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의 개정과 재산권의 변동

        김대웅(Kim Dae-Woong)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6 No.4

        법률은 탄생(제정)과 성장(개정) 및 소멸(폐지)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법률의 개정은 국민의 재산권에 변동을 일으킨다. 법률이 개정되면 개정 전·후의 법률조항 중 어느 것이 적용되는가의 문제와 개정 전 법률조항의 적용에 의하여 발생한 효력이 개정 후에도 존속하는지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전자는 법률의 개정이 갖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법률의 개정에는 일부개정과 전부개정의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변경되는 조문의 수가 전체 조문의 2/3 이상이면 전부개정의 형태를 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부개정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전부개정이 항상 법률내용 전부의 변경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전부개정과 일부개정은 개정되는 내용의 양에 의한 구분에 불과하여 둘 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법률이 개정된 경우 개정법률에 의해 법률 전체가 개정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을 수 있으나, 개정법률에 의하여 기존의 법률 자체가 변경된 것으로 볼 수는 없고, 개정 전의 법률과 이를 개정하는 법률은 독립된 별개의 법률이므로 법률 중 개정되지 아니한 부분은 개정법률이 시행되었다고 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개정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하여는 개정 전·후의 법률 또는 신·구법의 개념이 있을 수 없고, 개정되지 아니한 부분은 개정법률의 시행과 상관없이 기존의 법률에 의해 정해진 대로 그대로 존속할 뿐이다.  법률을 개정하면서 경과규정을 둔 경우에는 그 경과규정에 의하여, 경과규정을 두지 아니한 경우에는 해석에 의하여 개정 전 법률에 의해 발생한 효력의 존속 여부가 결정된다.  과도한 재산권제한의 위헌성을 문제 삼으며 제기한 금전보상 청구사건에서 정당한 보상조치가 수반되지 아니한 재산권제한 규정이 재판의 전제성을 갖느냐에 관하여 헌법재판소는 재판의 전제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재산권을 제한하는 법률규정에 근거하여 행정청이 처분(예; 개발제한구역지정 처분)을 한 후에 그 법률이 개정되어 재산권제한 규정은 변동 없이 존속하지만 종전에는 없던 새로운 보상조치(예; 매수청구권)가 신설되었을 경우에, 재산권제한 처분을 받은 자가 과도한 재산권제한의 위헌성을 문제 삼으며 제기한 금전보상 청구사건에서 법률개정으로 변경된 바가 없는 구법의 재산권제한 규정(즉, 처분의 근거조항)의 위헌 여부를 다투었을 때 그 구법의 재산권제한 처분의 근거조항이 재판의 전제성을 갖는지가 문제된다. 이 경우 구법의 재산권제한 규정에 대하여 재판의 전제성을 인정하는 견해와 부정하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재산권제한의 근거 조항은 개정의 대상이 아니어서 법률의 개정으로 변경되지 아니한 채 개정 전·후에 걸쳐 변동없이 존속하고 있으므로 그 조항에 대하여 신·구법의 개념을 적용할 수는 없고, 그 조항에 대하여 재판의 전제성을 논하면서 전제성을 갖는 것이 구법상의 조항인지 신법상의 조항인지를 따지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다만, 법률이 일부라도 개정되면 개정의 대상이 아닌 법률조항에도 신·구법의 개념이 생긴다고 보는 경우에는 구법의 재산권제한 근거조항이 재판의 전제성 요건을 충족한다고 보아야 한다. The law goes through birth (enactment), growth (revision), to death (abrogation). The revision of the law affects the property right of the people. Once the law is revised, the issue is to decide which law shall be applied for a trial, the pre-revision law or the post-revision law. And the following issue is whether to hold the efficacy of the pre-revision law after the revision. The first issue is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law revision.  The revision of the law can be classified into the partial and the general revision. If the revision of articles in the law accounts for over 2/3 in total, it is stated as the general revision. And if it is less than 2/3, it is as the partial revision. Therefore, the general revision is not the changes of all articles in the law. The classification shows only quantitative difference, not qualitative.  There is an opinion that once the law is partially revised, the whole of law should be regarded as completely new one. However, it is rational to point out that the post-revision law shall not replace the pre-revision law. Rather, since the pre-revision law and the law to revise it are separate, the part of old law which is not under the revision shall not be affected by the revision. In the strict sense, as the part of law not within the scope of the revision cannot be classified into pre- and post-revision law or old- and new-law, it continues to effectuate as it has been.  In case where the post-revision law institutes a transitional provision, it determines the continuance of efficacy of the pre-revision law. When there is no such transitional provis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ontinue the efficacy of the pre-revision law.  It is agreed that when the monetary claim is filed for the unconstitutionality of excessive restriction on property right, the restriction article without compensation on the property right is well recognized to be prerequisite to a trial. However, opinions are divided into the case where the property act is revised to include new article of redemption measures (ex. right to request purchase) after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issued a disposition (ex. disposition of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i.e. green belt) pursuant to the restriction article of the property act, and the person who is rendered of the restriction order files a monetary claim on the ground of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striction article on the property right which is not within the scope of revision. In this case, some argues that the restriction article of the pre-revision act shall be prerequisite to a trial, while others insist on that of the post-revision act be prerequisite to. But given that the restriction article of the property act continues to exist without revision as it has been, it is deemed to be inappropriate to classify pre-revision act and post-revision act for the unrevised restriction article. Provided, however, that the restriction article should be differentiated between pre-revision and post-revision by the revision, it is deemed to be rational that the restriction article of the pre-revision act is prerequisite to a trial.

      • KCI등재

        한국형법 개정의 올바른 방향 -형법총칙을 중심으로-

        허일태 ( Il Tae Hoh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2 비교형사법연구 Vol.14 No.2

        Criminal law that was enacted in 1953, the middle of the war, has been amended about the small part. But the essential revision isn`t still accomplished. Criminal law in 1953 gave top priority the stability of nation and society order maintenance which are not suitable for the today`s society. Korea in 1950 was based on the agricultural economy and the rural community was majority. But today, korea turn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national life and cultural level developed to the high level which is essentially different in 1950.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there was a request about the basic revision of criminal law in 1980`s already and the revision work has been performed for 7 years under Ministry of Justice`s support and Criminal law amendment was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in 1992. But the passage of National Assembly about criminal law amendment didn`t accomplished because people opposed strongly the abolition of adultery that is a part of criminal law amendment in 1992. The strong request about the revision of criminal law in 2005 makes ministry of justice to comprise law advisory committee about revision of criminal law.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24 members, promoted revision of criminal law from June 2007. The partial criminal law amendment including the criminal law general rules and etc. was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at April 15th, in 2010. But as the session of the 18 national assembly ended May 1992, criminal law amendment fell into disuse by the automatic. Nevertheless, the revision work was still going on and it came to a finish not only criminal law general rules but also criminal law particulars rules. Through these process, the committee tried to make criminal law amendment to the ideal criminal law that is matched for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rule of law and responsibility principles and meet the demand of modern criminal theory and criminal policy. but it is not easy to find out big change in the criminal law amendment excluding the actualization of fine, severity of some crime such as robbery resulting in injury which is not inappropriate. There is still problems as follows, the reten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detention, the change of terms about probation, the partial restriction of discretionary mitigation by judge, the aggravation for sexual offence, the abolition of crime subject to complaint and some special criminal law`s inclusion in the criminal law general rules. The retention of the death penalty is contradictory to the ethics of nation. Discretionary mitigation by judge has to be restrictive admitted. The limit of imprisonment has to be 20 years as a rule. Total fine system has to be turned to day fine system. The accommodation for probation has to be abolished. The abolition of criminal law general rules about preparation and plot has to be abolished and preparation and plot is admitted restrictedly on serious crime. All regulations about offense aggravated by consequence has to be abolished.

      • KCI등재

        일본 개정민법상의 계약부적합 개념과 책임에 관한 고찰

        송영민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9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2 No.3

        This treatise examines contractual incongruity concept and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of contractual incongruity liability in trade of Japanese revised civil law effective April 2020. Japanese revised civil law basically amended the regulation about defect warranty liability of seller including establishment of regulation about contractual incongruity liability of seller in trade contract. The rough comparison on the relation with Korean civil law(property law) revision draft is as follows. ① Legal characteristic of defect warranty liability is equal to Japanese revised civil law regarding default liability theory. ② Japanese revised civil law introduced new concept called 「contractual incongruity」, deleting 「defect」 concept in defect warranty liability. The liability of seller on contractual incongruity unified as default liability irrespective of default type(default liability of incongruity benefit). In addition, defect warranty liability regulation of subcontract was deleted, and simultaneously trade regulation was completely applied to subcontract. These are different points from Korean civil law revision draft. ③ The opinions between two countries are basically same in legislation and legal characteristic of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④ Korean civil law revision draft prescribes the position of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as one of the general relief measures of default, on the other hand, Japanese revised civil law prescribes it in trade part. ⑤ Japanese revised civil law admitted the superiority of subsequent completio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enforce conforming performance and the claim for damag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it in Korean civil law revision draft. In conclusion, there is certain gap between two countries in basic direction of revision. Korean civil law revision draft reflects theories and precedents maintaining the phenomenon, but Japanese revised civil law reflects theories and precedents through the revision. In this regard, the systematic comparative review should be needed in Korean civil law and Japanese civil law. 본 논문은 2020년 4월 시행되는 일본개정민법상의 매매에서의 계약부적합 개념과 계약부적합 책임 중 추완청구권에 관한 부분을 검토한 것이다. 일본개정민법은 매매계약에서 매도인의 계약부적합 책임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등 종래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규정을 근본적으로 개정한 것이다. 2014년에 확정발표된 우리민법(재산법)개정시안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비교검토하면 아래와 같다. ① 하자담보책임의 법적 성질에 관해서는 채무불이행책임설로 본 일본개정민법과 동일하다. ② 일본개정민법은 하자담보책임법상의 「하자」개념을 삭제하고 그 대신 「계약부적합」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계약부적합에 대한 매도인의 책임은 불이행의 유형을 불문하고 채무불이행책임으로 일원화하였다(부적합급부의 채무불이행 책임화). 그리고 도급계약 고유의 하자담보책임 규정을 삭제함과 동시에 매매규정을 도급에 전면적 적용하였다. 이들은 우리민법개정시안과의 상이점이다. ③ 추완청구권의 입법화와 법적 성질론에서는 기본적으로 양 국가의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④ 추완청구권 규정 위치에 대하여 우리민법개정시안은 채무불이행의 일반적 구제수단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에, 일본개정민법은 매매 편에서 규정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⑤ 추완청구권과 손해배상청구권과의 관계에 대하여 일본개정민법은 추완의 우월성은 인정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민법개정시안에는 이에 대한 규정이 없다. 결론적으로 위의 비교검토에서도 개략적으로 나타나듯이, 양 국가는 개정의 기본적 방향성에서 일정한 차이가 있다. 우리민법개정시안은 큰 틀에서는 현상을 유지하면서 학설과 판례를 반영한 개정이지만, 일본개정민법은 큰 틀에서의 개정을 통하여 학설과 판례를 반영한 입장이라 할 것이다. 앞으로 우리민법과 일본민법의 체계적인 비교법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신(新)외감법 적용이 기업의 잠정이익 수정에 미친 영향 : 제8조 제6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감사 의무화를 중심으로

        양준선,김주연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6

        [연구목적]본 연구는 신외감법과 신외감법 제8조 제6항 적용이 법 적용 대상 기업들의 잠정이익 수정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 효과 분석을 통해 법 개정이 감사품질 및 재무보고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조사하며, 궁극적으로 신외감법 개정과 제8조 제6항이 기업과 감사환경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연구방법]관심변수로는 신외감법 및 신외감법 제8조 제6항 적용 여부를 사용하고, 종속변수로는 잠정이익 수정더미를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신외감법 적용 전 3년, 적용 후 3년, 총 6년을 분석하였다. 추가로 잠정이익 수정 규모의 음의 방향(하향 수정)과 양의 방향(상향 수정)으로 나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신외감법 적용은 잠정이익 수정 여부에서 양의 유의성이 나타나 잠정이익 수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외감법 제8조 제6항의 적용은 잠정이익 수정 여부에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잠정이익 수정 규모에서 상향 및 하향수정으로 나뉘어 추가로 분석한 결과 감사인들이 하향수정하는 금액의 규모가 감소됨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신외감법을 통해 기업의 감사품질이 향상되고 제 8조 제6항 적용 후 기업이 보수적인 태도로 잠정공시를 하는 경향이 있음을 반영한다. [연구의 시사점]연구는 신외감법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 법 적용 대상 기업들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로 기업들이 신외감법 적용 후 기업 회계제도와 감사 현장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2017년 개정 신외감법의 목적인 기업의 회계 투명성과 신뢰성의 향상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실효성 있는 발견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감사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연구에서 벗어나 잠정이익 수정정도를 이용했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이 있다. [Purpose]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udit quality of a company is improved by applying the New External Audit Law and whether th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s improved under Article 8 (6) of the new audit law.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 applic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and Article 8 (6)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showed changes in the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of companies subject to the law. [Methodology]The applic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and the application of Article 8 (6)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were used as variables of interest, and the pile of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period is a total of 6years, and the period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PRE), and the perio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POST).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negative direction (downward revision) and the positive direction (upward revision) of the absolute value of size of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Findings]The applic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aning in revising preliminary Earnings.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Article 8, Paragraph 6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showed no significance in the revising preliminary Earnings. Howev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upward and downward revis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Preliminary Earnings revision(downward revision) has been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Article 8 (6). [Implications]These results show that the new external audit law increases the overall level of audit input and that the application of Article 8 (6) somewhat improves the quality of corporate financial reporting. Through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external audit law is empirically verifi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rown into the corporate accounting system and audit environment.

      • KCI등재

        형법의 개정과제

        윤상민(Yoon, Sang Min) 한국법학회 2022 법학연구 Vol.88 No.-

        우리나라 형법은 1953년 제정된 이후 이 제정 당시의 체계를 바꿀만한 특별한 개정이 없었다. 형법개정이 비교적 크게 이루어진 것은 1995년이다. 정부는 1985년 형법개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형법을 전면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위원회는 7년간의 노력 끝에 1992년에 형법을 전면개정하는 법률안을 만들어 국회에 제출하였으나 전면적 개정을 이루지 못하고 1995년 12월 형법 총칙에 보호관찰 등 새로운 형사제재를 도입하고 각론에 컴퓨터 등 신종범죄를 삽입하는 정도의 개정에 머물고 말았다. 그리고 나머지 개정부분은 당시 국회의 회기만료와 함께 자동폐기 되었다. 이 개정안 중 형법총칙 부분이 1996년 15대 국회에 다시 제출되었지만 이 법률안도 15대 국회가 임기만료됨에 따라 폐기되었다. 이후 2002년에는 사법개혁의 일환으로 형법개정작업이 다시 시작되었고 형법총칙에 대한 개정안이 마련되어 2011년 18대 국회에 제출되었지만 이 개정안도 18대 국회가 임기만료 됨에 따라 자동폐기되었다. 이와 같이 형법은 제정된 후 몇 번의 개정이 있었으나 여전히 제정 당시의 체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는 형법개정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시점이다. 특히 형법총칙에 대한 전면적 개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형법은 총칙의 개정을 통해 새로운 범죄체계에 부합하는 형법으로 다시 태어나야 하고 또한 발전된 이론과 판례를 담아내야 한다. 형법총칙의 전면적 개정에 시간이 걸린다면 형법총칙과 각칙 부분에서 시급하게 개정되어야 할 규정들부터라도 개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형법총칙에서는 형사책임연령에 대한 개정을 고민하여야 하며, 청각 및 언어장애인에 대한 규정을 삭제하고, 재산형으로 되어있는 과료를 삭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형법각론 부분에서는 결과적 가중범의 입법형태를 통일하는 개정 그리고 형법제정 당시 그 시대에는 부합하였지만, 예컨대 존속살해나 영아살해죄 등과 같이 현재의 실정에는 부합하지 않는 범죄를 삭제하거나 개정하여야 한다. 더불어 형법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그 체계와 내용에 대한 개정이 꾸준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The criminal law of Korea has remained unrevised after it was enacted in 1953. Criminal law experienced relatively substantial revision in 1995. The government organized a special committee for revision of criminal law and proceeded with complete revision of criminal law in 1985. Although the committee made a legislative bill for revision of criminal law and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1992 after seven years of hard work, only part of law was revised in 1995. And the rest of the bill was disposed automatically upon termination of the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vised bill, revision of general provisions of criminal law was resubmitted to the 15th Assembly in 1996, but the bill was also disposed as the term of 15th Assembly expired. After that, revision work of criminal law resumed as part of judicial reform in 2002 and a bill to revise general provisions of criminal law was prepared and presented to the 18th National Assembly in 2011, but the bill was also automatically scrapped as the term of 18th Assembly expired. Since it was first enacted, criminal law experienced a few revisions but has continued to be stuck in a rut. Accordingly, the demand for revision of criminal law keeping up with new times is getting stronger. This study gave general consideration to the revised contents of criminal law that have been made so far. After pointing up the need for general provisions of criminal law, this study also examined provisions against crimes that need to be changed urgently in the particulars of criminal law. General provisions of criminal law need to be revised to cope with new criminal systems based on the developed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And crimes that correspond to the times of enactment of criminal law but are inappropriate to the present must be removed or revised. In addition to the foregoing, systems and contents of criminal law shall also be revised continuously to come up with a quick solu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2017년 브라질 노동법개혁과 함의 - 노동소송을 중심으로

        조희문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8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5 No.2

        In 2017 Brazil revised the Labor Law (Consolidação das Leis do Trabalho, CLT). Over 100 articles were revised, including amendments and new articles. The revision of the Labor Law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4.0 industrial revolution and puts flexibility into the labor law. The key to the revision of the labor law is to make it easier for employers to diversify employment and easy in dismissal. This revision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 reform of the Spanish labor law in 2012. The amendment of the labor law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chose legal theory of private law, among the public law theory, the private law theory, and the social law theory a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Brazilian labor law in Brazilian academic circles. Minimizing the government interference and ensuring autonomy of negotiation parties, employers and employees, are useless, if procedural rules are not effectiv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the amendment of the Brazilian labor law on the Brazilian labor market. Even if employment and dismissal are eased, it is useless if the resolution of labor disputes is not eff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rationale for the amendment of the Brazilian labor law, and analyzes the main amendments of labor procedural norms to derive the overall implications of labor law reform. This revision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 reform of the Spanish labor law in 2012. The amendment of the labor law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chose legal theory of private law, among the public law theory, the private law theory, and the social law theory a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Brazilian labor law in Brazilian academic circles. Minimizing the government interference and ensuring autonomy of negotiation parties, employers and employees, are useless, if procedural rules are not effectiv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the amendment of the Brazilian labor law on the Brazilian labor market. Even if employment and dismissal are eased, it is useless if the resolution of labor disputes is not eff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rationale for the amendment of the Brazilian labor law, and analyzes the main amendments of labor procedural norms to derive the overall implications of labor law reform. 브라질은 2017년에 노동법(Consolidação das Leis do Trabalho, CLT)을 대폭 개정했다. 조문개정과 신설 등 총 100여 조문 이상을 증보수했다. 노동법개정은 보수정당인 PMDB당이 4차 산업의 특성까지 반영하여 기업위주로 노동법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넣었다. 노동법 개정의 핵심은 고용의 다변화와 해고의 수월성을 통해 기업이 고용을 수월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번 개정은 2012년 스페인의 노동법개정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노동법개정은 브라질학계에서 대립된 노동법의 법적 성격인 공법설, 사법설 그리고 사회법설 중에서 다수설인 사법설을 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정부의 최소화하고 사주와 근로자간의 자율적 협상을 보장하고 있다. 동 논문은 사법설입장에서 개정된 브라질 노동법 개정이 브라질경제와 노동시장에 미치는 함의에 대한 연구이다. 고용과 해고가 수월해졌다고 하더라도, 노동분쟁의 해결이 효율적이지 않으면 별효력이 없다. 동 논문은 브라질 노동법개정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노동소송의 주요 개정내용을 분석하여 노동법개혁의 전반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 KCI등재

        현행헌법상 기본권보장체계의 구조적 문제와 개정방향

        표명환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1

        The 9th revision constitutional law that has been revised since 1948 prescribes the right and obligation of people in chapter 2. There are fundamental rights which prescribes from Art. 10 to Art. 36 in chapter 2. Constitutional law has the provision for the their guarantee. That is Art. 10. In constitutional law is there also the provision on the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 That is article 37 section 2. These system in constitutional law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problems.:first, are the term 'fundamental right' and 'right for people in chapter 2 the same right?. Second, there is the problem, whether the fundamental right that is restricted by article 37 section 2 includes only liberty right, or not. Third, there is the problem, whether the principle for judging criteria of article 37 section 2 is applied to the law for form of fundamental righ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aw of the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 in constitutional law.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revision of constitutional law as the way for the resolution of these systematic problems.: First, the term 'the right of people' in Chapter 2 has to revise as 'the liberty and right of people' or 'fundamental right. Second, the all rights of people in article 37 section 2 has to revise as 'the liberty of people'. The principle 'exessive restriction prohibit' is applied only to the law for the restriction of the liberty of people. For the law for form the fundamental right in constitutional law has another principle to be applied. The as above revision for constitutional law is possible from the basic premise, not 'the constitutional law for country' but ' the constitutional law for people or fundamental right. 제헌헌법 이래 9차례 걸쳐 개정된 현행헌법은 기본권에 해당하는 규정을 제2장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편제하고 있다. 제2장은 제10조 내지 제36조에서 개별기본권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본권에 대한 국가의 의무에 대하여 ”국가의 개인의 불가침적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제10조 제2문)“라고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헌법은 제12조 제1항, 제23조 제3항 및 제37조 제2항에 따른 기본권의 제한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헌법 제37조 제2항은 기본권의 제한대상으로서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헌법의 명시적 규정에 따른 기본권보장체계에서 다음과 같은 것이 문제가 된다.: 첫째, 헌법 제2장의 ‘국민의 권리’와 기본권은 같은 것을 의미하는가. 그리고 둘째 제2장의 ‘국민의 권리’와 제10조 제2문의 ‘기본적 인권’은 다른 것인가. 셋째 제2장의 국민의 권리와 헌법 제37조 제2항의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같은 것을 의미하는가. 넷째, 헌법상 제한되는 기본권과 헌법규정에 따른 입법자의 형성으로부터 그 내용이 형성되는 기본권은 구별되는가. 그리고 이들에 대하여 헌법 제37조 제2항이 적용되는가. 이러한 문제는 헌법규정으로부터 야기되는 기본권보장체계상의 문제로서, 본고는 그 문제에 대한 검토와 그에 대한 규범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헌법개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개정은 국가중심의 헌법이 아니라 국민중심 내지 기본권 중심의 헌법관점에서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2장의 ‘국민의 권리’는 헌법의 핵이며 근본목적으로서 헌법전문 바로 뒤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국민의 권리는 기본권이라는 명시적 개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것은 헌법상 보장된 권리는 공법상의 권리라는 의미외에 특히 국민의 근본적 가치로서 모든 국가권력의 지침이라는 의미 등이 내포되어 있다는 것에 근거하였다. 그리고 기본권제한형식을 일반적 법률유보형식보다는 기본권성질 및 기본권제한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 법률유보형식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이는 곧 헌법 제37조 제2항으로부터 야기되는 이론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것에 근거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본민법 개정작업의 최근동향

        박정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법학논고 Vol.0 No.33

        The world is active in revising civil codes. The civil code of netherlands was revised in 1992, the state of Quebec in Canada revised its civil code in 1994, and Germany succeeded in revising obligatory law in almost a century in the year of 2002. Due to such stimuli, France is preparing the revision after 200 years of application. Countries like Austria, Switzerland, and Spain are also going through the revision process. China enacted contract law in 1999, property law in 2007 and tort in 2009. In Korea, after the draft devised in 2004 was not adopted in the year of 2008, the revision preparation which takes four years, recommenced the following year. Japan is also trying to revise the core of its civil code. Since the civil code of Japan was enacted in 1896, if the code is actually revised, it would be the first revision in a century. Recently, Japan has been revising or newly enacting civil laws in order to deal with modern society. Japan is attempting as such to meet the demands that urge the legal system to match social structure change that occurred while the country experienced high economic growth and bubble economy. This article intends to observe the recent revision process of the Japanese civil code in accordance with Korean civil code revision. After introducing the contents which were already revised in Japan, the obligatory law revision process in Japan will be evaluat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Japanese Civil Code Revision Research Society’ and the ‘Japanese Civil Code (Law of Obligation) Reform Commission (JACCRC)’. Then the default on obligation issues will be brought into consideration. 세계는 지금 민법개정작업이 활발하다. 1992년에 네덜란드 민법전이, 1994년에 캐나다의 퀘벡주 민법전이 새로이 제정되었고, 2002년에 독일은 거의 100년만의 채무법의 발본개정을 실현시켰다. 이에 자극되어 프랑스에서는 200년만의 대개정의 준비작업이 진행중이다.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페인 등에서도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1999년에 계약법, 2007년에 물권법,2009년에 불법행위법이 각각 제정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공표된 민법개정초안이 2008년에 폐기된 후, 다시 2009년부터 4년에 걸치는 민법전개정작업이 재개되었다. 일본에서도 민법전의 중심부분이 크게 개정되려고 하고 있다. 일본민법전이 제정된 것은 1896년이므로 이것이 실현된다면 그야말로 1세기만의 대개정이 된다. 일본에서는 최근 私法의 영역에 한하여 보아도 많은 법률이새로운 시대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면 개정되거나 신규 제정되었다. 시민사회를지탱하는 법적 인프라의 가장 기초부분을 구성하는 민법의 발본개정은 이러한諸法의 개정의 총결산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의 민법개정작업과 관련하여 일본민법 개정작업의 최근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일본민법이 제정된 후 지금까지의 개정내용을 전체적으로 개관한 다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채권법개정작업에 관하여 민법개정연구회와 민법(채권법)개정검토위원회의 활동을 살펴본다. 이어서 채무불이행법제에 관련된 문제에 한정하여 개정시안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형법의 제·개정 경과와 발전과제

        이기수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8 No.3

        1953년 한국형법이 제정된 지 이미 6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다. 그 동안 모두 11차례에 걸친 형법의 개정이 있었다. 그러나 타 법률의 개정에 따른용어의 변경이나 특정 범죄의 신설과 폐지 등 중요한 형법개정이라고 보기 어려운 미미한 개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몇 차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내용이 개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전면적인 개정작업을 시도하거나 전반적인 문제점과 흐름을 점검하는 대폭적인 개정작업이 진행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형법은 죄형법정주의, 인간의 존엄성 보장, 책임과 비례의 원칙이라는대원칙을 견지해 헌법적 원리를 반영하고 법치국가적 요구에 부응할 필요가있다. 또한 강력한 통제규범으로서 형법의 보충성과 국민의 예측가능성을 고려할 때 형법의 개정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 국가의사회, 경제, 문화, 국민의 법의식 등이 변해감에 따라 그것을 반영하지 않으면 법의 실효성을 갖기 어렵고 그것은 국민의 법적 신뢰상실로 이어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형법은 죄형법정주의, 인간의 존엄성 보장, 책임과 비례의 원칙 등 대원칙을 굳건히 지키며, 한편으로는 시대상황의 많은 사법적 환경요인들을 반응하며 적시에 적절하게 개정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지금이야말로 형법의 개정경과를 돌아보고, 향후 형법의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아야 할 시기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이 글은 형법이 제정된 후 60년이 넘은 시점에서 모두 11차례에 걸쳐 개정된 형법의 개정 경과와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형법이 추구해야 할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제정형법의 기본사상과 체계, 평가 등을 논할 것이며, 그간 진행된형법개정의 경과와 내용을 검토․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한국 형법의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문헌연구의 방식이 주로 활용될 것이고, 외국의 법제도와의 비교연구도 병행할 것이다. The criminal law of Korea was proclaimed on September 18th 1953 and enforced on October 3rd 1953. This study, after 60 years since the revision of criminal law was made, will examine the progress and contents of enactmentand revision of criminal law revised over 11 times and propose the development challenges to be pursued by the criminal law of Korea.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e criminal law, although it was enacted during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extreme confusion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t has tried to reflect the global legislative trend and overall review of legislation throughout the world, and to be faithful on the ideals ofc onstitutionalism and human rights to be held by the criminal law. Since the enactment, there were a total of 11 criminal law revisions made but unfortunately, although it needed a total revision only a handful of revisions were made and there remains an insufficient aspect to the revisions. In this article, 5 types of development challeng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vision process of criminal law up to now and its contents. That is ① includethe multiple criminal special law into the criminal law and establish the status of basic criminal law of all criminal law, ② reconsider the trend of sever penalization having many problems and reasonably read just the extremely highsentence, ③ improve various problems held by pecuniary punishment system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daily fines, and derive with unified regulations related to forfeiture and collection, ④ reexamine the policy of zero tolerance and hostile attention related to sexual offenses, promote the balanced criminal politic legislation such as rehabilitation through the treatment of offenders, ⑤ and the improvement methods related to patricide having the debate of violation of the equal rights, the abolition of infanticide sin and concurrent offenders based on the particulars of criminal law. At any age and for any criminal law, it is requested that the principles of criminal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legality,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should be respected reflecting the conditions obtained at the time, and the effectiveness or functionality required by the criminal law should be maintained. The awareness of law of the citizens, reflection of judicial environment, new criminal provisions and decriminalization work will all be such contents. Therefore, the future criminal law shall reflect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in a timely manner and after wards, it should continually revise and develop the necessary contents. And that can be called the permanent improvement challenge to be bear by the criminal law.

      • KCI우수등재

        민법개정: 이상과 현실 - 2009년 민법개정원회의 개정시안 총칙편을 중심으로 -

        지원림 한국민사법학회 2018 民事法學 Vol.85 No.-

        There seems to be a consensus on the need to amend the Civil Law in a broad sense. However, in order to gain empathy for the revision of the Civil Law, it is necessary to have accurate diagnosis and correct prescription, and as a precondition therefor, it is important to face the problem squarely and set the goal based on the analysis of reality. Additionally, the accumulation of competencies to revise the Civil Law well and the humble and balanced attitude are essential.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 Civil Law on practice and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In addition, sharing of accumulated data and transfer to the next gener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ense, the “given”, including the Pandekten System (in my opinion: complementary measures such as the functional re-codification should be taken), should be respected in principle. This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confusion caused by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o promote the continuity of law. On the other hand, the amendment proposal of the General Part of the Civil Code of the 2009 Civil Code Revision Committee is not desirable,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parts of the juristic person and of the prescription. Future revision should be carried out to restore the status of the Civil Law as the basic law of society, especially through the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to the Civil Law and the reflection of change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넓은 의미의 민법의 개정이 필요함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민법개정이 학계와 실무계의 공감을 얻고 일정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처방이 있어야 하고, 그 전제로서 현실분석에 기한 문제의 인식 및 목표의 설정이 중요하다. 그리고 보다 중요한 것은 개정역량의 축적과 겸허하고 균형잡힌 자세이다. 나아가 민법의 개정에서 법실무 및 법교육에의 파급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축적된 자료의 공유 및 차세대에의 전수라는 점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법체계를 포함한 기존의 성과가 존중되어야 한다. 이 점은 법 개정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고, 법발전의 연속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한편 2009년 개정위원회의 개정시안 중 총칙부분을 돌아보면 특히 법인법과 시효법의 개정제안은 여러 모로 소망스럽지 않다. 향후의 개정작업에서는 보다 큰 그림을 기초로 사회의 기본법으로서 민법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