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추완청구권과 민법 개정

        이계정(Kye Joung Lee) 한국민사법학회 2023 民事法學 Vol.105 No.-

        본 논문에서는 불완전이행에 관한 채권자의 구제수단인 추완청구권을 상세하게 논하면서 이를 우리나라의 민법에 어떻게 수용해야 하는지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완청구권은 채권자의 이익과 채무자의 이익의 조화를 꾀할 수 있으면서도 계약법의 핵심 원칙인 「계약 준수의 원칙」을 실현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이를 명문으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독일, 일본이 민법을 현대화하면서 추완청구권을 적극적으로 규정하고 있고, 국제모델법에서도 널리 인정되고 있는 점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추완청구권은 채권각론에 규정된 전형계약 전반에 적용된다는 점, 추완청구권은 채무불이행에 대한 일반적인 구제수단이라는 점에 비추어 채권총칙에도 이를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그 내용에 있어서 추완청구권 제한사유로 불비례성을 규정하고, 단기의 권리행사기간과 추완비용은 채무자가 부담한다는 점도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채무자의 불완전이행이 문제가 되는 전형적인 예인 하자담보책임에 추완청구권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요청된다. 하자담보책임에서 추완청구권을 규율함에 있어 매도인에게 추완방법의 선택권을 인정할지 문제가 되는바, 이미 매도인에 의한 불완전이행이 발생한 상황에서 매도인에게 추완방법의 선택권이라는 적극적인 권리를 인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매수인이 추완청구권을 행사함이 없이 바로 추완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문제가 되는바, 추완청구권의 사상적 기초와 민법 제395조의 취지에 비추어 매도인에 게 상당한 기간 동안 추완의 기회를 부여한 다음 추완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댜 이러한 추완 우선의 원칙은 매수인이 대금감액청구권, 해제의 구제수단을 취함에 있어서도 관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채무자{매도인)가 추완에 관하여 가지는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바, 별도로 채무자(매도인)의 추완권을 민법에 규정할 필요는 없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issue how we should incorporate the Right to Cure, a remedial relief for the obligee in the case of an non-conforming (defective) performance, into the Korean Civil Code. The contents of this paper could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as the Right to Cure is an instrument that could enforce 'pacta sunt servanda', a key principle in contract law, while striking a balance between an obligor's interests and an obligee's interests, its codification is necessary. This is especially clear after a comparative study: Gem血1y and Japan codified the Right to Cure in the amendments of their Civil Codes; international model laws (CISG, PICC, PECL, DEFR), too, have codified the Right to Cure. Secondly, the Right to Cure should be included in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Law of Obligations since it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contracts specified in the Particular Provisions of the Law of Obligations and since the Right to Cure is a typical and general remedy for a breach of contract. However, in doing so, 'disproportionality' ought to be stipulated as a cause for limiting a Right to Cure, there should be a short limitation period, and it must be clear that the obligor bears the cost of Cure. Thirdly, there is a need to specifically codify the Right to Cure into clauses related to Warranty for Defects, a classic example whereby non-conforming (defective) performance is an issue. If such codification were to take place, whether we should recognize a choice - to the seller - regarding the means of Cure will be an issue. However, since the non-conforming (defective) performance is attributable to the seller himself or herself, there is no need to recognize the right of a choice regarding the means of cure for the seller. Furthermore, whether a buyer could claim a Compensation of Damages in lieu of a Cure without exercising the Right to Cure is also an issue. Here, it ought to be codified that the buyer should first offer the seller an additional period for Cure, only after which the buyer could claim a Compensation of Damages in lieu of the Cure considering the rationale of a Right to Cure and that of Section 395 of the Korean Civil Code. This Priority of Cure must be enforced even in the case of a buyer resorting to the Right to Price Reduction or to termination of the contract. As the obligor's interests with regard to Cure will be protected by the aforementioned doctrine of Priority of Cu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odify an obligor's Option to Cure into the Civil Code.

      • KCI등재

        ‘매도인의 추완권’ v. ‘매수인의 추완청구권’

        가정준 국제거래법학회 2015 國際去來法硏究 Vol.24 No.2

        ‘CISG' 제37조와 제4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매도인의 추완권’ 그리고 제4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을 중심으로 그 연혁과 실질적 내용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CISG’는 영미법을 대표하는 ‘매도인의 추완권’과 대륙법을 대표하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 모두 포괄하고 있다. 매도인의 추완권’과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은 매도인의 계약위반이라는 공통된 사실관계에서 매도인과 매수인에게 인정되고 있는 법적 구제 수단이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매수인은 매도인의 계약위반 사실을 매도인에게 통지하고 매도인은 자신의 계약위반에 해당하는 문제를 해결할(추완) 권리인 ‘매도인의 추완권’과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이러한 문제를 추완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은 궁극적으로 계약을 하자 없이 종결하기 위한 일종의 합리적 과정으로 본다면 이러한 권리를 매도인과 매수인에게 모두에게 인정하는 것은 당연하게 보인다. 하지만, 매도인의 추완권’과 ‘매수인의 추완청구권’ 모두 완전한 계약의 이행을 위한다는 공통의 목적을 갖고 있지만 그 내면을 검토해 보면 전혀 다른 배경에서 출발하여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CISG’상 ‘매도인의 추완권’은 계약유지를 목적으로 한다면 영미법상 ‘매도인의 추완권’은 매수인의 이행거절과 계약해제를 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영미법상 ‘매도인의 추완권’은 부적합 이행에 대한 매수인의 ‘수령거부’가 폭넓고 쉽게 인정되는 것을 전제로 함에 비하여 ‘CISG’에서 매수인의 ‘수령거부’는 그 범위와 인정성이 상대적으로 엄격하다. 더불어 ‘CISG’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을 규정함으로써 억제된 ‘매도인의 추완권’행사 범위를 보충하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모습이 ‘CISG’가 ‘매도인의 추완권’과 ‘매수인의 추완청구권’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형식적으로 균형점을 이루었지만 실제로는 다른 효과가 발생하였다. ‘CISG’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을 ‘강제이행’을 인식하여 ‘강제이행’이 인정되지 않는 법정지에서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이 행사되지 않도록 하였고 이는 영미법계 국가에서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은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하게 되었다. 즉, 영미법계 국가의 법정지에서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은 인정되지 않고 축소된 ‘수령거부’와 ‘수령철회’로 인해 ‘매도인의 추완권’ 역시 축소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매수인의 지위 보다는 매도인의 법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향상됨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강제이행’을 법적 구제 수단으로 인정하는 대륙법계 국가의 법정지에서는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은 그대로 인정되고 그 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매도인의 추완권’이 인정됨으로써 매도인의 권리가 매수인 보다 상대적으로 강화되는 결과를 보게 되었다. 실무적으로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의 행사가 보고된 판례가 지금까지 많이 보고되지 않았다는 것을 유추해 본다면 ‘CISG’가 수많은 법적 구제 수단을 규정했음에도 실제로 행사되는 법적 구제 수단은 ‘계약해제’와 ‘손해배상’이 주된 내용이 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심각한 계약위반인 경우에만 계약해제권을 인정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손해배상과 대금감액과 같은 금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ocus on ‘the right to cure by seller’ and ‘the right to demand cure by buyer’ under ‘CISG’ article 37 and 48,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s center is about their legal background and substantial effects on Seller’s right. ‘CISG’includes two exemplary remedies from ‘the right to cure by seller’ representing common law and ‘the right to demand cure by buyer’representing civil law(continental law system). ‘The right to cure’ and ‘the right to demand cure’are recognized for seller and buyer, respectively. Both of them are contractual remedie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ller breached contract. Their purpose is to complete the contract by making up the defect performance based on the pursuit with reasonableness. In particular, ‘the right to cure by seller’ may be considered the consequence from this pursuit because this right gives the seller a choice between compensating damages and making substitution or repairing. Internally, both of rights have different backgrounds. ‘The right to cure’ under ‘CISG’ is to aim the maintenance of contract by the substitution or repairing while ‘the right to cure’ under common law is to prevent the buyer from terminating contract by providing alternative such as the substitution or repairing. This is because the right to terminate contract is not that difficult to use by the buyer based on the defect of products, non-confirmation, in common law. Under ‘CISG’ on the other hand, the right to terminate contact by the buyer is not that easy because the right to refuse the tenderness is not easily and broadly allowed to use. Consequently, it is likely that the right of seller under ‘CISG’ is considered more optional than the right of seller in common law because the right to refuse the defect performance under ‘CISG’ is less likely allowed than the right in common law. ‘CISG’ also allows the introduction for the right to demand cure by buyer. In particular, ‘CISG’ gives the buyer a right to request the seller to deliver replacement goods where the buyer delivers non-conforming goods. This right is available only when the non-conformity constitutes a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while the right to demand repairing is available unless this is unreasonable having regard to all the circumstances. However, this right is considered ‘the specific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specific performance is hardly allowed in common law unlike in civil law. Therefore, the right to demand cure is hardly allowed in common law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n law countries, the likeness to use the right to cure by seller is decreased and the likeness to use the right to demand cure by buyer is very low.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law countries, the right to cure by seller is the new remedy that was not recognized and the right to demand cure is likely impractical in actual case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onclusively, ‘CISG’ has introduced more remedies but the main remedies are practically considered the right to terminate and damages including the reduction of price rather than other remedies.

      • KCI등재후보

        유럽공통매매법안에서의 매도인의 추완권에 관한 연구

        구재군(Koo, Jae-Koon)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論文集 Vol.39 No.3

        I have studied on the seller's right to cure in the Common European Sales Law. It’s implic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f the seller can offer the cure easily, it is rational to give the right to cure to the seller. I think that the contents of regulations on ‘the seller's right to cure within the time allowed for performance’ in CESL is natural in contents, so that the introduction of that regulations is not needed. CESL requires the notification of the lack of conformity from buyer to seller without undue delay. However, if the buyer is a consumer, the requirement of examination and notification is not applied to this rule. In case that the Korean Civil Law introduce the seller's right to cure, we should not ask the buyer’s notification as a requisite for the seller's right to cure. On the other hand, if the requirements for the seller's right to cure are met, the seller should offer to cure it at his own expense, and should notify the method of cure and also the period of cure without undue delay. We need to introduce the clause : “In case that the offer to cure burdens the buyer with significant inconvenience or the cure would be inappropriate in the circumstances, such a situation entitles the buyer to refuse the offer to cure”, “Notwithstanding cure, the buyer retains the ight to claim damages for delay as well as for any harm caused or not prevented by the cure.”, and the clause : “The seller has a reasonable period of time to effect cure.” And both the introduction of the clause : “The buyer may withhold performance pending cure, but the rights of the buyer which are inconsistent with allowing the seller a period of time to effect cure are suspended until that period has expire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lause : “The right to cure is not precluded by notice of termination.”, are also appropriate to the Korean civil law.

      • KCI등재

        추완청구권 -민법개정논의를 중심으로-

        오종근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2 No.3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is the creditor’s right to make the debtor cure of non-conforming performance where his performance does not confirm to the terms regulating the obligation. The prevailing opinion a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admit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The right is a modification of the right to enforce performance and it is better for the purpose of the contract compared with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This is the reason that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should be allowed. The Civil Law Revision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is organized in 2009 decided to establish a provision in Article 388-2 to allow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is not always allowed where debtor’s performance does not confirm to the terms regulating the obligation. First, if there is a reason to exclude the right to enforce performance, such as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is also denied. In addition, the reasons for exclusion of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should be admitted more broadly than those of the right to enforce performance. Because, in the case of non-conforming performance, the creditor has other remedies, such as the right to damages and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Therefore, if the debtor’s burden or expense for the conforming performance is excessive relative to the profit of the creditor,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is not allowed. The creditor has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or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in addition to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in case of the non-conforming performance. However, the conforming performance is more suitable for the creditor’s and the debtor’s interests than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or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Therefore,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or the right to terminate. Article 395 and 544 provide that, in the case of a delay of performance, the creditor may not claim for damages or terminate the contract unless he allow the debtor a reasonable period to perform the obligation in advance. The Civil Law Revision committee decided that Article 395 and 544 are also applied to non-conform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even in the case of a non-conforming performance the creditor may not claim for damages or terminate the contract before he allow the debtor a reasonable period in which to attempt to cure the nonconformity. In the case of non-conforming performance, there is a debate as to whether to recognize the debtor’s right to cure of non-conforming performance. There is no provision in the Civil Law to recognize the debtor’s righ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cedent, in case of non-conforming performance, the creditor may not claim for damages or terminate the contract before he allow the debtor a reasonable period in which to attempt to cure the nonconformity. This gives the debtor an opportunity to cure non-conforming performance. The Civil Law Revision Committee decided not to establish a new rule to recognize the debtor’s right to cure of non-conforming performance. Instead, the Civil Law Revision Committee decided to revise Articles 395 and 544 in order that those are also applied to non-conforming performance. 채무자가 급부의무를 불완전하게 이행한 경우, 완전한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채권자의 권리를 추완청구권이라 한다. 추완청구권을 인정할지 여부에 대해 다수설 및 판례는 이를 인정한다. 추완청구권은 이행청구권의 변형이며, 손해배상 또는 계약 해제에 비하여, 계약 목적에 부합하는 구제수단이다. 따라서 추완청구권은 인정되어야 한다. 2009년 구성된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는 제388조의2에서 추완청구권을 인정하는 규정을 신설하기로 하였다. 채무가 불완전하게 이행된 경우에 추완청구권이 항상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이행불능 등 이행청구권을 배제하는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추완청구권도 부정된다. 또한 추완청구권의 배제사유는 이행청구권의 배제사유보다 넓게 인정될 필요가 있다. 불완전이행의 경우 채권자는 추완청구권 이외에도 손해배상청구권, 계약해제권 등 다른 구제수단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무자가 추완을 위해 부담하게 되는 비용이 채권자가 얻게 되는 이익에 비하여 과도한 경우 추완청구권은 배제된다. 채무가 불완전하게 이행된 경우, 채권자는 추완청구권 이외에도 손해배상청구권 또는 계약해제권을 갖는다. 그러나 손해배상 또는 계약해제보다는 추완이 채권자 및 채무자의 이익에 부합한다. 따라서 추완청구권을 손해배상청구권 또는 계약해제권보다 우선시켜야 한다. 제395조와 제544조는 이행지체의 경우 채권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사전에 이행을 최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 민법개정위원회는 제395조 및 제544조가 불완전이행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르면, 불완전이행의 경우에도 채권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사전에 추완을 최고하여야 한다. 불완전이행의 경우 채무자의 추완권을 인정할지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다. 민법에는 채무자의 추완권을 인정하는 규정이 없다. 그러나 판례에 따르면, 불완전이행의 경우 채권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추완을 최고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채무자는 스스로 추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민법개정위원회는 채무자의 추완권을 인정하는 규정을 신설하지 않기로 하였다. 민법개정위원회는 대신에 제395조와 제544조를 개정하여, 불완전이행의 경우 채권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추완을 최고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보통유럽매매법(CESL)상 매도인의 추완권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오석웅(O, Seog-U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叢 Vol.35 No.-

        2011년 10월 11일 EU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회원국 간의 역내무역의 장벽을 제거하고 소비자에게 더 넓은 선택의 폭과 명확한 소비자의 권리를 정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보통유럽매매법에 관한 규칙을 위한 제안(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a Common European Sales Law: 이하 CESL)을 공표하였다. 보통유럽매매법 CESL 제109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매도인의 추완권은 매도인에게 이행기 이전뿐만 아니라 이행기 이후에도 계약부적합에 대한 추완이 가능하고, 이러한 추완으로 인하여 매수인에게 중대한 불편을 야기하지 않는 한, 자신의 비용부담 하에 계약의 부적합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는데, 이는 매도인이 권리로서 자신의 불이행에 대한 보완의 기회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매도인의 추완권은 연혁적으로 Grossmann-Doerth의 학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가급적 계약을 유지하고 실현시키기 위한 영미법상의 ‘계약유지의 원칙’에 그 이념적 배경을 갖고 있으며, 현재는 미국통일상 법전(UCC)뿐만 아니라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1980: 이하 CISG)”을 비롯한 국제매매계약에 관한 국제규범들이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 CESL에서 규정하고 있는 매도인의 추완권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 매도인의 추완권에 관한 기존 논의의 대부분이 CISG상의 규정해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반영하여 CISG상의 매도인의 추완권에 관한 규정과의 비교를 통한 CESL상 추완권의 특징을 고찰한다. On 11 October 2011, the European Commission published the 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a Common European Sales Law(CESL). It presents an alternative legal regime in the form of an optional instrument available to cross border business-toconsumer(B2C) and business-to-business(B2B) contracts covering goods and their related services. The CESL allows a trader-seller the right to cure any lack of conformity in the goods delivered. In contrast, the consumer-buyer shall be entitled to walk away from the contract immediately upon discovery of a defect, without allowing the seller to cure the conformity(Art. 106 section 2 CESL). During the period of time to carry out such a cure, the buyer may not exercise any remedy that is inconsistent with allowing the seller a period of time to effect a cure. The right to cure within the time allowed for performance (Art. 109 section 1 CESL). The right to cure after the time allowed for performance(Art. 109 section 2 CESL). The buyer may only refuse the offer tocure if: (a) cure cannot be effected promptly and without significant inconvenience to the buyer (b) the buyer has reason to believe that the seller’s future performance cannot be relied on; or (c) delay in performance would amount to a fundamental non-performance(Art. 109 section 2 CESL). Such offer must be made without undue delay on being notified of the lack of conformity. Even though Art. 109 CESL does not define the concept of “cure”it is clear what it means, namely the elimination of non-conformity by the same means that seller may use to remedy non conforming performance, i.e. through repair of defective goods or through replacing them. In fact, Art. 109 CESL is somewhat displaced within the concept of buyer’s remedies at it defines a right of seller rather than a remedys of buyer. The buyer’s remedy that corresponds to the seller’s right to cure is defined in Art. 110 CESL.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ESL has attempted to treat seller"s right to cure. And the analysis in this article compar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buyer’s right to cure under the Art. 48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 KCI등재

        CISG에서의 매도인의 추완권에 대한 연구 - UCC에서의 매도인 추완권과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

        최혜선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國際去來와 法 Vol.- No.22

        The seller's right to cure is not familiar in our contract law that follows German and French law systems. CISG adopted it by influence of UCC and this right is based on the policy preference for maintaining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As a result, to understand the seller's right to cure rightly, the research on the right in UCC is necessary. UCC §2-508 (1) provides the seller's right to cure which a seller performs it within the contract time. This right is recognised as a relatively unlimited right. UCC §2-508 (2) provides the seller's right to cure which a seller performs it after the contract time. To perform this right, a seller has to meet three cumulative requirements. UCC official commentary offers some direction to help to judge whether a seller met those conditions. The seller who wants to perform the right, had reasonable grounds to believe his non-conforming tender would be acceptable. Concerning to decide whether that condition is met, in prior course of dealing, course of performance, usage of trade and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making of the contract could b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UCC §2-508 doesn't stipulate the effect by the seriousness of a defect to the right. As a result, the courts have different views regarding that, but these different decisions maybe be derived from the goal to pursue the fairness between both parties. CISG provides the better remedy for non-conforming or detective goods, because every seller not only the seller who had reasonable grounds may perform this right. In addition, except the time delay, a seller has this right although serious defects. This development of the CISG maybe is from that the lawmakers thought the principle which this right is based on is more developed and they thought this is right direction. Although our contract law follows the German and French law system, but we could consider accepting this right and this principle. CISG에서 규정하고 있는 매도인의 추완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매도인의 추완권은 대륙법계를 따르고 있는 우리 계약책임법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권리이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생소한 개념이다. CISG의 매도인 추완권은미국의 UCC의 매도인 추완권을 도입한 것으로, 이 권리는 계약유지의 원칙에 입각하고 있다. 따라서 CISG의 매도인 추완권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UCC § 2-508의 매도인 추완권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UCC § 2-508는 제1항에서 이행기 이전의 추완권으로서 상대적으로 무조건적인 권리를, 제2항에서 이행기 이후의 추완권을 규정하고 있다. 제1항의권리가 상대적인 무조건적인 권리로 평가받는 것은 제2항에 따른 이행기 이후의 추완이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인정되기 때문이다. 요건을충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돕기 위하여 UCC 공식 주석서에서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매도인은 그의 제공이 수령될 것이라고 믿는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었어야 한다는 요건과 관련하여 주석서는 합리적인 근거의 존부는 이전의 거래과정, 이행과정 또는 무역관행 및 그 계약 체결을 둘러싼 특수한 상황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을 제언하고 있다. UCC § 2-508이 물건이 가지는 하자의 심각성이 매도인 추완권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원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으나, 서로 다른 판단은 법원이 유사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법리를 채택한 것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두 사건에서 각자 상황에 맞는형평을 추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이러한 UCC의 매도인 추완권을 반영한 CISG는 그 권리의 범위와 대상을 보다 확대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매도인 추완권을 행사할 수 있는 매도인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이행지체를 제외한 어떠한 하자에 대해서도 추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CISG는 UCC와 달리이행기 이전의 추완권은 제37조에서, 이행기 이후의 추완권은 제48조에서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이행기 이후의 매도인 추완권은 해석상 본질적 계약위반과의 관계가 논의되고 있다. 한 조약에 규정되어 있는 조문의 조화로운해석을 위하여 본질적 계약위반의 성립 요건인 ‘실질적 박탈 정도의 손실’의존부를 판단함에 있어 매도인의 추완 가능성 내지는 추완 기대가능성을 하나의 요소로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CISG의 매도인 추완권은 영미법상의 계약유지 원칙을 반영하여 UCC의매도인 추완권보다 발전적인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대륙법계에 있는 국가들 역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한 개정입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륙법계를 따르고 있어 매도인 추완권을 수용하지는 않았고, 영미와 다른 계약책임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그 권리가 기초하고 있는 여러 가지 선진적인 법정신은 우리나라의 계약책임제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민법상 구제수단의 다양화: 이행·추완·금지청구권에 관한 민법개정안

        김재형 ( Kim Jae Hyu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서울대학교 法學 Vol.57 No.4

        The Korean Civil Code (hereinafter “KCC”) sets out diverse remedies. When a property right is endangered, the owner or possessor can assert a claim arising from such right. A creditor can resort to judicial enforcement or a claim for damages with or without terminating the contract for default. The victim of a tort has a claim for damages; anyone disadvantaged from an act of unjust enrichment has the right to restitution. The Ministry of Justice set up a Committee for the KCC Amendment in February 2009 (hereinafter “Committee”). The Committee attempted at a comprehensive amendment of the KCC, except family and succession law, and produced a definitive amendment bill (hereinafter “Bill”) on February 17, 2014. The Bill contains provisions on newly introduced remedies including right to enforce performance, right to cure, and right to injunction (hereinafter “New Remedies”). If affirmed by the legislature, the Bill is expected to broaden the range of remedies under KCC.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ill in the context of the New Remedies. In the proce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ew Remedies are discussed, which helps one understand the Bill and its implications more in depth. In effect, the New Remedies may be recognized even in the absence of any express statutory provision. However, without the benefits of such provision, the courts tend not to recognize a new breed of remedies to a full extent. Against this backdrop, the Bill, once passed into law, will lay out an express legal basis for affirming the judicial precedents and academic discourse hitherto on the New Remedies. As a result of the Bill, the range of remedies under KCC will diversify, which in turn may help the system of civil remedies function more effectively. Of course, controversies may well arise with regard to the requirements of each New Remedy or to the interplay between the newly introduced provisions and other remedy-related provisions in the context of KCC. I believe such controversies will foster the studies of civil law in general and contribute to future legislative efforts.

      • KCI등재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상의 매도인의 하자보완권

        도중권(Joong-Kwon Doh) 한국관세학회 2010 관세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ler's right to cure in the CISG(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The seller's right to cure relates to all his obligations. The seller may remedy any failure to perform his obligations. This language is broad enough to include a defect in documents. The seller must bear the costs involved in remedying a failure to perform. Insofar as the seller has the right to cure, the buyer is in that case obliged to accept the cure. If he refuses to do so, he can neither avoid the contract nor declare a reduction in price. Should the buyer requires delivery of substitute goods and the seller offers repair, it depends on the expense each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ler's right to cure and the buyer's right to avoid the contract is unclear.

      • KCI등재

        완전물급부청구권 행사의 제한

        장지용 민사판례연구회 2015 民事判例硏究 Vol.- No.37

        민법 제581조 제2항은 종류매매에서의 담보책임을 규정하면서 계약해제 또는 손해배상 대신 하자 없는 물건을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종류매매에서 매도인의 담보책임은 완전한 물건을 제공할 의무를 위반함으로 인한 채무불이행책임이며, 매도인이 항상 하자 없는 물건을 다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수인에게 완전물급부청구권에 대한 선택권을 인정한 것이다. 이는 의용민법에는 없던 조문을 독일 민법 등을 참고하여 제정한 것으로, 채무불이행책임과 담보책임의 일원화, 담보책임에서 특정물과 종류물의 불구분이라는 최근 외국의 입법추세와는 차이가 있지만, 완전한 물건을 인도할 의무를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규정이다. 종류물매매에서는 완전한 물건을 인도할 의무가 인정되므로 완전한 물건을 다시 인도하는 것이 담보책임(채무불이행)의 기본적, 원칙적 형태라는 점에서 민법은 해제와 같은 제한요건(계약 목적 달성의 불가능)을 두고 있지 않으나, 완전물급부청구권 행사시 사실상 해제 후 새로운 계약체결과 유사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그 제한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대상판결은,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규정은 등가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평의 원칙에 입각하여 마련된 것이므로, 하자담보의무의 이행이 공평의 원칙에 반하는 경우에는 완전물급부청구권의 행사를 제한하여야 한다고 하면서, 계기판 모듈의 교체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 손쉽게 치유될 수 있는 하자로서 하자수리에 의하더라도 신차구입이라는 이 사건 매매계약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별다른 지장이 없고, 자동차를 계속 보유하는 경우에도 하자보수로 인하여 자동차의 가치하락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희박한 반면, 신차의 급부의무를 부담하게 하면 다른 방법에 비하여 피고에게 지나치게 큰 불이익이 발생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제도의 취지 자체를 근거로 권리행사를 제한할 경우 요건에 관한 명문 규정이 유명무실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류물매매에서의 하자담보책임은 하자 없는 완전한 물건을 인도하지 못함으로 인한 채무불이행책임이므로, 법정책임설의 근거인 쌍무계약에서의 등가성 이론이나 공평의 원칙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전물급부청구권의 제한은 민법에 명시된 행사요건의 엄격한 해석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원칙으로 하여야 하고, 예외적으로 일반원칙을 적용할 경우에도 명문의 규정이 있는 민법 제2조의 신의성실의 원칙이나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에서 그 제한근거를 찾아야 할 것이다. 즉 하자로 인하여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제가 가능하므로 완전물급부청구권의 행사가 제한되지 않고, 하자로 인하여 계약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지장이 없으면서(해제불능), 하자가 경미하여 완전물급부를 함에 따르는 매도인의 불이익이 손해배상의 경우보다 지나치게 커서 완전물급부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이 권리의 남용에 이른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만 그 행사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완전물급부청구권의 제한은 채무이행 내지 추완의 기본적, 원칙적 형태인 완전물급부청구의 전면적 배제를 뜻하게 되고, 대금감액 대신 완전물급부를 인정하는 독일과 달리 우리 민법은 손해배상 대신 완전물급부를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물급부청구를 하는 경우 대금감액적 손해배상을 초과하는 범위도 포기하게 되는 점, ... Article 581(2) of the Korean Civil Act, which originates from the old German Civil Code, provides the buyer of generic goods with the right to require delivery of substitute goods instead of rescission or damages. When the seller delivers defective goods, it is non-performance because in a sale in kind the seller has a duty to provide the goods without a defect. In this regard, when such a non-performance occurs, the buyer has the right to demand delivery of new goods as a warranty claim and this can be a second chance for the seller to perform. The buyer's right to require the seller to repair the goods can also be derived from Article 581(2), but this interpretation is to guarantee the buyer's the right to choose between remedies and does not mean that the seller of generic goods can deprive the buyer of the claim for substitute delivery by choosing to repair. In a case where the buyer, who purchased an automobile from the seller(corporation), sought exchange for a new car against the seller based on a defect which occurred 5 days after the car was delivered to the buyer, Supreme Court of Korea did not recognize the buyer's claim for a defectless new vehicl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in a sale in kind where the duty to exercise defect liability(=warranty) contradicts the principle of fairness,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a defectless property may be limited. However, the Korean Civil Act does not have an article which codifies the principle of fairness and there is no need to adopt an equivalence theory because general non-performance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non-conformity of generic goods. Therefore, the limitation of the buyer's right to demand substitute goods must be primarily derived from article 581 itself and exceptionally the principle of good faith(Article 2) can be applied to exclude the buyer's right. If the purpose of contract is unattainable because of the defect(when the buyer can rescind the contract), the buyer's right to require substitute goods cannot be excluded. On the other hand, especially when the buyer can achieve the purpose of the contract and the defect is insignificant and the seller's cost for substituting goods is much higher than damages, it can constitute a breach of good faith. Because limiting the claim for substitute delivery means a total exclusion of that option, and in sales of automobiles the products are expensive and defects can cause safety issue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must be limited.

      • KCI등재

        독일매매법상 물건하자로 인한 매수인의 구제수단 - 우리 민법 개정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봉수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4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8 No.1

        우리 민법상 물건하자담보책임에 따르면, 매도인이 하자 있는 물건을 제공한 경우 매수인에게 인정되는 구제수단은 매우 한정적이고도 불완전하다. 그러나 현행 민법과 유사하던 독일민법은 2002년채권법개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또한 내용적으로 크게 변경되었다. 독일민법이 현행 우리상 물건하자담보책임의 전형이 되었고,그동안 독일 내의 개정논의와 성과, 그리고 국제적인 입법추세까지고려한 것이라는 점에서 개정 독일민법이 우리 민법에 시사하는바는 매우 크다 할 것이다. 2002년 독일민법의 개정사항 중 물건하자담보책임의 가장 큰 변화는 일반급부장애법과 체계적으로 동화되었고, 권리하자와 물건하자를 구분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고,매수인의 구제수단과 관련해서는 물건하자사례에서 매수인의 추완청구권(하자 보수 내지 대체이행)이 다른 구제수단에 우선한다는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부터 민법개정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물건하자담보책임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우선 2004년 민법개정안 중 물건하자담보책임은 대금감액청구권과하자보수청구권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구제수단의 내용이나 배제사유, 그리고 구제수단 간 우열관계와 관련해서는 매우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2011년 3기 민법개정시안은 물건하자담보책임과 그에 따른 매수인의 구제수단과관련해서 상당하고도 근본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있고, 내용적으로도 개별적인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바람직한 개정이라고 평가할 수있다. Seller’s warranty liability of Korean Civil Code haveinsufficient regulation for remedies of buyer’s rights, when theseller delivers goods that do not conform with the contract. Butin German Civil Code(BGB), which was reformed in 2002 as animportant remedy in sales law(Art. 437 (1) and 438 GermanCivil Code), buyer have many remedy in non-conformity ofgoods cases. Especially buyer preferentially has to use right tocure of non-conformity goods, in the second place can useanother right(avoidance, damges, reducttion in price), in GermanCivil Code. The best feature of revised German Civil Code ispriority of the buyer’s right to require seller’s performanceconcerning non-conformity goods. These changes in GermanCivil Code is mightily imoportant, because of Korean Civil Codeis most affected by German Civil Code, especially in the seller’swarranty liability. There are two times amendment task inKorea. 1999’s revision of Korean Civil Law has insufficient andinadequate revision matter. But 2013’ the amendment of theseller’s warranty liability by the 4th Subcommittee of the thirdCivil Code Amendment Committee is relativly good, except forsome problems. Most of important is priority of right to cure ofnon-conformity(repair or delivery of substiute goods) for another rights. The Priority of right of cure harmonizes principle ofperformance priority or contract maintaining principle in KoreanCivil Code. And another rights, avoidance, damages, andreduction in price must be clearly and detailedly regul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