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소비는 합리적 선택의 일환일 수 있는가?

        이의원 ( Yi¸ Ui-won ),박도영 ( Park¸ Do-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4

        The concepts of ‘rational choice’ and ‘ethical choice’ are created and used in different fields, but the national curriculum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onnects them mechanically, so it can cause confusion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itute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choice’ and ‘ethical choice’ to reveal that ethical consumption can also be a part of rational choice. If rational choice is not a selfish choice but is based on instrumental rationality to maximize given preference, social preference that considers others and communities can act as a motive for rational choice, and if ethical choice based on social preference can also be maximized. It is argued that ethical consumption can also be a part of rational choice.

      • KCI등재

        합리적 선택, 어떻게 이해하고 가르칠 것인가?

        오영수 ( Youngsoo Oh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학교 경제교육에서 합리적 선택을 어떻게 이해하고 가르칠 것인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선택은 가격(명시적 비용)이 동일한 대안들을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가격이 다른 대안간의 선택은 불필요한 혼란과 오류를 야기하는 잘못된 설정으로, 여기서는 합리적 기준에 대한 논의 자체가 무의미하다. 둘째, 가격이 동일한 대안간의 선택에서 합리적 선택의 기준은 순편익의 크기 뿐아니라 명시적 편익의 크기나 가격 대비 편익도 같은 결과를 가져오므로 특정 기준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 셋째, 합리적 선택과 합리적 소비를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는 기존의 교과서들은 이를 예산제약하의 효용극대화를 위한 자원배분의 문제로 일관성있게 기술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에 대한 설문 결과, 대안들의 순편익, 가격 대비 편익, 대안들 간의 상대가격, 예산 대비 상대가격 등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상이한 대안들을 대상으로 하는 차선의 선택 세계에서는 어느 하나의 기준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이들 요인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purposes to examine the concept of rational choice and how to teach it for studen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xtbook define rational choice without any mention on constraint, while rational consumption is described as a problem of maximization of benefit(utility) under budget constraint. However, since rational consumption is a part of rational choice, both concepts need to be consistently described as a problem of maximization of benefit(utility) under constraint. Second, rational choice makes sense only in a situation that the prices(explicit cost) of alternatives are equal. In such cases that the prices of alternatives are unequal, we do not need to mention the criteria for rational choice, since the frame of choice is wrong. Third, since the world where the prices of alternatives are unequal is a jungle of second-best for rational choice, we cannot suggest any exclusive single criterion for rational choice.

      • KCI등재

        공공선택학파와 오스트리아학파의 지적 관계

        김행범 한국제도경제학회 2020 제도와 경제 Vol.14 No.1

        공공선택학과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은 방법론과 이념을 일부 공유한 학문적 친척이란 점에서 ‘시장경 제연구소’와 ‘공공선택연구소’ 두 기관이 공존했던 80년대 이후 조지메이슨대학 중심으로 “오스트리아 학파식 공공선택학”(Austrian Public Choice)을 형성했지만, 동시에 반목 요소도 보여주었다. 최근 대두 된 두 학문 간 불화를 주관주의·합리성·인식론의 세 국면에서 규명하였다. 첫째, 공공선택학은 뷰캐 넌의 주관주의 선언에도 불구하고 주관주의를 제한하며 사회적 낭비, 사회적 효율성 등의 객관주의적, 총량적 개념에 여전히 사로잡혀 있다. 둘째, 공공선택학은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이며 합리성에만 좌우되 는 인공적 인간형에 토대하여 ‘합리적 무지’가 아닌 한 그에게는 지식이 있고, 정부에게도 문제해결 능 력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학파는 이성 외에 직관·감성도 가진 현실적 인간을 전제로 하며, ‘진정한 무지’도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인식론과 관련하여 공공선택학은 정치인이 겉으로 표방 하는 공익과 실제로 추구하는 사익 간 괴리가 정부실패를 낳으며 정치인을 정부실패의 고의범으로 보 지만, 오스트리아학파측은 정치인도 공익을 진정 추구할 수 있고 정부실패는 ‘동기 문제’가 아니라 ‘지식 문제’에서 나타나며, 따라서 정치인을 정부실패의 고의범이 아니라 과실범으로 본다. 동거와 불화를 다 겪어 온 두 학문은 자신의 사고방식과 연구 절차를 상대측에게 요구하거나, 학문적 결혼을 추구하기보다 자신의 연구 성과들로 학문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 학파는 시장과 정부에 관해 나름 특화된 분산된 지식(dispersed knowledge)을 가지고 있다. 학문 세계 속 그들 간 이 지식의 교환 및 경쟁은 또 다른 의미의 시장과정(market process) 작용이며, 학문 세계의 소비자들은 그 어느 한쪽에 표를 던지는 일종의 공공선택(public choice)을 행할 것이다. 양 학문의 반목 관계는 이런 거시적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Public Choice school has had long history of relation with Austrian Economics school, with companionship and discord as well. Since 1960s, two formed the intellectual kinship, developing so-called ‘Austrian Public Choice’ with the linking pin of George Mason University’s “Mercatus Center” and “Center for Study of Public Choice”. Namely, Austrian school scholars employ research program on politics, or Public Choice scholars employ methodology or philosophy of Austrian schools. However two tenets also revealed tensions between them, which goes from simple recommendation that Public Choice scholars intellectually accommodate themselves to Austrian philosophy to extreme voice that two schools’ relationship came to an end mainly due to Public Choice scholars. This article treats how are the conflicts between them on three points: subjectivism, rationality and epistemology. First, on dimension of subjectivism, Austrians criticize that Public Choice school has not fully employed subjectivism despite of Buchanan’s proclamation on it. Rather, they relied on aggregation concepts such as ‘social waste’, ‘social efficiency’ etc. incongruent to subjectivism. Second, on dimension of rationality, Austrian school criticize that Public Choice school has assumed unrealistic ideal man solely with reason. It denies no room for irrationality, nor the possibilities that decisions are made without information and knowledge, except it was deliberately chosen by logic of ‘rational ignorance’. But Austrians oppose that kind of rationality sense, assuming model of ‘actual man’ with insight and emotion as well as reason. It accepts the possibilities that ‘irrationality’ happens, even without rational ignorance logic. Third, on dimension of epistemology, Austrian schools criticize that Public Choice school exaggerate ‘incentive problem’, ignoring more fundamental ‘knowledge problem.’ They affirm Public Choice school also attribute gov’t failure to ‘deception’, not ‘error’ of public actors. Given the fact that defensive arguments from Public Choice school is somewhat less than challenges from Austrian school, it seems fair to represent some arguments for Public Choice tenet on why Public Choice has chosen existing way of logic and reality. Buchanan considered full subjectivism would lead intellectual frustration, causing agnosticism. His ‘Insufficient’ subjectivism is not fault nor incompetence as Austrians rebuke, but strategic choice as reasoning method. In the world of ‘political process’, requirement to ‘objectively’ express any evaluation for benefits or for costs on policies is far higher than in the world of ‘market process.’ These features might leave Public Choice school some inevitable room that it cannot fully observe methodological requirements Austrian school has asked for. Both omniscience of market and gov’t have well been denied by both schools. It, then, also should be denied that one of two schools does predominantly better on market as well as politics process. Each school has shown comparatively respective advantageous explanatory power and relevant intellectual works. Requiring Public Choice school to employ Austrians’ full methodology, or requiring Austrians to change its main research programs from market to politics is sort of another ‘intellectual deceit’. Trying ‘General Political Economy’ through ‘intellectual marriage’ or ‘grafting’ also cannot be any solution either. What is vital instead on compatibility issue between Austrian school and Public Choice school is letting each compete for more valid researches whether on market or on politics. That would be another form of ‘market process’ in academic world, for which voters in that world would eventually make public choice on which way of thinking is better supported.

      • KCI등재

        합리적 소비 선택에서 기회비용 개념의 의미

        김종철 ( Jing Churl Kim ),장경호 ( Kyung Ho Jang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4 경제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합리적 소비 선택에서 기회비용 개념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3개 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회비용과 합리적 선택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하였다. Ferraro & Taylor(2005)가 개발한 문항을 변형하여 조사한 결과 이들의 연구에서 나타난 낮은 정답률조차 명시적인 비용이 0원으로 설정된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실제보다 부풀려졌을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대학생의 기회비용에 대한 이해력은 피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는 반면 어떤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이해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편, 기회비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조차 자신의 이해력을 과신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회비용을 굳이 계산하지 않더라도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기회비용의 개념이 사람들에게 명확하지 않거나 어렵게 느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선택에 있어서 기회비용을 일일이 따지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만일 기회비용을 계산하지 않더라도 손실을 보기는커녕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면 사람들은 번거롭게 기회비용을 계산하기보다는 경제학 이론이 제시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선택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반드시 기회비용을 계산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opportunity cost for consumer’s rational choice. We conduct a survey on understanding of opportunity cost and rational choice for university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Using the modified questionnaire of Ferraro and Taylor (2005) we show that their result can be overestimated due to a special setting where nominal cost is zer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opportunity cost is very low while that of rational choice is relatively high. It is also shown that students tend to be over-confident about their understanding even when they fail to compute the opportunity cost of a certain choice. This paper claims that people do not understand the concept of opportunity cost but they can make a rational choice regardless of their understanding of opportunity cost. It might be burdensome to compute every opportunity cost when they confront time for choice because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opportunity cost whose definition is not clarified yet. They might consider an alternative simple rule if they can make a rational choice without understanding of opportunity cost. This result implies that we may not need to compute the opportunity cost for rational choice at least in the case of comsumer choice.

      • KCI우수등재

        공법의 근본개념으로서 자유와 권리

        허성욱(Seongwook Heo)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8 No.4

        ‘자유’와 ‘권리’는 공법담론의 여러 맥락에서 등장하지만, 아직 그 개념과 본질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규범학적 탐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 연구는 공법의 근본개념으로서 자유와 권리의 개념, 본질, 역할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탐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공법적 선택의 상황에 처한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과 공동체의 합리적 선택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완전하게 작동하는 정치과정, 완전경쟁시장 등과 같이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들이 집합적 합리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와 공유지의 비극, 죄수의 딜레마, 외부효과 등과 같이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들이 공동체 전체의 비합리적 선택과 비극으로 이어지는 상황에 대해 검토한다. 그것으로부터 공법상 ‘자유’와 ‘권리’는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들이 공동체의 합리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범위 내에서, 그리고 그것을 지향하는 범위 내에서 인정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한다. 그리고 공법상 기준의 사법상 효력, 행정재량에 대한 사법심사 기준으로서 비례의 원칙과 쉐브론 원칙 등과 같은 전통적인 공법적 주제를 합리적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설정된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해나간다.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이 사회적 합리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들은 전적으로 자유의 영역 내의 것이고 그 선택들은 규범적으로도 권리로서 보장되어야 한다. 반대로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이 사회적 비합리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사회적 비합리적 선택을 피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과 규제가 정당화되는데, 그 개입과 규제는 ‘상호합의된 바에 따른 상호강제(mutual coercion mutually agreed upon)’의 실질을 갖는다. 개인들의 자유의 영역과 그 영역 밖을 구분짓는 규범적 개념이 ‘위법성’ 기준이다. 그 위법성 기준에는 정치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공법상 기준과 당사자들의 자발적인 협상과 거래 및 그 의제(assuming)를 통해 만들어지는 사법상 기준이 존재한다. 공법상 기준이 사법상 위법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사회적 선택이론의 관점에서 여러가지 분석이 가능하다. 관련해서 자원배분의 효율성에 관한 경제적 효율성과 정치적 효율성의 개념 및 상호관계에 대한 공법적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의 개입과 규제는 최종적으로 행정작용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입법과 행정의 시차, 새롭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 등의 이유로 인해 행정작용에는 불가피하게 재량의 범위가 부여된다. 행정재량에 대한 사법심사 기준으로서 비례의 원칙과 쉐브론 원칙은 모두 개인들이 내리는 선택의 제약조건을 바꾸어 줌으로써 그 결집된 결과로서 사회적 선택이 합리적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 공법 담론에 있어서 클리셰(cliché)로서 사용되던 ‘자유’와 ‘권리’의 규범적 의미를 과학적 토대 위에서 논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공법적 논의들이 보다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cademic conceptions of Liberty and Right as fundamentals of public law. Liberty and Right have been commonly used as a ‘cliché’ in public law discussions. Howev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cientific concept, functioning role, and academic essence of Liberty and Right. This paper starts its delibera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rational choice and collective rational choice in the situation of public scarcity. We can devide this relationship into two different category. The first one is the situation when the personal individual rational choices are leaded to collective public rational choice. The market system under perfect competition and the political system under perfect delegation in which no principal-agent problem happens are the examples. The other one is the situation when the personal individual rational choices are collectively leaded to irrational public choice or the tragedy of community. The prisoners’ dilemma situation, the harmful externality situation, or the tragedy of commons are the examples. In this paper, the author sets the assumption that, as far as the personal individual rational choices of community are leaded to the rational choice of the public, the choices of people should be treated as in the boundary of liberty and freedom of normative sense and the legal right should be given to those choices of people. 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nal choices of individual people are leaded to the irrational choice of public community, then the choices of people cannot be respected as in the boundary of liberty and right of public law.

      • KCI등재

        합리적 선택 이론의 새로운 지평

        구현우(Hyun Woo Koo),이정애(Jung Ae Lee) 서울행정학회 200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9 No.4

        Rational choice theory that came out against over determinism of macro level theory which puts emphasis on structure and system thinks of a phenomenon as a consequence of actor's rational and strategic choice. Rational choice theory can be set a high value in that offers the micro foundation of the social phenomenon in a sophisticated logic. but it was pointed out that it has the sever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limits. In response to this critique. the inner school of rational choice theory has been expanding its horizons in incorporating institution. culture. and history into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in recent years, and this essay examined into three contexts of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sociological rational choice theory, and analytic narratives.

      • KCI등재

        Analyzing North Korea's Decision-making Process on its Second Nuclear Test (May/2009) with the Rational Choice and Cognitive Choice Models

        박기태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0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15 No.1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North Korea's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its Second Nuclear Test (May/2009) utilizing two choice models―Rational Choice and Cognitive Choice. The paper concludes with a suggestion for an effective/adaptive/robust deterrence strategy for the ROK-US combined forces. The Rational Choice Model (RCM), endorsed by the Expected Utility Theory,suggests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should adopt the option maximizing its expected utility in its nuclear confrontations with its opponents, while the Cognitive Choice Model (CCM), endorsed by the Prospect Theory, anticipates that Pyongyang would adopt the option meeting its reference point, heavily influenced by its domains of actions (either the domain of gains or losses). Sharing the same root and method of calculating utility, they have one explicit difference in weighting probability assigned to each outcome―the RCM weights the value and probability assigned to each outcome in a linear manner, while the CCM does so in a non-linear manner depending on the range of probability, thus resulting in a different prediction. According to the test of the hypothesis using North Korea's Second Nuclear Test (May/2009), unlike the traditional wisdom, the CCM is more explanatory than the RCM in explaining Pyongyang's strategic behavior in respect of its nuclear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essay suggests coercive strategies (mainly composed of punishment, risk, decapitation and denial strategies) exploi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ir power as an alternative deterrence strategy to effectively deter North Korea in the future because it is best fitted for influenc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North Korea.

      • KCI등재

        북한 핵문제의 경제학적 고찰

        이종헌 한국국방연구원 2008 국방정책연구 Vol.23 No.4

        This paper is aimed at exploring motives behind North Korea’s nuclear aspirations by employing an economic framework of analytical tools. Applying the concepts of utility and efficiency helps understand puzzling political behaviors. The rational choice model provides an effective tool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behaviors, which appeared irrational, unreasonable and often mysterious, as shown the choice of nuclear weapons. Behavioral economics, a sub-field combining psychology and economics, can also be fruitfully applied to explain behaviors that hardly be understood as rational. This research examines North Korea’s nuclear choice from these two points of view. From rational choice terms which assumes leaders are self-interested and calculate costs and benefits of alternative course of actions that maximize their utility, North Korea’s nuclear option is the outcome of the process of goal-setting, recognition of circumstances and choice of the best option to achieve the goal of survival in the face of threats from the outsid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untry's “goal”, “recognition” and “choice” under the rational choice framework. This paper also uses behavioral economics approach, which shows that North Korea’s decision to develope nuclear weapons might be motivated by the leader’s prompt emotions, such as flash antagonism against foreign enemies rather than rational calculation.

      • KCI등재

        협상에 의한 민사분쟁의 해결 -화해 소송의 의사결정과정-

        김정환 ( Jung Hwan Kim ) 안암법학회 2013 안암 법학 Vol.0 No.40

        In civil disputes, the parties can reach resolution by any of the following four means: litigation, negotiation, mediation, and arbitration. The last three are known a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among which negotiation is the most common way of resolution. When deciding the resolution method, the parties will first analyze possible gain and loss that can be incurred from each method. This decision making process is known as "Case Valuation". Conventional rational choice theory has explained the process of case valua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parties will make rational choice. However, based on its recent findings, contemporary cognitive psychology challenges the rationality premise and argues that human behavior during case valuation may not be rational. This study first reviews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rational choice theory, then considers various factors that may interfere with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Lastly, the study debates whether a decision-making model based on rational choice theory can no longer serve as a reliable and accurate model to explain the decisions made by the parties during case valuation.

      • KCI등재

        새로운 시대 목회후보생 발굴과 양육: Rational-Choice Theory 모티프에 의한 종교사회학적 연구

        김근수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97 No.-

        This research focuses on finding and developing pastoral candidates, which are central to denomination’s project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pdong) in this present age. Currently, we are facing De-Churchization phenomenon as we also see how new generation do not desire to be pastoral candidates. Millennials and Generation Z’s cause of the phenomenon of de-christianization has two dimensions of hypotheses: the secularization theory of classical paradigm as a religious sociological hypothesis and the theory of “shrink society” as a macroeconomical hypothesis. The secular theory of the classical paradigm has recently been denied by the secular theory of new paradigms. In th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 note the claims of Peter Berger, a leader of new paradigm’s secular theory, and pres- ent Rodney Stark and Lawrence Iannaccone’s rational choice theory as an alternative to the phenomenon of de-churchization, and a model of Antonio Gramsci’s organic intellectual model of a 21st-century model of pastoral ministry. 본 논문은 “목회후보생 발굴과 양육”이라는 교단 차원의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에 대해 현시대의 탈교회화 현상, 특히 목회후보생이 되려고 하는 세대, 즉 ‘밀 레니얼 세대’(Millennials)와 ‘Z세대’(Generation Z)의 탈교회화 현상의 원인을 두 가지 차원의 가설들, 즉 ‘종교사회학적 가설’로서의 고전적 패러다임(S01)의 ‘세 속화(Secularization) 이론’과 ‘거시경제학적 가설’로서의 ‘수축사회’(Shrink Society) 이론으로 나누어 천착하였다. 고전적 패러다임(S01)의 세속화이론은 최근 뉴패 러다임(S02)의 세속화이론에 의해 부정되고 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뉴패러다임 의 세속화이론의 주장자인 피터 버거(Peter Berger)의 주장을 주목하며 로드니 스타크(Rodney Stark)와 로렌스 야나코네(Laurence Iannaccone)의 ‘합리적 선택 이론’(Rational-Choice Theory)을 모티프로 한 종교사회학적 연구를 탈교회화 현 상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였고, 특히 안토니오 그람치(Antonio Gramsci)의 ‘유 기적 지식인’(intellectuale organico) 모델을 21세기형 미래목회사역자의 모델로 제시했다. 본 연구는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연구로 시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