendency.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박지경,김지온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0 No.31

        본 연구는 SNS 과의존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SNS 과의존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일개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Google Forms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24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SNS 과의존 정도는 2.12점(4점 만점)이었으며 여학생과 SNS 사용시간이 길수록 SNS 과의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감은 3.39점(5점 만점)이었으며 남학생의 자기통제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감은 SNS 과의존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자기통제감을 높이고 SNS 과의존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성별과 SNS 이용시간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reduce the risk of college students' SNS overdependence by confirming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control on SNS overdependence at a time when SNS overdependence is being raised as a new social probl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to university students in one area, and 247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NS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2.12 points (out of 4), and the female and the longer the time spent using SNS, the higher the SNS overdependence. The self-control was 3.39 points (out of 5), and male appeared to have a higher self-control. Second, self-control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NS overdepend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gender and SNS usage time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self-control and reduce the risk of SNS overdependence.

      • KCI등재

        자기애와 SNS 과의존의 관계: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권지애,임영진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애와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93명(남학생 147명, 여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과민성 자기애 척도, 자기애적 성격척도, SNS 사용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외현적 자기애와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는 사교-동조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였고,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는 대처동기, 사교-동조동기, 소일동기 등이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현적 자기애를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과의존에 대해 개입할 때에는 사교-동조동기를, 내현적 자기애를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과의존에 대해 개입할 때에는 사교-동조동기와 대처동기를 표적으로 삼는 것이 유용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NS use motives in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 addic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N=293, 50.1% male)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f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SNS use motives, and SNS addiction. Results showed that relationship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was mediated by social-conformity motives.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were mediated by coping, social-conformity, and pastime motives. Findings suggest that social-conformity motives should be intervention targets for individuals with overt narcissism, and coping and social-conformity motives should be intervention targets for individuals with covert narcissism.

      • KCI등재

        청소년의 SNS 과의존 과정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진희,김정모,김영식,오연주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6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adolescents' SNS-overdependence, this study analyzied the transcripts of 12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5 boys, 7 girls) from 8 cities nationwid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by Charmaz. The analysis extracted 4 higher-order categories from 10 sub-categories. The higher-order categories led to the process model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NS. The overdependence begins with 'joining together' for SNS, and benefits the various functional and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given by SNS, which leads to overdependence-usage of SNS. Although the category‘realistic problems’such as lower school performance, conflicts with parents, and lack of control ability influenced the overdependence. the recognize SNS as part of their life’was the most important process for SNS-overdependence. This results showd that the individual meaning of SNS-usage could be accepted and tried to alternatives to regulate the overdependence between the students and parents. In the follow-up study, a small peer group in-depth discussion should be carried out to get an open-minded experience of adolescents who otherwise find it difficult to express themselves well.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과의존 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전국 8개 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 12명(남=5, 여=7)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Charmaz의 근거이론(2006)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0개의 개념, 10개의 범주, 4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상위범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SNS 과의존 과정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 모델에 의하면 청소년 과의존은‘동참’하는 것으로 SNS를 시작하고 SNS의 다양한 기능적 혜택과 심리적 만족감이 ‘매력’으로 작용하여 사용에 대한 ‘몰입’을 불러오며 한편 학업성적저하, 부모님과의 갈등, 조절력 부족 등의‘현실과의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청소년 과의존은 SNS에 대한 심리적 의미부여를 통해 ‘삶의 일부로 인식’을 하는데 이것은 과의존을 유발, 유지시키는 핵심적인 과정으로 간주 되었다. 이 결과는 청소년의 SNS 과의존 해소를 위해서 통제나 대안 찾기에 중심을 맞추기 보다는 청소년 개인에게 SNS가 어떤 의미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 부모와 자녀간의 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1:1 심층면접 상황에서 내적 경험의 개방적인 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청소년을 위해 또래들과의 소그룹 심층토론에서 획득한 자료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과의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 2022년 청소년 정신건강·중독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강선경,최유진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hip in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NS on depression. To this end, data from 2022 Youth Mental Health and Addiction Survey conducted by the Sogang University's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Research were applied and used, and 510 cases of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selected out of 646 cases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and a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of causal approache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first, SNS over-depen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SNS over-depen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friendship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NS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SNS over-dependence in adolescence is a predictor of depression and has an indirect effect of lowering depression through friendship. The study proposed social intervention plan for over-dependence on SNS and depression issues of the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과의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한 ‘2022년 청소년 정신건강·중독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사용 신청하여 활용했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646사례 중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다니는 청소년 510사례를 선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인과 단계적 접근법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SNS과의존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SNS과의존은 우울에 정적으로, 교우관계는 우울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SNS과의존과 우울의 영향관계에서 교우관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청소년기의 SNS과의존은 우울의 예측요인이고, 교우관계를 매개로 하여 우울을 낮추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SNS과의존 및 우울과 관련해 사회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윤리로서의 SNS과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연구 -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김진욱 ( Kim Jin-wook ),권진 ( Park Su Bin ),박수빈 ( Kwon Jin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이 연구는 SNS과의존-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인과적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라는 매개변인을 투입하였고, 사이버불링을 완화하는 보호적 요인으로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라는 변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생산한 인터넷중독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이며 총 표본수는 811케이스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통계패키지와 PROCESS Macro v. 3.1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SNS과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독립변수인 SNS과의존과 종속변수인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조절효과 분석인 것으로 판별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SNS과의존-학업스트레스-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매개적 경로에서 SNS과의존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궁극적으로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밝혔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아버지와의 개방적 소통이 사이버불링 가해행위를 낮추는 조절적 기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족내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비롯한 청소년 자녀와의 개방적인 소통을 강조해야 한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아버지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학업스트레스는 스트레스를 받는 본인 뿐 아니라 사이버불링의 형태로 사회적 문제를 가중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윤리의 측면에서 사이버불링의 가해자가 피해자가 되고 피해자가 가해자로 쉽게 전환될 수 있는 현재의 환경적 구조에 대한 사회전반의 성찰과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called academic stres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NS-dependent cyberbullying behavior. In this model, the main purpose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y introducing a control variable called open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as a protective factor to alleviate cyber bulling. As a result, academic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nd cyber bulling behavior.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was determined to be mediated moderating effect analysis by controlling cyber bulling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 and SNS as independent variable. Lastly,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revealed that the mediators of reliance on SNS-academic stress-cyberbulling have a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ng with SNS to lower academic stress and ultimately reduce cyberbulling.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배성만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types and excessive expectation for smartphone on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utilized the data of 3,454 adolescents (1,758 males and 1,696 females), aged between 13 and 19 from a smartphone overdependence survey of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and household income had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Weekly smartphone usage time positively affected the serious consequences (sub-factor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 usage, information seeking, SNS, gaming, and the excessive expectation for smartphones had positive impa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Smartphone usage for leisure seeking did not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it negatively influenced serious consequences. Messenger use did not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the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salience, and a negative effect on serious consequ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s of smartphone use as well as the usage time to understand the smartphone dependence of adolescents.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recognize and correct the irrational excessive expectation for smartphone in order to prevent dependence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ventions.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13세에서 19세까지의 청소년 3454명(남자1,758명, 여자 1,69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연령과 가계수입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으로 영향을미쳤다. 스마트폰의 주중 사용시간은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요인인 문제적 사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사용 유형 중정보추구, SNS 및 게임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여가추구를위한 스마트폰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요인인 문제적 사용에는 부적으로 영향을미쳤다. 메신저를 위한 스마트폰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메신저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요인인현저성에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문제적 사용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이해하데있어 사용시간뿐만 아니라 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사용유형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의 예방과 효과적인개입을 위해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백승은,장여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 북부에 위치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청소년과 청소년센터 3곳을 이용하는 청소년 346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SNS 과의존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SNS 과의존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를 과하게 사용한 중학생은 사이버불링 가행행동이 높았으며, 우울한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도 높았다. 이런 결과는 중학생의 SNS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나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과의존, 게임중독, SNS 중독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승구(Seung Ku Kyoung),김진욱(Jin Wook Ki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살펴본 연구이다. 한국인의 행복감 수준은 OECD국가 중 33위에 해당할 만큼 낮은 수준으로 한국인들은 부족한 행복을 채우기 위해 중독물질과 행위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은 세계에서도 눈에 띄게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으며, 청소년들은 스마트기기를 능숙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성향을 강하게 노출하고 있다. 2018년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청소년 셋 중 하나는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분류되고 있고, 과의존과 관련이 깊은 행위로는 게임과 SNS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을 스마트폰 과의존, 게임중독, SNS 중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다시 성별로 나누어 영향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우울로 나타났다. 즉, 정서·정신건강요인이 영향력이 컸고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한 결과 남학생은 사회관계망요인에서 교우관계와 관련이 높은 반면, 여학생은 그같은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이런 차이점을 고려하여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study of adolescent s smartphone addiction. The happiness level of Koreans is low enough to be ranked 33rd among OECD countries. So We need to look closely to see if Koreans are addicted to drugs and addicted to fill their scarcity of happiness. In Korea, smartphone penetration is remarkably high in the world. And adolescent are using smart devices and skillfully, relying on smart phones in every area of life. According to the social indicators of Korea in 2018, it is classified as dependency on 1/3 of smartphone users, and game and SNS are related to dependency. Therefore, this study divides smartphone addiction into smartphone overdependence, game addiction, and SNS addiction, and analyzed again by gende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ress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parameters, the following was found to be depressed.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factors were influential. And the male students were highly related to their friendship in the social network factors. However, the girls did not show the same results, so there was a difference. And the policy suggestions are suggested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