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 지적재산권법에서의 비재산적 손해배상

        오오이시 마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1 Law & technology Vol.17 No.3

        본고는 지적재산권법에서의 비재산적 손해, 즉 정신적 손해 또는 신용훼손으로 인한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와 관련하여, 일본 판례에서의 청구 여부 및 손해배상액을 확인하고 체계적인 정리를 시도한 것이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은 재산적 손해와 비재산적 손해로 구별될 수 있다. 재산적 손해는 일반적으로 이익손실, 임금상실 또는 피고 행위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발생한 비용 등의 손실을 포함하며, 금전으로 환산할 수 있다. 반면, 일본에서 “위자료(慰 謝料)”로도 불린 비재산적 손해는 신체의 아픔과 고통, 감정적 손상, 기타 정신적 고통 및 신용훼손을 포함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손해라는 특성상 본래적으로는 금전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저작권, 퍼블리시티권, 상표권 및 특허권에 초점을 맞추어 비재산적 손해가 인정될 수 있는지, 인정될 경우에는 얼마 정도의 손해액 이 되는지에 대하여 조사해보았다. 최근 판례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일본에서는 저작권법(저작인격권) 및 특허법(발명가명예권)에서 권리자 의 정신적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위자료)을 인정하는 반면, 퍼블리시티권 및 특허권자의 업무상 신용훼손에 대해서는 비재산적 손해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상표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재산적 손해만 인정되고 업무상의 신용훼손으로 인한 무형 손해 발생은 인정되지 않으나, 원고 상표권의 저 명성과 브랜드의 철저한 관리, 피고 행위의 악의성 등을 고려하여, 저명 브랜드의 카피상품 판매 등의 일부 케이스에서는 신용훼손으로 인한 위자료 청구가 인정된 사례도 볼 수 있었다. 손해배상액과 관련해서는 침해자 행위의 악질성과 같은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손해배상액이 상대적으로 고액이 될 수 있다. 반면, 저작인격권 및 발명가명예권과 같은 인격적 권리에 대한 손해는 침해가 발생하면 항상 청구할 수 있는 관계로 그 배상액은 한정적으로 보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non-economic damages such as mental or reputation harm, are awarded in Japan and investigated typical damage awards by researching and organizing judicial precedents under Japanese Intellectual Property Law. Tort damages can be divided into “economic damages” and “non-economic damages.” Economic damages are awarded when a defendant’s actions caused a loss of profit, loss of wages, or other financial loss; these damages are calculated in monetary terms. Conversely, non-economic damages, also called “consolation money” (Isyaryou) in Japan, are awarded when a defendant’s actions have caused physical pain, emotional pain, mental distress, defamation, or credit damage. These damages are difficult to evaluate in monetary terms because of their subjective and intangible nature. This study focused on copyrights, publicity rights, trademark rights, and patent right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size of non-economic damages in Japan. An examination of recent judicial precedents in Japan revealed that damages are often awarded for mental damage to copyright authors (i.e., for authors’ moral rights) and patent inventors (i.e., honoring inventors’ rights). However, non-economic damages are hardly awarded when the harm involves publicity rights or patent holders’ business credit. In trademark rights cases, only economic damages are usually granted, with rare cases of awards to redress intangible harm to business reputation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some trademark cases (e.g., those involving imitations of well-known brands or products) in which compensation claims for reputation damage were allowed in consideration of the plaintiff’s trademark notoriety, the plaintiff’s brand management scrupulousness, or the defendant’s malicious intent. The amounts paid as damages have been relatively high in cases with special considerations such as defendant’s malicious intent. However, the compensation amounts to authors’ moral rights or honoring inventors’ rights would be limited since the courts can award damages at any time in cases involving these rights in the event of infringement.

      • KCI등재

        이사회 권한을 제한하는 주주의 비토권* -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21다293213 판결 -

        최민용 한국사법학회 2024 비교사법 Vol.31 No.3

        투자자 보호약정 중 이사회 권한을 제한하는 사전 동의권 부여 약정이 문제된 사안에서 최근 대법원은 1) 사전 거부권 약정은 원칙적으로 주주평등의 원칙 위반이지만, 회사의 상황과 회사법의 규정, 다른 주주들의 불이익 여부 등을 검토하여 합리적 차별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거부권을 갖는 주주는 소수주주이지만 경영권을 견제하여 다른 주주와 회사 이익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으며 2) 위약벌 약정은 회사와 주주 사이에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액의 예정을 약정한 것으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효하고, 일부 주주에게 투하자본의 회수를 절대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주주평등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단정할 것은 아니라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거부권은 투자유치의 필요성 때문에 특정 주주에게 부여하는 것이므로 필연적으로 주주평등의 문제를 내포한다. 그러나 주주들을 차별하였기 때문에 무효라는 단순한 도식은 거부권 약정이 제기하는 다양한 회사법의 주요 쟁점을 가리거나, 분석이 곤란하도록 하는 부작용이 있다. 이글에서는 거부권 약정과 관련하여 해당 사안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은 소수 주주가 독립적 의사결정권을 갖는 이사회의 권한을 제한하는 것의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사회의 권한이 이사의 선임권이 있는 주주들의 양보 그리고 계약 당사자인 회사의 양해 하에 편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닌 점, 소수 주주가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면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주주일반과 회사에게는 불이익한 의사결정을 할 가능성도 있으며, 이사와 같이 선관주의의무로 견제되는 지위에 있지 않은 주주가 책임지지 않는 행동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적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약정은 약정의 체결, 이행, 불이행 모든 국면에서 이사의 선관주의의무 이슈를 제기한다는 점을 유념하여야 한다.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안이 내용별, 기간별로 제한되지 않은 무제한의 것이어서 더욱 문제이다. 소수주주의 거부권은 이사회의 권한 사항을 거부, 의사결정을 좌절시킬 수 있는 권리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이사회가 그 결정이 회사와 주주일반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를 신중히 검토할 수 있도록 견제하는 권한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신주발행 시 분쟁의 실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신주발행금지가처분에 있어 사전 동의권이 유효한 피보전권리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소모적이고 무익한 분쟁을 예방한다. 뿐만 아니라 경영권 견제 기능에 중심을 둔 이러한 해석은 최근 판례의 취지에도 일부 부합하면서도, 사전 동의권 약정을 제한적 해석의 방법으로 유효가 되도록 하여, 그 위반 시의 손해배상예정 약정 또한 유효로 볼 수 있는 논리적 연결의 고리를 회생시킨다. 한편, 위약벌 약정은 약정 위반 시에 금전으로 주주의 손해를 전보하는 것이므로, 채권자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해석하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거부권 약정 위반으로 주주가 마치 채권자의 지위에서와 같이 막바로 추급할 수 있는 몫이 무엇인가를 검토하였다. 신주인수계약 체결 시 각종의 투자자보호 약정이 투자로 인한 위험을 커버할 수 있다고 투자자가 믿었고 그러한 신뢰가 반영된 인수가액 부분은 주주의 직접손해이다. 약정에 위반하여 저가로 신주를 발행하였을 때, 그로 인한 지분가치의 희석은 회사의 손해와 상관이 없으므로 직접손해가 된 ... Our current Supreme Court has held that 1) veto right of shareholders which restricts the BOD authority violates the principle of a shareholder equal treatment(herein referred to as “equal treatment”) but it might be regarded as reasonable discrimination considering circumstances of a company, articles of the company Act, disadvantage of other shareholders etc and in such a case, such shareholders is viewed as to contribute to the company by monitoring management, ii) indemnity agreement is to make up for the default of the company so it is valid and effective in principle not violating the equal treatment. Of course, such a veto right is for some ‘specific’ shareholders not for all so it inevitably raises issues of equal treatment. However, the rule-if the company treats some shareholders differently from the others, it is vold and null-is too simple to encompass complicated and various issues in the veto righ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issue whether such shareholders could restrict the authority of the BOD. In arguing that I has pointed that such authority is not the kind of power that shareholders with the right to appoint the director or the company could concede. The minority shareholder vested with such veto right might make a decision against interests of the others and the company pursuing their own interests. The fiduciary duty is not owed to them at all. We also keep in mind that this right raises an issue entrance of, performance and non-performance of the agreement in connection with such fiduciary duty. The scope of veto is too huge comparing that of the U.S.. I have accented that such veto right is to be interpreted as monitoring right of management by giving them a chance to reconsider where its decision is for the general shareholders and the company, not as the right to refuse and frustrate its decision. This interpretation is able to prevent consumptive and useless argument by making such right function as right protected in injunction on new issuance of shares. This restrictive interpretation purports to the current Supreme Court case holding. It also views the veto right as valid and effect so that the indemnity provision is valid and effect as well. Meanwhile, indemnity provision is to make up the damages of shareholders so it should not infringe the rights of creditors. Keeping this point in mind, I have analyzed what shareholders could take form the company just like the creditor. I believe that the portion reflecting the investor’s trust that such veto right could cover the risk inherited in the investment is direct damages. On issuance of new shares in violation of the veto agreement, the portion of share value diluted is also direct damages. Such loss in economic value of shares(due to shrink in paid in capital) is irrelevant to the damages of the corporation. Such company’s damages are not the cause of the shareholders’ damages. Thus, recovery of damages by the corporation can not restore ones of the shares, which means that such damages are indirect. Up until now, stances of parties of the veto agreement thereto are not desirable. Investors insecure require too much to the company and the company with desperate needs of money accepts their demanding requirement without prudent consideration. After entering the agreement, the company goes through the corporate affairs without consent and investors argues it. Courts’ holding has been inconsistent so uncertainty has been surrounding such veto right. The current Supreme Court case has held that there is exception to the shareholder equal treatment rule. However, I believe the standard of such exception is too huge with some left not analyzed at all. Clear and detailed standard is requires so that such veto right could protect the company, shareholders and creditors and finally revitalize the capital market.

      • KCI등재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전보배상청구권

        정문경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in the en banc Decision 2010Da28604, May 17, 2012 that the real action is not able to exist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the real rights because it bases its existence as well as establishment on the real rights, and changed its previous opinion that the real action may still exist under some conditions despite the loss of real rights and the previous real rights holders such as real estate owners can claim the compensatory damages due to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of real action. However the dissenting opinion in this en banc Decision asserted that it depends on the legal policy whether to approve such compensatory damages, and thus there are no theoretical and practical needs to change the previous opinion which protected equally real rights and claims. In the aspect of legal theory,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real action are based on real rights, and thus real action is accessory to the real rights. In this respect, it shall not be deemed that if real action is once established, it can still exist despite the loss of the real rights as the principal rights. Therefore the majority opinion is superior to the dissenting opinion in legal theory. However, the dissenting opinion's assertion that when the previous owner lost ownership due to the completion of subsequent purchaser's acquisitive prescript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case of this en banc Decision, remedies for lost previous ownership are needed, is worth listening up. In this regard, this paper dealt with the need and resonable scope of remedy for lost ownership. In conclusion, the remedy for the previous owner's lost ownership would be, in principle, the performance of rights to claim for damages by torts. Additionally in the aspect of coherence in existing precedents, it is hard to say that merely approving the rights to claim for damages by torts is not enough to protect the previous owner's ownership,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of an unlawful act of the non-rightful person, proximate causal relation, starting point of computing extinctive prescription regarding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compensation and so on. Moreover, if the viewpoint of the dissenting opinion is taken, then it is, in fact, difficult or complicated to resolve legal disputes in regard to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scope of compensatory damages due to the real action's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Considering the need and resonable scope of remedy for lost ownership, the majority opinion seems reasonabl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대법원 2012. 5. 17. 선고 2010다28604 전원합의체 판결은 물권적 청구권은 그 성립뿐 아니라 존재근거를 그 발생기반이 된 물권에 두고 있어 물권과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함으로써, 물권의 상실에도 불구하고 이미 성립한 물권적 청구권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음을 전제로 그 이행불능으로 인한 전보배상을 인정한 기존 판례의 태도를 변경하였다. 이에 대하여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별개의견은,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전보배상을 인정할지 여부는 법률 정책적인 결단이므로, 기존 판례가 이를 인정하여 채권에 못지않게 물권 내지 물권자를 보호해 온 상황에서 판례의 태도를 변경할 이론적․실무적인 필요성이 없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법이론적인 측면에서 물권적 청구권의 성질을 본다면, 물권적 청구권은 모권(母權)인 물권에 그 성립뿐만 아니라 그 존재근거를 두고 있고, 성질상 물권을 관철하기 위한 ‘도구적 권리’로서 어디까지나 물권에 종(從)된 권리라고 할 것이므로, 물권적 청구권이 모권인 물권이 소멸한 이후에도 여전히 독자성을 가지고 존속한다고 보기는 어려워,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이 이론적인 면에서 더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사안과 같이, 부동산에 관하여 무권리자 명의로 소유권등기가 마쳐지고 그 무권리자의 소유권 이전행위에 기초하여 전득자의 해당 부동산에 관한 취득시효가 완성됨으로써 그 소유권을 상실하게 된 종전 소유자에 대하여 권리구제를 해 줄 필요성은 적지 않다는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별개의견도 경청할 만하다고 할 것인바,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이 소유권을 상실한 사람에 대한 권리구제의 필요성과 그 타당한 범위를 검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물권의 상실에 따른 종전 소유자의 권리구제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라 할 것이고, 종전 판례와의 체계정합성의 측면에서 그 위법행위의 구성, 상당인과관계,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손해배상액의 산정 등을 고려할 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인정만으로 종전 소유자의 권리보호에 부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별개의견과 같이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에 의한 전보배상청구권을 별도로 인정할 경우,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의 이론적 구성, 손해의 개념 구성, 손해배상의 범위,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고, 과연 권리구제의 강한 필요성이 인정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과 결과 면에서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법이론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도 별개의견의 입장에 동조하기는 어렵다.

      • KCI등재

        행정절차참여권의 침해와 비재산적 손해배상 : 독일법과의 비교

        최준규(Choi, Joonkyu)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비교사법 Vol.27 No.2

        There is a precedent of the Korean High Court which said that, if the government intentionally omitted the related local people’s participation procedure in the administrative decision prescribed by the law while setting up the waste disposal site, such people could claim for non-pecuniary damages based o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However, the author disagrees with such conclus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when the law which stipulates the related parties’ participation right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s violated, such participation right should be enforced in principle through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must be realized in such a way as t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to the right holder, not in the way of monetary compensation. If the administrative court did not cancel the administrative act in ques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government would have issued such administrative act anyway, even if the related people had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dministrative act, then such court’s decisio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administrative court’s intention not to recognize the independent value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Nevertheless, if the civil court - emphasizing the independent value of the participation right as such - orders the damages for the non-pecuniary loss only based on the infringement of the participation right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then there may occur a disharmony between the judgment of the administrative court and that of the civil court. Also, when the procedural defects of the administrative act will make such act not void but just revocable and the statute of limitations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ran out already, plaintiffs can no longer attack the validity of the administrative act. Under such conditions, it is contradictory to the purpose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to award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only due to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Second, when the government willfully or maliciously omitted the people’s participation procedure in making administrative act, the judiciary should boldly and positively invalidate such administrative act in question. Under such conditions it see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ople s participation rights, awarding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But, in fact, it may be an unsuccessful measure, because it leaves the defective administrative act intact, so that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continues being omitted. It is also difficult to expect that awarding damages can make the government voluntarily observe the statutory administrative procedure in the future. Awarding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and leaving the defect of omitting administrative procedure uncured may give the government wrong signal that it is ok to proceed with government plans omitting bothersome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related parties, and to justify its intentional disregard of the law by paying money later. Thir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s a kind of public right, if we pay attention to the independent value of such participation right. It is the state, that is, all of us, not the qualified local people who was harmed by omitting the participation procedure, and undermining the value of participatory democracy. Awarding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only due to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s practically to privatize public damages. This means that a government that has committed illegal acts by omitting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procedures must pay the fines or penalties to the related residents near the waste landfill facility not to the government. However, public loss should be compensated, correcte 하급심 판례 중에는, 폐기물매립시설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국가(지방자치단체)가 법률에 규정된 주민참여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주민들이 행정절차참여권 침해를 이유로 국가(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본 것이 있다. 그러나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위 판례의 결론에 반대한다. 첫째, 행정절차 참여관련 법규정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 이해관계인의 권리구제는 원칙적으로 행정소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행정절차참여권은 권리자에게 행정절차참여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그 권리가 실현되어야 하고, 금전손해배상의 방식으로 실현되어서는 안된다. 만약 행정법원이 주민참여절차를 거쳤어도 어차피 동일한 행정처분이 발령되었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또는 사정판결을 근거로 문제된 행정행위를 취소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법원의 판단에는 행정절차참여권의 독자적 가치를 중시하지 않겠다는 취지가 포함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사법원이 행정절차참여권 침해를 이유로 한 위자료를 긍정한다면, 행정법원의 판단과 민사법원의 판단 사이에 모순이 발생한다. 또한 행정절차를 거치지 않은 행정행위의 흠이 취소사유에 불과하고 원고들의 부주의로 취소소송 기간이 이미 도과한 경우라면, 원고들은 더 이상 행정행위의 효력을 다툴 수 없다. 이 경우 원고들이 위자료 청구의 형태로 행정절차참여권 침해문제를 다툴 수 있게 허용하는 것은, 행정소송의 제소기간을 둔 취지와 맞지 않는다. 둘째, 행정절차를 거치지 않은 국가의 비난가능성이 큰 경우에는 사법부가 문제된 행정행위를 과감하게 무효로 보는 것이 정도(正道)이다. 행정행위의 효력은 그대로 둔 채 위자료를 허용하는 것은, 외관상으로는 행정부에 대한 사법부의 적극적 견제를 통해 국민의 권리구제를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이미 이루어진 불법을 수인하는 상태에서 이를 금전배상으로 무마하려는 미봉책에 불과할 수 있다. 사법부가 행정행위의 효력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대신 위자료를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행정부가 절차를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순기능을 할 것이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행정부에게, 국민의 행정절차참여권은 무시한 채 일단 사업을 진행하고 나중에 금전배상으로 해결하면 충분하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행정절차참여권은 그 독자적 가치를 중시하면 할수록, 공적(公的)성격이 두드러지는 권리이다. 참여민주주의의 가치가 훼손됨으로써 손해를 입은 자는 국가, 즉 우리 모두이지, 인근 주민들만이 아니다. 행정절차참여권 그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그 권리가 침해된 경우 위자료 배상을 허용해야 한다는 생각은, 실질적으로 보면 공적(公的)손해를 사유화(私有化)하자는 것이다. 행정절차를 생략하는 위법행위를 한 국가가 이에 따른 벌금 또는 과징금을 폐기물매립시설 인근 주민들에게 납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가 국가에게 가한 공적 손해의 전보, 교정, 예방은 민사상 금전손해배상의 방법이 아니라, 행정소송, 형사처벌, 행정기관 내부의 징계, 행정기관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 시민사회와 입법부의 감시・감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국가가 고의로 주민들의 행정절차참여권을 침해하였더라도, 그것만을 이유로 한 위자료 배상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상법 제724조 제2항에 의한 직접청구권의 법적성질 - 대법원 2019.1.17. 선고 2018다 245702 판결의 손해배상청구 판례중심 -

        정진항 ( Jeong Jinha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4 No.4

        In this paper, the legal nature of the direct claim under Article 724 (2) of the Commercial Act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precedents in the right to claim damages in the Supreme Court 2019, January 17, 2018 Da245702 judgment. In addition, in the above article, the Supreme Court precedent regarding the regulation that allows the insurer to directly claim damages incurred by the insure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at would cause the victim to be liable or the perpetrator for the legal nature of the third party’s direct claim right, within the limit of the insurance payment agreement. We checked whether it is showing. However, the precedent is that the insurer and the insured have a joint liabi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because it is an insurance that the insurer and the insured acquired concurrently with respect to the damages liability according to the deduction contract.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direct claims recognized by the victim pursuant to Article 724 (2) of the Commercial Act is that the insurer has concurrently taken over the insured’s liability for damages against the victim, and that the victim has the right to claim damages against the insurer.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the precedent is being explained in terms of the right to claim damages and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money. However, although there are disputes in the theory,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 precedent is in accordance with the right to claim damages, which indicates that liability insurance should protect third parties as much as possible. As such, it is intended to report that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s that the insurer has taken over the insurer’s liability for damages against the insured’s victim in parallel, and the insurer’s direct claim is a modification of the insurance claim right or equivalent.It can be seen that it is judged not to be a right. However, when looking at the judgment issued by the sentencing judgment, there is no mention of any grounds for which the court made this judgment or the reasonable justification of the judgment. Obviously, in the direct claim for the right to claim damages, the direct claim is regarded as the insurer’s coexistence of the insured’s liability for damag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sured and the insurer stipulate that it is a joint debt relationship that bears the same debt In addition, in the matter of applying the law of direct claim, which is a problem under Article 724 of the Commercial Act, the problem must be resolved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 KCI등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김세권(Kim, Sei-Gwon) 한국재산법학회 2013 재산법연구 Vol.30 No.1

        한국 현행민법과 일본 현행민법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하여 비슷한 체계를 두고 있다. 한국 현행민법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제766조 제1항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이를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한다.", 동조 제2항은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을 경과한 때에도 전항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현행민법 제724조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 손해 및 가해를 안 때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않은 때에는 시효로 소멸한다. 불법행위시부터 20년을 경과한 때에도 같다."고 규정하여 주관적 기산점과 객관적 기산점을 규정하고 있어서 주관적 시효체계와 객관적 시효체계라는 이중적 규정구조체계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 동일하다. 한편, 동일한 이중적 규정구조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 현행민법과 일본 현행민법의 권리행사기간제한, 특히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보이고 있을 뿐이다. 즉,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의 단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은 3년으로 동일하지만,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에 있어서 우리 현행민법은 10년임에 반하여 일본 현행민법은 20년으로 다르다는 점이다. 그런데, 한국 현행민법과 일본 현행민법에 대하여 민법개정안이 제시되었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하여 한국의 민법개정위원회의 민법개정안은 다음과 같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을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을 '5년'으로 변경(개정안 제766조 제1항)하였고,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을 그 기산점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에서 '손해발생일'로, 그 기간을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하였다(개정안 제766조 제2항). 한편 일본민법개정에 관해서는 민법개정연구회, 민법(채권법)개정검토위원회, 특히 시효제도 전반에 대하여 시효연구회 등에 의한 민법개정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고에서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한 한국의 민법개정안과 일본 민법개정안들을 검토한다. 이어서 불법행위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쟁점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민법관의 전환과 인격권의 중시, 불법행위법의 기능 변화 등을 검토함으로써 소멸시효제도의 존재이유에 대한 재검토 배경을 고찰한다. 그리고 한국의 민법개정안과 일본의 민법개정안들을 검토함으로써 불법행위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①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규정체계 문제, ②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의 연장문제, ③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의 법적 성질에 관한 문제, ④ 계속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에 관한 문제, ⑤ 인격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한 권리행사기간제한에 관한 규정의 필요성 문제)에 대하여 고찰한 뒤에 한국의 민법개정안에 대하여 수정안을 제시하는 것을 본고의 목적으로 한다.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and the current Japanese Civil Act has a similar system for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Article 766.1 of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provides that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hall lapse by prescription if not exercised within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Also, paragraph 2 of this provision provides that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also apply if ten years have 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unlawful act was committed'. In addition, Article 724 of the current Japanese Civil Act provides that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hall lapse by prescription if not exercised within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The same rule shall apply if twenty years have 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unlawful act was committed'. Based on those provisions, they share dual-provision systems, such as subjective prescription system and objective prescription system, because each of them stipulates both subjective starting point of counting and objective starting point of counting. Meanwhile,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and the current Japanese Civil Act, which have the same dual-provision systems, is the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in particular, the long-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In other words, the short-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for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is 3 years for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Civil Acts, while the short-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is 10 years for the Korean Civil Act but 20 years for the Japanese Civil Act. However, a proposed amendment to the current Korean and Japanese Civil Acts was suggested. The draft of amendments to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uggested by the Korea Civil Act Amendment Committee, are as follows: amending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to 'fiv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Article 766.1 of the Proposed Amendment); and changing the starting point of counting from 'the date when the unlawful act was committed' to 'the date when the damage was occurred' and expanding '10 years' of the starting point of counting (as the long-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to '20 years' (Article 766.2 of the Proposed Amendment) 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amendment to the Civil Act of Japan, the Civil Act Amendment Committee, the Civil Act (Law of Obligations) Amendment Review Committee, and, in particular, the Prescription Research Institute on overall prescription have suggested the amendment to the Civil Act of Japan. This study examines the drafts of amendment to the Korean Civil Act and that of the Japanese Civil Act in connection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Also, it examines the conversion of the philosophy of civil act, emphasis on personality right and change in function of the tort law in order to consider and focus on any possible issues on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In addi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following issues, which may occur in connection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and then to propose a revision

      • 특허권⋅디자인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 산정방식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령 및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서원경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8 Law & technology Vol.14 No.3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지식재산권의 양산으로 세계 각국에서 자국 또는 자국의 국민이 소유한 지식재산권의 보호를 위한 법령의 확대, 제도의 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세계 굴지의 IT 기업들이 지식재산권 침해 소송의 당사자가 되어 장기간 동안 법적 절차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게 되거나, 기대했던 소송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게 된다면, 해당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막대한 손해배상액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지식재산권의 고유한 특성상 침해행위의 유형, 침해여부, 구체적인 손해배상액 산정방법 등을 밝혀내기 쉽지 않은 사례가 많이 있고, 지식재산권 시장의 변화 속도에 부응하지 못한 법령들을 토대로 손해배상액을 정확히 판단하기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특허법 제128조 제4항에서 적절한 손해액은 피고가 침해행위로 의하여 얻은 이익액으로 추정하고, 특허법 제128조 제5항에 의하여 권리자는 침해자를 상대로 그 특허발명의 실시에 대하여 통상실시료를 자기가 받은 손해액으로 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규정만으로는 특허권자의 손해전보에 현실적이지 못하다. 또한 디자인보호법 제115조에서도 특허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실이익, 손해액 추정, 실시료상당액 등으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으나, 해당 규정만으로 디자인권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합리적으로 산정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미국 특허법 제284조에서는 미국 특허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 산정방식으로서 특허권 침해로 인하여 특허권자가 상실한 이익인 일실이익, 특허발명에 관한 합리적 실시료 또는 확립된 실시료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디자인권 침해로 인한 손해액은 미국 특허법 제284조 또는 제289조에 근거하여 산정 가능하나, 미국 특허법 제289조와 달리 제284조에 따를 경우에는 침해자의 이익액에 근거한 손해배상액을 산정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고의침해 등에 따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 특허법에 존재하는 독특한 규정이다. 이하에서는 현행 특허법 및 디자인보호법상 손해배상 산정방식에 대해 규정한 내용을 검토하고, 미국의 입법례와 구체적인 사례를 비교⋅분석한 후 지식재산권 침해 시 손해배상액 산정방식에 대한 입법론을 살펴본다. 우리나라에서도 미국과 같이 일실이익과 합리적 실시료를 혼합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규정을 확립하고, 실시료의 산정기준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거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는 등 특허권자 및 디자인권자의 권리증진과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입법적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the improvement of expansion of laws & regulations and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wned by the nation or national people around the world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mass production of variou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presentatively, if the world’s leading IT enterprises spend a lot of time and money in the legal proceedings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a party to the infringement litig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can not obtain the lawsuit results expected, through which the negative impact on corresponding enterprises will last for a long time or cause a large amount of damages. By the way,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type of infringement, infringement or not and specific damages calculation method are not easy to find out due to the unique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also the cases where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 is not easy to judge accurately based on the laws & regulations unfulfilled on the change speed of marke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the Article 128 Paragraph 4 in the Patent Act of Korea, the appropriate amount of damages shall be calculated from the profits obtained by the defendant through infringement, and the rightful person can claim the damages as the amount of damages received by itself for the general royalty of design right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patented invention against the infringer by the Article 128 Paragraph 5 in the Patent Act, however, it is not realistic to the complement damage of patentee with these regulations alone. In addition, the calculation method of amount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 is specified with the lost profits,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damages, equivalent amount of the royalty by the Article 115 of Industrial Design Protection Act as in the Patent Act, however, only by the applicable regulations there is an insufficiency for reasonabl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 against the infringement of design right. In the Article 284 of US Patent Act, the lost profits which are the profits lost by patentee, the reasonable royalty on patented invention or the established royalty due to the infringement of patent rights are applied as a damages calculation method due to the infringement of US patent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damages due to the infringement of design righ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Article 284 or 289 of the US Patent Act, however, if it follows the Article 284 unlike the Article 289 of the US Patent Act,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 based on the infringer’s profits can not be calculated. And the punitive damage reimbursement according to the willful infringement is a unique regulation that exists in the US Patent Act unlike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고의적인 특허권 침해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소고

        이병남 ( Byung Nam Lee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4 과학기술법연구 Vol.20 No.3

        오늘날 경제의 글로벌화가 촉진되고 지식기반 경제의 도래와 기술의 발달로 효율적인 지식재산권의 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지식재산권은 한 국가내의 권리·의무관계를 넘어 세계적인 분쟁 대상이자 주요한 교역요소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 2014년 2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발표에 따르면 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가 밝힌 PCT특허출원 통계에서 우리나라는 3년간 연속(2011년, 2012년, 2013년) 세계5위를 유지하면서 지식재산권의 강국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따라서 자신들의 특허권 침해 등으로 기업 대 기업 혹은 기업과 개인사이의 특허권에 대한 분쟁이 더욱 더 치열해 질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특허권 침해에 대해서는 민사법상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고(민법 제750조), 이러한 불법행위 책임은 손해의 전보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손해배상의 범위는 통상의 손해를 그 한도로 규정하고 있다(민법 제393조). 2011년 하도급법에 처음으로 영미법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여 손해배상 금액을 피해자에게 손해의 3배까지 배상할 수 있도록 하고, 2013년에는 기술자료 탈취·유용에 대한 고의 또는 과실 없음의 입증책임을 원사업자에게 가중하는 제35조가 신설되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지침에는 취득한 기술자료의 유용이라 함은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로부터 취득한 기술자료를 그 취득 목적 및 합의된 사용 범위를 벗어나서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수급사업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사용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지침에 의하면 특허권 침해로 인한 손해도 기술자료의 유용으로 발생한 손해에 포함된다. 그리고 기술자료의 유용이나 특허권 침해의 모두 발견 및 입증이 어렵고 손해액 산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특허법에 이제도를 도입한다면, 기업들의 특허권 침해에 대한 준법의식을 높이고, 투명성을 제고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제도를 다양하게 적용 확대한다면, 특히 발각되기 어려운 악의적인 불법행위의 경우에는 상당히 효과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피해자 스스로가 경제적인 동기에 의하여 최대한 피해사실에 따른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제도는 가해자에게 손해 원금과 이자만이 아니라 형벌적인 요소로서의 금액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켜서 배상받을 수 있게 하여 민사적 절차를 사용하여 징벌하는 민법과 형법의 중간영역이라고 할 수 있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통한 민사제재는 가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제재를 도모하고, 나아가 사소한 형사법 위반자에 대하여는 최대한 형사 범죄인을 만드는 것을 억제하는 완충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대륙법계에서는 독일과 일본은 소극적이나, 대만의 경우는 소비자보호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를 도입하여 좋은 성과를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시점에서 ① 법체계상의 차이 ② 기업활동의 위축 ③ 이중처벌 가능성 ④ 부당이득 가능성 ⑤ 소송 남발우려 등이 있지만, 이러한 주장은 설득력이 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정확하게 그 현상을 살펴보면, 악의적인 불법행위자인 악질의 사업자만을 퇴출시킬 것이므로, 실질에 있어서는 오히려 부적절한 기업을 선별하는 시장정화기능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에서도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논의 할 당시 도입 반대를 주장하던 토론자들도 특정한 분야에 한정하여 도입하는 방안은 민·형사 책임분리라는 현행 법률체계에서도 가능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끝으로 고의적인 특허권 침해 행위는 형사처벌 대상이나(특허법 제225조), 검찰의 기소 건수도 적고, 법원의 실형 선고율이 낮아서 형사적 구제수단의 실효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민사적 구제수단을 강화하는 일환으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여 훌륭하게 정립시켜 나간다면, 형사법의 처벌로 인한 범죄자 범위 확대를 최소화하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사료된다. With the promotion of the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economy, and the ongoing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efficiently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increased day by day. Inde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ve gone beyond relations of rights and duties within individual nations to become objects of international conflict and some of the major elements of trade. According to a February 2014 announcement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in Patent Cooperation Treaty (PCT) patent application statistics announced by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South Korea has stood firm as a leading nation 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anking fifth around the glob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2011, 2012, and 2013). Consequently, conflict concerning patent rights between corporations and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due to infringements of their respective patents is expected to become even fiercer. Regarding such infringements on patent rights, those who inflict damages on others due to illegal acts, performed intentionally or negligently, are presently liable to compensate for such damages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And because the purpose of the liability for such illegal acts lies in compensation for damages, the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is limited to ordinary damages (Article 393 of the Civil Act). The punitive damages system of Anglo-American law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to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in 2011 so that it became possible for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s to the victims to be up to three times the damages. In 2013, Article 35, which lays on prime contractors the responsibility to prove the absence of an intention or negligence regarding the seizure and appropriation of technical data, was newly establish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guidelines of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define the appropriation of technical data, obtained as actions by prime contractors to use technical data obtained from subcontractors to obtain unjust profit outside the purpose of obtainment or the agreed scope of use or to inflict damages on subcontractors. According to these guidelines, damages due to patent rights infringement, too, are included in damages arising from the appropriation of technical data. In addition, both the appropriation of technical data and the infringement of patent rights are difficult to discover or to prove, and that makes it difficult to calculate the amount of damages. If this system is introduced into the Patent Act, there is the positive aspect of raising corporations` awareness of the need to abide by laws regarding patent infringement and increasing their transparency. Consequently, if applied and expanded in various ways, this system can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cases, especially of malicious illegal acts that are difficult to detect. This is because the victims themselves are expected to take legal measures as much as possible motivated by the fact of damage, and out of economic motives. In addition, this system allows the victims to be compensated by the victimizers for not only the principal lost and the interest but also an amount of money as a punitive element additionally included. This presents a middle ground between civil law and criminal law, which uses civil procedures to impose punishments. In addition, civil sanctions through the punitive damages system will promote effective sanctions against the victimizers and, furthermore, act as a buffer by preventing as much as possible minor criminal law violators from becoming criminal offenders. Among countries that have adopted Continental law, while Germany and Japan are passive, Taiwan is known to have introduced this system widely into diverse fields such as the Consumer Protection Law and have reaped favorable results. In South Korea, at present, there are concerns such as: ① differences in the legal systems; ② reduction in business activities; ③ possibility of double punishment; ④ possibility of undue profit; and ⑤ excess litigations. Such claims are not very persuasive, however, because the system will precisely and only eliminate pernicious contractors, who are perpetrators of malicious illegal acts, and, in actuality, may even have the function of purifying the market by sorting out inappropriate corporations. Likewise, in the case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even among discussants who op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punitive damages system during discussions about it, it was the dominant opinion that a limited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to only particular fields was possible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where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are separate. Finally, while acts of intentional infringement on patent rights ar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Article 225 of the Patent Act),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remedies is not high because the number of cases indicted by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is small and the courts’ rate of pronouncement of actual prison sentences is low. Consequently, if the punitive damages system is introduced and well established as a part of the fortification of civil remedies, it will become more effective as a buffer that minimizes the expansion of criminal acts due to punishment in terms of criminal law.

      • KCI등재

        민법관의 전환과 불법행위법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김세권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5 동북아법연구 Vol.9 No.2

        재산법 위주로 파악되어 왔던 근대민법에 대하여 현대에 들어서는 인간에 대한 민법상의 관 점에 있어서의 변천과 변화가 있었다. 현대민법의 성격이 ‘시민사회의 기본법’ 혹은 ‘시민사회의 헌법’이라고 한다면, 그 중심에는 인격권이 존재한다. 현대민법이 인격권에 무게중심을 두는 것 에 대하여 근대민법은 재산권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왔던 민법이라면, 앞으로는 재산권보다는 인 격권을 핵심적으로 다루어는 민법관의 전환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즉, 「자본주의 경제사회의 법(상품교환의 법)으로서의 민법에서 시민사회의 법(인의 법)으로서의 민법으로」라 는 민법관의 전환이다. 그 민법관의 전환의 중심에 있는 것이 인격권의 중시이다. 따라서 본고에 서는 인격권이 중시됨으로써 현대민법관에 영향을 끼쳐서 재산권을 중시했던 근대민법에 변화 를 가져오게 되는 민법관의 전환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민법관의 전환은 당연히 불법행위법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결과, 기존의 불법행위법의 본질적 기능인 ‘손해전보’와, 불법행위법의 부수적 기능인 ‘예방 및 제재’이 었다면, 인격권의 중시라는 민법관의 전환으로 말미암아 불법행위법의 목적 내지는 기능이 본질 적 혹은 부수적으로 기능분류되기 보다는 불법행위법의 손해전보기능과 예방⋅제재기능의 최소한 대등적⋅병렬적 기능으로 바뀌게 될 개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불법행위 법의 예방⋅제재기능이 최우선적 기능으로 변화될 가능성도 예상해 볼 수 있다. 사후적 구제수단에서 사전적 구제수단으로의 불법행위법의 목적 내지 기능의 변화의 핵심적 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금지청구와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하여 살펴본다. 불법행위법의 기능 변화에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금지청구에 대하여 인격권 침해 등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금지 청구권의 입법방식의 구체성으로의 전환은 인격권 중시를 기초로 한 민법관의 전환이 불법행위 법의 기능변화를 초래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어서 현재는 제도도입에 있어서 저울질되고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하여 고찰한다. 일 단 징벌적 손해배상의 개념, 그 목적과 기능, 법리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의 필요성과 도입가능성에 대하여 타진해 본다. 사전적⋅예방적 구제수단의 하나인 징벌적 손 해배상이 도입된다면, 불법행위법의 목적 내지 기능의 변화에 커다란 변화가 야기될 것으로 보 이지만, 급격한 변화는 현대시민사회에 있어서 부작용 등도 감안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그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불법행위법의 목적 내지는 기능의 변화는 현대시민사회에 있어서 사후적 구제수 단과 사전적 구제수단이 최소한 수직적 내지는 주종관계를 벗어나서 수평적 혹은 병렬⋅대등 관계로 변화하고 있음을 주시하면서, 미래의 시민사회에서는 사전전⋅예방적 구제수단이 사후 적 구제수단인 손해배상청구권보다 제1차적⋅우선적⋅선행적⋅주된 기능으로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근대 민법이 재산관계를 중심적으로 규율하는 법체계로서 물권⋅채권 중 심적이었다면, 현대 정보화사회 및 시민사회에서는 재산관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가치도 더불어 강조하고 중시되는 인격중심적 법체계가 되어야 한다고 보는 관점에서, 민법관의 전환과 불법행위법의 기능변화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한국민법전의 현실적합성을 강화하여 민법규범 과 민법현실의 괴리를 최소화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contemporary philosophy of civil law has evolved from the modern civil law that used to be understood primarily in terms of property laws. If contemporary civil law can be characterized as the “basic law of civil society” or the “constitution of civil society,” at its heart exists personality rights. If contemporary civil law focuses on personality rights as compared to modern civil law that primarily deal with property rights, it is believed that, in the future, civil law will concentrate on personal rights as opposed to property rights. That is, it represents a change in civil law philosophy in which civil law as law of capitalistic society (law based on economic exchange) is transformed into one based on civil society (law of people). At the heart of such transformation in civil law is the importance placed on personality rights. Therefore, in this research paper, a priority is given to examining how modern civil law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perty rights was transformed into contemporary civil law where personality rights are give the priority importance. Moreover, such transformation in civil law philosophy affects the function of tort law. If the compensatory damages wa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existing tort law and preventive/deterrent function its auxiliary function, the transformation of civil law philosophy that places emphasis on personality rights will likely place them in equal par instead of separating them as fundamental and auxiliary function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preventive/deterrent function of the tort law will become a top priority. The paper examines prohibitory injunction and punitive damages, the core of changes in goals and functions of tort law from ex post to preventive remedial method. By focusing on examining the cases of personality rights violation in regards to prohibitory injunction that provides a clue to changes in the function of tort law, the paper claims that a shift to more concrete legislative method of prohibitory injunction has caused the changes in tort law to result in changes in civil law philosophy to emphasize personality rights. Moreover, the paper investigates punitive damages that are being considered for legislation. It first surveys the concept of punitive damages, its goal and function and legal reasoning. Then, it evaluates the needs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punitive damages. If punitive damages, a form of preventive/deterrent remedial method, is introduced, great changes are expected in the goal and the function of tort law. However, we do need to consider the side effect resulting from drastic changes in contemporary civil society. It must be noted that the changes in the goal and the function of tort law are causing ex post and preventive remedy method to evolve from vertical and dependent relationship to more parallel and equal relationship. It is expected that, in future society, preventive/deterrent remedy will become the primary, priority, preemptive and main function to replace compensatory damages, an ex post remedy. Therefore, this paper, based on the view that contemporary civil law, as opposed to modern civil law, which was a legal system that oper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property rights with emphasis on right to goods and credit, should be based on personality rights where respect for and value of human rights receive equal importance. The paper, by examining the changes in civil law philosophy and the change in the function of tort law, aimed to make Korean civil law more reasonable and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the current civil laws.

      • KCI등재

        한국에서의 퍼블리시티권 논의: 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엄동섭 한국민사법학회 2011 民事法學 Vol.57 No.-

        From 1990’s in order to regulate the commercial use of personal identity, the right of publicity which was developed in the U.S. common law system was introduced into Korea. However Korean civil law system is different from Anglo-American common law system in many aspects. Therefor the recep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as a whole into the Korean legal system has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First of all, in U.S. the right of publicity has been developed as a correlative concept (in German, Korrelat) in order to fill the gap which was left from the doctrine of the right of privacy. However Korean civil law system has recognized the right of identity (in German, Persönlichkeitsrecht) which integrates the right of privacy and the right of publicity altogether. Therefor this article pointed out that theoretically it is more coherent to regulate the problem of commercial use of personal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 of the right of identity. In other words, commercial use of personal identity without consent means nothing more than a tort which infringes the right of identity and results in material damages in contrast with the other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identity which results in immaterial damages. Furthermore in the practical aspects, it is not necessary to adopt the right of publicity in order to regulate the assignment of the right of the user who made a contract with the person whose identity is used. If the third party, especially the competitor infringes the assignee’s right, the infringement corresponds to an 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contract which results in material damages. And if the decedent’s identity is used without consent of the successor, it can be regulated by the law of defamation, the law of trademark and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In sum, it is more injurious than beneficial to adopt the right of publicity as a whole which has its origin from Anglo-American common law tradition. With regards to the commercial use of personal identity, it is highly recommended to follow the maxim,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as well as in the other fields of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