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위기 이후 대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분석

        안숙찬 韓國公認會計士會 200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인 2000년부터 2007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우리나라 상장기업 중에서 연구개발활동을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대기업 1,512 기업-연을 대상으로 연구개발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조세지원제도인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제도와 연구·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제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의 확대(축소)는 연구개발투자를 유의하게 증가(감소)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3년 연구·인력개발 세액공제율이 10%포인트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지원제도의 변경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조세부담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조세부담이 낮은 집단에서는 조세지원의 확대(축소)에 따라 연구개발투자가 증가(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세부담이 높은 집단에서는 조세지원의 확대에 따라 연구개발투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 연구개발 관련 조세지원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은 연구개발투자를 지속적으로 증대시켜 왔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조세당국이 대기업의 경우 정부의 인센티브제공이나 지원 없이도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할 만한 동기와 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대기업에 대한 조세지원을 줄인 정책이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였다. Tax incentives aim at achieving specific national economic objectives, one of which is to encourage firms to invest in R&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hanges in tax incentives, R&D tax credit and reserves for R&D, on the major firms' R&D investments after the Asian economic crisis. The tax incentives for major firms' R&D have diminished since the economic crisis because Korean tax authority thought that large companies had motivation and ability enough to make R&D investment without government's tax incentives. However, the tax policy for R&D was changed to give more incentives to large companies from 2008. In spite of a lot of money for tax incentives and the big change of tax policy, there is not a study tha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ax incentives for R&D after the Asian economic crisis. There are four changes in tax incentives from 2000 to 2007. In 2000, major firms can choose the larger amount as tax credit between 5% of R&D expenses and 50% of R&D expenses which exceed the average expenses occurred during the immediately preceding four business years. However, only 50% of the excess of expenses incurred for R&D is applied as tax credit rate in 2001, so tax incentives for R&D is curtailed from 2000 to 2001. From 2003, R&D tax credit rate is decreased from 50% to 40%. In 2006, tax incentive is boosted contrary to the previous years. Tax credit rate on the R&D expenditures incurred to commiss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r universities to conduct R&D increases from 40% to 50%. In 2007, reserves for R&D is abolished. In short, tax incentives are cut down in (2001∼2002), (2003∼2005), and (2007), but are expanded in (2006).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R&D expenditures of major firms would increase(decrease) as tax incentives for R&D expand(cut down). This study uses 1,512 firm-year observations collected from Korean stock market over 2000-2007 perio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mple firms are only large companies which have experiences to invest in R&D activities. The sample of prior studies included medium-sized companies and large companies that invested no money into R&D, which might induce misleading result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nges in tax incentives for R&D on the firms' R&D expenditure, control variables such as R&D expenditure of the previous year, internal financing(measured by cash flow from operating), external financing(measured by net cash flow from financing), debt ratio, Tobin's q ratio, profitability(measured by return on asset), size, principal stakeholders' equity ratio, and industry dummy variables are incorporated into the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I find that the four changes in tax incentives from 2000 to 2007 don't have a significant predicted effect on the large firms' R&D investment. The coefficients of and are negative as predicted, but not significant. The coefficient of is also positive as predicted, but not significant. The coefficient of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s sign is different from the predicted. R&D investment during 2003-2005 period significantly increases relative to 2001-2002 period in spite of the 10% cut in tax credit rate for R&D of 2003.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xpansion (curtailment) in tax incentives for R&D doesn't increase(decrease) the R&D spending of major firms after the Asian economic crisis. To investigate the unexpected results further, I examine if the tax burden of an individual firm affects the relation between the changes in tax incentives and R&D investment. I classify firms into a low and a high tax burden group based on the effective tax rate. Expansion in tax incentive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D investment in the high tax burden group. In the low tax burden group, however, expansion(cut) in tax incentives doesn't increase(decrease) the R&D investment. Instead, cut in tax incentives of 2003 leads to the increase of R&D expenditure in the low tax burden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irms in the low tax burden group don't care about the additional tax burden due to the reduction in tax incentives and keep investing in R&D because their existing tax burden is sufficiently low. In addition, I reinvestigate the study of Lee et al.(2000) which analyzes the effect of changes in tax incentives on the firms' R&D spendings from 1987 to 1993. Their sample includes not only large companies that don't invest in R&D at all but also medium-sized firms. I reinvestigate their study using only large companies that have experiences to invest in R&D from 1992 to 1994.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hange of 1993 that cuts down the tax credit rate of R&D expenses from 10% to 5% and raises the tax credit rate of the excess R&D expenses from 10% to 25% doesn't increase significantly R&D spendings,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Lee et al.(2000). However, the change of 1994 that raises the tax credit rate of the excess R&D expenses from 25% to 50% and does away with the use of the tax credit rate of R&D expenses significantly decrease R&D expenditures of major firm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Lee et al.(2000)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firms increase consistently their R&D investment even though the curtailments in tax incentives in 2000s provides tax authority with an empirical validity of its claim that majority firms have sufficient motivation and ability to invest in R&D without the government's incentives or support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R&D spending of a firm may be affected by macro economic situation, so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variables which reflect macro economic situation. Even though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ncludes control variables such as profitability or q ratio, it may not be sufficient. In addition, there may be time gap between changes in tax policy and their fruits. Time gap i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However, firms can have time to adjust their R&D investment according to t

      • KCI등재

        특별섹션 논문 : 중소제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 분석

        안숙찬 ( Sook Chan A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中小企業硏究 Vol.33 No.1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조세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시행하여 왔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연구개발관련 조세지원을 15년간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하거나 심지어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신성장동력 확충을 위해서는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2008년부터는 대기업에 대한 지원을, 2009년부터는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지원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기조를 선회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우리나라 상장 제조업 중에서 연구개발 활동을 실제로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1,525기업-연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조세지원제도인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제도와 연구·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제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의 확대(축소)는 정책 의도와는 달리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유의하게 증가(감소)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세지원제도의 변경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조세부담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조세부담이 높은 집단에서는 2009년의 조세지원 확대에 따라 연구개발투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조세부담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ax incentives such as R&D tax credit and reserve on R&D spending amo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ax incentives often intend to achieve specific economic objectives, one of which is to encourage firms to invest more in R&D. Since 1994 the tax incentives for R&D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had been kept without any changes for fifteen years. The tax incentives for R&D in large firms had diminished in the early to mid 2000s. However, the tax policy for R&D was changed to give more tax incentives to major companies in 2008 and to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2009 to help expand their growth potential. In spite of increased government`s monetary support through tax incentives and the major changes of tax policies, there has not been a study tha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ax incentives for R&D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re were two changes in tax incentives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between 2005 and 2009. Until 2006, small and medium-sized firms could deduct the greater amount of either 15% of the year`s R&D expenditure or 50% of R&D expenditure which exceeded the average spending occurred during the immediately preceding four business years. In addition, they could reserve 3% of sales revenue. However, reserve for R&D was abolished in 2007 and therefore the tax incentive for R&D was curtailed between 2006 and 2007. In 2009, tax incentives were boosted unlike the previous years. Tax credit rate on the year`s R&D expenditure increased from 15% to 25% and reserve for R&D came into effect again. In short, tax incentives were cut down in (2007∼2008), but were expanded in (2009). I hypothesize that R&D spending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would increase (or decrease) as tax incentives for R&D expand (or are cut down). I use 1,525 firms-years collected from Korean stock market between 2005 and 2009.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invest more than 50 million Korean won per year in R&D are chosen, unlike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included medium-sized and large companies that invested no money into R&D, which might have produced misleading results. Most tax incentives for R&D are targeted to encourage manufacturing companies to increase R&D investment, so the sample of the study includes companies that fall into manufacturing industry. In addition, I use R&D data collected from annual reports instead of Balance Sheets and Income Statements in order to measure R&D expenditures more accurately. To analyze the impact of changes in tax incentives on the firms` R&D expenditure, control variables such as R&D expenditure of the previous year, operating cash flow (scaled by beginning of year total assets), leverage ratio, Tobin`s q ratio, profitability (measured by return on asset), size (measured by natural log of total assets), export rate, and industry dummy variables are incorporated in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annual R&D spending of the sample firms is 1.82 billion Korean won on average, and the median is 1.12 billion Korean won. There is wide variation in R&D spending. While maximum R&D spending is 23.6 billion Korean won, minimum spending is just 60 million Korean won. The mean of R&D intensity (R&D scaled by sale) is 4.21%, and the median is 2.45%. The distribution of total R&D expenditure and R&D is intensity skewed to the right. R&D intensity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large firms. However, total R&D spending is lower among SMEs than large firms. Some of the findings include that the two changes in tax incentives between 2005 and 2009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D investment among the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ccording to <Table 6>, the coefficients of and are positive, but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urtailment in tax incentives for R&D in 2007 does not decrease the R&D spending amon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expansion in tax incentives in 2009 is not sufficient to increase R&D expenditure of SMEs to the point where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may be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d a serious recession in the following year when the nominal GDP growth rate was 3.6% and the real GDP growth rate was 0.2%.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ubsequent economic depression cause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o hesitate to invest more in R&D even 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provide a boost to R&D spending through tax incentives. It is also speculated that the unexpected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s due to a variation in tax burden of the sample firms at the point of R&D investment. The reaction of an individual company toward tax incentives varies according to its tax status. To further investigate why this study does not achieve the predicted results, I examine if the tax status of an individual firm affects R&D spending when tax incentives are given by the government. I classify firms into low and high tax burden groups based on the effective tax rate. <Table 7> shows that the coefficient of is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high tax burden group, but it is not significant in the low tax burden group. Expansion in tax incentive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D investment in the high tax burden group. However, expansion in tax incentives does not increase R&D investment significantly among the low tax burden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irms in the high tax burden group increase their R&D expenditure because they would like to take advantage of additional tax incentives. On the other hand, the firms in the low tax burden group are not interested in the reduction of tax because their existing tax burden is sufficiently low. In spite of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expansion in tax incentives for R&D may stimulate R&D spending of the firms with a high tax burden.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he R&D spending of a firm may be affected by the macroeconomic situation, so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variables which reflect the macroeconomic situation. Even though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ncludes control variables such as profitability and Tobin`s q ratio, they may not be sufficient. In addition, there may be a time gap between changes in tax policy and their fruits. Issues regarding this time gap are not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However, firms can have time to adjust their R&D investment according to the predicted changes of tax policy because the discussions about changes in tax policy usually start in the middle of the previous year. Thus, the effect of a time gap on the results may be small.

      • 연구논문 : 세법상 연구개발(R&D)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충식 ( Chung Sik Yoo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2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3 No.1

        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조세지원 규모는 총 국세감면액 30.1조원의 7%수준인 2.1조원으로 우리나라 조세지원제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미래성장동력을 확충하고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성장을 도모하는데 있어 연구개발(R&D)에 대한 조세유인조치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제도 취지와 달리 상대적으로 세부담 경감 효과가 큰 연구개발(R&D) 조세지원제도를 악용하거나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대하여 심도있는 검토 및 논의 등이 빈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개발(R&D) 조세지원제도가 당초 입법취지에 부합하지 아니하거나 제도의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 등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제도 및 사후관리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R&D) 비용의 적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가칭 연구개발(R&D) 심사위원회를 신설하여 여기에서 발행한 적격 연구개발(R&D) 증명서가 첨부된 경우에만 연구개발(R&D) 관련 세액공제를 허용하도록 하여 부당한 연구개발(R&D) 지원을 막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개발비 조기 환급제도를 도입하여 기업의 연구개발에 따른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셋째, 우리나라도 미국과 싱가포르의 제도를 벤치마킹해서 중장기적으로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발생장소가 국외인 경우에는 한국에서 발생한 경우와 차별해서 공제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넷째, 우리나라도 일본의 공동시험연구 특별세액공제제도를 벤치마킹하여 산·학·연의 공동연구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섯째, 현실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당기분 방식의 연구개발(R&D) 세액공제율을 하향 조정하는 것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아니하므로, 일반기업에 대한 당기분 방식의 연구개발(R&D) 세액공제율을 최대 10% 수준까지 상향 조정하여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당기분 방식의 연구개발(R&D) 세액공제율의 차이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연평균발생액이 없는 경우 당기분 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증가분 방식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일곱째, 연구개발특구의 세액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승인된 연구개발-과제 활동을 수행하여야 하고 연구개발과제를 국세청에 제출한 경우에만 세액감면이 되도록 하며, 특히 조세감면을 적용받는 연구개발특구가 지식경제부 장관의 고시에 의해 늘어나는 문제점을 시정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volume of tax incentiv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Korea stands at around 2.1 trillion won, accounting for about 7% of total national tax incentives of 30.1 trillion won, which shows their importance in the country`s whole tax incentive system. There is wide agreement that R&D tax incentives are essential in developing future growth engine and promoting economic growth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In fact, however, there have been abuses of R&D tax reliefs which provide relatively large amount of tax reduction, while comprehensive and thorough study on how to remedy such problem has rarely been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ses where such abuses are conducted going against the original aim of R&D tax incentives and other side effects foun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such incentives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in general as well as in terms of post-management thereof. Specific suggestions resulting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committee to judge the eligibility of a given R&D spending for tax incentive. The idea is that only those applications for R&D tax credit submitted along with a certificate issued by the committee will be granted such benefit, thereby helping prevent tax incentive from going to unqualified spending. Second, the introduction of targeted early refund for R&D expenditur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would lead to promoting R&D activities among them. Third, over the mid and long term, Korea should consider introducing a system in which different tax relief is granted to R&D spending made abroad than that allowed for R&D spending made domestically, taking a cue from Singapore and the US. Fourth, Korea needs to introduce additional tax incentives for research jointly conducted among industry, academy and research institutes, benchmarking the special credit regime for joint research in Japan. Fifth,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gap in the volume-based R&D tax credit amount between SMEs and large companies by increasing the credit amount for the latter by up to around 10%, given that adopting the alternative of lowering the credit amount for SMEs could deal a blow to their competitiveness. Sixth, in case of no yearly average spending, it would be effective to base tax reliefs on the volume of R&D spending with the incremental scheme to be added as complement. Seventh, tax credit associated with the special R&D district needs to be granted only when approved R&D activities have been actually conducted and the result from such activities has been submitted to the NTS for verification purpose. This study in particular has suggested a measure to address the problem that the number of special R&D districts could be easily increased, as such districts may be designated through notice issu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rather than through relevant laws.

      • KCI등재후보

        GVC 재편과 연구개발 지원세제의 개편방안

        이성봉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1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iveness of R&D tax incentive system in Korea in the age of global value chain restructuring after Covid-19 pandemic, and suggests some reform ideas for the R&D tax incentives. The GVC restructuring after Covid-19 pandemic challenges Korea to transform it’s economy into an more innovative power hous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ntry’s innovative capaci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mote firms’ R&D activities, especially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D tax incentives. This study finds out three problems of Korean R&D tax incentives. Firstly, R&D tax incentives in Korea focus on only input side of R&D activities. Secondly, they don’t provide enough choice sets for companies, as main incentives are only tax credits for R&D expenditures. Thirdly, there are too big differences in R&D tax credits by the firm size. Large firms can enjoy tax credit too much less than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reform ideas on R&D tax incentives in Korea. Firs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atent box system, which promotes more R&D activities by providing corporate income tax cut for the business income from intellectual properties. Secondly, the adoption of R&D expenditure allowance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firms R&D activities. Thirdly, this study suggests decreasing the gap of R&D tax credit ratio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밸류체인(GVC)의 안정성이 중요시되면서 공급망을 자국내 또는 지역내에서 완결하려는 노력을 증가하면서 GVC는 지역가치사슬 및 국가가치사슬 구축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GVC 재편은 우리 경제에 소재・부품・장비분야에서 국내 완결형 공급망 강화 및 혁신역량 강화라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조세지원의 효과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이후 GVC 재편 관점에서 현행 연구개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토한 결과 현행 연구개발 지원세제는 세 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연구개발의 투입측면에 집중되어 있어 성과지향적 연구개발활동을 유인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수익성 악화 및 유동성 문제는 세액공제방식 중심의 지원제도로는 지속적 연구개발활동의 수행을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연구개발 세액공제율이 기업규모에 따라 지나치게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투자여력이 있는 대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유인이 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활동 조세지원과 관련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연구개발활동의 산출물인 특허권과 같은 지식재산권을 사업화하여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서 조세감면을 제공하는 특허박스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연구개발계획의 선택지를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연구・인력개발준비금 제도를 한시적으로 재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제율 차이를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율에서 제시된 2배를 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R&D 툭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분석

        송종국 ( Jong Guk Song ),김혁준 ( Hyuk Joon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1

        최근 외환위기 이후 기업 R&D 투자의 실질증가율이 외환위기 이전의 절반에 가까운 평균 약 7.1%로 떨어지고 있으며,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지원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데도 중소기업의 R&D 투자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부터 상위 3개 기업을 제외한 대기업 R&D 투자는 증가하지 않고 있어 대기업 간의 R&D 투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R&D 투자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R&D 직접 보조금 정책이나 조세지원 정책의 당위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인정되더라도 정책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부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R&D 보조금 지원제도와 조세 지원제도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정지원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규모에 따른 정책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종 분석에 이용한 개별 기업의 R&D 데이터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 서베이 한「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의 기업별 원시 패널 데이터 중에서 활용한 불균형(unbalanced) 패널 데이터이다. 각 기업의 보조금과 관련한 데이터는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의 서베이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조세지원을 나타내는 사용자 비용에 관한 데이터는 이론적 모형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 데이터 분석은 고정효과 모형을 대기업, 중소기업 및 모든 기업에 각각 적용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의 직접 보조금 지원은 대기업의 경우 R&D 투자를 늘리는 유인효과(crowding-in effect)를 보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R&D 투자를 줄이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모두 정부의 보조금 지원정책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R&D 보조금 지원정책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의 R&D 조세지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R&D 촉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지원으로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하면 대기업은 R&D 투자를 0.99% 증가시키고, 중소기업은 0.054%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시사하는 정부의 R&D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부의 R&D 보조금은 기업의 R&D 투자를 구축하지 않도록 기업과 중복되지 않는 기초연구와 공공기술 지원에 국한해야 하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R&D 인프라 구축과 기술정보지원 등 R&D 서비스(extension service) 지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대기업에 대한 R&D 조세지원은 한시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4개 연도의 기업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는데, 앞으로 정책의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분석할 수 있는 거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보완이 필요하디; 또한 기업의 R&D 투자 촉진 외에도 일반 투자나 기타 목적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재정 정책들과의 대제 혹은 보완 관계의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시설투자 세액 공 제와 R&D 투자 세액공제 제도의 혜택은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를 선택해야 하는 기엽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Recently we have found some symptoms that R&D fiscal incentives might not work well what it has intended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tatistics of firm`s R&D data. Firstly, we found that the growth rate of R&D investment in private sector during the recent decade has been slowdown. The average of growth rate (real value) of R&D investment is 7.1% from 1998 to 2005, while it was 13.9% from 1980 to 1997. Secondly, the relative share of R&D investment of SME has been decreased to 21%(`05) from 29%(`01), even though the tax credit for SME has been more beneficial than large size firm. Thirdly, The R&D expenditure of large size firms (besides 3 leading firms) has not been increased since late of 1990s. We need to find some evidence whether fiscal incentive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firm`s R&D investment. To analyse econometric model we use firm level unbalanced panel data for 4 years (from 2002 to 2005) derived from MOST database compiled from the annual survey, 「Report on the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Also we use fixed effect model (Hausman test results accept fixed effect model with 1% of significant level) and estimate the model for all firms, large firms and SME respectively. We have follow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econometric model. For large firm: i) R&D investment responds elastically 0.20) to sales volume. ii) government R&D subsidy induces R&D investment (0.03) not so effectively. iii) Tax price elasticity is almost unity (-0.99). iv) For large firm tax incentive is more effective than R&D subsidy For SME: i) Sales volume increase R&D investment of SME (0.043) not so effectively. ii) government R&D subsidy is crowding out R&D investment of SME not seriously (-0.0079) iii) Tax price elasticity is very inelastic (-0.054) To compare with other studies, Koga(2003) has a similar result of tax price elasticity for Japanese firm (-1.0036), Hall((1992) has a unit tax price elasticity, Bloom et al. (2002) has -0.354~-0.124 in the short run. From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e recommend that government R&D subsidy has to focus on such an areas like basic research and public sector (defense, energy, health etc.) not overlapped private R&D sector. For SME government has to focus on establishing R&D infrastructure. To promote tax incentive policy, we need to strengthen the tax incentive scheme for large size firm`s R&D investment. We recommend tax credit for large size film be extended to total volume of R&D investment.

      • KCI등재

        R&D 지원제도와 기업 R&D 지출액간 관계 분석: 정부 R&D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중심으로

        서규원 ( Kyoo Won Suh ),이창양 ( Chang Yang Lee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4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R&D polices(R&D subsidy, tax incentives) and firm R&D expenditures is analyzed through firm`s profit maximization function.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R&D policies and firm R&D expenditures is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R&D expenditures and market price. In case of major innovation which cause the fall of market price, the elasticity R&D subsidy and firm R&D expenditures is negative(substitution). In case of minor innovation which cause the rise of market price, the elasticity R&D subsidy and firm R&D expenditures is positive(complement). Tax incentives is bring about the increase of firm R&D expenditures. R&D subsidy and tax incentives are substitutively influenced at firm R&D expenditures.

      • KCI등재

        외자유치에 있어서 조세제도의 역할: 동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오문석 ( Moon Sok Oh ),임한자 ( Han Ja L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를 통해 경영활동을 확대해 나가고,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는 기업들의 이러한 활동을 이용하여 자국에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여 산업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그래서 우리 나라로 유입되는 외국자본이나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역시 양쪽 모두 그 규모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외국자본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나라(피투자국)에서는 외국자본에 대한 유인정책의 하나로 조세 우대제도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아시아지역의 국가 중에서 특히 인도네시아는 1990년 후반부터 조세 우대제도를 여러 번에 걸쳐 개정함으로써 외국자본의 유치실적도 심하게 변화했던 나라이다. 우리는 이나라의 조세우대제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자본을 받아들이는 나라의 조세우대제도가 기업들의 해외 투자의사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경험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외국자본에 의해서 사업이 시작되면 5년 내지 10년 정도의 기간에 걸쳐 조세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자본을 받아들이는 나라는 자국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외국자본에 대해서만 조세우대정책을 시행할 수도 있고, 또는 아무런 제한이나 차별을 두지 않고 모든 외국자본에 대해서 조세우대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자본을 받아들이는 나라의 조세우대제도는 새로운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조치와 이미 투자된 자본의 재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구분되기도 한다. 기업들이 해외활동에서 남은 이익을 현지에 재투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데에는, 해외 배당금에 대한 주재국과 본국의 조세유인정책이 영향을 미친다. 기업의 입장에서, 소득에 대한 세율이 본국과 비교해서 낮은 나라가 존재하고, 현지 경영을 통해서 그 나라에서 많은 이익을 얻고 있다면, 그 이익을 배당금의 형태로 본국에 송금하지 않고 현재 재투자에 충당하기로 하는 결정은 그 기업집단 전체의 조세부담을 경감시키는데 공헌한다. 기업들의 재투자는 고세율국보다는 저세율국을 선호하기 마련이지만, 이러한 고세율국에서 저세율국으로의 자본 이동은 점차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왜냐하면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외국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서로 세율을 낮추고자 하는 조세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세경쟁은 글자 그대로 나라간에 서로 세금을 낮추기 위한 경쟁이다. OECD 국가들 대부분도 이미 여러 해에 걸쳐 세율을 낮추는 추세를 보여 왔다. 각국이 세율을 낮추고 있는 것은 외국자본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임으로서 자국의 실업률이 해소되고 지역경제도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국자본의 재투자는 자국내에서의 연구개발투자의 확대를 가져온다. 어떤 경우든 세금은 외국자본을 유치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각국이 외국 자본을 더 많이 유치하고자 하면 할수록 세율인하 경쟁도 계속될 수밖에 없다. 한 조사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 연구소는 2007년말 현재 72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기업들의 연구개발 활동은 본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기업들의 해외 연구개발과 관련된 조세유인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에서의 연구개발투자가 얼마만큼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그 규모가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해외 현지에서의 연구개발 활동이 서서히 늘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기업들의 해외 현지에서의 연구개발은 그 투자가 크면 클수록 현지에서의 기업 경쟁력은 강화된다. 그리고이는 곧 경험과 지식 및 기술의 이전으로 연결되어 현지 국가의 산업발전에 공헌하게 된다. 따라서 이 분야에도 외국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세유인은 존재한다. 특히 아시아지역 국가들의 기술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조세유인은 매우 다양하다. 글로벌경제체제가 지속되는 한, 앞으로도 자본을 받아들이는 나라들은 조세제도를 활용하여 외국자본의 유치를 극대화하고자 할 것이며, 반면 기업들도 해외직접투자와 현지에서의 재투자를 통해서 조세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할 것이다.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es through outward direct investments and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using these corporate activities and trying to attract foreign capital to develop their industry. So Korea``s company``s outward direct investments and foreign investments that are flowing into Korea is getting bigger. But the host country that are trying to receive the foreign investments is taking a serious view in tax incentive system as incentive policy. In Asia, expressly in Indonesia, they changed their tax incentive policy in many times in 1990``s and the attract results had changed a lot by this reason. Now we can see that host country``s tax incentive policy effects the decision of investments abroad. In most countries, generally gives the tax incentives above 5~10years after foreign investment. The host country can give tax incentive policy only to foreign investments that gives help to their economy, or can give tax incentive to all foreign investments. Also the host country``s tax incentive policies are devided into soliciting new investments and to attract reinvestments. To deside to reinvest the foreign incomes, it is desided by tax incentive policy about foreign dividends in host country and home country. In company``s side, there is country that tax rate of income is lower compared with home country. If a company makes large business income in the country, it is decreasing tax burden of big business groups that the company dose not send dividends to home country. Companies prefer to reinvest in low-tax areas rather that high-tax area, but the capital flow from high-tax area to low-tax area are becoming meaningless. Because many countries keep decreasing the tax rate in order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s. Most of all OECD countries are preferring to decrease the tax rates. The countries are decreasing the tax rate to attract foreign capital to solve their unemployment and regional economy to be active. One foreign capital``s reinvestments gives expand of investments for R&D in their country. In any situation, tax is significant point in soliciting foreign investment. So, to bring in more foreign investments, they need to have more tax cuts competition as much as they want. From one research, South Korea``s R&D center abroad is about 72 in 2007, but all countries think that company``s own work on R&D should be performed in home country. So, the tax incentive connected with company``s R&D abroad is not discussed yet. South Korea company``s R&D business investments are not figured out, but R&D business work in local area is getting bigger. A company makes the more investment on R&D, it has the more business competition. This also leads to transfer of experience, knowledge, and technology to host country``s industry. So in this part, there are lots of tax incentives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Expressly in Asia, there are tax incentive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s global economic systems are lasting, host countries will try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s with business taxation, and companies will use outward direct investment and reinvest to make the tax burden smaller.

      • KCI등재

        조세특례 적격 연구개발 및 연구개발비의 범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영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

        신호영 한국국제조세협회 2024 조세학술논집 Vol.40 No.1

        이 연구는 「조세특례제한법」제10조에서 규정하는 연구개발비 세액공제제도와 유사한 외국(영국, 미국, 일본)의 조세특례제도에 대하여 살폈다. 비교분석은 특례 적격 연구개발과 연구개발비의 범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국과 미국은 특례 적격 연구개발의 범위에 대하여 자세하게 규정한다. 영국은 연구개발은 과학 또는 기술의 진전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에서 발생하고, 과학적 또는 기술적 불확실성의 해소를 통하여 과학 또는 기술의 진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활동이 연구개발이 된다고 특례 적격 연구개발을 정의한다. 미국은 내국세입법 제174조의 특정연구실험비로 취급될 것, 기술적 정보 발견을 위하여 수행될 것, 정보의 적용이 신규 또는 개선된 사업 구성요소의 개발에 유용하도록 의도될 것, 활동의 실질적 전부가 적격 목적과 관련되는 실험과정의 요소를 구성할 것 등을 적격 연구활동의 요건으로 규정한다. 영국과 미국 모두 과학의 범위에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한편 결과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영국은 해당분야의 유능한 전문가를 기준으로 판정하나, 미국은 명문으로 해당분야 유능한 전문가 기준을 배제한다. 일본은 비교적 간략하게 법규에서 연구개발을 정의하고, 과세관청의 해석준칙에서 자세한 사항을 정하고 있다. 일본은 해석에 의하여 과학은 자연과학 등에 한정되고, 결과의 불확실성을 요구한다고 인정한다. 영국, 미국, 일본 모두 우리나라와 같이 인건비 등이 연구전담부서등 관련 지출일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조특법에 명확하고 완결된 연구개발 정의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구개발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활동 결과의 불확실성이 요구된다는 점, 결과의 불확실성을 수행자 및 특례신청기업 기준으로 판정한다는 점 및 과학 또는 기술이 자연과학과 및 관련 기술에 한정된다는 점을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조특법상 적격 연구개발비 요건으로서 연구전담부서등 관련 비용 요구는 다툼을 줄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제도취지에 부합하도록 많은 다툼을 일으키는 연구전담부서등 관련 지출 비용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연구전담인력에 관한 다툼이 많고, 연구전담인력의 겸직 인정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부담이 크므로 중소기업의 연구전담인력 요건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법령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발전 방향을 급격히 변경하여 외국의 제도를 따를 필요는 없을 것이나 명확성 요구에 부합하고 법적안정성 확보, 다툼 방지에 보탬이 되는 외국의 제도는 참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ax incentive system in foreign countries (UK, US, and Japan) that are similar to the R&D tax credit system stipulated in Article 10 of the Act on Restriction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axation(ARSCCT). The comparative analysis centered on the provis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D and the scope of R&D expenses eligible for tax incentiv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U.K. and the U.S. have detailed rules on the scope of tax incentive eligible R&D(‘eligible R&D’). The U.K. defines eligible R&D as follows; “R&D for tax purposes takes place when a project seeks to achieve an advance in science or technology. The activities which directly contribute to achieving this advance in science or technology through the resolution of scientific or technological uncertainty are R&D.” The U.S. sets forth the requirements for qualifying research activities including that they be treated as section 174 specified research experiments(section 174 test), that they be performed for the discovery of technical information(discovering technological information tes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information be intended to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a new or improved business component(business component test), and that substantially all of the activity constitute elements of an experimental process related to a qualifying purpose(process of experimentation test). Both the U.K. and the U.S. define science as not including the arts,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Regarding uncertainty of outcome of a project, the UK uses the standard of a competent professional working in the field. while the U.S. explicitly excludes the standard of a competent expert in the field. Japan defines R&D relatively briefly in its acts and regulations, and provides more detail in its interpretive guidelines. By interpretation, Japan recognizes that science is limited to the natural sciences and requires uncertainty of outcome. The U.K, the U.S, and Japan do not require expenses to be related to the R&D departments or centers(RDDC), as Korea doe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comparative legal study are as follows. It is desirable to have a clear and complete definition of R&D in the ARSCC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early stipulate that uncertainty of outcome of the activity is required in order to be the eligible R&D, that uncertainty of outcome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performer of project and the tax incentive applicant, and that science or technology is limited to natural sciences and related technologies. Since the requirement for expenses related to RDDC as a requirement for eligible R&D expenses under the ARSCCT aims to reduce disputes between taxpayers and taxing authorities, it is necessary to relax the requirements for expenses related to RDDC that cause many disputes.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disputes over whether full time research staff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dual-employed,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aw to relax the requirement for the full time researchers.

      • KCI등재

        개방형 혁신 촉진을 위한 R&D 조세지원제도개선방안 연구

        노민선,박수진,송창현 한국혁신학회 2017 한국혁신학회지 Vol.12 No.4

        Open innovation refers to external exploitation to maximize the performanc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is growing to promote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country. The Korean government is legislating various incentive policies. However, it is inadequate yet. In this study, we survey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D tax supports for open innovation. Also, questionnaire is conducted with 209 small and medium-sized domestic fir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s a result, quite a few domestic firms experienced joint/commissioned R&D while relatively few of them did a technology transaction. It was mainly due to the complexity of policy and difficulty of utilization. The majority of companies were aware of the lack of technology protection activities and expenditure. Around half of them answered they don’t necessary an employee for the technology protection, though. Based on the analysis, we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simplification and integration of overall R&D tax supports is required. Second, zero rate of VAT for technology transactions in the technology trading market and tax credit on income from technology transfer can be implemented. Also, service industry shall be included to the coverage of joint/commissioned R&D tax incentive. For the last, tax support for dedicated employee to technology protection can be implemented. 기술의 빠른 출현 속도와 융⋅복합 확산 등 기업 경영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등장한 개방형 혁신은 기술 혁신의 모든 단계에서 외부의 R&D 자원을 활용하여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방형 혁신은 국가 R&D 생산성의 향상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위해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을 위한 우리나라의 R&D 조세지원제도를 정리하고, 해외 사례와비교하였다. 그리고 현행 우리나라 R&D 조세지원제도에 대한 기업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기위해 209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기업들은개방형 혁신의 일환인 공동⋅위탁 R&D 경험 수준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72.7%), 외부와의 기술거래 경험 수준은 낮은 결과(37.3%)를 보였다. 개방형 혁신 관련 R&D 조세지원제도에 대해서는 국내 기업들의 인지도가 매우 낮았으며, 제도의 복잡함과 적용의 어려움으로인해 제도의 활용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절반 이상의 기업들이 자사의 기술보호 활동이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66.0%), 기술보호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인지하고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분석을 바탕으로, 개방형 혁신 촉진을 위한 R&D 조세지원제도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제도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R&D 조세지원제도의 간소화와 복잡한 규정 간의 통합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거래 촉진과 기술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술거래를 통한 소득에 대한 과세특례를 확대하고, 기술거래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적용 등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분야의 공동⋅위탁 R&D와 기술보호전담인력의 인건비에 대한 조세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연구개발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성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을 중심으로

        서영준 ( Young Jun Seo ),권순창 ( Soon Chang Kweon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5

        본 연구는 R&D 투자 조세지원제도 중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2007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는 세법 조문에 따라 연구인력개발비를 지출하는 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이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며, 둘째는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의 신설이 연구개발비지출에 미치는 효과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검증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번째 방법에 의해서는 제도 변화가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에 기업의 연구인력개발비에 영향을 미치는 잉여금 처분 기업의 변화가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두 번째 방법에 의해서는 제도가 폐지된 기간과 신설된 기간에서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이 영향을 주었다고 할 정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두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공헌은 다음과 같다.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손금산입이 폐지되었다가 신설되고 다른 조세지원제도가 유지되는 기간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준비금손금산입의 효과를 좀 더 명확히 볼 수 있다. 또한 기업규모(중소기업)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준비금손금산입 제도가 규모에 따라 연구개발지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세법 조문에 따른 분석에서 기업이 실제로 지출한 연구인력개발비를 3년간 매년 일정하게 지출한다고 가정하고 파악하여 실제 지출된 연구인력개발비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연구인력개발비의 3년간의 전체 지출액은 동일하다. 둘째, 연구모형 분석에서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 제도의 변경 시점을 변수로 측정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다른 R&D 투자제도의 변화는 무시되었으며, 이로 인한 약간의 측정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appropriation of a reserve fund for R&D and human sources development as deductible expenses through the R&D Tax Incentive System on R&D investment by tracking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from 2007 to 2010 years. To do so, we carried out analyses as follows: -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including a reserve fund for R&D and HR development in boosting in deductible expenses by using data of the firms that made R&D and HR development expenditure in accordance with tax provisions. - Analyzed how the inclusion of the reserve for R&D and HR development in deductible expenses affected the R&D expenditure of listed companies. The fir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irms showed changes in the appropriation of surplus that affects the R&D and HR development expenditure during the period of system change. In the second analysis, we compared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eneral. However, for SME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hanged system. This study contributes to clearl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inclusion of a reserve fund for R&D and HR development in deductible expenses because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period, during which the system is reinstated while other tax incentive systems remain the same. In addition, the study shows how the inclusion affects companies` decision on R&D expenditure depending on the size of companie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few limitations. In the first analysis based on tax provisions, we averaged out the total R&D and human development expenditure for three year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yearly expenditure was consistent during the period. Thus, though the total R&D expenditure for the three years is the same as the actual, there can b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analytical and actual yearly expenditure. In the model analysis, only the reserve for R&D and human development was taken as a variable and other incentives for R&D investment during the period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which might have caused some measurement 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