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 평안북도 구성군 家戶의 구성과 거주 양태

        이정주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3

        This paper analyzed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內東面), Kusong-gun (龜城郡), Pyeonganbuk-do(平安北道) created in 1898. Currently,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divid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have changed several times since 1898.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ccurat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Naedong-myeon, Kusong-gun. However, considering the family register and other records, it was shown that Naedong-myeon consisted of 15 dongs at the time.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was made carelessly made and had errors in no small part. After correcting the errors, the family register shows that there were 201 dwelling units 565 males 450 females and a total of 1,015 residents. Looking a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males were found 26 percent more in number than females because most of daughters were not written in the family register. Looking at the age distribution, the reported rate of children aged 10 or younger was 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had the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family register in that the sex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high and children were not registe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dwelling unit was 5.05. Each dwelling unit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because a typical rural area of Naedong-myeon did not have a large population and a merchant or craftsman never existed in the form of one-person household.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lan villages in Naedong-myeon because this area placed emphasis on Confucian values and was a society based on ag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bsence of a female head of the family in Naedong-myeon was an expression of Confucian-oriented and conservative mood. 이 논문은 1898년에 만들어진 평안북도 구성군 내동면의 호적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 남북으로 분단이 되어 있고 1898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구성군 내동면에 대한 정확한 지리적 정보 파악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호적과 다른 기록을 종합하여 볼 때, 당시 내동면이 15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내동면 호적은 다소 무성의하게 작성되어 오류가 적지 않았는데, 여러 오류를 수정한 결과 호적에는 201戶, 男 565인, 女 450인, 합계 1,015인이 기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민의 인구 분포를 살펴 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26% 많게 나타난다. 이는 딸을 대부분 기재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연령 분포를 보면, 10세 이하 미성년자의 기재율이 낮았다. 성비가 높고 미성년자를 등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내동면 호적이 전근대 호적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 결과 내동면의 호당 가족원 수는 5.05였다. 호당 가족원 수가 비교적 많았던 것은, 내동면이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어서 유동 인구가 많지 않았고, 1인 가구의 형태로 존재하는 상인이나 수공업자가 전혀 없었던 데에도 원인이 있었다. 내동면은 다수의 동성 촌락과 소수의 일반 촌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가옥의 평균 규모가 크고,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이 넓은 동네는 대부분 동성 촌락이었다는 것이다. 내동면에 동성 촌락이 많았던 것은 이 지역이 유교적 성향이 강하였기 때문이었다. 내동면 호적에서 가족은 철저히 부계 직계 친족으로 구성되었고, 딸들은 잠재적 출가외인으로 여겨 일체 기재하지 않았다. 시집온 여성들의 성씨나 외조의 본관도 기재하지 않음으로서, 가족 구성에서 여성을 배제하거나 가급적 평가 절하하려고 하였다. 호주의 직업은 모두 ‘農’으로, 祖와 父는 모두 ‘學生’이나 ‘幼學’으로 기재하였다. 내동면은 유교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지역이었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내동면 호적의 보수성으로 드러난 것이었다.

      • KCI등재

        19세기 말 평안북도 구성군 家戶의 구성과 거주 양태

        이정주(Lee, Jung-jo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이 논문은 1898년에 만들어진 평안북도 구성군 내동면의 호적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 남북으로 분단이 되어 있고 1898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구성군 내동면에 대한 정확한 지리적 정보 파악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호적과 다른 기록을 종합하여 볼 때, 당시 내동면이 15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내동면 호적은 다소 무성의하게 작성되어 오류가 적지 않았는데, 여러 오류를 수정한 결과 호적에는 201戶, 男 565인, 女 450인, 합계 1,015인이 기재되어 있었다. 주민의 인구 분포를 살펴 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26% 많게 나타난다. 이는 딸을 대부분 기재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연령 분포를 보면, 10세 이하 미성년자의 기재율이 낮았다. 성비가 높고 미성년자를 등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내동면 호적이 전근대 호적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결과 내동면의 호당 가족원 수는 5.05였다. 호당 가족원 수가 비교적 많았던 것은, 내동면이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어서 유동 인구가 많지 않았고, 1인 가구의 형태로 존재하는 상인이나 수공업자가 전혀 없었던 데에 원인이 있었다. 내동면은 다수의 동성 촌락과 소수의 일반 촌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가옥의 평균 규모가 크고,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이 넓은 동네는 대부분 동성 촌락이었다는 것이다. 내동면에 동성 촌락이 많았던 것은 이 지역이 유교적 성향이 강하였기 때문이었다. 내동면 호적에서 가족은 철저히 부계 직계 친족으로 구성되었고, 딸들은 잠재적 출가외인으로 여겨 일체 기재하지 않았다. 시집온 여성들의 성씨나 외조의 본관도 기재하지 않음으로서, 가족 구성에서 여성을 배제하거나 가급적 평가 절하하려고 하였다. 호주의 직업은 모두 ‘農’으로, 祖와 父는 모두 ‘學生’이나 ‘幼學’으로 기재하였다. 내동면은 유교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지역이었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내동면 호적의 보수성으로 드러난 것이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內東面), Kusong-gun (龜城郡), Pyeonganbuk-do(平安北道) created in 1898. Currently,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divid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have changed several times since 1898.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ccurat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Naedong-myeon, Kusong-gun. However, considering the family register and other records, it was shown that Naedong-myeon consisted of 15 dongs at the time.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was made carelessly made and had errors in no small part. After correcting the errors, the family register shows that there were 201 dwelling units 565 males 450 females and a total of 1,015 residents. Looking a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males were found 26 percent more in number than females because most of daughters were not written in the family register. Looking at the age distribution, the reported rate of children aged 10 or younger was 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had the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family register in that the sex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high and children were not registe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dwelling unit was 5.05. Each dwelling unit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because a typical rural area of Naedong-myeon did not have a large population and a merchant or craftsman never existed in the form of one-person household.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lan villages in Naedong-myeon because this area placed emphasis on Confucian values and was a society based on ag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bsence of a female head of the family in Naedong-myeon was an expression of Confucian-oriented and conservative mood.

      • KCI등재

        중국의 조선어 방언 구술발화 조사 및 연구- 평안북도 방언화자를 중심으로-

        이금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2 No.-

        The study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which is in the crisis of extinction. The study also proposes the Pyeonganbuk-do materials which are typical during all the investigating materials until now, and then discusses the importance of oral utterance investigation materials as well as dialect features of relevant material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Korean dialect started from 1960s in China and mainly focused on the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with little study of oral utterance relatively. Because of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in the late 1970s and urbanization process, traditional Korean group residences became hollow rapidly and began to disintegra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 dialects, having transmission of for a long time, dissipated due to the inflow of South Korean. So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and record the materials which may cease to exist forever if we do not collect them right away. The oral utterance materials are the contents that native speakers spoke in a natural state so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the study of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but also in discourse study. The paper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and searches dialect features. I think it may be beneficial for foundation of dialect study by reviewing the distribution and aspect of investigation generally. Also, the stories of informant's life display the arduous history of Korean nation so they may be an import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1905년 작성 平安北道 慈城郡 호적 검토

        이정주(Lee, Jung-Jo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이 논문은 1905년에 조사․작성된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을 검토한 것이다. 1905년 당시 자성군은 세종대 4군 가운데 여연․자성․우예의 3군 영역에 해당하는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고 있었다. 총 1,806㎢으로 1,848㎢의 제주도와 거의 비슷한 규모이다. 1433년 세종은 4군을 개척하고, 1442년에 4군 지역에 대규모의 徙民을 실시했다. 하지만 1459년에 세조가 4군을 철폐한 뒤로 1869년 자성군이 다시 설치되기까지 이 지역은 여진족이 횡행하는 곳이었다.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은 1905년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은 자성군이 다시 설치되고 불과 36년이 경과한 시점의 기록이다. 현존하는 자성군 호적은 다른 지역에 비해 인쇄나 기록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 항목명이나 칸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먹이 번지거나 흐려서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질이 좋지 못한 값싼 먹과 종이를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기록자의 글씨체도 매끄럽지 못하고 졸렬한 편이었다. 게다가 1905년 자성군 호적은 戶口의 누락이 심하고, 직업 기재시 날품팔이를 빼거나 상공업 종사자의 비중을 축소하는 등 부실하게 기재되었다. 이처럼 성의가 부족하고 부실하게 작성한 호적이라는 커다란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성군 호적은 당시 해당 지역의 상황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자성군 호적을 분석한 결과, 1905년 자성군에는 兩班戶가 존재하지 않았고 커다란 집도 없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균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성군에는 당시 한반도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동족촌도 없었다. 가옥의 형태도 한반도의 여타 지역과 달랐다. 가옥은 통나무로 만들었으며, 지붕은 약 2cm 두께의 참나무 판을 50cm 정도로 잘라 얹는 형태로 조성하였다. 이러한 가옥을 ‘板家’라고 표현하였는데, 자성군의 모든 가옥이 板家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family register of Jasung-gun, Pyunganbuk-do, which was made in 1905. In 1905, Jasung-gun covered large area, composed of 3 guns (i.e., Yeyoun, Jasung, and Wooye) among Sejongdae 4 guns. The total area was 1,806㎢, which was about the size of Jeju island (1,848㎢). King Sejong established the 4 guns in 1433 and moved a large number of people to the 4 guns in 1942. However, Jurchen dominated the land after King Sejo closed the 4 guns until Jasung-gun was reestablished in 1869.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n 1905 was a record only 36 years after it was reestablished. The existing Jasung-gun family register has poorer print and recording condition than other regions. Item name and squares are barely readable and often it was impossible to read the contents because Chinese ink was spread or lightened. It would be because low quality Chinese ink and paper was used. Moreover, the recorder’s handwriting was not smooth, rather poor. Moreover,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n 1905 was poorly recorded. For example, it seriously missed too many houses; it omitted day labor in job recording; it reduced the number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workers.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s a valuable historic record showing the status of the region at that time, although it was poorly and incompletely recorded<SUP>*</SUP>. Analysis on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showed that Jasung-gun was composed of socially homogenous groups in 1905 and it did not have a house of nobleman and a mansion. The Jasung-gun did not have a town of a same last name, which was very common in the Korean peninsula<SUP>**</SUP>. The shape of houses was also different with that in other regions. All houses were made out of log and roof was made of 2㎝ thick and 50㎝ wide oak board. It was called ‘board’ house and all houses in the Jasung-gun were board ho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