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보, 선전, 독재자의 이미지 관리 -1950년대의 이승만 전기-

        정용욱 ( Young Wook Chu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세계정치 Vol.8 No.-

        전기는 해당 전기가 생산된 시점의 해당 인물에 관한 담론구조를 간직하고 드러낸다. 전기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이승만이라는 인물의 사상과 활동, 그것이 펼쳐진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동시에 그 전기가 생산된 시점에서 그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담론이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방식, 또 그것이 가진 정치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1950년대에 간행된 이승만 전기의 종류, 편찬 주체와 동기, 그리고 서술과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950년대에 나온 이승만 전기는 당시의 억압적인 정치상황이 말해주듯 개인에 의해 자유롭게 편찬된 것이 아니라 주로 정부의 공보처, 또는 어용단체에 의해 편찬되었고, 개인이 집필한 전기도 주로 그 후원자(patron)는 이승만 정권의 홍보, 선전 업무를 담당한 인사들이었다. 이 글은 서정주, 한철영, 박성하, 로버트 T. 올리버(Robert T. Oliver), 우남 전기편찬회가 쓴 전기들을 주로 분석했다. 또 이범석, 박마리아, 이기붕, 로버트 T. 올리버 등 전기 편찬을 주도한 인물들도 분석하였다. 1950년대의 이승만 전기들은 이승만을 그 정점으로 하는 이승만 정부의 홍보·선전 정책을 담당한 기구와 그 기구의 핵심인물들이 주도해서 편찬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간행된 전기 가운데 가장 권위 있는 로버트 T. 올리버가 쓴 전기의 편찬과정은 이승만과 로버트 T. 올리버가 전기에 이승만의 이미지를 어떻게 투사하고 관리하였는지 잘 보여준다. 또 이 시기에 나온 전기들의 서술 내용과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면 이범석을 우두머리로 하는 ``족청계``가 몰락하고, 이기붕이 부상하는 이승만 정권 내 권력구조의 변화를 알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이승만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알 수 있다. A biography usually reveals the contemporary discourse structure about the related figures. Through the analysis of biographies,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not only Syngman Rhee`s thoughts, life,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but also people`s perceptions and images of him at the time of the biography production, the way the discourse was made and consumed, and its political meanings. This article dealt with various biographies on Syngman Rhee, their authors and motives, and the features of the discourses and ideas. Biographies of Syngman Rhee in the 1950s, as the oppressed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is period shows, were not freely authored by individuals, but by Public Information Office or government related organizations. Even private biographies were patronized by the persons in charge of public relation under the Syngman Rhee. This article analyzed various biographies written by Suh Jung-joo, Hahn Chul-young, Park Sung-ha, Robert T. Oliver, and Committee on the Publication of U-nam(Syngman Rhee`s penname) Biography. Also, this writing dealt with who Yi Pum-suk, Park Maria, Yi Ki-boong etc were, figures who initiated biography publications. The officials dealing with public relations and propaganda under Syngman Rhee, led the biography publications in the 1950s. The publication process of Robert T. Oliver`s biography is highly illustrative of how Syngman Rhee and Robert T. Oliver worked together to project and manage Syngman Rhee`s images upon the biography. Through other writings,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ruling ideologies while we understand the power shift like the fall of "Jok-chung" faction of Yi Pum-suk and the rise of Yi Ki-boong.

      • KCI등재후보

        Robert T. Oliver : Visionary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obert Shuter 한국광고PR실학회 2011 광고PR실학연구 Vol.4 No.1

        로버트 올리버(Robert T. Oliver)는 수사학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선각자이자,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아시아 중심적 접근법을 사용한 선구자였으며, 1940∼1950년대 초창기 대한민국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인물이다. 이 논문에서는 올리버 교수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기여한 네 가지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수사학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유럽 중심적 편향에 대한 비판, 수사학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아시아 중심적 대안의 제시, 수사학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서 문화 간 전망의 활성화, 수사학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장으로써의 국제외교의 구상이 그 네 가지 영향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Ghostwriting South Korea: Robert Oliver and His Rhetorical Midwifery in the Birth of a Nation

        박우수 한국수사학회 2009 수사학 Vol.0 No.11

        로버트 올리버 박사는 1942년 워싱턴 디시의 한 외교가 식당에서 처음 이승만 임시정부 의장을 만난 이후 그의 실각에 이른 1960년까지 20 여 년 동안 한국 현대사의 전개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올리버는 2차 대전 당시 미 육군성의 식량국 담당관의 직책을 가지고서 실제로는 홍보선전업무를 맡아 대국민 홍보 전략을 주도하고 실천에 옮긴 인물로서 이승만과 그의 첫 만남 이후 올리버는 대한민국의 독립 필요성과 미국의 동방외교 전략의 수정을 줄기차게 설파했으며, The Korea Pacific Press란 출판사를 설립하여 한국의 입장을 미국의 외교가와 미국국민들에게 알리는 일에 앞장섰다. 그는 해방 후 미군정과 워싱턴의 입장을 이승만에게 전달하고 조율하는 매개자의 역할을 맡아 이승만이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의 영문연설뿐만 아니라 밴플리트 장군, 클라크 장군의 영문연설문도 작성하였다. 판문점 정전 협정과 대일관계 정상화 협상, 파리 유엔총회, 제네바 회의 등에 한국대표단의 고문으로 활약했으며, 미국정부와 이승만 정부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조율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한국근대사에 있어서 그의 큰 기여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승만과 올리버의 관계 및 올리버가 이승만에게 미친 영향 등은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부분으로 본 연구는 올리버의 연설문 분석을 통해서 대한민국 제 1 공화국의 대국민 및 대 외국 설득과 홍보 전략이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국내 및 국제무대에서 올리버의 외교수사 및 정치적 수사 전략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계획의 일부이다. 올리버는 18세기 영국 의회민주주의의 발달과정을 신생 대한민국에서 실현할 계획으로 대중연설과 수사 전략을 통해서 대중의 의사표현을 위한 공공의 장을 확립하려고 노력했다. 따라서 그는 한국의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연설교재를 집필했으며, 이승만 대통령을 위한 수 많은 대국민 혹은 대외 연설문을 대필하기도 했다. 올리버와 이승만은 뿌리 깊은 반공주의를 공유했으며, 대중을 교화할 지식인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신뢰했다. 이점은 대중연설과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수사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 두 사람의 공통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수사학을 계몽의 수사학으로 한정하는 문제를 내포한다. 올리버와 이승만의 수사 전략은 대한민국 제 1공화국 건설의 산파역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이들의 산파술로서의 수사학은 청중과 유리된 태생적인 한계를 보인다. 이점은 구체적인 연설문 분석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예증될 것이다.

      • KCI등재

        Korea’s nation-building in War Time

        Park, WooSoo(박우수) 한국수사학회 2013 수사학 Vol.0 No.19

        1954년 7월 31일 이승만 대통령의 미국 상 하원 합동연설은 그의 정치 경력의 한 전환점을 이룬다. 1948년 초대 대통령 취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해온 일민주의와 북진통일은 그의 통치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현실을 구성하고 지배하는 일종의 신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초대 문교부 장관을 지낸 헤겔주의자 안호상이 추장한 일민주의는 다분히 나치식 국수주의의 색채가 강해서 후에 북진통일 신화로 함몰되기는 했지만 일민주의와 북진통일이라는 정치적 두 축은 이승만 정권의 추진력이자 동시에 족쇄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 대통령의 미의회연설은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문 그의 정치적 신념과 신화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건이다. 이 연설에서 그는 공산주의를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으로 규정하고 이를 방치할 경우 자유세계가 모두 병사할 위험을 미국인을 상대로 경고한다. 국빈으로서 일종의 과시적 연설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반공주의와 군국주의적 사고를 자유민주주의 수호라는 이름으로 미국시민들에게 직접 설파하려고 시도한 이 정치적 연설의 핵심은 한국군의 재무장과 어렵게 이룩한 정전협정을 무효화하고 북진통일을 위한 새로운 전쟁을 수행할 필요를 역설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에 도취되어 새로운 냉전체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한 미소의 노력과 평화주의를 지향하는 새로운 국제 정치질서를 읽어내지 못하는 과오를 범함으로써 자유의 투사로서 신념을 지닌 노 정치가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위험한 늙은이라는 워싱턴의 냉대를 감수하게 된다. 이 연설에서 그는 흥미롭게도 한국은 미국의 앞마당이기 때문에 한국이 무너지면 다음 공격대상은 미국이 될 것이라는 논리적 비약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전쟁의 당위성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하는데, 이러한 논리적 비약과 다분히 정서적인 성급함은 북진통일과 반공이라는 그의 정치적 신화가 얼마나 강력하게 그의 정신을 지배하고 그의 현실인식을 지배하고 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의 정치적 확신과 신념은 새로운 세계질서 안에서 전쟁 광신자이자 노망한 늙은이로 평가 받을 수 있는 여지를 남겼으며, 미국의 신뢰를 잃게 만든 직접적인 계기가 된다. “인생 최대의 실수”로 기록된 이 대통령의 미의회 연설은 정치적 연설에서 관중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이며, 외교 수사학의 심도 있는 연구와 실천의 필요성을 더욱 가중시킨다. 올리버(Robert Oliver)의 표현처럼 국제 정치무대에서 문화적 상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로 연설문 대필가의 필요성이 정당화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