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2

        본 연구는 주양육자보고에 의한 3세 이전 영유아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SELSI)를 개발하고 그 문항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SELSI의 문항들은 언어발달 문헌들과 1090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발달단계에 따른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별 정확율과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였으며, 문항별로 연령 및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산출한 Cronbach a 계수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모두에서 .98 이상으로 유의미하였다.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검사 모두에서 개별 문항들의 성차는 없었다. 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4명의 아동에게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한 초기검사와 재검사의 상관도는 수용언어 .996, 표현언어 .998로 유의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ntent and reliability of the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 s ). The SELSI has been developed to assess 4- to 35- month - old infant 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through the parent s report . Items of the SELSI were developed on the bases of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 literature and the two pilot studies, using 326 normal children. In addition, 1090 normal children served as the participant s for the normative data. Using the baseline and ceiling sy stem, SELSI screens the infant s who are at risk of language disorder s. T he items of the SELSI were arranged based on (1) difficulty level, (2) % of correct respon ses, and (3) discriminative level for the equivalent age. T here was no sex difference among the items. For reliability analy ses , internal reliability and test - retest reliability were calculated. Cronbach a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test s were .99. Correlations between the fir st and second test s with one week interval in 14 participant s were .99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tests.

      • KCI등재후보

        초기 표현언어발달에 관한 부모보고 평가의 타당도 연구

        한지영(Ji Young Han),김영태(Young Tae Kim),김경희(Kyung 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2

        본 연구는 24 - 30개월 정상발달 유아들과 그의 주양육자를 대상으로 초기 표현언어발달에 관한 부모보고 평가의 타당도를 연구하였다. 부모보고 평가를 위한 도구로는 일부 어휘를 수정한 MCDI-K와 영·유아 언어발달선별검사(SELSI)의 표현언어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직접검사로는 그림어휘력 검사와 언어샘플을 통한 언어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으로는 부모보고평가와 직접검사간의 상관계수 및 부모보고평가와 언어분석변수간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두 부모보고 검사 모두 직접검사인 그림어휘력검사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검사 모두 언어샘플을 통한 언어분석 결과들과는 MLUm, TNW, NDW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TTR과는 상관이 없음을 보여주어 TTR은 아동의 표현언어능력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주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사용하는 부모보고를 통한 언어평가방법이 초기 표현언어 발달을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parental report on their children s expressive language. T wenty nine normal children and mother s of them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mother was asked to mark expressive vocabulary of her child on the MCDI- K checklist and to give an swer s to the questions of SELSI. T hen , spontaneous language sampling analysis and the Picture Vocabulary T est were administered to asses s the children 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 The result s were analyzed with Pear son s simple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1) Correlation coefficient s between the parental report scores and Picture Vocabulary T est scores were relatively high (p < . 01); (2) correlation coefficient s between the parental report scores and MLUm, TNW, NDW values were relatively high (p < . 01); (3) correlation coefficient s between the parental report scores and T T R values were not significant ; (4) difference of correlation coefficient s between boy s and girls was not significant ; (5) difference of MCDI-K correlation coefficient s between mother s who has brought up their children more than 4 day s in a week and mother s who has not was not significant ; (6) difference of SELSI correlation coefficient s between mother s who has brought up their children more than 4 day s in a week and mother s who has not was significant . These result s indicates that parental report is valid to as sess the infants language ability.

      • KCI등재

        The Predictive Value of Language Scales: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in Correlation With Korean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

        Joung Hyun Doh,Soo A Kim,Kiyoung Oh,Yuntae Kim,Nodam Park,Siha Park,Nam Hun Heo 대한재활의학회 2020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4 No.5

        Objective To compare the relationship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3rd Edition (K-BSID-III) language score and the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 (SELSI) score and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K-BSID-III language score and optimal cutoff value with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in infants and toddler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A total of 104 children with suspected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Subjects were tested using the K-BSID-III and SELSI and subdivided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language scores. RO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K-BSID-III for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Result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ubscales of the K-BSID-III showed marked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LSI scores (p<0.001). ROC analysis showed an area under the curve of 0.877 (p<0.001) in SELSI receptive score and 0.935 (p<0.001) in SELSI expressive score. The optimal cutoff value where sensitivity of 85% and specificity of 81% were achieved with the K-BSID-III receptive score was 1.50 (between average and low average) in the SELSI receptive score. The optimal cutoff value where sensitivity of 96% and specificity of 82% were achieved with the K-BSID-III expressive score was also 1.50 in the SELSI expressive scor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s between K-BSID-III and SELSI language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low average group due to tendency of underestimation of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타당도 연구

        이희란,이유미,이승복,김민정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creening 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STELD) in Korean children(age 1;6~3;11). STELD is the screening test composed of the vocabulary checklist and emergent literacy list. The STELD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SELSI) were applied to 37 normal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concurrent validity.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the two tests(STELD and SELSI). It was suggested that the STELD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children in early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18개월부터 36개월 유아의 표현어휘력과 읽기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아용 언어력검사’(가칭)의 개발을 목적으로 검사가 갖는 공인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3;11세 아동 총 37명을 대상으로 ‘유아용 언어력 검사’와 국내에서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김영태 외, 2003)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검사를 토대로 두 검사 간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실시한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어휘력 검사와 SELSI 간의 상관계수는 .87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읽기준비도 검사와 SELSI 간 상관계수 역시 .5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용 언어력 검사를 어휘력과 읽기 준비도를 평가하는 타당도를 갖춘 간편 검사로 제안할 수 있었다.

      • KCI등재

        Comparison of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전진아(Jinah Jeon),이효주(HyoJoo Lee),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언어 및 사회적 의사소통은 자폐범주성장애는 물론 언어발달지체 영유아들도 공통적으로 문제를 보이는 영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범주성장애 의심 영유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일반 영유아의 언어 및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하고 각 집단이 어떠한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23-32개월의 영유아 33명으로, M-CHAT을 통해 ‘자폐성장애 위험군’으로 선별된 자폐범주성장애 의심(자폐의심) 영유아 11명과 ‘자폐성장애 저위험군’에 해당하는 언어발달지체 11명, 일반 영유아 11명이다. SELSI, K M-B CDI로 언어능력을 평가하였으며, CSBS DP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언어능력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폐의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모든 언어지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자폐의심 집단은 언어발달지체 집단에 비해 SELSI 수용언어에서만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은 CSBS DP 총점과 세 하위영역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폐의심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사회적 의사소통 영역 모두에서, 언어발달지체 집단에 비해서는 정서 및 눈응시, 몸짓 사용, 언어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자음 및 낱말 산출에서만 일반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폐의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의 언어와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폐범주성장애와 언어발달지체의 조기 선별과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nd those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DLD) commonly demonstrate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problem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SD or DLD to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D). Methods: Eleven toddlers in at-risk ASD aged between 23-32 months, 11 toddlers with DLD, and 11 TD toddlers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with the at-risk ASD toddl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all toddlers were assessed using SELSI, K M-B CDI, and CSBS-DP.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language performances. The at-risk ASD and DL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e TD group in the results of all language tests. The at-risk ASD group showed significant lower performances than the DLD group in the receptive language on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overall and the three composites scores of CSBS-DP. The at-risk ASD group scored lower than the DLD group on the emotion and eye gaze, gestures us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clusters in CSBS-DP. The DLD group only indicated lower scores than the TD group on the consonant and word production subitems. Conclusion: Toddlers with at risk ASD and those with DLD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D toddlers in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Implications on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ASD and DLD were being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그리고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초기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33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33명, 총 66명의 영유아였다. 모든 영유아들에게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와 「한국판 MacArthnr-Bates 의사소통발달검사(MB CDI-K)」를 이용하여 언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척도(CSBS)' 절차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행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한국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Ⅱ(K-BSID-Ⅱ)」의 동작척도 및 인지척도를 사용하여 운동 및 인지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영유아선별.교육진단검사(DEP)」의 사회.정서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정서 발달을 측정하였다. 두 집단 아동들의 언어, 의사소통, 인지, 운동 및 사회.정서적 측정치는 대응표본 t-검정과 x2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측정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언어 및 의사소통에서는 물론 운동, 인지, 그리고 사회.정서적 발달에서 일반 영유아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베일리 검사의 운동발달연령과 DEP의 사회.정서 측정치가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 영유아는 K-BSID-Ⅱ의 인지 및 운동발달연령이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의사소통능력에서는 일반 영유아만 행동통제 기능과 '제스처', '제스처+발성' 수단이 K-BSID-Ⅱ의 인지 또는 운동발달연령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 특성은 물론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 특성을 일반 영유아와 비교하여 설명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을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of toddlers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communicative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tor, and social skills in these children. Methods: Sixty-six children (aged 19 to 34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3 toddlers with language delays (LD) and 33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D). The toddlers in the two groups were individually age-matched (±2 months). SELSI and MB CDI-K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abilities,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CSBS procedure. The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s were measured using K-BSID-II, and the subtest of DEP was used to measure socio-emotional development. Total score and subtests scores of the SELSI, MB CDI-K, K-BSID-II and the DEP percentile were measured. Communicative behavior sampled using the CSBS procedure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ies of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joint attention), and mean uses (gesture, vocalization, vocalization with gesture, word with gesture, word). Results: (1) The LD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in motor,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fo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and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both groups, and a correlation with development of socio-emotion was observed only in the LD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LD were experienced delayed development of cognition, motor, and socio-emotion skills, as well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i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se different developments, especially socio-e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