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한 연구

        서진아(Seo Jinah),최정아(Choi Chungah)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3

        본 연구는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미술교사들의 집단과 개인적 측면에서 반성적 사고와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ㅈ미술교과모임에 참여하여 활동내용을 심층 관찰하고, 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반성적 사고와 실천은 교과모임을 통한 수업 사례 공유 등의 활동과 공유된 수업사례를 출판하는 과정, 그리고 새내기연수나 직무연수를 운영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 측면에서 바라본 반성적 사고와 실천은 실천적 지식, 미술교사의 삶과 수엽의 일치, 미술교육의 전반에 대한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반성적 사고와 실천은 공유를 통해 개인적 측면이 집단화 될 수 있으며, 집단적 반성적 사고의 과정에서 개인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즉,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미술교사의 전문성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가 미술교사의 전문성 성장의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of art teachers in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qualitative study was executed by participating and observing the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depth and having a thorough interview with six current art teachers. The findings reveal two sets of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Group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and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In Group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akes place through activities such as sharing information about class case studies among art teachers, the process of publishing shared case studies, and managing and participating in new teachers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ractical knowledge, art teachers' conformity of life and classroom lessons, and contents of general art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can be formed through grouping of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and Group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can have an influence over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rough activities of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can be perceived that professional growth is ensuing. Therefore,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be substitut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art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 KCI등재

        반성적 실천 기재를 활용한 PBL 학습 효과

        장은주,채수경,박경옥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PBL 수업의 효과와 함께 다양한 반성적 실천 기재의 활용이 PBL 수업 운영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전문대학 비서 전공 교과에서 기대해 볼 수 있는 다양한 학습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52명의 전문대학 비서행정과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회의 및 출장’에 관련된 세개의 프로젝트 과제를 완성해 내는 수업을 통해 PBL 수업운영 및 학습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동영상, 사전사후 직무역량 및 자기효능감 평가, 자기·동료·팀 평가, 자아성찰일지등의 학습결과적 반성적 실천 기재와 마인드맵, 업무순서도 작성, 자가점검표 등의 학습과정적 실천 기재를 활용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학습 전 반성적실천은 프로젝트 과정 수행을 원활히 하게 하는 데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학습 중 반성적 실천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력 개발로 복잡한 과제를 해결해 낼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 후 반성적 실천은 양질의 프로젝트 산출물을 도출해 내는 데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반성적 실천기재를 활용한 PBL수업은학습자의 자아 학습탄력성과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며 비서직무에 대한 직무역량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혀, 예비비서인 그들에게 비서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양성 교수학습법으로써 적용된 PBL수업의 긍정적 효과와 함께 다양한 반성적 실천 기재를 활용한 PBL 수업은 전문대학생의 현장 직무능력을 증강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큰 의의를 둔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project based learning(PBL) in secretari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of reflective practice in PBL. 52 second-year college students registered in the ‘Meeting and Traveling Management’class participated in three kinds of projects related to business meetings and business tripsupport. In order to determine the learning effectiveness, we examined the effects followed bythe process of reflective practice, 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inlearning. We employed flipped learning online-modules, pre-/post- tests on job competency andself-efficacy, and self-/colleagues-/team evaluations for 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andused mind mapping, self-checklist, and workflow plans for reflective practice-in-learning. Results suggest that pre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utilizes PBL processes in apositive way; reflection-in-learning enabled college students to solve complex project issues bydeveloping high-order thinking; and post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enhanced quality ofproject deliverables. Moreover, reflective practice in PBL improves self-learning resilience andlearning attitudes, job competency and self-efficacy which results in positive effects onsecretarial efficacy of participate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eaching methods in secretarial education by demonstratingthe positive learning effectiveness of reflective practice in PBL.

      • KCI우수등재

        성찰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분석

        이미경,장금성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on reflection in Korean nursing,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for effective application of reflective practice in Korea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Methods: A review was performedusing domestic databases including RISS, KISS, DBpia, and NDSL. Twenty-three papers were analyzed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and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Results:Reflection in nursing research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5, generating almost half the publications in the last3 year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were classified into reflection-related general term (34.7%), reflective action(8.6%), and reflection writing method (56.7%).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were categorized into correlationof reflection with other variables (26.1%), learning evaluation using a reflective journal (22.2%), effects of applyingreflection as an intervention (47.4%), and Korean Self-Reflection and Insight Scale validation (4.3%). Conclusion:Results indicate that reflection or reflective practic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integrating theories to practice,an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prerequisite to becoming a professional nurse as well as a crucial tool for ideal changesin nursing. Considerable effort should be made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and effectively apply it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in Korea.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 관련 국내 간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간호학에 성찰적 실천의 활성화, 효과적 적용 및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문헌검색을 위해 RISS, KISS, DBpia, NDSL을 이용하였고, 총 23편의 논문을 일반적 특성, 성찰관련 주요변수 및 성찰관련연구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성찰관련연구는 2005년 이후로 관심을 받아오고 있으며, 연구 논문의 거의 절반이 최근 3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성찰관련 주요변수분석으로는 성찰관련 일반용어(34.7%), 성찰 행위(8.6%), 성찰 서면방법(56.7%)으로 분류되었고, 성찰관련연구 결과분석은 성찰과 다른 변수 간의 상관관계(26.1%), 성찰저널을 이용한 학습평가(22.2%), 중재로서의 성찰 적용효과(47.4%), 자기성찰 및 통찰력 측정도구 타당화(4.3%)로 분류되었다. 결론: 간호학에서의 성찰 및 성찰적 실천은 이론을 실무에 통합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고 전문적 간호실무가가 되기 위해 필수적이며 간호학의 이상적인 변화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성찰적 실천의 개념을 확립하고 국내 간호교육 및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과학중점고등학교 담당교사들의 반성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정영희,신세인,이준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nalyzes whether and how experienced teachers are reflective practice of science core school. They are aim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process of reflective practice for planning and operating experience with the basic operations and specific research projects in science core school education. A total of 11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go directly to school to study participants served as in-depth interviews were observed to school facilities and student activities that participants were aware of how they practice course get the details about and there was helpful. This research has undergone a process of re-verification data collection process and materials included in the analysis to participants in carrying out the analyzes and results, to target the science core school teacher two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tudy that was discussed and empathy for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are there, and how experienced reflective practice of science focus and operational challenges?’Analysis of the results is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are ‘reflective experience the 「reflection」 in the practice process', ‘practical knowledge demonstrated in reflective practice’, ‘the formation of knowledge in reflective practice'.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reached a new awareness through educational beliefs confirmed through reflective practice and success and failure. The significance of reflective practice results can be seen that the self-esteem by improving teacher knowledge creation and education professionals through a self-assessment by the educational experience. 이 연구는 과학중점고등학교의 담당교사들이 반성적 실천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그들이 교육현장에서 과학중점고의 기본운영과 특화연구 과제를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반성적 실천의 의미와 과정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1명의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였으며, 심층 면접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근무하는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학교 시설물 및 학생들의 활동내용 등을 관찰하였고,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실천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들을 얻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수집 과정과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분석에 포함된 자료들과 분석결과들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과학중점고 담당교사 2명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는 연구과제와 특화연구 실천과정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교육현장에서 복잡한 문제 상황을 일상적으로 대면하고 있으며 실천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는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교육적 신념을 확인하고 성공과 실패를 통해 새로운 앎에 이르렀다. 교사 수업전문성 향상, 진로지도, 탐구활동 지도, 학내 기반 확보, 연구과제 지도 등 지속가능한 과학중점고의 방향을 제시함을 통해 과학중점고의 운영맥락을 충분히 숙지하고 반성적 실천을 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성적 실천결과의 의미는 교사는 교육경험에 의한 자기평가를 통하여 지식의 생성과 교육전문가로 자아존중감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교육실습 맥락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탐구 저널쓰기 경험의 의미 탐색

        김은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2

        This study seek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writing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n the context of their teaching practice. 3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4-week teaching practice and submitted one journal per week. The four different reflective inquiry journals they submitted were public moral inquiry, multi-perspective inquiry, deliberative inquiry, and critical inquiry journal. While writing their journals, students reflected on their ongoing teaching practice. Once the students had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e, they wrote an autobiographical inquiry journal. The data sources used for this analysis were the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n-depth interviews of both large group and focus group, and feedback emai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journal writing introduce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by vent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direct and solve the problems. Second, the journal writing lea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s of the teaching practice by judge themselves, recognized limit of technical methods, their application of appropriate theories Third, writing the reflective inquire journals allowed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identity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educational valu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their personal practical knowledges. Furthermore, it reminds them to maintain a critical reflection regarding their views on modern educational hypotheses, curriculum, the image of child, and the role of teacher throughout the educational process at macro level. Based on this study regarding practical meaning of writing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 suggest the use of reflective inquiry writing as acomponent of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teaching practice, online interchangeability considering efficiency, and feedbacks for having emotional solidarity.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실습 맥락에서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중 30명의 예비유아교사들로서 교육실습이 있는 학기의 수업에서 4주의 실습 중 공적 도덕적, 다원적, 신중한, 비판적 탐구저널쓰기를 주 1회 4차례, 실습 후 자서전 저널쓰기 1차례를 진행하였다. 실습 중 저널은 매주 이메일로 제출하고, 개인별 2차례 피드백 하였으며, 실습 후, 공유 및 저널쓰기, 3차례 학급별 집단면담, 3차례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맥락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는 정서 분출, 소통하고 관계 맺기, 방향을 잡고 문제를 해결하게 함으로써 실습을 안내하였다. 둘째, 실습맥락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는 예비교사로 하여금 교사로서 자신 평가, 기술적 방식의 한계 알기, 이론의 의미를 깨달아 적용하는 기회로써 실습의 중요성을 알게 하였다. 셋째,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를 통한 실습은 교육에 대한 가치, 교수접근, 교실문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개인적실천적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 되었다, 나아가, 현재의 교육적 가정, 교육과정, 유아 이미지, 교사 역할, 그 외 유아교육 전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불러오게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양성 대학의 교사교육과 교육실습을 위한 프락시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반성적 실천 활동 맥락에서 나타나는 예비물리교사의 학습 성향과 반성적 사고의 관계

        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7 새물리 Vol.67 No.3

        The purpose of this str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physics teachers’ learning orientation and their reflective thinking in the context of reflective practice. For this, the author designed the reflective practice activities for pre-service physics teachers based on the pedagogy of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model according to previous literatue, and 33 pre-service physics teachers took part in this reflective practice where pre-service teachers should reflect on their teaching plans and practices for 5 weeks before field practicum.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measured using reflection journals that the teachers wrote after field practicum, and their learning orientation was measured using Internal/External Orientation before and after the reflective practice. As a result, the author was able to find the distribution of the pre-service physics teachers’ learning orientation and their reflective thinking. In addition, the pre-service physics teachers’ internal and external orientation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some categories of reflective think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 행동에 대하여 의도적이고 조직적으로 반성하도록 하는 반성적 실천 활동 경험에서 예비교사들의 학습 성향과 반성적 사고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에서는 예비물리교사 33명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반성적 교사교육 모형에 기반하여 자신의 수업 계획 및 수업 실천을 반성적으로 분석하는 반성적 실천 활동을 구안하여 교육 실습 이전 5주 동안 적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이들이 교육실습 후에 작성한 반성일지를 분석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학습 성향은 내외적 학습성향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물리교사들의 학습 성향과 반성적 사고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내적 및 외적 학습 성향이 반성적 사고의 유형에 따라 일부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고문숙 ( Mun Suk Go ),남정희 ( Jeong 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링 전호의 교수행위의 특징과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를 통해 교수실행의 반성적 실천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석사 과정에 있는 연구자 2명, 3명의 멘토교사와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이 참여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reflection)과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으로 범주화하여 수업실행 전후의 멘티저널, 멘토링 협의회 녹음전사본, 멘토링 후 멘티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초임 과학교사 3명의 멘토링 이전 수업의 특징은 교과내용지식과 관련된 측면은 어느 정도 구성되어있으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탐구적 교수법과 학생들의 능동적 지식 구성을 강화하는 수업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3명의 멘티교사의 차시별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티교사별로 상승곡선의 경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나, RTOP의 평균 점수는 점진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로 나타난 반성적 실천에서는, 멘토링 과정에서 3명의 멘티교사 모두 수업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며 점진적으로 반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에게 수업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반성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반성적 실천에 의한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수업반성을 통해 교수기술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class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hrough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at induce reflective thinking practi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mentor-teachers two teachers in doctor`s or master`s course one university professor and three mentee-teachers who have less than fou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 collected data such as video recordings of the mentee-teachers` classroom teaching and transcription lesson plans recording of one-on-one mentoring and transcription mentor and mentee`s journals and RTOP classroom teaching observation reports. RTOP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and mentee-teachers` recognition and changes in their classes were found out through journals and one-on-one mentoring interview materials. According to mentee-teachers` recognition and changes in their classes during the mentoring program they themselves recognized their teacher-centered teaching style misconception and lack of content knowledge. Furthermore there were changes in the mentee-teachers` classroom teaching through their reflective practice and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ractions with mentor-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stimulated mentee-teacher`s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Therefore these reflections led to their reflective practice that showed progressive changes in their teaching behavioral activities. The extent of these changes varied according to the mentee-teachers` individual disposition toward reflection and the issue of whether mentee-teachers` reflective practice was in accordance with priorities in motivational ZDP or not.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reflection was not all accompanied by reflective practice even if the beginning science teachers made some partial changes in reflective practice through reflection. It means that it is hard to lead reflective practice for mentee-teachers through mentoring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we consider that a systematic and long-term mentoring program is necessary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KCI등재

        A text analysis of EFL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through text-mining techniques

        박은정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23 중등영어교육 Vol.16 No.3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key constituent of effective teacher education and that text-mining techniques can be utilized to analyze and appreci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practice. The study focuses o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preservice teacher, who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pedagogical practices.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and examine reflective texts written by EFL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find patterns and themes that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participants were inquired to compose reflective texts on their instructional and pedagogical teaching experiences,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s. This study identified key features and theme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such as instructional activities (dictation, listening, speaking) for learning, teacher feedback of students’ errors, and test and measuremen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issu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ext-mining techniques can provide invaluable insight into the reflective practice of preservice teachers and help teacher educators design more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and effective teachers. Overall, the study contributes to an expanding corpus of research on reflective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of text-mining techniques to support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flective texts. This study includes critica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design and implications, as it advocates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practice expertise should be a key to such program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이경숙 ( Gyeongsuk Lee ),유태명 ( Taemyung Yoo ) 대한가정학회 2016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ehend what the power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to make home economics teachers participate is and how PLC activity contributes to reflective practice and change of participating home economics teachers by experiencing reflective practices. For this, self-reflective action research of Kemmis and McTaggart was conducted. Six home economics teachers participated voluntarily and totally 18 PLC sessions from May 31, 2013 to May 19, 2014 were held. Two themes of ‘looking in classes’ as a main practice theme and ‘designing classes together’ as a supporting theme were carried.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participants of PLC to get data and information on teaching and to solve problems with fellow teachers for better classes at first. However, they have become to comfort and sympathize each other about difficulties in school as home economics teachers. Second, through the PLC activity, they found they had uncomfortable belief about teaching and tried to practice solutions by critical and reflective thinking. Third, they put efforts in finding alternative framework of looking inside their classes for the fundamental improvement in teaching. For this, they formulated questionnaire to describe their own reflective practice through the alternative framework from a critical perspective in teaching, a view of student’s learning, and a teacher’s inner view for improvement of practice. Fourth, PLC activity for a year allowed them to combine theory and reality though reflective process by designing classes together and reflectively practicing them in classes.

      • KCI등재

        마음공부에 있어서 반조(返照)의 역할 - 선(禪)불교와 원불교를 중심으로 -

        장진영 ( Jang Jin Young ),오용석 ( Oh Yong-suk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2 No.-

        본 논문은 마음공부에 있어서 반조(返照)의 역할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위해 선불교와 원불교에 나타난 반조의 의미 구조와 실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선불교의 반조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회광반조(자성반조)가 조사선의 기본적인 수행법임을 알수 있었다. 회광반조(廻光返照)는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지혜의 빛으로 자기를 비추어 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 마음의 본성을 자각의 빛을 돌이켜 통찰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조사선에서는 대상화시킬 수 없는 `공적영지(空寂靈知)`를 반조를 통해 돈오하는 것이다. 반조는 눈이 눈 자체를 볼 수 없는 것과 같이 스스로 눈이 있다는 비이원적 자각을 통해서 가능하다. 선불교에서는 이러한 자성반조를 중시하였다. 선불교의 반조가 원불교에서 그 의미와 쓰임이 확장되었다. 즉 자성반조에 방편적 반조가 더해져 일상성이 강조되고, 동정일여의 무시선(無時禪)으로 전개되었다. 원불교에서는 방편적 반조를 목적반조에 수렴시켜 모든 실천이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자성반조와 목적반조가 표리 내외의 관계를 이루어 무시선에 이르는 마음공부의 체계를 갖추었다. 더 나아가 참다운 견성에 이르지 못한 이들 혹은 마음에 사심(邪心, 私心)이 남아 공심(空心, 公心)에 의한 자리이타의 서원을 세우지 못한 이들이라도 자성반조와 목적반조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일상 속에서 진리(불법)과 스승(불보살)에 대한 신심(信心)을 전제로 모든 경계(境界)에서 목적반조를 통해 서원(誓願)을 키워가고 모든 경계마다 자성반조가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자성반조와 목적반조는 본래 둘로 나눌 수 없는 표리의 관계이지만 공부의 초입에서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마음공부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role of reflection in mind practice.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structure and practice of banjo or reflecting on one`s original nature in Seon Buddhism and Won-Buddhism. First, we revealed that hoegwang-banjo (Jaseong-banjo) or `withdrawing and reflecting on one`s original nature` was a basic practice method of patriarchal Seon (祖師禪), through prior studies related with banjo or reflection in Seon Buddhism. Hoegwang-banjo means to turn one`s attention which is ordinarily directed to external things back to oneself. Especially in Patriarchal Seon, there is sudden awakening (頓悟) or `empty quiescence and spiritual awareness` (空寂靈知, Gonjeck-Yeongji)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Banjo or reflecting on oneself. Just as the eye cannot see the eye itself, this banjo or reflec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non-dualistic awareness. Therefore, Jaseong-banj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on Buddhism, The meaning and usage of banjo in Seon Buddhism influenced the Won-Buddhist teachings. In other words Jaseong-banjo or reflecting on one`s self-nature was extended by the emphasis of daily practice as reflection with skillful means, and was translated into `Timeless meditation` (無時禪), that is consistent with stillness and activity, in Won-Buddhism. In addition, in Won-Buddhism, all practice including reflection with skillful means was intended to conform to mokjeok-banjo or reflection on ultimate purpose or vow (誓願). As a result, Jaseong-banjo and mokjeok-banjo have a bilateral relation with the inner and outer. The system of mind practice as timeless meditation was established by these two sides of reflection in Won-Buddhism. Furthermore, even if we fail to see the nature or to establish a vow improving oneself and bring benefit to others, Won-Buddhism proffers methods to be able to reflect on our self-nature and vow. That is, in daily life, if we have a belief(faith) in truth or Buddha Dharma and master or Buddha, we can reflect on our vow and self-nature when faced with a sensory condition. Likewise, Jaseong-banjo and mokjeok-banjo have a bilateral relation, but these play an indispensable role in mind practice from beginning to per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