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지역 시험유역에 대한 RUSLE 인자특성 분석 (II) - RUSLE 모형의 시험유역 적용을 중심으로 -

        이종설,정재학,Lee,Jong-Seol,Chung,Jae-Hak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6

        본 연구에서는 토양침식성 인자, 사면경사길이 인자, 피복관리 인자 등 RUSLE 모형의 각종 인자들의 산정방법의 특성을 검토하고 산정방법간의 오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42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RUSLE모형을 강원 토사유출 시험유역에 적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관측 토사유출량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RUSLE모형의 각종 인자들에 대한 분석결과 피복관리 인자가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지유역에 RUSLE를 적용하는 경우 식생의 영향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립농업과학원 토양정보시스템의 토양통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현장토양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에너지 산정방법에 따라서는 최대 22.7%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보다 많은 자료를 이용하여 각 인자들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stimating methodology for RUSLE factors such as soil erodibility factor, slope length-steepness factor, and cover management factor were reviewed and then the relative error according to each methodology was analyzed. RUSLE was applied to experimental watershed for 42 storm events and their result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sediment yiel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RUSLE.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vegetation effect for forest application of RUSLE as cover management was the most sensitive factor. Also, soil erodbility factor was calculated from data of soil series b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caused sediment yield to be overestimated because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soil series and on-site soil texture. The 22.7% of maximum relative error was shown according to selecting the rain energy equation.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verify the RUSLE factors with more data in order to improve their accuracy.

      • KCI등재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결과 평가를 위한 RUSLE와 LISEM의 비교

        임성수,김민석,김중훈,백경록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5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yield. However, they often generate distinct result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ir development purposes and calculation processes. Therefore, it is challenging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 without ground measurements of spatially varying sediment fluxes. Here, we postulate that applying multiple models to a same watershed and checking whether they provide similar spatial distributions can be an indirect method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To test this idea, we apply two models of LISEM and GIS-based RUSLE for a small watershed in Gyeonggi-do, South Korea, where actual sediment yield was measured at the outlet. Two models result in similar spatial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sediments yield. LISEM results show more evenly distributed sediment yield. This difference is partly due to the difference in model structures and due to the ranges of parameters chosen between the two models. Compared to RUSLE, there are limited references for model parameter values of LISEM in Korean practices. Helped by physically-based model structure, LISEM is expected to simulate sediment yield in a more reasonable manner, compared to RUSLE, once the appropriate ranges of model parameters are suggested in the future.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됐으나, 모형의 개발목적과 연산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줄수 있다. 토사유출의 공간분포를 실측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렇게 차이 나는 모의결과를 검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모형의 결과가 같은 유역에서 비슷한 공간분포를 보여준다면 어느 정도 결과를 신뢰할 수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LISEM과 GIS 기반의 RUSLE를 경기도의 한 소유역에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두 모형은 대체로유사한 토사발생량의 공간분포를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LISEM이 RUSLE보다 고르게 분포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이는 두 모형의 구조적 차이와 입력인자 범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LISEM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에 적용되는 만큼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입력자료의 범위가 제시된다면 RUSLE보다 물리적인 기반에서 토사유출을 모의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했다.

      • KCI등재

        3분과 :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실량 예측을 위한 RUSLE와 MUSLE 모형의 적용성 평가

        정유경 ( Yu Gyeong Jung ),이상원 ( Sang Won Lee ),이기환 ( Ki Hwan Lee ),박기영 ( Ki Young Park ),이헌호 ( Heon Ho Lee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본 연구는 산지소유역에서 예측한 토사유실량 모형과 실측한 토사유실량을 비교함으로써 예측모형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토사량 산정을 위하여 72개의 조사지점별로 각각의 영향인자를 산정하여 토사유실량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토사유실량 산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LS 인자가 영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USLE, MUSLE 모형과 실측된 토사유실량의 총량을 비교한 결과, 두 모형은 실측치에 비하여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RUSLE 모형이 실측치와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지점별 값의 비교에서는 MUSLE값의 변동계수가 더 낮았으나, 값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산지소유역에서의 RUSLE와 MUSLE 모형을 이용한 토사유실량의 예측은 적합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산지소유역에서 토사유실량 예측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우사상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기존 토사유실 예측 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의 보완 및 개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amount of soil loss from Mt. Palgong`s small basin, by using influence factors derived from related models, including RUSLE and MUSLE models,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dicted values and measured valu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mount of soil loss were greatly affected by LS factor. In comparison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amount of total soil loss, the predicted values by the two models (RUSLE and MUSLE),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measured soil loss. Predicted values by RUSLE were closer to values of measured soil loss than those of MUSLE. However,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USLE were lower, but two model`s coefficient of variation in similar partial patterns in the prediction of soil loss. RUSLE and MUSLE, prediction soil loss models,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use in small mountainous basin. To improve accuracy of prediction of soilloss models, more effort should be directed to collect more data on rainfall-runoff interaction and continuous studies to find more detailed influence factors to be used in soil loss model such as RUSLE and MUSLE.

      • KCI등재

        WUI 산불 소유역에 대한 GIS 기반 침식모형의 적용성 평가

        신승숙,안승효,송진욱,채국석,박상덕 한국수자원학회 202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7 No.6

        2023년 4월에 양강지풍의 영향으로 영동지역에 위치한 강릉에 산불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 WUI (Wlidland-Urban Interface) 산불 소유역을 대상으로 식생회복에 따른 침식률을 평가하고자, GIS 기반의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와 SEMMA (Soil Erosion Model for Mountain Areas)를 이용하였다. WUI 화재 소유역은 고도의 범위가 10-30m로 낮으며, 사면의 평균경사는 10.0±7.4°로 준경사면(general slope)에 해당한다. 토성은 유기물 함량이 높고, 토심이 깊은 양질사토(loamy sand) 이었다. 산불 이후 구곡부(gully)에서 초본층이 왕성하게 재생함에 따라,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가 최대 0.55에 이르렀다. 침식률 모의 결과 RUSLE은 0.07-94.9 t/ha/ storm의 범위이었고, SEMMA는 0.24-83.6 t/ha/storm의 범위를 보였다. RUSLE는 SEMMA보다 평균침식률을 1.19-1.48배 과다 예측하였다. 소나무 화재목이 분포하고, 경사가 급한 중부사면에서 침식률이 크며, 초본층의 회복이 빠른 구곡아래 와지(hollow)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침식률을 보였다. SEMMA는 화재 사면의 NDVI가 0.25(Ic=0.35) 이하인 특정 식생피복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침식민감도를 보였다. 유기물 함량이 높고 자연 식생의 회복이 빠른 준경사면은 급경사면에 비해 침식률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WUI 산불 지역은 집중호우에 의한 토사재해로 후속적인 물·인적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화재 이후 응급대처의 시행을 위한 목표 관리 및 의사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 April 2023, a wildfire broke out in Gangneung located in the east coast reg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Yanggang-local wind. In this study, GIS-based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SEMMA (Soil Erosion Model for Mountain Areas) were used to evaluate the erosion rate due to vegetation recovery in a small watershed of the Gangneung WUI(Wildland-Urban Interface) fire. The small watershed of WUI fire has a low altitude range of 10-30 m and the average slope of 10.0±7.4° which corresponds to a gentle slope. The soil texture was loamy sand with a high organic content and the deep soil depth. As herbaceous layer regenerated profusely in the gully after the wildfire, the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reached a maximum of 0.55. Simulation results of erosion rates showed that RUSLE ranged from 0.07-94.9 t/ha/storm and SEMMA ranged from 0.24-83.6 t/ha/storm. RUSLE overestimated the average erosion rate by 1.19-1.48 times compared to SEMMA. The erosion rates were estimated to be high in the middle slope where burned pine trees were widely distributed and the slope was steep and to be relatively low in the hollow below the gully where herbaceous layer recovers rapidly. SEMMA showed a rapid increase in erosion sensitivity under at certain vegetation covers with NDVI below 0.25 (Ic = 0.35) on post-fire hillslopes. Gentle slopes with high organic content and rapid recovery of natural vegetation had relatively low erosion rate compared to steep slopes. As subsequent infrastructure and human damages due to sediment disaster by heavy rain is anticipated in WUI fire areas, the research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targeted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on the implementation of emergency treatment after the wildfire.

      • KCI우수등재

        토양침식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 평가

        심우진(Woo Jin Shim),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우리나라는 높은 산지 비율과 인구밀도,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침식의 위험성이 높다. 토양침식은 토지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로, 최근에는 토양침식 추정 모형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형은 반영하는 변수에 따라 추정 결과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실제 발생하는 침식량을 산정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특히 대부분의 모형이 단기적인 환경변수들을 활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나타나는 침식량의 추정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UP>137</SUP>Cs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1960년대 이후 평균 침식량을 살펴본 후 국내 토양침식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와 매개변수를 공유하는 USPED(Unit Stream Power-based Erosion Deposition) 두 모형과 비교하여 토양침식 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SUP>137</SUP>Cs기법을 통한 침식량 분석 결과, 연구지역은 1960년대 중반 이후 평균 28.97ton/ha의 침식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지 이용 별로 살펴보면 경작지의 침식량은 67.58ton/ha/yr, 산지는 0.02ton/ha/yr으로 분석되었다. RUSLE모형과 USPED모형이 추정한 연구 지역의 연 평균 침식량은 각각 21.28ton/ha, 12.82ton/ha로 약 2배의 격차가 나타난다. <SUP>137</SUP>Cs기법을 기준으로 두 모형의 침식추정량을 비교한 결과, RUSLE의 연 평균 침식량은 0.73배, USPED는 0.43배 더 낮게 추정했다. 침식의 공간적 분포형태는 RUSLE가 실제 발생하는 침식 및 퇴적의 분포 형태를 USPED에 비해 더 잘 추정했다. 그러나 두 모형 모두 산지에서 보다 경작지의 침식량이 월등히 높은 현실에 맞지 않게, 경작지의 침식 추정량을 산지보다 부정확하게 추정했다. 이는 토양 침식 추정 모형이 국내의 집약적인 토지이용과 중단기 기간의 침식 현상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국내 상황에 맞는 변수 개발 및 모형 보정 등의 보완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토양침식 연구에 모형의 적용과 해석에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할 것이다.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re is a high risk of soil erosion caused by torrential rains of summer, high mountain rate, and population density. There are several ways to study soil erosion. Recently,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is most commonly used to study. However, the results of the soil erosion model are predicted value, not observed one.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models utilize short-term environmental variables,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stimation of erosion amou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P>137</SUP>Cs method is used calculating a soil erosion and spatial distribution to identify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that suits domestic condition, and compared with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s applied by RUSLE and USP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nnual average of soil erosion amount is 28.97ton/ha in the study area, Since each type of land use, the cultivated area has the annual 67.58ton/ha, forest area occurred 0.02ton/ha of soil erosion amount. Secondly, the average annual soil erosion amount of the study area estimated by RUSLE model and the USPED model resulted as 21.28ton/ha and 12.82ton/ha, respectively. RUSLE model estimated adequately in soil erosion amount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than USPED model. However, both models estimated incorrectly in the erosion of cultivated land. This result shows that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does not fully reflect the intensive land use in Korea and the medium- and short-term soil erosion.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ables and calibration of model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domestic situation would be necessary, and a critical view on applying and interpreting models in soil erosion research would be needed.

      • KCI등재

        RUSLE을 활용한 금강 수변지역의 하천정비사업 전·후의 연간 표토침식량 변화 비교분석

        김정철,최종윤,이선민,정형섭 대한원격탐사학회 201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5 No.6

        In this study, the annual surface soil erosion amount of before (2007 year) and after (2015 year)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s were calculated using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in the Geumgang basin (Daecheong-Dam to Geumgang Estuary-Bank). After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the change in the land cover. In order to generate each factor of RUSL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data, such as land cover maps for 2007 and 2015 years, national basic spatial information, soil map, and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data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annual surface soil erosion in the study area increased the area of class 1 in 2015 years compared to 2007, 2) the area of class 2, 3 and 5 decreased, 3) the area of class 4 increased. It is believed that the average annual amount of surface soil erosion decreased in most areas due to the reduction of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parks, the expansion of artificial facilities, and the reduction of illegal farmland.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대청댐~금강하구둑)을 대상으로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를 활용하여 하천정비사업 전(2007년)과 후(2015년)의 연간 표토 침식량을 계산하였고, 이를 5단계의 class를 구분하여 해당 구간 별 표토침식면적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환경부의 토지피복 변화와 비교·분석하였다. RUSLE 을 구성하는 각 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2007년과 2015년의 토지피복도, 국가기본 공간정보, 정밀 토양도, 연평균 강수량 자료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연간 표토 침식량은2007년과 대비하여 2015년에 class 1의 면적은 증가하였고, class 2, 3, 5의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class 4의 면적은증가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연구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의 감소, 생태공원조성과 이로 인한 인공시설물확대, 농경지 감소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평균 표토 침식량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빈도해석에 의한 합천관측소의 강우침식인자 산정 연구

        안정민(Ahn, Jung Min),이근숙(Lee, Geun Suk),류시완(Lyu, Si Wa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RUSLE는 강우침식, 토양침식, 지형적 특징, 경작관리 등과 같은 유역 토양유실량 산정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RUSLE 관련 매개변수 중 강우침식인자는 가장 민감도가 큰 요소로 그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정확한 유역 토양유 식량 산정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국내에서는 유역의 토양침식을 조절하고 토양유실량 산정을 위한 강우침식인자 산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연평균 강우량과 침식인자의 관계식을 이용하거나 TRB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다양한 재현빈도와 지속기간에 대해 계산된 강우침식인자는 지속시간에 따라 정규분포 형태로 나타났기 때문에 확률 분포함수를 이용해서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할 수 있도록 적합분포함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유역의 토양유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구조물에 대한 설계토양유실량을 계산하기 위한 최적의 강우침식 인자를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has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the soil loss amount of watersheds from rainfall erosivity, soil erodibility, topographic features and cropping management condition. Rainfall erosivity is the most dominant and sensitive factor among these so that the determination of reliable rainfall erosivity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soil loss of watershed. Since there has been no criterion to determine the rainfall erosivity in Korea, the empirical values, determined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annual average rainfall and erosivity or suggested by TBR(Transport Research Board), have been used for designing the erosion control structure and controlling the soil erosion for watersheds. In this study, the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rainfall erosivity using frequency analysis is proposed. The most fitted distribution function, with calculated rainfall erosivities with various frequencies and durations, has been also selected. The suggested procedure can be used to estimate the optimal value of rainfall erosivity for RUSLE in order to design soil erosion structures and control the soil erosion in watersheds effectively.

      • KCI등재

        RUSLE 모델에 의한 군사격장 피탄지 토양유실량 평가: 토양 유실과 오염 화약물질 이동 상관성

        공효영,이광표,이종열,김범준,이아름,배범한,김지연,Gong, Hyo-Young,Lee, Kwang-Pyo,Lee, Jong-Yeol,Kim, Bumjoon,Lee, Ahreum,Bae, Bumhan,Kim, Ji-Ye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2 지하수토양환경 Vol.17 No.6

        The applicability and accuracy of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model on the estimation of soil loss at impacted area of shooting range was tested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soil erosion at shooting ranges by using RUSLE. At a shooting range located in northern Kyunggi, the amount of soil loss was estimated by RUSLE model and compared with that estimated by Global Positioning System-Total Station survey. As results, the annual soil loss at a study site (202 m long by 79 m wide) was estimated to be 2,915 ton/ha/year by RUSLE and 3,058 ton/ha/year by GPS-TS survey, respectively. The error between two different estimations was less than 5%, however, information on site conditions should be collected more to adjust model coefficients accurately. At the study shooting range, sediments generated by rainfall was transported from the top to near the bottom of the sloping face through sheet erosion as well as rill erosion, forming a gully along the direction of the storm water flow. Coarser fractions of the sediments were redeposited in the limited area along the channe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plosive compounds in soil before and after summer monsoon rainfall in the study area were compared with the erosion patterns. Soil sampling and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the dispersion of explosive compounds in surface soil wa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il erosion and redeposition pattern of sediment movements after rainfalls.

      • KCI등재

        산불사면에 대한 토양침식모형의 적용 평가 : RUSLE, WEPP, SEMMA

        박상덕(Park Sang Deog),신승숙(Shin Seung Sook)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1 No.3B

        산불 사면의 토양침식에 대하여 세 개의 토양침식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영동지역에서 발생한 2000년 대규모 산불 지역 조사구에서 조사된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토양침식 모형은 경험적 모형인 RUSLE, 물리적 모형인 WEPP의 산림지역 적용 모드, 산불사변을 대상으로 개발된 SEMMA이다. 이들 모형으로 산정한 지표유출량과 토양 침식량을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적용결과 모든 모형들은 토사유출량의 최대치를 저평가 하였으며, RUSLE와 WEPP은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SEMMA는 기장 좋은 모형반응계수, 결정계수, 모의효율을 나타내었다. 산불발생 경과연수에 따른 모형 적용 평가에서 산불에 의해 교란된 초기 단계에서는 모든 모형이 저평가하였다. 산불 사면에 대한 토양침식 모의 결과는 관측치가 크면 과소 예측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불직후 반발수력이 커진 고은입지 토양의 과대 노출로 직은 규모의 강우에도 많은 양의 토사유출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이 과소 예측하는 것은 이들 모형이 산불의 영향으로 가중되는 토양침식 영향인지를 반영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Applicability of three soil erosion models for burnt hillslopes was evaluated. The models were estimated with the data from plots established after tremendous wildfire occurred in the east coastal region. Soil erosion and surface runoff were simulated by the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WEPP) and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of application mode for disturbed forest areas and the Soil Erosion Model for Mountain Areas (SEMMA) developed for burnt hillslopes. Simulated sediment yield and surface runoff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those. In maximum value of sediment yield, three models was under-predicted and RUSLE and WEPP had difference of over two times. SEMMA showed the best model response coefficient, determination coefficient and the model efficiency. In application of models to the soil erosion according to the elapsed year after wildfire, all models were underestimated in initial stage disturbed by wildfire. Evaluation of models in this burnt hill-slopes was shown the tends to under-predict soil erosion for larger measured values. Although a lot of sediment can be generated in small rainfall event as fine-grained soil of the high water repellency was exposed excessively right after wildfire, this under-prediction was shown that those models have a limit to estimate the weighted factors by wildfire.

      • Potential soil loss evaluation using the RUSLE/RUSLE-runoff models in Wadi Saida watershed (N-W Algeria)

        Cherif, Kessar,Yahia, Nasrallah,Bilal, Bilssag Techno-Press 2020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Vol.9 No.4

        Soil degradation has become a major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particularly in arid and semi-arid climate zones due to irregular rainfall and the intensity of storms that frequently generate heavy flood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quantify and to map the soil losses in the Wadi Saida watershed (624 ㎢) throug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odel and a proposed model based on the surface erosive runoff. The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the Wadi Saida watershed showed moderate to moderately high soil loss, between 0 and 1000 t/㎢/yea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sin in the region of Sidi Boubkeur and the mountains of Daia; which are characterized by steep slopes, values can reach up to 3000 t/㎢/year. The two models in comparison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R = 0.95 and RMSE = 0.43; the use of the erosive surface runoff parameter is effective to estimate the rate of soil loss in the watersheds. The problem of soil erosion requires serious interventions, particularly in basins with disturbances and aggressive climatic parameters. Good agricultural practices and forest preservation areas play an important role in soil con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