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elenoprotein S Suppression Enhances the Late Stage Differentiation of Proerythrocytes Via SIRT1

        Hee-Young Yang,Kyoung-Jin Chung,Hyang-Rim Park,Seong-Jeong Han,Seung-Rock Lee,Kee-Oh Chay,Ick Young Kim,Byung-Ju Park,Tae-Hoon Lee KOREAN ACADAMY OF ORAL BIOLOGY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35 No.2

        Selenoprotein S (SelS) is widely expressed in diverse tissues where it localizes in the plasma membrane and endoplasmic reticulum. We studied the potential function of SelS in erythrocyte differentiation using K562 cells stably overexpressing SelS wild-type (WT) or one of two SelS point mutants, U188S or U188C. We found that in the K562 cells treated with 1 μM Ara-C, SelS gradually declined over five days of treatment. On day 4, intracellular ROS levels were higher in cells expressing SelS-WT than in those expressing a SelS mutant. Moreover, the cell cycle patterns in cells expressing SelS-WT or U188C were similar to the controls. The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SIRT1 were also reduced during K562 differentiation. Cells expressing SelS-WT showed elevated SIRT1 expression and activation (phosphorylation), as well as higher levels of FoxO3a expression. SIRT1 activation was diminished slightly in cells expressing SelS-WT after treatment with the ROS scavenger NAC (12mM), but not in those expressing a SelS mutant. After four days of Ara-C treatment, SelS-WT-expressing cells showed elevated transcription of β-globin, γ-globin, ε-globin, GATA- 1 and zfpm-1, whereas cells expressing a SelS mutant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ppression of SelS acts as a trigger for proerythrocyte differentiation via the ROSmediated downregulation of SIRT1.

      • KCI등재

        사교육과 학습자 노력 변인이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2020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2020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2020NAEA)와서울교육종단연구2010(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2010; SELS2010)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사교육과 학습자 노력 변인이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로는 영어 학업성취도 점수를 이용하였고, 독립 변수는 학생 설문지에서 추출한 학습자 노력 변인과 사교육 변인을 활용하였다. 학습자 노력 변인의하위 요소로는 영어 수업 태도 및 수업 성실도와 자기주도학습 시간 및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설정하였으며, 사교육 변인으로 영어 학원 수강 및 개인교습 등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영어 방과 후 학교 참여 시간, EBS 영어 시청 시간을 설정하였다. 빈도분석, 상관계수 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사교육 참여 시간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NAEA 자료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ELS 자료에서는 사교육 참여 시간은 영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계수 추정치를 고려하여 종합해 볼 때, 영어 학업성취도의 결정 기제는 자기주도 학습 시간 또는 자기주도학습 역량 및 수업태도나 수업 성실도 같은 학습자 노력 변인인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BS 시청 시간이나 방과 후 학교 영어 학습 시간은 영어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개인교습이나 학원 수강 등의 사교육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는 전국의 학교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는 유의미했지만 서울 지역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 학업성취의 결정 기제는 자기주도 학습 역량이나 수업태도와 같은 학생 노력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교육을 보충하는 형태의 사교육인 방과 후 학교나 EBS 시청 등은 본래 의도대로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타인 주도의 학습인 사교육만으로는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공부하는 자기주도학습력을 키우는 것이 성적향상의 결정기제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and students’ efforts variables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the data of 2020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2020NAEA) and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2010(SELS2010).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raw scores of English achievement tes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rivate tutor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sub-variables of private tutoring include the hours of private tutoring, the hours spending on After school activity for English subject, and the hours of watching EBS program. The sub-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are attitude in English class, self-directed learning hour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data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gathered from the students’survey. As a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private tutor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data of NAEA; however, it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SELS. Considering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elf-directed learning hours/ability and attitude in English class were the determination variable fo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hours of watching EBS program and the after school program for English subject had negative effect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determination variable fo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was individual’s effort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hours/ability and attitude in English class. Also, EBS program did not serve its original purpose to improv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indicated no matter how much private tutoring the students receive, it wouldn’t be effective on English academic improvement without securing self study ability by individual’s efforts.

      • KCI등재

        Elastic net을 통한 학생의 창의성 예측 모형 연구

        유진은,노민정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8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7 No.3

        Previous creativity research has focused on student predictors, but teacher and school predictors also need to be identified to increase school accountability and teacher awarenss for creativity education at schools. Initially, all 2,138 variables from SELS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tudent, parent,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atasets were considered for predictive model building. Elastic net, best-known for selecting variables and handling multicollinearity issues, was employed a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Consequently, a total of 46 predictors were selected out of 1,422 predictor candidates. Selected predictors such as students’ self-concept, self-directed learning, career-based activities,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computer efficiency were also frequently investigated in previous research. Newly found predictors includ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spreading evil rumor), students’ peer relation, and English instruction-related variable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Specifically, school and district’s efforts should be exerted on the operations of free-semester, 2015 revised curriculum’s software education, and Wee classes. Lastly, suggestions on panel data collection were made such as switching to online surveys and delivering actual creativity tests to subsampled students. 본 연구는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를 망라하는 모든 교육 주체를 분석 모형에 포함함으로써 창의성 관련 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이행 시 실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SELS 8차년도 초4 패널 자료가 제공하는 2,138개 학생, 학부모, 교사, 교장, 학교 변수를 기계학습 기법인 elastic net으로 분석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창의성 예측 변수를 탐색하였다. 벌점회귀모형 기법 중 하나인 elastic net은 변수 선택이 가능하며 다중공선성까지 고려하므로 대용량 사회과학 자료 분석에 적절하다. SELS의 1,422개 설명변수를 elastic net 모형에 투입한 결과, 성취목표, 탄력성, 자아개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같은 학습 및 심리 특성 변수 21개, 진로성숙도, 진로탐색활동과 같은 진학 및 진로 변수 10개, 학부모와 자녀의 관계, 독서, 문화예술활동과 같은 가정 생활 변수 6개,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 능력과 같은 ICT 활용 변수 3개, 교우관계, 학교폭력, 교사 및 수업 평가 등 학교 정규 수업 및 학교생활에 관한 변수 6개의 총 46개의 변수가 선택되었다. 본 연구모형이 선택한 변수 중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아개념, 성취목표 등의 학습 및 심리 특성 변수, 진로체험활동과 같은 진로 관련 변수, 문화체험활동, 컴퓨터활용능력 등은 선행연구에서 다뤄졌던 변수들이다. 본 연구가 새롭게 발굴한 변수는 학교폭력, 건강 상태, 교우 관계, 영어 수업 관련 변수 등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유학기제(또는 자유학년제), 2015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교육, 위(Wee) 클래스 등과 관련한 학교 및 교육청 차원에서의 노력에 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SELS 자료 수집 시 개선 사항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수학 학업성취도의 동질 성장모형과 변화 전환점 추적: 비선형 조각별 성장혼합모형의 적용

        박희주(Hee Joo Park),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종단연구에 있어 변화의 패턴을 찾아내어 성장을 예측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그 변화의 패턴은 대부분 비선형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모델 중 조각별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이질적 성장모형의 존재가능성과 알려지지 않은 전환점을 찾아냄으로써 성장모형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베이지안 추정 방법과 최대우도법을 조각별 성장혼합모형에 활용하였다. 실증적 자료인 서울교육종단연구(SELS-2010)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지점에서, 몇 번의 전환점을 가지는지를 확인하였다. SELS-2010 데이터 중 9개 시점의 수직 척도화된 수학 학업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코호트 자료 중 고등학교 과정 자연계열로 진학한 총 1,0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동질군에서는 4개의 전환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환점은 각각 2.02, 4.48, 6.72, 7.75로 나타났고,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두 개의 이질군이 존재하고 고정군에서는 3개의 전환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환점은 각각 2.49, 4.64, 6.39에서 나타났고,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의 시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군에서는 4개의 전환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환점은 각각 2.03, 4.98, 6.80, 7.70에서 나타났고,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시점으로 나타났다. 성장의 측면에서 모집단이 이질군들로 이뤄질 수 있다고 하는 혼합모형은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조건으로 확장될 수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화된 학습분석에 적용이 가능하며 정책적 프로그램의 효율성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Examining a growth pattern is key in a longitudinal study. Such a pattern is often represented as nonlinear growth. In this study, we fit a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 (PGMM) into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by searching unknown change points and assuming heterogeneity of growth. Bayesian estimation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re often applied within PGMM. More specifically, we used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scores over nine years with the SELS data collected from 2010 (SELS-2010). SELS-2010 data comes from 1,014 students followed from third grade to twelfth grade. Results include two growth models with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terms of growth. In the homogeneous growth model, four change points were identified as 2.02, 4.48, 6.72, and 7.75. When considering the heterogeneous growth model, we found one group without growth over 9 years with change points of 2.49, 4.64, and 6.39, and the other group exhibiting growth over 9 years with change points of 2.03, 4.98. 6.80, and 7.70. The PGMM method can be extended with covariates. The results can also be applied to analyze student learning analytics and to test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희진 ( Han Hee-jin ),양정호 ( Yang Jung-ho ),김화영 ( Kim Hwa-young ),김영민 ( Kim Young-m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자료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이하 SELS) 중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4~6차년 자료이며, 최종분석대상은 514명이다. 연구방법은 변수 변환, 기술통계와 같은 작업을 위해 IBM SPSS 23.0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종단분석은 HLM 7.0 프로그램을 통계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학생의 학년은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성별, 가정의 월평균 소득, 진로상담여부 그리고 학생의 자아개념은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즉,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의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체적 제언을 하면, 비록, 시간 변수, 즉, 학생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년별로 진로성숙도 수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의 경우, 2학년 때의 진로성숙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각 학년별로 보다 정밀하게 진로 교육과정을 운영 또는 학년별로 효과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개발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한계로 인하여 서울 지역의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관련한 변수 등을 활용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전국단위의 자료로, 보다 정밀하게 교육과정 등의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matur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of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SE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4 specialization high school students in 4th~6th year of SE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grade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career matur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e investigated the variables affecting career maturity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gender, monthly average income of family, career counseling, and self concep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Third,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family members, the higher the self concept, the more positively the students’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changes in grade did not affect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career maturity at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was low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course for each grade level to provide and develop effectiv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the specialization high school students, so that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the specialization high school graduated to the career world, and the career maturity is diversified to show the high career level that can actively change the career world.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raising the level of career education.

      • KCI등재

        OECD 형평성 지표로 본 교육격차 추이: - 서울교육종단연구 1~9차년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

        김수혜,손수경,임혜정,노언경 서울연구원 2020 서울도시연구 Vol.21 No.2

        Seoul citizens have faced an increasing inequality of income and wealth resulting in the achievement gap among stud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udent achievement gap trends longitudinally observed in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By shedding light on the achievement gap, particularly, it is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for dealing with socioeconomic disparity issues in Seoul City. For these research purposes, authors analyzed urban patterns and trends in vari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starting from 4th grade up to 12th grade using all waves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SELS: 2010~2018). Drawing on the analytical strategy suggested by OECD (set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OVA and T-test analyses), we investigated variability of the achievement gap in terms of three dimensions (impact of social backgrounds, achievement gap by social backgrounds and ratio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during 9 years. Key results are 1) impact of social backgrounds has been consistently prominen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rom 5th grade to 12th grade, 2) the SELS 2010 cohort demonstrated a significant gap by social backgrounds starting from 5th grade and maintaining to middle school in which the biggest gap came up; the gap gradually decreased during high school and 3) the ratio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has annually declined within the period 2010-2018.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on educational equity and future directions of achievement gap research. 서울의 소득·자산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로 귀결되기 쉽다. 이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 변화에 따라 교육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추이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교육격차를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서울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문제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9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2010년 당시 서울시내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이 중·고등학교를 마친 2018년까지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OECD(2018)가 제시한 교육 형평성 지표 세 가지(가정배경의 영향력, 가정배경에 따른 성취 격차, 역경을 극복한 학생들의 비율)를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 T-Test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은 초등학교 4학년을 제외한 모든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학력, 가구소득, 가족구조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의 격차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벌어지기 시작하였고, 중학교 시기에 가장 격차가 컸으며, 고등학교 시기에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취약한 가정배경에서도 높은 성취를 보이는 역경을 극복한 학생의 비율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교육정책의 방향과 후속연구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학교수준 영향요인 검증: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노언경,임혜정,손수경,김수혜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dividual and school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using data from 4th wave to 9th wave of the 4th grade panel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SELS: 2010). In particular, we apply the Cross 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CCREM) into unpacking the black box of achievement gap from a detailed perspective of the input process output model in which various factor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ecause the SELS 2010 cohort students were cross classified by the middle school as well as by the high school, the CCREM approach properly accounts for the cross classified data structure. Drawing on a methodological rigor of the CCREM, our study analyzes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Key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mathematics achievement of 12th grade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 what extent students have spent in private tutoring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lso,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SELS 2010. Meanwhile, those with a strong peer attach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are likely to show a low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erms of school effect, we find that teacher’s expectations and school climate seriously matter for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achievement gap in Seoul city.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을 개인 및 학교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을 동시에 고려한 교차분류무선효과모형(CCREM: Cross 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최종 성취도인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도에 대해 개인수준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 시기의 교우관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학생성취에 대한 기대 및 학교수준의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분위기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관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고3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중·고등학교수준 영향요인 검증 :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노언경 ( No Unkyung ),임혜정 ( Lim Hyejung ),손수경 ( Son Soo Kyoung ),김수혜 ( Kim Suehye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을 개인 및 학교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을 동시에 고려한 교차분류무선효과모형(CCREM: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최종 성취도인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도에 대해 개인수준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 시기의 교우관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학생성취에 대한 기대 및 학교수준의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분위기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관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dividual and school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using data from 4th wave to 9th wave of the 4<sup>th</sup>-grade panel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SELS: 2010). In particular, we apply the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CCREM) into unpacking the black box of achievement gap from a detailed perspective of the input- Process-output model in which various factor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ecause the SELS 2010 cohort students were cross-classified by the middle school as well as by the high school, the CCREM approach properly accounts for the cross-classified data structure. Drawing on a methodological rigor of the CCREM, our study analyzes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Key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mathematics achievement of 12th grade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 what extent students have spent in private tutoring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lso,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SELS 2010. Meanwhile, those with a strong peer attach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are likely to show a low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erms of school effect, we find that teacher’s expectations and school climate seriously matter for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achievement gap in Seoul city.

      • KCI등재

        중학교 3학년생의 진학 고등학교 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심현애 ( Hyeon Ae Sim ),김경연 ( Kyung Y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학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 등의 다차원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패널2의 3차년도와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대비 자공고 진학 결정 요인은 성취도, 로그월평균가구소득, 학교평균SES, 수준별수업수, 진로지도운영수준이며, 그중 성취도, 학교평균SES, 진로지도운영수준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사고 진학을 결정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성별, 성취도, 학습태도, 좋은교육프로그램 등 4가지였다. 셋째, 특목고 진학 결정에 있어 성취도, 교육정보획득, 진학정보인지수준, 학교평균SES, 좋은교육프로그램, 진학및취업실적 등이 유의한 변인이었는데, 교육정보획득, 학교평균SES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취도, 혼자학습하는시간, 학습태도, 로그월평균가구소득, 부모학력, 교육정보획득, 학교평균SES, 좋은교육프로그램, 진학및취업실적 등은 특성화고 진학을 결정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좋은교육프로그램과 진학및취업실적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은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l determinants of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choosing high schoo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using third and forth year data of SELS2010 penal 2.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terminants of choosing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against general high school were academic achievement, logged family income,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level of career guidance.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and level of career guidance among those negatively affected. Second, determinants of choosing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wer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better education programs. Third, determinants of choosing special high school were academic achievement, acquis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recognition level of school admission guide,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bett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Bett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was negatively affected. Forth, determinants of choos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ere academic achievement, self learning time, learning attitude, logged family income, parents` level of education, acquis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bett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All variables except acquis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negatively affec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백순근,김서진,강윤아,송우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3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변인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SELS2010 9차년도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데이터 2,793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CFI=.983, TLI=.976, RMSEA=.059, SRMR=.033). 그리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는 회복탄력성과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도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수업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n class satisfaction through resilience. To achieve th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and data from 2,79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ithin the 9th year of SELS2010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y good (CFI=.983, TLI=.976, RMSEA=.059, SRMR=.033). Moreove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class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efforts to enhance not only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ut also resilience is needed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class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