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전략과 경영성과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추론적 모델 연구

        임외석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6

        The Canon is well known as an innovative HR system among the Japanese companies. It i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that is presented the inferential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after systematic analysis through the exploratory method by the literature for the overall system and the features of the Cano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It is secondly purpose of this paper that provide useful data when the corporate build and operate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and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nd when researchers carry out research related to these. To this end, the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the framework for analysis will be presented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Nextly,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was presented having a base of the business philosophy and corporate strategies of Canon, and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Can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and Canon Monozukuri HR Development Center was introduced as the systems to develope human resources. Then Canon’s business performance was presented by the sales and net income in the 1996-2012 and the global ranking of market capitalization and sales, and the global ranking of the number of patents registered in the U.S. Finally, an Inferential Model and some propositions for the relations between human resource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presented through analysis data given above, such as the relations among the growth needs and growth opportunities of members and the excellent human resource, and the excellent company. It is first proposition that member’s growth needs realized efficiently according to growth opportunity provided in the organization. It is second proposition that members can make easy effort to grow when they has their growth needs and growth opportunity in the organization. It is third proposition that we can develop and cultivate the excellent human resource when members’ growth needs was realized through growth opportunity in the organization. It is forth proposition that excellent company is ultimately formed by excellent human resources developed and cultivated when members’ growth needs was realized through growth opportunity provided in the organization. The summary of paper was presented with some of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conclusion. It is first implication that we must be first cultivate and develop excellent human resource to glow excellent company. It is second implication that excellent global company introduce early and operat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opportunity or field such as Can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Center and Canon Monozukuri HR Development Center. It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the inferential model and propositions was drew through only canon’s case analysis and then couldn’t generalized the inferential model and propositions. Nextly I will make up for this limitation of study with many companies for case analysis. 본 연구는 일본 기업 가운데 혁신적 인사제도로 잘 알려진 캐논의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중심으로, 캐논의 인적자원개발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체계와 특징을 문헌에 의한 탐색적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인적자원개발전략과 경영성과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추론적 모델을 도출하여 제시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아울러 기업이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수립하여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을 실제로 구축하고 운영하고자 할 때나 연구자들이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부차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들을 간략하게 살펴본 뒤, 본 연구의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그 다음 캐논의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캐논의 경영이념과 전사적 경영전략과 연계하여 분석한 뒤,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인재개발센터와 생산직인재육성센터의 구성과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캐논의 경영성과(business performance)를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매출액과 순이익, 시가총액과 매출액 등을 기준으로 한 글로벌 랭킹, 미국 특허등록 건수의 랭킹(2003년~2012년 기준)을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끝으로 이러한 일련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원의 성장욕구와 조직의 성장기회→구성원의 성장노력→Excellent HR→Excellent Company’라는 ‘HR전략과 경영성과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추론적 모델과 몇몇 명제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자체의 중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최영기 한국관광학회 2009 관광학연구 Vol.33 No.3

        This study intend to devising marke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Jeollabuk- do as a travel destination in huge travel market of China. To achieve this purpose, a secondary data including tourism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web site have been used. Marketing goals and strategies to attracte Chinese travelers into Jeollabuk-do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ourism resources. The marketing strategies discus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Pre-stage: A newly developed tourism brand was introduced to execute marketing strategies, 2) Stage 1: A strategy for utilizing tourism resources to draw more Chinese visitors to Jeollabuk-do, 3) Stage 2: A strategy for developing new tourism products for Chinese visitors, 4) Stage 3: A strategy for selling tourism products and providing human services.

      • KCI등재

        Examining Leadership Development in the U.S. Army withi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text: Implications for Security and Defense Strategies

        ( Michael J. Kirchner ),( Mesut Akdere ) 한국국방연구원 2014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6 No.3

        The existing literature presents ample studies on leaders and leadership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rmy. The contribution of many great military leaders of theU.S. are widely recognized both by the military community and the society at large. Reviewing the history of leadership development (LD) in the U.S. Army provides an opportunity to analyze American soldiers’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as strong leaders. Although U.S. Army training and its value systems, in many ways, have remained fundamentally the same with focus on hierarchy and structure, LD has been repeatedly refined, reframed, and redesigned based on the needs of the time and expectations of the leadership.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LD training in the U.S. Army to identify potential opportunities for the military of the Republic of Korea. It focuses on LD throughout critical periods in the history of the U.S. Army and illustrates how LD training has evolved historically. The paper also explores how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as a discipline of study and its functions may be instrumental in LD by analyzing the U.S. Army’s approach to LD, leadership train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career development. Implications of LD for security and defense strateg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위기 상황 하에서 인적자원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재석,김현동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No.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 resource strategy affects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crisis. While previous literature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few studies have addressed reverse causality concern. To alleviate this concern, we set an exogenous event, the 2008-2009 financial cri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activities on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First, we hypothesize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prior to the cris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resource-based view. Second, we expect that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a firm’s primary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under financial crisis is likely to negatively influence firm performance because this compensation structure can impede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which may be necessary to overcome the crisis.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base, we find that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s positively related to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y is important to improve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pressure. In contrast, our result shows that performance-based pay structure before the crisi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suggesting that this type of compensation hinders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by promoting their internal competition.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업의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이 어떻게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인적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기업들의 전략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문헌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대부분 외부상황의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역인과관계에 대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적인 선택의 중요성을 외생적 사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사전적인 기업의 인적자원 관련한 전략적 활동이 기업의 사후적인 초과영업이익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과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에 기반하여 위기상황일수록 인적자원에 대한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의 기업 초과영업이익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반면 인적자원관리 전략 중의 하나인 성과급을 활용한 보상 정책은 오히려 위기 상황 속에 조직 내부의 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의 설문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KIS-Value의 재무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실제로 기업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 기업 성과에 양(+)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기상황 속에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장기적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성과급 제도와 같이 조직 내 경쟁을 야기하는 시스템은 외부환경이 안정적인 상황에서는 긍정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부 환경이 불안정할 경우 오히려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적인 위기 상황에서는 성과급 제도를 통해 조직 내의 경쟁을 유발하는 보상 정책보다 전사적 차원에서의 협력을 도모하는 제도들이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외부적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 인적자원에 관한 전략적인 활동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위기 상황 하에서 인적자원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재석(Na, Jaeseog),김현동(Kim, Hyun-Dong)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No.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업의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이 어떻게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인적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기업들의 전략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문헌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대부분 외부상황의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역인과관계에 대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적인 선택의 중요성을 외생적 사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사전적인 기업의 인적자원 관련한 전략적 활동이 기업의 사후적인 초과영업이익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과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에 기반하여 위기상황일수록 인적자원에 대한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의 기업 초과영업이익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반면 인적자원관리 전략 중의 하나인 성과급을 활용한 보상 정책은 오히려 위기 상황 속에 조직 내부의 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의 설문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KIS-Value의 재무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실제로 기업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 기업 성과에 양(+)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기상황 속에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장기적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성과급 제도와 같이 조직 내 경쟁을 야기하는 시스템은 외부환경이 안정적인 상황에서는 긍정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부환경이 불안정할 경우 오히려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적인 위기 상황에서는 성과급 제도를 통해 조직 내의 경쟁을 유발하는 보상 정책보다 전사적 차원에서의 협력을 도모하는 제도들이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외부적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 인적자원에 관한 전략적인 활동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 resource strategy affects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crisis. While previous literature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few studies have addressed reverse causality concern. To alleviate this concern, we set an exogenous event, the 2008-2009 financial cri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activities on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First, we hypothesize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prior to the cris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resource-based view. Second, we expect that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a firm’s primary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under financial crisis is likely to negatively influence firm performance because this compensation structure can impede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which may be necessary to overcome the crisis.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base, we find that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s positively related to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y is important to improve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pressure. In contrast, our result shows that performance-based pay structure before the crisi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suggesting that this type of compensation hinders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by promoting their internal competition.

      • KCI등재

        장애인 생활시설의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 사례연구

        고선정,(Ko, Sun-Jung) 김성희(Kim, Seong-H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Strategic Marketing Planning Process)에 따른 사례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최근 사회복지시설은 후원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담당인력의 마케팅 기법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미숙한 단계에 있다. 특히 작은 규모의 생활시설은 자원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생활시설(J기관)의 후원자개발 사례를 종합하여,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포트폴리오 기획을 통해 핵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특히 조직적 차원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Andreasen과 Kotler(2003)가 제시하고 있는 기본들을 사용하였다. J기관의 조직분석 결과,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은 자원개발을 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었으나, 기관의 약점을 강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회요인(시설의 개방)을 찾고, 후원자개발을 위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마케팅믹스에 의한 자원개발 전략을 7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자원개발을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시설의 담당인력이 자원개발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점을 감안할 때, 단일기관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생활시설의 자원개발에 따른 실천적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겠다.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to develop sponsors of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y. Recentl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rai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ponsoring resources but persons in charge of relevant affairs lack knowledge and skills in marketing. In particular, small-sized residential institutions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c for the development of sponsoring resources despite their keen necessity of resource development. Thus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sponsor development by an residenti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J Institution), analyzing the organization focused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it established a key marketing strategy through portfolio planning. Particularl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in an organizational dimension, this study used a basic frame proposed by Andreasen & Kotler(200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J Institution,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namely, its being at an island was a factor hindering resource development but the institution had develop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finding opportunities (openness in residential institution) to utilize its weakness as a strength and developing sponsors. In particular, it divided its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marketing mix into seven elements, and looked for resource development plans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us, considering difficulties that persons in charge of resource development at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have in performing their job,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for practical approaches for the institutions to develop resources by suggesting the case of an institution.

      • KCI등재

        시베리아에 있어서 몽골·한국의 경제협력의 과제

        이효선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0 No.-

        1990년 이후 체제전환과 개혁·개방을 추진한 몽골경제는 제2기 체제전환국가 중 가장 성공적인 전환을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경제는 또한 광대한 영토에 비해 적은 규모의 인구와 경제력, 내륙국가라는 지정학적 위치, 세계 10대 자원 부국, 재정과 경상수지 등의 적자 지속, 대외의존형 경제, 수준 높은 인적자원 보유, 시장경제 경험 일천, 유목사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역시 1990년 수교 이후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2006년 5월 7~10일 이루어진 노무현 대통령의 몽골 국빈방문은 양국 관계를 한 단계 격상, 성공적인 에너지 및 자원 외교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전략광물 및 자원 확보와 플랜트산업의 해외동반진출, 상호 공동이익 추구 등의 면에서 다양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석유, 가스를 비롯한 러시아 천연 광물자원의 보고로 일컬어지는 시베리아 지역에 관한 전 세계인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몽골은 한국을 전통적으로 ‘솔롱고스(무지개 또는 어머니)의 나라’로 인정해온 데다가 동북아 경제협력의 주요 파트너로 인식할 정도로 우호적이다. 지정학적 위치와 역사적 경험 때문에 몽골 국민들의 일반정서는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정치·경제적 예속을 경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본과 한국이 그 대안으로서 주요 파트너로 떠오르나 지리적 근접성과 친밀감 등을 이유로 한국을 더 선호하고 있다. 그 단적인 예로써 몽골은 체제전환과 대외개방 직후 최초로 외교관계를 맺은 국가가 바로 한국이다. 몽골은 또 한국을 자국 경제발전의 모델로 삼아 한국과의 협력관계 확대를 중요한 외교목표로 설정하고 관계증진에 적극적이다. 게다가 몽골에는 한류 열풍(한국어 열기, 한국대학 유학 인기)이 지속되고 있고 또 몽골인에게 한국은 기회와 희망의 땅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 대통령의 몽골 방문은 자원 및 에너지 외교의 강화와 한·몽 관계의 획기적 개선으로 요약할 수 있고 또 큰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세계가 에너지와 전략광물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세계 10대 자원 부국인 몽골과의 관계 개선은 그만큼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번 몽골 방문을 통한 정상외교에서 더욱 값진 것은 ‘자원 확보와 플랜트 산업의 해외 동반진출’이라는 정부의 자원개발전략이 정착되고 있다는 점이다. 몽골 오유톨고이 구리광산 공동사업은 인도의 철광석·제철소(2005년 6월)와 나이지리아의 유전·가스 발전소(2006년 3월)에 이은 것이다. 경제성 있는 대형 유망광구 확보가 날로 어려운 여건에서 자원개발과 플랜트 사업의 동반진출을 추진함으로써 해외자원개발 촉진과 에너지·플랜트 해외 수출 양측의 이익과 시너지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몽골의 풍부한 자원과 한국의 자본 기술이 결합하여 공동이익을 추구할 수 있게 했다는 점도 큰 의미를 가진다. 세계의 에너지 및 광물 자원개발 외교에 적극 동참하고 더 나아가 안정적인 원자재 확보를 위해서는 정상외교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EDCF 지원의 규모 확대 못지않게 공적개발원조(ODA)의 내실화도 중요하다. 지원하는 우리의 입장과 의도도 중요하지만 몽골과 같은 수원국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몽골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 역시 개도국에는 매력적인 수출상품이라는 것이다. 전 세계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고 확대·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세계 대륙의 10분의 1을 점유하고 있으며,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처녀지, 자원의 보고지역이며 과학의 기술 그리고 자연에 살아 숨 쉬는 시베리아·극동 지역의 잠재력은 21세기 들어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는 데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90년 한. 러 수교이후 다소의 질곡도 있었지만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제 분야의 보다 많은 교류 협력이 기대된다. Mongolia has traditionally regarded Korea as rainbow country and furthermore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hips to be main Korean partner fo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northeastern Asia. In general the Mongolian has been on the alert about political and economic subordination to China and Russia owing to its geopolitical situation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erefore Japan and Korea has been emerging as Mongolian main partner but the Mongolian prefer Korea to Japan because of its geographical vicinity and familarity. For example Mongoli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Korea firstly since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system and open economy. Mongolia also fixes Korea as the mode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Korea is the most important diplomatic policy. Meanwhile there are 'Hanryu passion' - the Korean language passion and going to Korea for study. Korea was regarded the land of opportunity and dream to the Mongolian. In this kind of friendly ambience the president's visiting to Mongolia will reinforce resources and energy diplomacy and improve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Mongolia. As we know, all of the nations are infinitely competing for another to secure energy and other strategic mineral resources. An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Mongolia which is the tenth resource reserving country in the world is very important. This summit diplomacy will be estimated more valuable in that it strengthen the Korean government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resource securement and branching out abroad of plant industry'. A joint enterprise of Oyutolgoui copper mine in Mongolia followed a iron ore and steel mill in India(2005. 6) and oil and gas power plant in Nigeria(2006. 3). In the midst of needy circumstances of securing large prospecting mine lots, the co-branching out abroad in resources development and joint plant enterprises area are expected to expedite foreign resources development and incur mutual gains and synergy effects in the energy and plant export. And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wo countries can seek to mutual gains by way of combining abundant resources of Mongolia and capital and technology of Korea. Some practical policies to back up summit diplomacy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participate in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diplomacy and secure raw material stably.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nlarge the EDCF support and enric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Though our supporting situation and purpose is importan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set up proper direction to help Mongolia. Also in Mongolia Korea's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is attractive export commod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and expand the transmission program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for the world developing countries. There can be no two opinions on this matter that the potential of Siberia and the far eastern area which occupy a tenth of world continent and last virgin land and resources treasury and high level of science, technology and nature will emit new light for the world in 21th century. Although there were some shackles since the treaty of amity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90, lots of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all areas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ones is expected.

      • KCI등재

        장애인 생활시설의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 사례연구 : J기관을 중심으로 Focused on J Institution

        고선정,김성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Strategic Marketing Planning Process)에 따른 사례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최근 사회복지시설은 후원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담당인력의 마케팅 기법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미숙한 단계에 있다. 특히 작은 규모의 생활시설은 자원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생활시설(J기관)의 후원자개발 사례를 종합하여,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포트폴리오 기획을 통해 핵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특히 조직적 차원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Andreasen과 Kotler(2003)가 제시하고 있는 기본들을 사용하였다. J기관의 조직분석 결과,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은 자원개발을 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었으나, 기관의 약점을 강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회요인(시설의 개방)을 찾고, 후원자개발을 위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마케팅믹스에 의한 자원개발 전략을 7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자원개발을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시설의 담당인력이 자원개발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점을 감안할 때, 단일기관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생활시설의 자원개발에 따른 실천적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겠다.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to develop sponsors of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y. Recentl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rai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ponsoring resources but persons in charge of relevant affairs lack knowledge and skills in marketing. In particular, small-sized residential institutions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c for the development of sponsoring resources despite their keen necessity of resource development. Thus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sponsor development by an residenti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J Institution), analyzing the organization focused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it established a key marketing strategy through portfolio planning. Particularl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in an organizational dimension, this study used a basic frame proposed by Andreasen & Kotler(200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J Institution,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namely, its being at an island was a factor hindering resource development but the institution had develop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finding opportunities (openness in residential institution) to utilize its weakness as a strength and developing sponsors. In particular, it divided its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marketing mix into seven elements, and looked for resource development plans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us, considering difficulties that persons in charge of resource development at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have in performing their job,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for practical approaches for the institutions to develop resources by suggesting the case of an institution.

      • 시베리아에 있어서 몽골·한국의 경제협력의 과제

        이효선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6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1990년 이후 체제전환과 개혁·개방을 추진한 몽골경제는 제2기 체제전환국가 중 가장 성공적인 전환을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경제는 또한 광대한 영토에 비해 적은 규모의 인구와 경제력, 내륙국가라는 지정학적 위치, 세계 10대 자원 부국, 재정과 경상수지 등의 적자 지속, 대외의존형 경제, 수준 높은 인적자원 보유, 시장경제 경험 일천, 유목사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역시 1990년 수교 이후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2006년 5월 7~10일 이루어진 노무현 대통령의 몽골 국빈방문은 양국 관계를 한 단계 격상, 성공적인 에너지 및 자원 외교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전략광물 및 자원 확보와 플랜트산업의 해외동반진출, 상호 공동이익 추구 등의 면에서 다양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석유, 가스를 비롯한 러시아 천연 광물자원의 보고로 일컬어지는 시베리아 지역에 관한 전 세계인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몽골은 한국을 전통적으로 ‘솔롱고스(무지개 또는 어머니)의 나라’로 인정해온 데다가 동북아 경제협력의 주요 파트너로 인식할 정도로 우호적이다. 지정학적 위치와 역사적 경험 때문에 몽골 국민들의 일반정서는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정치·경제적 예속을 경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본과 한국이 그 대안으로서 주요 파트너로 떠오르나 지리적 근접성과 친밀감 등을 이유로 한국을 더 선호하고 있다. 그 단적인 예로써 몽골은 체제전환과 대외개방 직후 최초로 외교관계를 맺은 국가가 바로 한국이다. 몽골은 또 한국을 자국 경제발전의 모델로 삼아 한국과의 협력관계 확대를 중요한 외교목표로 설정하고 관계증진에 적극적이다. 게다가 몽골에는 한류 열풍(한국어 열기, 한국대학 유학 인기)이 지속되고 있고 또 몽골인에게 한국은 기회와 희망의 땅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 대통령의 몽골 방문은 자원 및 에너지 외교의 강화와 한·몽 관계의 획기적 개선으로 요약할 수 있고 또 큰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세계가 에너지와 전략광물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세계 10대 자원 부국인 몽골과의 관계 개선은 그만큼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번 몽골 방문을 통한 정상외교에서 더욱 값진 것은 ‘자원 확보와 플랜트 산업의 해외 동반진출’이라는 정부의 자원개발전략이 정착되고 있다는 점이다. 몽골 오유톨고이 구리광산 공동사업은 인도의 철광석·제철소(2005년 6월)와 나이지리아의 유전·가스 발전소(2006년 3월)에 이은 것이다. 경제성 있는 대형 유망광구 확보가 날로 어려운 여건에서 자원개발과 플랜트 사업의 동반진출을 추진함으로써 해외자원개발 촉진과 에너지·플랜트 해외 수출 양측의 이익과 시너지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몽골의 풍부한 자원과 한국의 자본 기술이 결합하여 공동이익을 추구할 수 있게 했다는 점도 큰 의미를 가진다. 세계의 에너지 및 광물 자원개발 외교에 적극 동참하고 더 나아가 안정적인 원자재 확보를 위해서는 정상외교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EDCF 지원의 규모 확대 못지않게 공적개발원조(ODA)의 내실화도 중요하다. 지원하는 우리의 입장과 의도도 중요하지만 몽골과 같은 수원국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몽골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 역시 개도국에는 매력적인 수출상품이라는 것이다. 전 세계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고 확대·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세계 대륙의 10분의 1을 점유하고 있으며,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처녀지, 자원의 보고지역이며 과학의 기술 그리고 자연에 살아 숨 쉬는 시베리아·극동 지역의 잠재력은 21세기 들어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는 데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90년 한. 러 수교이후 다소의 질곡도 있었지만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제 분야의 보다 많은 교류 협력이 기대된다. Mongolia has traditionally regarded Korea as rainbow country and furthermore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hips to be main Korean partner fo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northeastern Asia. In general the Mongolian has been on the alert about political and economic subordination to China and Russia owing to its geopolitical situation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erefore Japan and Korea has been emerging as Mongolian main partner but the Mongolian prefer Korea to Japan because of its geographical vicinity and familarity. For example Mongoli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Korea firstly since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system and open economy. Mongolia also fixes Korea as the mode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Korea is the most important diplomatic policy. Meanwhile there are 'Hanryu passion' - the Korean language passion and going to Korea for study. Korea was regarded the land of opportunity and dream to the Mongolian. In this kind of friendly ambience the president's visiting to Mongolia will reinforce resources and energy diplomacy and improve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Mongolia. As we know, all of the nations are infinitely competing for another to secure energy and other strategic mineral resources. An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Mongolia which is the tenth resource reserving country in the world is very important. This summit diplomacy will be estimated more valuable in that it strengthen the Korean government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resource securement and branching out abroad of plant industry'. A joint enterprise of Oyutolgoui copper mine in Mongolia followed a iron ore and steel mill in India(2005. 6) and oil and gas power plant in Nigeria(2006. 3). In the midst of needy circumstances of securing large prospecting mine lots, the co-branching out abroad in resources development and joint plant enterprises area are expected to expedite foreign resources development and incur mutual gains and synergy effects in the energy and plant export. And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wo countries can seek to mutual gains by way of combining abundant resources of Mongolia and capital and technology of Korea. Some practical policies to back up summit diplomacy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participate in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diplomacy and secure raw material stably.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nlarge the EDCF support and enric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Though our supporting situation and purpose is importan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set up proper direction to help Mongolia. Also in Mongolia Korea's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is attractive export commod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and expand the transmission program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for the world developing countries. There can be no two opinions on this matter that the potential of Siberia and the far eastern area which occupy a tenth of world continent and last virgin land and resources treasury and high level of science, technology and nature will emit new light for the world in 21th century. Although there were some shackles since the treaty of amity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90, lots of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all areas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ones is expected.

      • KCI등재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콘텐츠 개발 전략

        박영호(Young Ho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하여 관광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이를 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범위를 남양주시에 산재하고 있는 유·무형의 문화 자원을 대상으로 하는 한편 개발 가능한 잠재적 자원으로 확장시켜 보다 이상적인 개발 전략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SWOT 기법으로 문화 관광 자원의 측면에서 남양주시를 분석하여 강점 요인과 약점 요인을 파악하고 이어서 활용 가능한 남양주시의 관광 자원의 현황을 수집하였다. 그렇게 수집된 관광 자원을 관광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관광 콘텐츠 개발방향을 설정하였다. 개발방향에 따라 구분된 각 영역별로 구체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과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여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국내외의 각종 네트워크와 D/B 등을 검색하였으며, 역사 문화 자원을 관광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한 선행 연구 결과와 각종 보고서 등 각종 문헌 자료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역사 문화 관광 콘텐츠 개발은 지역 정체성 정립,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지역의 대외 홍보 등 다방면에서 공헌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 구체적 사례를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논의하여 역사와 교육의 도시, 휴양과 녹색의 도시, 문화와 관광의 도시 등 3개 유형의 관광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과 이에 대한 기대효과를 연구 결과로 결론에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각 지역별 역사 문화 자원을 관광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 전략 수립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find out a developmental strategy of tourism contents using by historic-cultural resources. For the result, I suggest the ideal strategy for economic vitalizations in local a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the limits of research scale to resources which lie scattered of the city of Namyangju and that may be carried of the strategy of ideal development including potential resources which could be develop. Applied methods of research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tried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tourism-contents of Namyangju. and underst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ourism-contents which is analysed by SWOT method. And I suggest definite utilization and road-map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I ended up the debate with suggestion of utilization of the result and expectation effect as a final result of this study. For getting this result, I researched the world wide network and data-base using a internet, and I considered prior study results which was observed about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using by historic-cultural resources, many reporters and paper materials synthetically. I predict that the development of historic culture tourism contents will be helpful to establishing of local identity, vitalizations of local economic and the many ways. I organized the conclusion as a result, that is concrete strategy and expectation effect of tourism contents development:there are 3 types tourism contents, the city of history and education, resort and green, culture and tourism are those, with a concrete case of Namyanju city. So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inding a strategy of tourism contents development with a local historic cultural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