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study o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in the SCM relation

        백영미 한국무역연구원 2013 무역연구 Vol.9 No.2

        This research identifies affecting factors of relationship commitment and relations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SCM.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research model, this research adapted RBV, TCE and SET. Resource based determinants (firm size, brand value,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fame) and transaction cost determinants (environmental uncertainty, industry and psychic distance) ar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to affect relationship commitment in the SCM rel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is analyzed and adopts the social exchange variables (shared value, communication and interdependence) as the moderating factors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to specify the situational condition. For the empirical test, 363 samples of SMEs and 92 samples of large sized firms are used to compar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sychic distance were shown the significance in all groups. However, the psychic distance affected to the relationship commitment negatively. Second, in the group of SMEs, international fame was also identified as the important factors to affect the SCM relationship commitment. Finally, social exchange variables as the moderators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showed the significance only in the SMEs.

      • KCI등재

        The study o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in the SCM relation

        Baek YoungMi 한국무역연구원 2013 무역연구 Vol.9 No.2

        This research identifies affecting factors of relationship commitment and relations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SCM.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research model, this research adapted RBV, TCE and SET. Resource based determinants (firm size, brand value,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fame) and transaction cost determinants (environmental uncertainty, industry and psychic distance) ar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to affect relationship commitment in the SCM rel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is analyzed and adopts the social exchange variables (shared value, communication and interdependence) as the moderating factors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to specify the situational condition. For the empirical test, 363 samples of SMEs and 92 samples of large sized finns are used to compar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sychic distance were shown the significance in all groups. However, the psychic distance affected to the relationship commitment negatively. Second, in the group of SMEs, international fame was also identified as the important factors to affect the SCM relationship commitment. Finally, social exchange variables as the moderators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showed the significance only in the SMEs.

      • 발달지체 유아의 통합 유치원 또래 관계에 대한 단일사례 연구

        강성리,이병인 한국웰니스학회 200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with other peer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setting using a qualitative analy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 delay and a group of twenty-five peers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of a kindergarten with inclusive setting in Seoul. The study was processed from March 10, 2008 through November 21, 2008. During the study, investigator's observatory note,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were collected. The results collected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presented a five-step of participation process. Second,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presented some types of interaction such as isolation and denial, acceptance and reaction, cooperative and self-expression, and sharing of feeling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role representing the change of proc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 with??evelopmental delays with peer group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suggest a practical importance and possible implications to the early childhood inclusive setting.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 접속사 사용 양상과 교육 방안

        이수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s college students’ texts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heir the use of conjunctions, and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to fulfill the role of the conjunction. Although problems were identified, the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plan was relatively in sufficient. The three problems that emerged from the results regarding the use of conjunctions were “unnecessary,” “ambiguity of relationship,” and “complex composition.” Conjunctions have connection and cohesion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it is argued that education centered on the cohesive function — that is, a rhetorical strategy — is required. Two specific methods are proposed. First, conjunctions must not be used for “connecting or relationship setting.” Second, the author’s intention when using conjunctions must be considered. Several researchers have already pointed out that book writers should refrain from writing in a grammatical dimension. This paper takes an active position by presenting arguments and actual implementation while accepting the existing views. 본 연구는 대학생 글의 접속사 사용 실태를 살펴,문제점을 파악하고,접속어의 구실을 다 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문제는 있는데,교육 방안에 대한 고찰은 상대적으로 미흡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세 가지 정도인데,‘불필요한 사용’,‘관계를 모호하게 하는 사용’,‘구성을복잡하게 만드는 사용’ 이었다.접속사는 문법 차원의 접속과 담화 차원의 응집 기능이 있는데,응집 중심의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했다.학교문법 교육은 실효성이 없고, 담화차원의 수사적 전략으로 접근해야 함을 말하였다.대학생 리포트에서의 접속사사용의 문제는 문법적 차원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이어주기 혹은 관계 설정’을 위해서라면 되도록 쓰지 말고,글쓴이의의도를 단적으로 드러내려는 곳에 사용하자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이미 몇몇연구자들이 우회적으로 견해를 개진한 바 있고,시중의 글쓰기 책 역시 문법적 차원에서의 사용은 되도록 자제할 것을 지적하였다.본고는 기존의 견해들을 수용하면서, 논거 제시와 실제 실행을 통해 적극적인 입장을 내놓은 것이라 여겨도 좋겠다.

      • KCI등재

        다단계 행정행위 소고 : 행정상 확약과 가행정행위를 중심으로

        김재호(Kim, Jae-Ho) 韓國土地公法學會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행정주체와 상대방으로서의 개인이 형성해가는 사회생활관계 중 법적으로 평가한 행정법관계에 있어 복잡다양성에 상응하는 전문성, 기술성의 요청은 전통적 행정행위의 범주에서만 행정법관계의 안정을 도모할 수 없는 상황을 출현시키고 있다. 이에 행정법은 행정주체의 행정작용으로서 집행과 적용의 새로운 행위형식체계를 인정하고 전통적인 행위형식에 의한 정당성을 유지하면서 또다른 행위형식에 의한 효율성을 실질적 법치국가의 객관적 구조속에 수용하는 이론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행정결정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개인의 절차적 권리를 구축하는 사전 배려적 행정행위의 수용가능성의 도모라고 할 것인 바 이는 개방성과 탄력성을 통한 행정법 이론의 발전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전통적 행정행위론의 이론적, 실무적 한계를 지적하고 행정작용에 있어 단계적, 잠정적 규율의 필요성을 전제로 새로운 행위형식으로서 확약과 가행정행위의 법적 작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과정에서 개념, 제도적 의의, 요건 등에서 내재적 차이점은 인정되나 관련 문헌이나 판례 등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법이론적 관점은 전통적 행정행위가 가질 수 있는 경직성, 획일성, 절차운용의 미흡성을 배제하고 행정결정의 합목적성과 개인의 권익구제 가능성의 제고를 위한 입법정책상, 이론상의 체계화라고 볼 수 있는데 확약과 가행정행위의 법이론화는 이러한 체계화에 충분히 기여하는 바가 있다. 확약의 경우 그것이 행해지는 시점에서는 비록 종국성을 갖는 행정법관계를 완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자체는 법적 규율성을 갖는 것이고 사실상태나 법적 상황의 변화가 없다면 행정청은 확약한 내용대로 본 행정행위를 해야 할 구속을 받게 되고 그러한 구속적의사표시는 행정행위의 개념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볼 근거는 없다. 따라서 그러한 행정법관계의 실질적 형성에 따른 확약의 일방적인 구속력 배제로 인하여 법률상 이익을 침해받은 자는 바로 손해전보와 행정쟁송을 통해 권익구제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이 실질적 법치국가의 원리에 부합된다고 할 것이다. 1995년의 대법원 판례에서는 어업면허처분에 선행하는 우선순위결정에 대하여 행정상 확약에 불과하고 행정처분이 아니라고 판시하였는데 그렇다면 엄밀한 의미에서 볼 때 당시의 행정심판전치주의에 따른 행정심판에서도 처분성이 없으므로 요건부적법 각하되었어야 했고 대법원도 취소소송에 있어서도 이점을 설시했어야 논리적 일관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가행정행위의 경우 국민의 행정의존도 확대에 비례한 급부행정영역의 확대는 상대방인 개인에게 있어서 급부가 행해지지 않는 것보다는 사실관계의 확정 전이라도 본 행정행위를 유보시킨 조건에서지만 급부가 행해지는 것이 유익한 것이고 그 한도 내에서 개인이 행정법관계의 법적 지위가 보장되도록 한다는 제도적 의의는 인정된다고 볼 것이다. 이러한 국민의 행정의존도나 기대감의 해결은 종래의 법제도와 법이론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니어서 굳이 가행정행위라는 새로운 행위형식의 인정은 불필요하다는 견해도 있으나, 가행정행위는 종국적 결정인 본 행정행위에 부종되는 종된 규율로서 효력의 증감을 가져오는 부관과는 개념과 존재의의에서 명백하게 구분되는 것이고, 불완전성을 충족시켜야 하는 보완적 행위를 전제로 하더라도 특정행위가 행해진다는 자체, 수급자의 수익적 효과 등은 성립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가행정행위는 학설과 판례상의 행정행위 개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고 이미 집행된 행위이고 집행될 수 있는 행위인 것이다. Administrative functions have been required to respond the diversity and specialization of administrative relationships. The Administrative Law has recognized the need to establish the new system of administrative rules and functions which can be merged in the traditional system of a constitutional state. It will be realized by adopting administrative functions giving consideration in advance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ve decisions and the procedural rights of individuals, which will make the Administrative Law open, flexible and developed. This paper finds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examines the legal effects of government's commitment and interim administrative functions upon the premises that gradual and interim administrative functions are necessary. There are immanent differences on the definition, meanings, and requirements between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the commitment or interim administrative functions, but as so do the traditional functions, the new administrative functions also seek for and contribute to fitting the purposes of administrative decisions and protecting individual rights. Government's commitment itself regulates administrative relationships and administrative bodies will be bound by the commitment, though it does not conclude administrative relationships when it was made. It is enough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individuals whose legal rights are infringed by excluding the bounding power of the commitment should be protected by the procedure of loss compensation and administrative dispute. In 1995,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determining priority prior to providing a fishery license is not an administrative decision, but a commitment. However, the determination of priority was considered an administrative decision in the administrative tribunal and was not dismissed. In result, the decisions from both the administrative tribunal and the court were inconsistent. The interim administrative function should be approved when the implementation is beneficial, even if related facts have not been determined and the administrative function is reserved. There are negative views to accept the new administrative functions because the dependence and expectation of administration are accomplished by the traditional functions. However, although the interim administrative function accompanies its principal administrative function and requires to complete imperfection, it should not be denied that certain administrative functions are implemented and beneficial effects are accomplished. Thus, the interim administrative function meets the requirements of a administrative function, and it is already carried out and able to be carried out.

      •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김상헌 ( Kim Sang-hun ) 대한민사법학회 2016 민사법연구 Vol.24 No.-

        With the rapid change of today`s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legal matters are becoming ever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This means that specific disputes in actual life in the society cannot meet reasonable and valid solutions through application of conventional legal principles alone. Artificial reproduction remains a hot potato and foreign legislations are accelerating to catch up with its development. Still, they aren`t quite catching up with the speed of its development, and more fundamentally, people have come to harbor fundamental questions on whether legislation suited to the speed of the development is appropriate. Specifically, now that humankind has satisfied its needs for food and clothes to some extent, artificial reproduction openly fulfills the instinctive desire for offspring. Foreign legal systems have achieved various legislations in order to address such issues. In contrast, the Korean legal system has only regulatory laws such as Bioethics and Safety Act, designed to promote the bioethics and safet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bioengineering technology. The country`s legal system has not created any explicit laws that can respond to such civil code issues and has instead made an attempt to legislate on the full gamut of artificial reproduction. Then, civil code issues and disputes related to artificial reproduction cannot but be regulated through civil law interpretation. But, such interpretation must have limitations, which are evidently due to flaws in the civil code that never foresaw artificial reproduction. Mindful that modern technology for artificial reproduction has thrown doubt on the previously taken-for-granted belief that a parents-child relationship has to be determined by blood kinship, I suggest that establishing a father-child relationship further requires a review of multiple perspectives such as bioethics, the welfare of the child, the perception of related persons that constitute own child or family relation, and the thoughts of the general public, and clearly make it necessary to upgrade the intention to become a father, that is, the volitional element involved to a requirement that finalizes a father-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보험약관대출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07. 9. 28. 선고 2005다15598 판결을 중심으로-

        한기정 ( Ki Jeong Ha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서울대학교 法學 Vol.49 No.4

        (보험)약관대출은 보험약관에 기초한 제도로서 그 법적 성격이 법률의 규정 없이 판례 및 학설에 맡겨져 있는데, 그 법적 성격에 대한 우리나라의 종래 통설 및 판례는 소비대차설의 입장이었으나, 최근에 대법원은 종래의 입장을 번복하고 선급설로 전환하는 판결(대법원 2007. 9. 28. 선고 2005다15598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은 다수의견, 별개의견, 보충의견으로 나뉘어서 약관대출의 법적 성격에 관한 흥미진진한 논쟁을 쏟아 냈다. 이 판결이후 다수의견이 취한 선급설을 지지하는 학설이 세를 얻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필자는, 우리나라 학설이나 판례가 약관대출의 법적 성격을 선험적·획일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약관대출의 실무와 법이 괴리되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는다. 약관대출의 법적 성격은 그 약정의 내용 및 취지, 약정에 이르게 된 경위, 당사자의 의사 등 관련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험적·개별적으로 결정해야 할 사항이라고 본다. 실제로 약관대출의 태양을 보면, 소비대차적 성격이 현저한 약관대출과 선급적 성격이 현저한 약관대출로 나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필자는 상환의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약관대출은 그 법적 성격을 소비대차로, 상환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약관대출은 그 법적 성격을 선급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대판 2005다15598의 약관대출이 소비대차적 요소를 강하게 띠고 있음에도 대법원의 다수의견이 그 법적 성격을 선급으로 판단한 것은 비판을 받아야 한다. 다수의견이 선급설을 취한 주요 동기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약관대출금과 보험금·해약환급금 사이의 강력한 견련관계를 법적으로 보호하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해당 약관대출의 법적 성격을 소비대차라고 인정하였더라도, 영국법상 인정되는 조건부자산(flawed assets) 법리를 적용하였더라면, 그러한 견련관계를 법적으로 보호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었을 것이라고 본다. As policy loan is based on the policy itself not but on the statutory law, its legal nature depends on cases and theories. The Korean Supreme Court recently decided a case (SC 2005da15598) holding its legal nature as a prepayment of surrender value, which reversed its previous view of a money loan contract. The dominant view of academics was the same as the case before the SC 2005da1 5598, but after this new decision the argument for money loan became strong. The judges of the Supreme Court discussed and elaborated the legal nature of policy loan thoroughly, being divided into the majority opinion, the dissenting opinion, and the supplementary opinion. However, the current cases and theories could be criticised in that they determine the legal nature in a transcendent and monolithic way with the result that the law is inconsistent with the practice.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policy loan is just a contract between the insurer and the policyholder without being subject to any statutory intervention. Therefore its legal nature should be decided in an empirical and individual way by reference to the contents and aims of a policy loan contract, the process leading to its conclusion, and the parties` intents thereon so on. To decide the legal nature in a transcendent and monolithic way seems to disregard the real practice where policy loans featuring money loan or prepayment of surrender value coexist. It is suggested that the former should be regarded as a money loan contract while the latter as a prepayment of surrender value. It is undesirable that SC 2005da15598 held the legal nature of a policy loan featuring money loan as a prepayment of surrender value. If a specific policy loan is held as a money loan contract, i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and protec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loan and the surrender value. It is suggested that the theory of `flawed assets` supported by the English courts may suitably be applicable to such a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모터팬 방진고무부품의 노화수명 예측

        김완두,김완수,우창수,조상준 한국고무학회 2002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37 No.2

        청정실(Clean room)에 사용되는 환기팬용 모터의 방진고무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서 가속 열 노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진고무부품은 EPDM으로 만들었다. 노화 수명을 판단하기 위한 한계점을 20%의 압축 영구 줄음률로 하여 절대 온도의 역수 값으로 아레니우스 선도를 유도하였다. 아레니우스 관계식으로부터 방진고무부품의 다양한 온도에서의 수명과 활성화에너지를 구하였다. 그리고 수명을 판단하는데 있어 상당한 시간을 대체할 수 있는 가속 시험법을 설계하였다. 또한 방진고무부품에 첨가되는 노화 방지제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accelerated heat aging tests were carried out to predict the useful life of EPDM isolating rubber components of ventilation fan motor for clean room. 20% compression set results changes as the threshold are used for assessment of the useful life and the time to threshold value were plotted against reciprocal of absolute temperature to give the Arrhenius plot. The useful life at variable temperatures and activation energy are obtained from the Arrhenius relationship. An accelerated test program to assess useful life can be represented an appreciable investment in time was designed. We also considered the effect of antioxidant agents.

      • KCI등재

        가곡창과 시조창 노랫말의 기본 유형에 대하여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시조로 통칭되어온 가창 텍스트들은 그들을 얹어 부르는 음악적 형식이 가곡창과 시조창의 두 가지이기 때문에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가곡창과 시조창이라는 음악적 형식에 고유한 두 가지 노랫말 유형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양자를 모두 충족시켜주는, 즉 겸용이 가능한 노랫말 유형을 추가하면 모두 세 가지 노랫말 유형이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가곡창은 5악장 형식이고 시조창은 3악장 형식이기에 그 노랫말도 자연 그에 걸맞는 방식으로 짜여질 것이다. 양자 사이의 변별적 양상에 유의하면서 가곡창 노랫말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조창의 노랫말이 3행으로 표기되는데 비해 가곡창은 5행으로 표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시조창의 노랫말은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인데 비해 가곡창은 초장과 2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초장의 전반부와 후반부)이 병렬관계라는 사실이다. 세 번째로 가곡창의 3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중장)은 초장과 2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초장)을 합친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물론 시조창의 경우는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이므로 같다. 가곡창 노랫말 3장의 이러한 특성은 율격적으로 4음보가 아닌 3음보에 근사한 모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음수율로 보자면 보통의 형식인 ``3-4-3-4``이 아니라 ``5-3-4``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의미 구조로 보았을 때 3장은 전반부와 후반부가 병렬관계를 유지하지 않으며, 그래서 적확하게 양분이 가능하지 못한 것이다. 결국 율격적으로 3음보, 의미상으로는 대등한 양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곡창 노랫말 3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중장)의 특성이라 하겠다.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중장이 3음보에 근사하거나 의미상으로 온전한 양분이 불가한 양상을 보이는 것들도 있는데 이들은 시조창과 가곡창을 겸용하는 노랫말 유형에 속하는 것들이라 하겠다. 가곡창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인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 3대 가집과 시조창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인 『남훈태평가』를 보면 이 세가지 노랫말 유형이 혼재해 있음을 본다. 이로써 가창이라는 연행의 실제에서는 이들이 서로 넘나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이 둘, 혹은 세 가지 유형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이 약화되는 것은 아니다. 가곡창에 적합한 노랫말 유형과 시조창에 적합한 노랫말 유형이 어떠한 것인가는 당대인들도 인지하고 있었다. 동일한 노랫말이 가곡창과 시조창에 적합하도록 변개된 양상을 통해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jo is not only the reading text but also the singing text. There are two patterns of musical piece-Sijochang(時調唱) and Gagokchang(歌曲唱)-in singing Sijo, so we can expect there would be two patterns of reading text. In addition to them, we can add one which combines two patter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wo patterns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words of Sijochang has three lines, but the words of Gagokchang has five lines, because Sijochang has three movements of music, but Gagokchang has five movements. In the second place, the Chojang(初章) and the Jungjang(中章) of Sijochang, the first chapter(初章) and the second chapter(二章) of Gagokchang have parallel relationship. Lastly, the third chapter of Gagokchang should be different from sum of the first and second chapter, but Jungjang(中章) of Sijochang is same with the Chojang(初章). In terms of mertric aspect, the former has 3 meter ``5-3-4``, but the latter has 4 meter ``3-4-3-4`` like as the Chojang(初章). To say otherwise, by the view of morphology and semantics, the third chapter of Gagokchang would not be divided equally in two part, whereas the Jungjang(中章) of Sijochang is divided. We can find these three patterns in Samdaegajip(for Gagokchang) and 『Namhuntaepyeongga』(for Sijochang). In the real world of singing, they used these altogether. But an inquiry of the two or three patterns about it`s necessity is not weakening. They recognized which pattern is appropriate for Sijochang(時調唱) or Gagokchang(歌曲唱). Through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patterns.

      • 프랜차이즈 기업의 전사적 계약관리 (ECM) 모델 도입을 위한 IT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성훈,이성희,정규식,한규철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2010 프랜차이즈경영연구 Vol. No.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산업에 있어 가맹본부의 효율적인 가맹점 관리 시스템 도입을 위한 새로운 실무적 관점의 연구이다. 프랜차이즈는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 간의 계약에 의해 관계가 형성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계약에 의해 규정받게 된다. 따라서 가맹본부는 다수의 가맹점사업자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계약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외부적으로는 정부의 규제정책에 합법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이를 위하여 프랜차이즈 기엽의 “전사적 계약관리(ECM : Enterprise Contract Management)"라는 개념을 정립하여 가맹점 관리의 시스템화를 촉진시거고자 하였다. 이를 실무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프랜차이즈 전문 IT프로그램인 ECM 기반의 “프랜차이즈 계약관리 · 슈퍼바이정 시스멈 (Franchise Contract Management . Supervising System) - TruFCM"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의 실현과 프랜차이즈 산업의 질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practical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efficiently implementing franchise management by Franchise Enterprise in franchise industry. Franchise system is established and mutual relationship is also fulfilled based on bilateral contract between franchisor and franchisee. After contract and opening the franchisee store, franchisees are continually supervised and administered according to mutually agreed process and procedures.In this regard, franchisor should have well-managed system for supervising and assisting franchisee efficiently and effectivel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up the concept of enterprise contract management(ECM) in Franchise Enterprise and to promote the systemization of franchise management, and also to present and propose the development tool for franchise-specific IT program which is called “Franchise Contract Management-Supervis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