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역공동체 조성사업과 환경정치 : ‘만경강 살리기 사업’의 사례: 레짐 vs 거버넌스

        김영정,이경은 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학 Vol.14 No.1

        새만금 개발, 지난 20여 년 동안 전라북도 도민의 관심사로부터 멀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던 초대형국책사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신중하게 추진되고 있는 세부 사업이 상류지역(만경강, 동진강)수질개선 사업이다. 새만금 내부개발사업 전체의 성공여부와 직결된 문제가 바로 이 문제이기 때문이다. 전라북도는 오염의 정도가 특히 심각한 만경강 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및 등을 조직하고, 이 단체들을 정점으로 를 구축하여 지난 10여 년간 점오염원 제거사업, 비점오염원 대책사업, 그리고 주민주도형 하천네트워크 조성사업 등 다양한 실천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가 추진해 오고 있는 이들 사업의 내용을 전문가 의견 및 주민 면담, 그리고 관련 자료에 대한 실체적 접근을 통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환경정치적 특성(레짐 vs 거버넌스)을 파악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동원된 이론적 자원은 ‘지역레짐이론(regional regime theory)’과 ‘환경 거버넌스 이론(environmental governance)’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1) 레짐과 거버넌스의 이론적 검토, 2) 만경강 유역공동체 조성사업의 내용과 특성 파악, 3) 만경강 살리기 주도 조직 및 사업에 대한 평가 등을 실시하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4) 현재 전라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만경강 유역공동체 조성사업의 환경정치적 의미를 짚어보는 절차를 밟았다. 분석을 위한 방법은 1) 만경강 유역공동체 조성에 관여해 온 민관학 전문가 면담, 2) 만경강 유역 농경지 경작주민 면담, 그리고 3) 만경강민관학협의회 및 강살리기추진단의 사업내용과 회의록 분석 등 이다. 분석 결과 전라북도 유역공동체 조성사업은 형태상 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의사결정 및 조직운영은 대부분 관주도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성원들간 협력과 상호 작용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외지(堤外地/ 강둑 내 농경지) 문제와 같은 현안문제를 외면한 채 전시성이 높은 홍보와 교육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재 진행 중인 만경강 살리기관련 사업의 추진 모형은 정부가 장기적으로 도모하고 있는 새만금 내부개발의 큰 흐름을 암묵적으로 옹호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비공식적 정치레짐을 구축하려는 활동의 일환일 뿐 거버넌스 모델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Samanguem project is an extra-large national project which has been a continuous matter of concern among the residents of Jeollabuk-do for the last 20 years. Related to this project, for now,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upper region(the Mankyung River and Dongjin River) is being promoted with most prudence.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water qualit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cess of the internal development of the Samanguem project in total.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Mankyung River, which is especially high in contamination level, Jeollabuk-do has set up organizations such as the ‘Association of Citizen-Government-Institution for the Mankyung River’, the ‘Council of River Restoration in Jeollabuk-do’. Based on these organizations, Jeollabuk-do etablished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Governance’ and publicized that various projects are in progress, such as the removal of point pollution sources, measurements for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establishment of inhabitants-led stream network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view critically of the details of the projects that Jeollabuk-do has been pushing forward, through substantive approach based on opinions of experts, interviews of residents, and related materials and data. Also, this research is an attempt of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al political natures(regime vs governance) of these on-going projects. The regional regime theory and the environmental governance theory has provided theoretical resources for this study. To be specific, this study went through several steps of 1) examinating the theories of regime and governance, 2) understanding the details and properties of the project of establishing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3) evaluating the central organization of Mankyung River Restoration and its subordinate projects, and based on these analysis, 4) pointing out the environmental political meanings of the project ‘Establishment of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that Jeollabuk-do is carrying on.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s 1) interview of experts in the public, private and institutional sectors who participated in building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2) interview of inhabitants who plow the farmland of the Mankyung River basin, and 3) analysis of the details and minutes of ‘Association of Citizen-Government-Institution for the Mankyung River’, ‘Council of River Restoration in Jeollabuk-do’. According to the consequ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ankyung River Watershed Community, modally, claims to advocate a ‘Citizen-participational governance’. However, its substantial decision-making and management was actually carried out in the form of government-led organization. Also, while cooperations and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not harmonious, the project was concentrating on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because of their display effects, ignoring the pending issues such as the problem of riverside land(farmlands in the riverbank). This means that current model of the Mankyung River Restoration project should only be an act of constructing an unofficial political regime that tacitly supports the flow of internal development of the Saemanguem, which is a long-range governmental plan.

      • KCI등재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하천의 선진화 관리 방안

        박주희,김주원,노벨 발리자 한국수처리학회 2019 한국수처리학회지 Vol.27 No.6

        Rivers interact with people in many ways and affect to their lives. Especially urban river has undergone many changes and now the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leisure and relax space in the metropolitan cities. More than half of the river in Incheon are located in urban area and have undergone many changes such as concrete covering and river section changes. Seunggi-river, which is the main example area of this study, is one of the main urban river in Incheon and has experienced lots of changes including concrete covering and partial removal of covered section, ecological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waterfront space. For these reasons, the research on change and management method in urban river conducted based on case of Seunggi-river. Current problems of urban river are lack of long-term perspective, insufficient follow-up managing method after restoration project, absence of connected and integrated method and inability to supporting multiuse of urban river. According to this study, improvement scheme for river management methods are suggested with roles and responsibility of each participants, especially for the governance. As a result, necessity of new Incheon river master plan for urban rivers in Incheon was proposed to make effective and reasonable river management possible, and conducted a study about expected effects of improvement schemes as well.

      • KCI등재

        China, An Upstream Hegemon: A Destabilizer for the Governance of the Mekong River?

        한희진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7 Pacific Focus Vol.32 No.1

        Transboundary rivers have remained one of the sources of contention and cooperation among stat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Mekong is one such river along which China and fiv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organized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ves. Studies examining the water politics of this river have argued that the lack of a comprehensive institution to govern this regional common pool resource and the growing power asymmetry between China, an upstream riparian state, and its Southeast Asian neighbors dampen the prospect for an effective governance of the river. Particularly, the economic rise of China and its concomitant increase in demand for energy and water resources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negative impacts that this would have on the downstream countries. Examination of recent developments regarding the Mekong River suggests, however, that China has adopted a more collaborative approach by engaging in joint development projects and exchang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via existing sub-regional and regional multilateral bodies since the early 2000s. The study concludes that this growing evidence of cooper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ina’s policy towards the Mekong River.

      • KCI등재

        중국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 대도시 광역경제권 형성과 정부 간 연계협력 거버넌스

        박재욱(Park, Jae Wo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장강삼각주 대도시 광역권의 지역혁신 체계와 정부 간 거버넌스(governance)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대도시권 중심의 광역권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초점을 설정하였다. 첫째, 장강삼각주에 있어 광역경제권 및 광역 거버넌스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설정하고 이해할 것이란 점이다. 둘째, 장강삼각주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의 등장배경을 지정학적, 사회경제적 배경, 교통 접근성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장강삼각주 대도시 광역권에 있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지방 정부 간 관계에서 발전전략이 수립되고 집행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정부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고 새롭게 구성되는가 하는 점이다. 넷째, 행정구역이라는 장벽을 넘어 장강삼각주 광역권을 움직여 나가는 종합적·통합적 추진체계와 이를 통해 형성되는 지방정부 간 협력체로서의 광역 거버넌스 구축과 그 특징에 관해 주목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장삼각 구역의 도시들은 공치공영(共治共榮)을 목표로 구역 일체화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집행하기 위한 다층화되고 상대적으로 고도화된 협력체제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implications needed to build our country’s metropolitan area by analyzing the local innovation system and governance between governments in the Yangtze(Changjiang) River Delta Region, one of China’s major metropolitan areas.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set the following four study focus points. First, how to establish and understand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metropolitan economic and regional governance in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Second, it is planned to analyze the emerging backgrounds of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by dividing them into geopolitical,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raffic accessibility. Third, in the large metropolitan area of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is one of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s. Fourth, as the most important analytical focus, it is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implementation system that controls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beyond the barrier of the administrative zone and establis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ance as a cooperative entity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conclusion, the cities of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are forming a multilayered and relatively established cooperative system for formulating and executing an integrated development strategy with the aim of the region’s co-governing and co-prosperity.

      • 한강하구 평화적 활용을 위한 경기도 주요과제 연구

        김동성,이상훈,송미영,이성룡,김채만,고경빈,정성희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는 한강하구의 복원과 활용 및 남북 공동 이용을 위한 경기도의 주요과제를 도출하고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한강하구의 지리적 특성과 가치 그리고 중앙정부와 기초자치단체들의 한강하구 관련 사업추진 현황을 분석 및 검토하였고, 한강하구의 남북 공동 이용에 대한 남북 당국 간의 기존 합의와 논의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상기의 분석 및 검토를 바탕으로 한강하구의 복원과 활용을 위한 기본 방향과 구상을 생태와 환경, 공간과 관광, 교통과 물류, 경제와 산업 등의 네 가지 분야에서 각기 도출하고 경기도가 추진해야 할 주요 사업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어 한강하구의 활용과 복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거버넌스 구축 및 한강하구에 대한 남북 한 지역들 간의 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한강하구의 복원과 활용 그리고 한강하구의 남북 공동 이용을 위해 제시한 경기도의 주요 과제들(경기도 자체 사업은 A 유형, 경기도와 인접 지자체 협력 사업은 B 유형, 남북협력 사업은 C 유형으로 구분)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보호구역 연계 관리 (B 유형) 2. 지자체 차원의 물–에너지-식량 연계 기본 체계 구축 (B 유형) 3. 한강하구 보호구역 재설정 및 관리 (C 유형) 4. 임진강 물-에너지-식량 체계 구축 (C 유형) 5. 레저관광 복합지구 개발 (A 유형) 6. 수상관광 상품 개발 (B 유형) 7. 포구 및 옛 뱃길 복원 (C 유형) 8. 남북한 보행길 및 뱃길 연결 (C 유형) 9. 한강하구 간선 교통망 구축 (C 유형) 10. 고양 JDS 자유무역지역 지정·운영 (A 유형) 11. 경인 아라뱃길 자유무역지역 지정·운영 (A 유형) 12. 파주 장단반도 및 도라산 일대 통일경제특구 지정·운영 (C 유형) 13. 김포 통진 통일경제특구 지정·운영 (C 유형) 14. 한강하구 거버넌스 구축 (B 유형) 15. 남북 지역협의회 구축 (C 유형) The Han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history. The River flows through Seoul and then merges with the Rimjin River shortly before it flows into the Yellow Sea. Broad tidal flats can be found at the mouth of the Han River, where it meets the sea along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that divides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for more than sixty years, the Han River has been kept from being used for navigation or development, because its estuary is located at the borders of the two Koreas, barred for entrance by any civilian u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esent the main tasks of Gyeonggi-do for the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Han River estuary and fo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place. This study goes as follows. It analyze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Han River estuary, and explores the ongoing projects related to the Han River estuary by the central and the municipal governments. Secondly,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agreements and discussions between the two Koreas on the common use of the Han River estuary. Then, this study presents Gyeonggi-do with the major tasks in four areas: ecology and environment, spatial planning and tourism,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conomy and industry.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both the cooperation system among local governments adjacent to the estuary and the liaison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along the Han River and the Rimjin River.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tasks for Gyeonggi-do suggested by this study. 1. Management of the Existing Conservation Areas (Type B) 2. Establishment of a Water-Energy-Food Linkage System among Local Governments (Type B) 3. Redesign of the Conservation Areas in the Han River Estuary (Type C) 4. Establishment of a Water-Energy-Food Linkage System in the Rimjin River (Type C) 5. Construction of a Leisure and Tour Complex (Type A) 6. Promotion of a Waterborne Sightseeing Industry (Type B) 7. Restoration of Historic Wharfs and Old Waterways (Type C) 8. Interconnection of Walkways and Waterway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in the Han River Estuary (Type C) 9. Construction of an Arterial Road Network around the Han River Estuary (Type C) 10. Establishment of the Goyang JDS Free Trade Zone (Type A) 11. Establishment of the Gyeongin Ara-Waterway Free Trade Zone (Type A) 12. Establishment of the Paju and Dorasan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Type C) 13. Establishment of the Gimpo Tongjin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Type C) 14. Creation of the Han River Estuary Governance (Type B) 15. Creation of the Inter-Korean Regional Council (Type C)

      • KCI등재

        부산 하천 거버넌스의 진화? - 동천 재생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사례를 중심으로

        김고운(Kim ko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도시하천은 한국사회에서 도시 재생뿐만 아니라 도시 물 거버넌스의 주요 의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형 하천인 동천의 관리와 지역 재생을 둘러싼 거버넌스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지, 기존의 부산 지역 내 하천 관리 거버넌스 역사와 제도발전의 요소를 연결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발전연구원이 부산시의 용역을 받아 수행한 “동천 재생 마스터 플랜” 수립과정 및 이후 2016년 12월까지 동천 관련 지역 하천거버넌스 및 부산시 하천거버넌스이다. 연구 방법론은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 분석으로서 핵심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반 구조화된 면담 조사기법(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을 활용하였다. 제도로서 부산시와 동천 하천 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영향 요소 분석을 통해 볼 때 2000년대 초반에 형성되어 현재까지에 이른 부산 하천 거버넌스는 진화해왔다. 동천 유역 거버넌스는 재생마스터플랜 작성 과정과 이후 과정에서 하천 환경을 유역 공동체, 도시재생과 연계하여 모색하는 확장된 거버넌스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유역시민단체의 결합으로 부산시 하천 거버넌스의 진보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Urban stream management has become a focal agenda of urban water governance and urban regener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looks at the case of the Dong-cheon, a local stream, running from the business district in Seo-Myeon to the North Harbour of Busan. This paper examines how a local NGO was created within tthe Dong-cheon river governance through the process of Dong-cheon Master Plan project and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gress of Busan River Governance. This research depends o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Semi-structured stakeholder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 institutional analysis confirms that river governance practices in Busan evolved so far.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 process, river governance at the Dong-cheon has been expanding its focus: ecosystem, communities and urban regeneration. Having a new basin NGO at the Dong-che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evolution of city-level river governance.

      • KCI등재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거버넌스 변동 연구

        김창수 한국거버넌스학회 202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30 No.3

        This paper introduced the water governance model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based on OECD multi-level governance framework and then analysed key co-ordination gaps of the restoration project around NRE(Nakdong River Estuary). Main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Multi-level different related actors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 were accountable for the sustainable river estuary, and participated many ways. The committee of NRE restoration based on over 60 environmental NGOs since July 2012 has served as the leader of the network and coordinator for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s. It was necessary to network geographical areas for overcoming administrative gaps of multi-level NRE restoration governanc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ere successful for overcoming information gap for the help of the liaison of Nakdong River Estuary Integrated Operation Center. Environmental NGOs as policy entrepreneurs have worked for overcoming capacity gap connecting government to civil society enhancing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Monitoring cost, compensation cost for farmers, and drinking water intake site transference cost etc. were incrementally overcome. The 20th National Assembly had tried to fail in legislating Estuarine Restoration Act because of sectionalism. So I suggest that building good multi-level estuarine governance could enhance the socio-institutional capacity of coordination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all relevant stakeholders overcoming key co-ordination gaps. 이 연구에서는 OECD의 거버넌스 격차분석틀을 활용하여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을 둘러싼 거버넌스의 변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년 이후 낙동강하굿둑 개방 실험 과정에서 투명성이 보장되는 가운데 농민과 어민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였다. 2016년 등록한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수준의 민관협의체가 지속되면서 목표격차를 좁혀 가고 있었다.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낙동강하구 환경관리 실무협의회, 낙동강하구통합운영센터가 관리격차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부터 하구통합운영센터를 운영하여 염분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게 되면서 정보격차가 해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창립 때부터 복원 운동을 맡고 있던 환경단체 활동가들이 시민과학의 수준을 제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환경부 예산확보 등으로 모든 거버넌스 격차가 해소될 수 있도록 강력한 상호작용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정책격차는 2017년 문재인대통령 공약,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국가물관리계획 반영,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승인이 이루어지면서 대폭 완화되었다. 전략적으로 21대 국회에서 낙동강하구복원관리법(안)을 먼저 처리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3대강의 하구복원관리법(안)을 처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 KCI등재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지역 조사와 경계 인식

        배성준 만주학회 2021 만주연구 Vol.- No.32

        This paper examines Joseon Government-General's perception of border issues around the Amnok and the Duman rivers with an analysis of survey of the border region and on border meetings with China and Russia. When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launched surveys of the waterways and sand bars at the mouth of the Amrok river, the border issues emerged as a part of the colonial authority agenda in the early 1910's.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prepared for island disputes based on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s of the islands and sand bars in the Amnok and the Duman rivers. The surveys presented situation and trends in the border region and provided information on Korean migrat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ver.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lso surveyed, controlled, and utilized national forests of the Amnok and the Duman rivers and invesigated the possibilities of adopting hydroelectric power and establishing a hydroelectric enterprise. Based on those surveys,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launched policy guidelines on the border issues and prepared for border meetings with China and Russia. Japan and China defined territorial boundaries using the middle of the railroad bridge in the Amrok river as a midpoint in 1911. However, this delimiting pertained only to the railroad bridge.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lso set policies that demarcated navigable waterways between Chosen and China. He accorded sovereignty according to the history and present conditions of the islands and sand bars. The border meetings with China in the early 1920's produced guidelines of demarcation and new negotiations. They agreed to waterway improvements but disagreed on the demarcation of the deepest waterway. They eventually demarcated the right bank in the Amrok river and the left bank in the Duman river. Response to the sovereignty of the islands and sand bars prompted this change in the guideline.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proposed a new agreement with Russia to set the demarcation through the deepest waterway in 1911. These vastly differing responses between China and Russia reflected the relations and power dynamic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interstate system in East Asia. 본고는 1910-20년대 조선총독부가 시행했던 압록강-두만강 유역에 대한국경지역 조사와 조선총독부가 실질적인 담당자가 되었던 청국/중국 및 러시아와의 국경 교섭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경계 및 국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점 직후 조선총독부는 국경지역의 관리를 위하여 압록강-두만강 국경지역의 현황과 동향을 수시로 파악하였으며, 압록강 하구의 수로와 사주에대한 조사에 착수하면서 압록강-두만강 국경 문제가 식민당국의 현안으로부상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10년대 전반 압록강-두만강의 도서 및 사주조사를 통하여 도서 및 사주의 현황과 역사적 연혁을 파악하여 도서 분쟁에 대비하였으며, 압록강-두만강 대안지역에 대한 조사, 시찰을 통하여 국경 지역의 현황과 동향 및 대안지역으로 이주한 조선인의 현황과 동향을주기적으로 파악, 보고하였다. 또한 임적조사사업과 국유림구분조사사업을통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의 국유림을 조사, 관리, 활용하는 한편, 압록강수계에서의 수력발전 가능성을 조사하고 수력발전사업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조사에 기반하여 조선총독부는 국경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방침을수립하고 중국, 러시아와의 국경 교섭에 대처하였다. 1911년 국경열차의직통운전을 위하여 압록강철교의 중심을 국경으로 삼았지만 이는 압록강철교에 국한된 부득이한 것이었으며, 압록강과 두만강의 도서 · 사주에 대한 조사를 기반으로 가항수로를 국경선으로 하되 도서와 사주의 귀속은역사적 연혁과 현실적 조건에 따라 정한다는 방침을 수립하였다. 이러한방침은 1920년대 초반 중국과의 국경 교섭에서 압록강 보전개수공사는 찬성하지만 ‘최심수로’를 국경으로 하는 국경 획정에는 반대하는 방향으로변화하였고, 압록강의 우안과 두만강의 좌안을 국경으로 하는 국경협정안으로 귀결되었다. 이러한 방침의 변화는 통감부시기 이래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압록강과 두만강에 있는 도서 · 사주의 귀속 문제에 대한 대응이었다. 반면 두만강 하구의 어업을 둘러싼 러시아와의 협정에서 조선총독부는‘최심하상의 중앙’을 국경선으로 규정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차이는러시아와는 도서 · 사주의 귀속 문제가 논란이 되지 않았다는 점도 있지만, 동아시아의 국가간체제에서 양국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정세의 차이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메콩 유역의 국별 개발 전략과 협력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이요한 ( Yo Han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5 東南亞硏究 Vol.25 No.2

        Mekong River is an international river which shares its basin with 6 riparian states including China, Myanmar, Thailand, Laos, Cambodia, and Vietnam and maintains one ecosystem for thousands of years. Due to economic potential, Mekong River Basin(MRB) has been developed rapidly in these days, thus there are a number of infrastructure projects already done or on-going in this area. However, it brought out tensions and conflicts among the riparian states. The benefits and costs of its economic development were distributed unfairly without consensus among its relevant states and stake-holders. The role of the multinational Mekong governance in MRB has been taken a of solving and/or mitigating with the discrepancy in the development of Mekong river. The article dose not only addresses the riparian states’ perspectives and strategies on the development of MRB, but also examines the current affairs and limitation of the existing multinational governance such as Mekong River Commission (MRC), Greater Mekong Subregion(GMS), ASEAN-Mekong Basin Development Cooperation(AMBDC), and Mekong Water Dialogue(MWD) based on the viewpoint of each Mekong riparian government. Then, it finds out some critical factors to establish more efficient Mekong governance beyond the function and role of current governance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하천개수사업의 전개와 그 문제점

        최병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2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considered it necessary to start river improvement projects in order to make Koreans recognize the authority of colonial rule from an early period. Accordingly, a river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At the time, the Japanese authority carried out Emergency River Restoration Works, but this was limited to the flood zones. However, this work was badly carried out by contractors. They pocketed the workers’ wages, and stole construction materials. At the same time they conspired to win the contracts for the river construction works. The governor of Joseon wished to solve this problem and so the Japanese authority began stream works at the government’s expense (the Government-financed River Construction Project). This project was not a regional river system project but a district-based construction project. Due to this, the Japanese authorities did not produce a positive result in terms of flood management. In the 1930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began emergency relief work in response to the Great Depression. As part of the project, the colonial government initiated small and medium-sized stream improvement projects. But these projects also failed due to corruption by the Japanese civil contractors. 일제는 일찍부터 조선인들로 하여금 식민지배의 권위를 인정하도록하고자 치수사업에 착수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1920년대 전반기까지 하천조사를 시행해 하천 각 구역마다 홍수량을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천부지로 귀속될 땅의 면적을 확인했다. 이조사가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 일제는 수해가 발생한 지점에 대해 응급국부하천공사라는 이름으로 급히 복구공사를 시행하는 데에 머물러 있었다. 당시에는 응급국부하천공사 외에 수리조합이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하천개수공사도 적지 않았다. 그런데 이 공사는 토목 청부업자들의부정 공사와 공사비 착복 등으로 제대로 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1920년대 중반에 일제는 직할하천에 대한 개수공사를 통해 하천 제방을 정비하겠다면서 국비지변하천개수사업을 실시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수계별로 종합적으로 계획을 세워 시행한 치수사업이 아니었고, 전체 하천 구간 중에서 일부 구역에만 제방을 쌓는 식으로 실행되었다. 이 때문에 홍수로 인한 범람 피해를 줄이는 데에 특별한 효과를 거두지못하고 말았다. 일제는 수해가 줄어들지 않자 직할하천에 접속하는 지방하천에도 제방을 쌓아야 한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마침 농업공황으로 농가 경영이 심히 악화되어 있어 무언가 토목사업을 시행할 필요가있다는 여론이 형성되어 있었다. 일제는 이러한 여론을 이용해 궁민구제사업을 실시하기로 하고, 그 일환으로 지방하천에 대한 개수사업에돌입했다. 그러나 이 사업에 토목 청부업자들이 참여해 노임을 중간에가로챘으며, 부정한 방식으로 공사를 시행해 빈축을 샀다. 일제의 치수사업은 수해를 경감하는 데에 제대로 된 효과를 내지 못했다. 개수공사가 시행된 곳이 직할하천의 10%에 미치지 못할 정도였던 데에다가 각 지방단체들은 비용 조달 문제로 지방하천에 제방을 제대로 쌓지 못했다. 그 결과가 제방들이 수세(水勢)에 평형을 유지하지못하게 되었다. 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이 아니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