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재판으로서 국민투표소송

        허완중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4

        국민은 선거와 국민투표를 통해서만 국가권력을 직접 행사한다. 여기서 국민투표는넓은 뜻의 국민투표를 가리키는데, 국가의 의사형성이나 정책결정, 국가적 중요사항에관한 국민의 직접적 참여수단을 모두 아우른다. 국민투표소송은 이러한 국민투표의 효력을 다투는 재판절차를 말한다. 국민투표는 직접민주주의의 일반적 실현형태로서 그헌법적 중요성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국민투표소송은 헌법학계는 물론 행정법학계에서도 거의 다루지 않는다. 다만, 행정법학계에서 민중소송의 하나로 언급하는 정도이다. 이것은 국민투표 자체가 아주 드물게 시행되는 데다가 국민투표소송은 그 판례를 찾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민의 직접적 주권 행사나국가의사 결정에 관한 직접 참여와 관련 있는 국민투표소송이 이렇게 무시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국민투표소송은 선거소송과 비슷한 점이 많기는 하지만, 대의제와 관련이 있는 선거소송과는 다른 점도 적지 않다. 국민투표소송은 헌법개정 국민투표소송과중요정책 국민투표소송으로 나뉜다. 법률상 국민투표소송은 행정소송의 하나인 민중소송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국민투표소송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행정소송과 다르다. 국민투표소송은 독립한 기관이 헌법과 실질적 헌법인 법률을 기준으로 사법절차나 그에 버금가는 절차로써 일반사법기관이 판단하기 어렵고 헌법구조상 중요한 헌법분쟁인 국민투표에 관한 분쟁을 종국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민투표소송은 헌법재판의모든 개념요소를 충족한다. 이러한 점에서 국민투표소송은 이론상 헌법재판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헌법재판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헌법재판소가 설립된 이상 국민투표소송도 헌법재판소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헌법 제101조 제1항이 사법권을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 사법권은 전통적인 사법권으로헌법재판권을 아우르지 않는다. 그리고 헌법 제111조 제1항은 헌법재판소의 권한을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법률을 통해서 헌법재판소에 국민투표재판권을 부여하는 것은 헌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The People directly exercises their power only through vote and referendum. Referendum here means, in a broad sense, direct participation tools to engage in establishing the nation's will, policy decisions and important national matters.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a judicial proceeding where the effects of the referendum are disputed. There is no question about the constitutional importance of referendum as a general form of direct democracy. Nonetheless,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rarely discussed among administrative law scholars as well as constitutional law scholars. It is merely mentioned as one type of public litigation in administrative law. This attributes to the fact that referendum is very rarely conducted and there is little case regarding postreferendum litigation. However, post-referendum litigation, which relates to direct exercise of popular sovereignty and direct engagement in national decision-making procedure, should not be ignored this way. Post-referendum litigation and electoral litigation share many things in common, but differences still remain as electoral litigation relates to representative system. Post-referendum litigation falls into two categories-referendum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referendum for important national policies.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legally considered as public litigation which is one typ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However,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different from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many respects. Post-referendum litigation leads to a final and ultimate determination by an independent institution in the judicial proceeding or similar proceeding based on the constitution or statutes that function as the constitution in substance on the disputes over referendum, which are difficult for general courts to decide and also are important constitutional disputes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Accordingly, post-referendum litigation meets all required elements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this regard,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theory. In light of the above and to the extent that the court specializing i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take charge of post-referendum litigation. Article 101 section 1 stipulates that judicial power belongs to the judiciary consisting of judges. However, the judicial power here means the power of the judiciary in traditional sense that does not include the power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And Article 111 section 1 does not limit the power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is sense, it is not constitutionally problematic to vest the adjudication power over post-referendum litigation in the constitutional court.

      • KCI등재

        주민투표법개정안의 문제점과 보완방안

        이기우 한국지방자치학회 2019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1 No.3

        주민의 의사와 지방정부의 결정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은 양자의 불일치를 극복하고 주민의 주권을 실현하기 위한 정치제도이다.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은 대의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직접민주주의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 2004년 주민투표법이 제정되어 실시된 이후 전국의 243 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투표가 실시된 것은 현재까지 9건에 불과하다. 이는 주민투표제도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민투표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주민투표제도의 설계가 잘못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정부는 2019년 1월에 주민투표법개정안을국회에 발의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정부가 발의한 주민투표법 개정안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고국회심의과정에서 보완해야할 사항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행 주민투표법의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주민투표법 개정안이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로 보완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보완사항을 제안한다. 먼저 서울시 무상급식주민투표와 진주시 의료원재설립 주민투표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현행 주민투표법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주민투표법 개정안을 평가가기 위한 기준으로 사례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주민투표법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주민투표법 개정안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어느 정도로제시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국회심의과정에서 보완할 내용을 제안한다. 개정안에는 매우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문제점에 대한 처방만 제시되어 있고, 최소 찬성률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주민투표제도를 더욱 경직하게 만들고 있어 주민투표제도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 할수 없다. 현행 주민투표법은 주민투표에 관한 규정이 없고 주민발안을 주민투표로 오해하여 혼란을 초래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이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념혼란을 바로잡고,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항목별로 제시한다. 법률명칭부터주민투표와 주민발안에 관한 법률로 개칭하고 주민투표에 관한 별도의 장을 신설하여 지방자치단체의결정에 대한 주민의 최종결정을 규정하고, 현행법에 규정된 주민투표를 주민발안으로 표제를 바꾸어독립된 장에 규정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이가 있다. The will of people and the decision of local government are not always consistent. Referendum and initiative are political systems founded to overcome the disagreements between the two and to secure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The referendum and the initiative belong to direct democracy, working in order to complement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referendum system in 2004, there have been only nine referendums from the 243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votes of the people. This result means that the referendum system has been introduced, but is not up to the level of being actually used.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the referendum system is not activated is due to the deficiencies in the design of the system. Chapter 2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referendum system. Chapter 3 analyzes the cases of the referendum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past and also examine the problems. In particular, it will focus on the referendum concerning the Seoul Metropolitan City free lunch and the referendum on the re-establishment of Jinju Medical Center in Gyeongsangnam-do. Chapter 4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referendum law based on case analysis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re is no provision for referendum in the referendum law, and there are too many prohibitions on the referendu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suggestions are posed that the referendum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initiative in the law and the prohibition of the referendum should be deleted. Moreover, the content of the revision bill proposed by the government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19 is assessed and a substantial supplement is proposed.

      • KCI등재

        주민투표제도에 관한 헌법적 검토

        박인수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3

        It has been more than 15 years since the Local referendum was institutionalized and implemented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but the actual results are not reaching expect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ime for a fundamental review from the constitutional perspective. First of all, in this study, the classical constitutional theory of whether the means of direct democracy, such as the Local referendum system, can be accepted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structure based on indirect democracy and representative system. Subsequently, even in the case of the Local referendum system as a method for confirming the inten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 nature or effect of the right for the Local referendum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y are viewed as Collective autonomy or Resident autonomy. To examine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referendum and the characterization of local autonomy by the State Form. Furtherm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referendum system by law, which is an institutional device for th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is 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The aim was to present a constitutional and legal method by which the system can take root.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ack of constitutional suitability for Local referendums, it is necessary to at least make explicit provisions on constitutional Local referendums through constitutional amendments. Furtherm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for the Local referendum as a constitutional basic right, the provisions on how to exercise sovereignty, the form of state, and the basic right provision should be supplemented. Also, if the Local referendum is active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e Local referendum law and it is intended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pportunities of the residents in the area of local autonomy, the provisions on the subjects, methods, and effects of the referendum within the scope not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The contents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revision or new establishment of the Local referendum. 현행 헌법 하에서 주민투표가 제도화되고 시행된 지 15년여가 지났지만 현실적인 실적은 기대에 이르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주민투표제도에 대하여는 헌법적 관점에서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간접민주주의와 대의제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 현행 헌법 구조 하에서 주민투표제도와 같은 직접민주주의의 수단도 수용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고전적인 헌법 이론적 논의를 선결과제로 한다. 이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의사를 확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주민투표제도라고 하더라도 지방자치의 성격을 단체자치로 보느냐 또는 주민자치로 보느냐에 따라 주민투표권의 성격이나 효력의 문제를 상이하게 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민투표와 국가형태별 지방자치의 성격 규명과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나아가 지방자치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인 주민투표제도를 법률로 제정하는 것이 헌법 정합적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결론에서 지방자치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의 주민투표제도가 뿌리내릴 수 있는 헌법 및 법률적 차원에서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민투표에 대한 헌법적합성 결여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헌법개정을 통하여 헌법상 주민투표에 관한 명시적 규정을 둘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주민투표권을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권의 행사방법에 관한 조항, 국가의 형태에 관한 조항, 기본권 조항에 관한 내용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주민투표법의 차원에서도 주민투표가 적극적으로 시행되어 지방자치의 영역에서 주민의 참여기회를 확장하고자 하다면, 헌법에 반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주민투표의 대상․방법 나아가 결과의 확정에 관한 조항 등을 개정 또는 신설하는 방향으로 내용을 보완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주민투표의 의미와 법적 문제점

        김동건(Kim Dong Gu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6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6 No.1

        주민투표란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이 지방자치단체의 권하에 속하는 사항을 직접 결정하는 제도로서 주민의 직접 민주적인 참여제도이다. 지방행정에 주민의 참여와 통제를 실현하면서 이를 통하여 대의제 민주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 우리법체계에서 직접 민주주의적 요소를 도입ㆍ보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의 주민투표법은 2003년 12월 29일 국회에서 통과되어 2004년 1월 29일 공포되었다. 이는 지방자치행정의 민주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결정사항에 대하여는 주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주민투표의 대상ㆍ요건 및 절차 등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주민투표의 의미와 법적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먼저,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주민투표에 관한 몇몇 중요한 판례들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의 우리판례는 주민투표권을 헌법이 보장하는 참정권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하였다. 또한 주민투표의 대상이 되는 사항이더라도 주민투표의 시행여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임의적 재량에 달려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주민투표법이 시행된 이후 앞으로의 판례의 변화를 기대해 볼만한 부분이다. 둘째, 주민투표법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사항에 대한 주민투표와 국가정책에 대한 주민투표의 두가지 형태를 인정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러한 주민투표법에서의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주민투표의 대상의 문제라든가, 주민투표의 제기요건, 또 주민투표의 구속력의 문제, 주민투표법에 의하지 않는 주민투표의 가능성 등 현안의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안의 주민투표법이 결코 종국적 법형태일 수는 없으며 앞으로 많은 관심속에 변화를 거쳐야 할 법임을 강조하면서, 그럼에도 이번 입법에 의하여 주민참여의 길이 열리고 지방자치의 민주화가 보다 덜 잘 실현될 수 있는 여지를 부여했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적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한다. Referendum is a mechanism whereby a measure already approved by a governing body is submitted to the electorate for approval or rejection. In local autonomy, It refers the power to the people to approve or reject the act of self-governing body. Recent years, there were enlarged public role in local autonomy. So local public demand to have the power to review the role of the local autonomy. In Korea, the Inhabitants Referendum Law is enacted on 29th January, 2004. It is provided in this statute that the main project of the self-governing body can be the subject to Inhabitants/ Referendum. It can realize the autonomy and gives the inhabitant the way to participate in local-governing and to regulate the role of that.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inhabitants referendum and its legal issues. First, several main case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re reviewed. Second, the contents of the Inhabitants Referendum Law are reviewed. In that Law, there are two kinds of Inhabitants Referendum. One kind of Inhabitants Referendum is on some important decisions which is provided in the municipal ordinance. Another kind is on the main policy of the state. Third, the legal issues of Inhabitants Referendum are reviewed. What can be the subject of Inhabitants Referendum? Whether the result of the Inhabitants Referendum has the binding power or not? What is the condition for Inhabitants Referendum? Is it possible to put something to the vote beyond the regulation of the Inhabitants Referendum Law ? And last, I urged that this Law cannot be the final and should be changed some part in some time. But the fact itself that the Inhabitants Referendum Law is enacted has the significance. The door to participate in the local governing is opened for the Inhabitant and the democracy in the local autonomy will be better realized.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ttitudes of Britain and Spain towards independence referendum

        Hua Minchao(화민초),HyunJung Kim(김현정),Bo Tu(두보)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2

        최근 몇 년간 독립투표(Independence referendum)는 일부 유럽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치 운동이 되었으며 학계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집행정부의 태도는 국민 투표의 실현과 이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유럽 내 영국과 스페인은 유사점이 많지만 독립투표에 대해서는 다른 태도를 보여 왔다. 영국 정부가 2014년 스코틀랜드에서 독립에 관한 국민 투표를 허락했지만 스페인 정부는 독립지역의 국민 투표를 단호히 반대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비교 분석을 통해 독립투표에 대한 두 정부의 태도 차이를 연구하였다. 결과로 첫째, 정치적, 문화적 관점에서 영국의 정치 상황은 근대 이래 점차 안정되었고, 지역분권을 통해 지방이 독자적 선택을 할 때는 보다 열린 마음으로 독립을 받아들일 수 있다. 반대로 스페인은 근대 혼란과 독재에 빠졌었고, 가톨릭의 강력한 집정에 의해 중앙집권 정치문화를 형성하였다. 이에 스페인은 지역독립 국민투표 처리에 있어 더욱 신중하고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둘째, 정당 전략의 관점에서 볼 때 스코틀랜드는 독립 가능성이 적으며, 보수당 정부가 국민 투표를 동의한 것은 ‘낮은 위험, 높은 수익’이라는 관점에서다. 하지만 스페인의 카탈로니아는 독립실행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부가 만일 독립투표를 허락한다면 독립을 허락하는 것과 같다. 또한 정당의 이익과 경제의 관점에서 볼 때 지역 독립은 양 정부에 큰 해를 끼칠 것이지만 스코틀랜드 독립은 카탈로니아 독립만큼 파괴적이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독립투표의 위험과 이익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the risks and benefits)는 정부가 지방 독립투표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임을 도출할 수 있다. 때문에 독립투표는 각 나라 집행정부의 태도차이에 따른 다른 시나리오가 나타날 수 있으며, 스코틀랜드와 카탈로니아의 경우는 보편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referendum on independence has become an important political movement affecting some European countries, and has also received wide attention from academics. The attitude of the govern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plays a decisive role in whether the referendum can be realized and implemented. While, in Europe the British ruling government agreed to hold a referendum on independence in Scotland in 2014, the Spanish government resolutely opposed, holding a referendum in the break-away region. Although the two countries have many similarities, they also have different attitudes towards regional referendums. This paper studies the difference in attitudes of the two governments towards independence referendum using a literature review approach and comparative analysis. From the polit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e British political situation has been stable in recent times, and its local autonomy tradition has enabled it to accept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with a more open mind when facing regional independence. On the contrary, Spain"s turmoil and dictatorship in recent times, coupled with the centralized political culture formed by the strong Catholic presence, make the country more cautious and conservative in its treatment of regional independence referendum.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arty strategy, Scotland has a small probability of independence. The Conservative government agrees that the referendum is “low risk and high return”. While Catalonia has a high probability of independence, the People"s Party government agrees that the referendum is undoubtedly self-defeating. Although regional independence has done great harm to both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y interests and economy, Scottish independence is not as destructive as Catalan independence. The different ways of dealing with local referendums in the two countries show that the ruling government"s assessment of the risks and benefits of independent referendum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its attitude. Different scripts may appear in different countries because of the different attitudes of the ruling government and the cases of Scotland and Catalonia may not be universally applicable.

      • KCI우수등재

        재외국민의 국민투표권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과 그에 따른 헌법개정 국민투표의 개선과제 연구

        장지원(Jang, Ji Won)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2 No.2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stipulates an essential referendum as a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dure; the Article 130 (2)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posal must be put on a referendum within 30 days of the National Assemblys resolution.” The Korean Constitution stipulated such a short referendum deadline in consideration of only domestic referendums. And the Referendum Act has been enacted as a substantive constitution in order to stipulate the details of such a constitutional amendment referendum. Under this back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Article above has been have a limit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referendum law, which did not grant referendum rights to overseas citizens without resident registration, was unconstitutional. As a resul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referendum for these overseas citizens must also be held.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referendum changed by the Courts decision, requiring referendums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However,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hold the referendum abroad within a short period of the 30 days above. To extend the 30-day referendum deadline, a constitutional amendment must be made within the short period of the 30 days, which is difficult to achieve. Therefore, a strategy is needed to amend the constitution. Thus, this study sought and presented the measures from various angles to improve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referendum in Korea.

      • KCI등재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가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임다희 ( Da-hee Lim ),김지수 ( Ji-soo Kim ),이선우 ( Sun-woo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가 지역내 갈등완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주민투표는 대의민주제가 지닌 주인-대리인 문제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사회에 문제를 지역주민들이 결정하는 정책결정 방법의 하나이다. 최근 주민투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민투표를 통한 정책결정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지만 동시에 주민투표로 인한 또 다른 갈등이 야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숙의적 참여를 통한 주민투표의 지역내 갈등완화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는 공개성, 공정성, 평등성, 성찰성을 숙의적 참여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지역내 갈등완화는 갈등관리 인식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이 4가지 요인에서 어떤 요인이 지역내 갈등완화에 미치는 요인인지 경로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요인 중 평등성과 성찰성 요인만이 갈등관리 인식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등성은 주민투표 실시기준에 대한 기준의 명확한 마련의 필요성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성찰성은 주민투표에 대한 교육, 상호의견 교환 및 논의 등과 같은 제도와 투표사안에 대한 교육의 측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고려를 통해 갈등관리기제로서 주민투표가 긍정적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숙의과정에 대한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factors of deliberative participation of referendum influencing on conflict mitigation within the region. The referendum is one of the decision-making methodologies which local residents decide their problem of the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limitations such as the principal-agent proble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other conflict has been caused by the referendum simultaneously, even though recently an interest in the referendum and cases of decision-making through the referendum have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eferendum through deliberative participation on conflict mitigation within the region.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factors of the referendum were openness, fairness, equality, and reflexivity, and the conflict mitigation within the region was awareness of conflict management. This study found that which factors had influence on the conflict mitigation within the region via path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igured out that only equality and reflexivity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conflict management. The Equality can be regarded as the necessity of making the clear criteria for the referendum implementation criteria, and the reflexivity can be considered as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aspects such as instruction and mutual discussion about the referendum. Considering these aspects, it is essential to guarantee the deliberative process for the referendum to make the positive role as the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 The analysis found that out of the four factors, only equality and reflection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management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Equality can be judged by the need for a clear standard of standards for the standard for conducting a referendum, and the reflexibility can be determined by systems such as education on the referendum, exchange of opinions and discussions. In order for the referendum to play a positive role as a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 the review process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 KCI등재

        영국의 유럽공동체(EC)-유럽연합(EU) 회원국 지위에 관한 재협상과 국민투표: 1975년과 2016년 사례에 대한 비교연구

        강유덕,임태훈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1 EU연구 Vol.- No.58

        This study examines the UK’s two referendums on the EC/EU membership that took place in 1975 and 2016. The 1975 referendum was driven by the Labour Government according to its manifesto in the general election in 1974. After coming to power, the Labour Government renegotiated UK’s membership with the EC and other member countries and put the outcomes on a referendum. The 2016 referendum took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servative Party’s election pledge to hold the referendum on EU membership. Following the result of the referendum in favor of leaving the EU, the UK became the first EU member that exit from the EU. Both referendums are similar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both governments (Labours in 1975 and Conservatives in 2016) pledged to hold a referendum on the EC/EU membership during the election campaigns in an attempt to take more advantageous position in negotiations. As soon as they came to power, the governments initiated a new negotiation with the EC/EU and put the results of the negotiations on a referendum. Second, both governments took an ambiguous or neutral position during the referendum campaigns. Besides, they did not provide an alternative to the case where the result of the referendum was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EC/EU. The difference in the two referendums are as follows; the negotiations in 1975 were mainly focused on the conditions of membership, whereas in the negotiations in 2016, the content of the EU's operation direction became a major concern due to the rise of Euroscepticism in the UK politics. Meanwhile, it is believed that 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UK in the 1970s and 2010s also influenced the discussions and results of the referendum. Interestingly, in both referendums, the logic of the Brexit supporters is the protection of policy sovereignty regardless of political parties. This consistency reminds us once again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U is, in the end, a compromise between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and supranational integration. These findings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 EU system, which experienced a decline in the number of Member States for the first time due to the UK's withdrawal, could secure the driving force for maintaining integration. 이 연구는 1975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던 영국의EC/EU 회원국 지위에 관한 국민투표를 비교‧분석하였다. 1975년의 국민투표는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이 선거공약에 따라 영국의 가입조건을재협상한 후, 그 결과에 대해 실시한 경우이다. 2016년의 국민투표는 보수당의 선거공약에 따라 집권 후 보수당 정부가 추진한 EU 집행부와의새로운 협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것이며, 그 결과 EU 탈퇴가 결정되었다. 분석 결과 양 차례의 국민투표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먼저, 집권당은 협상결과와 국민투표를 총선 공약으로 선언함으로써 협상 입지를강화했고, 요구 사항을 상당부분 관철시켰다. 반면에 캠페인 과정에서는모호하거나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또한 국민투표 결과가 EC/EU 탈퇴로 결정될 경우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지 않았다. 차이점은 국민투표에 앞선 협상에 있어 1975년의 협상이 주로 가입조건에 집중되었던데 반해, 2016년의 협상은 유럽회의주의 성향의 부상에 따라 EU의 운영방향에 관한 내용이 관심사가 되었다. 한편 1970년대와 2010년대 영국의 경제적상황 또한 국민투표의 논의와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흥미로운 점은 양 차례의 국민투표에 있어 정당과 관계없이 정책주권의 보호를 요구하는 탈퇴지지 측의 논리가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일관성은 EU의 발전과정이 결국 국가 간 협력과 초국가적 통합 간의 갈등임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이러한 발견은 영국의 EU 탈퇴로 처음으로 회원국 수 감소를 경험한 EU 체제가 어떻게 통합 유지의 원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숙고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 KCI등재

        한국 헌법상의 직접민주제

        변해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외법논집 Vol.40 No.1

        As Korean politicians, at the moment of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after the world war Ⅱ, were not familiar with direct democracy, the Constitution of 1948 was not directly adopted by the People through a national referendum. The citizens’ initiative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adopted by the Constitution of 1954. But, a national referendum was allowed only for a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e important State’s matters. It was extended to all constitutional revisions in 1962. Besides, a national referendum on a constitutional amendment, the People could make directly a decision on important policies of the State by another type of national referendum since 1972. In current Korean Constitution, direct democracy is allowed not only as a national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of the State (Art.72), but as that on constitutional amendment (Art. 130). In reality, the two types of national referendum have never practiced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The People’s right to vote in national referendums could be allowed passively, only in case of which the President propose to decide their opinions on important policies, such as diplomacy, national defense, unification or other national security, and crisis under Article 7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 And, it is same in national referendums on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under Article 130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President monopolizes the discretionary authority to institute national referendum including the authority to decide whether to institute a national referendum,” it is needed to reintroduce the People’s legislative initiative for the check and balance between the representative and the People in Korean Constitution. It could be one of topics which have to be debated in a new constitutional revision in the future. In local level, instead of short history of local autonomy itself, the various types of direct democracy have been adopted; local legislative initiative (1999), local referendum (2004), recall of elected officials by residents (2006), etc. As they have contributed to develop the democracy in local autonomy administration, it is expected also in national government. 오늘날 국민주권원리를 채택하고 있는 대부분의 국가는 대의제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대의제의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직접 민주제를 부분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직접 민주제의 구체적 내용으로는 국민발안, 국민소환, 국민투표(레퍼렌덤 및 플레비시트)가 있는데, 각 국가의 헌정사적 배경과 헌법현실에 따라 그 내용을 다양하게 채택하고 있다. 우리 헌법은 건국헌법 이래로 간접 민주제(대의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1948년 제정된 건국헌법은 국민주권원리를 천명하면서도, 국회의원선거 이외에는 다른 형태의 주권적 의사표현의 기회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대통령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고 제헌의회가 작성한 헌법제정안을 국민투표로 확정하기를 원했던 당시 국민의 의사와는 맞지 아니하는 것이었다. 이후, 빈번한 헌법 개정의역사 속에 헌법 개정 절차에서의 직접적 국민참여 기회는 확대(국민발안이나 국민투표 도입)되어나갔으며, 그 외에 국가중요정책에 대한 국민투표까지 인정되었다. 몇 가지 중요한 헌법적 사건을 통해 국민투표제를 포함한 직접 민주제의 헌법적 의미에 대한몇 가지의 소중한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우선, 우리 헌법은 대의제원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거듭 확인함으로써, 국민과 국회의원의 관계는 자유위임의 관계이기 때문에 명령적 위임(기속위임)관계를 전제로 한 국민소환제도는 헌법해석상 허용될 여지가 없으며 이는 헌법 개정 사항이라는것이다.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의 성격과 관련하여, 대통령에게 국민투표를 통하여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자신의 신임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것이다. 또한, 헌법 개정은 그것이 성문헌법이든 불문헌법이든 반드시 헌법 제128조 이하의 헌법개정절차에 의하여 함을 명백히 하였다. 여기서, 헌법 제72조에 의한 헌법 개정은 헌법상 허용될 수 없다는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다만 관습헌법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를 통해관습헌법에 대한 국민적 합의여부를 확인해볼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관습헌법으로서의 존립이나 효력지속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현재 채택된 직접 민주제의 헌법적 의미는 상당히 명백해졌다고 할 수있다. 다만, 입법론적으로 볼 때, 현재까지 채택되어 있는 직접 민주제가 국민의 입장에서는 지극히수동적인데 불과하므로 보다 능동적인 제도를 보충할 필요가 있으며, 그 전 단계로서의 지방자치차원에서의 직접 민주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직접 민주제의 대표적 형태인 주민 발안이 주민의 조례제정 및 개폐 청구제도의 형태로 1999년에, 지역 주민의 결정적 의사를 확인하는 지방적 레퍼렌덤(local referendum)이 주민투표의 형태로2004년에 각각 채택되었고 지방의 대의기관에 대해 책임을 묻는 주민 소환제가 2006년에 도입됨으로써 기본적 틀을 갖추었다. 앞으로는 그 간의 실제 운영상황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발굴하여 지방현실에 맞는 제도적 틀을 재정비하고 지방주민 및 지방자치단체 가 상호 간의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 지방자치를 구현하는 데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의 국민주권의 원리가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가정책에 관한 주민투표의 의의와 법적 규율

        이희정(Lee Hee-Ju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7 행정법연구 Vol.- No.17

        The Local Residents' Referendum Act enacted in 2004 provides a "Residents' Referendum on the Issue of National Policy" as a method of public consultation about policy issues with which local residents have great concern like any alteration, abolition, establishment, division or consolidation of local governments. alteration of the jurisdictions of local government or site selection for important facilities. Recently such a referendum was used in two important cases: the consolidation of four local jurisdictions at Jeju Island into one Special District and the site selection of middle and low-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The referendum about national policy can be seen as one of the procedural elements at the administrativ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kind of referendum has no binding force on the decision of administrative agency of central government, but due to the special character of referendum as a procedure of direct democracy, it can be abused by central government to justify its own decision and evade the responsibility for it. It could also harm the value of deliberation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refore, the use of it should be legally regulated specially to make sure that central governments demarcate voting district reasonably and the undue influence of local government or public officials in the voting campaign be excluded. But at present there are few legal regulations about when and how to use the referendum and it depends on the central government's full discretion. The provisions about voting campaign and appeal procedure of the Local Residents' Referendum do not apply in case of the referendum for national policy. And there are barriers of standing or timing to the availability of judicial review over the final decision after the referendum. Though it will not be easy to argu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llegal referendum and the final decision for it doesn't have any official binding force, the appeal litigation against the final decision based on the procedural illegality of referendum would be a possible appeal procedure. Bu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enact detailed statutory standards regulating the use of referendum for national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