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서비스 목적 기반 관광홍보용 모빌리티(PBV) 캐빈 디자인 연구

        윤교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모빌리티 공공서비스 트렌드는 물류 서비스나 맞춤형 이동 공간 공유서비스 등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를 이용한 공공서 비스 수요로 더욱 확대될 것이며, 근 미래에는 필요에 따라 병원, 카페, 식당, 도서관, 심지어 영화관 등으로 사용 목적이 자유롭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단순한 운송용 자동차가 아니라 승객들의 개별적인 수요를 충족 시켜 주는 신개념 라이프 스타일로서의 생활공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공공서비스 목적 기반의 관광홍보용 모빌리 티 캐빈 디자인을 위해 각 지자체에서 자율주행 차량으로 시범 운행하고 있는 서비스 사례를 조사ᆞ분석하고 미래 공공서 비스용 모빌리티 캐빈 디자인에 있어 공공적 니즈에 적합한 친환경 모빌리티 공공서비스 솔루션으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빌리티의 개념과 국내외 모빌리티 개발과정 사례조사를 하고 기술적 특징을 분석한 후 국내외에서 생산중인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을 조사ᆞ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의 이해도 조사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PBV 활용방안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광홍보 목적 기반의 모 빌리티 캐빈에 적용할 전략적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전략적 디자인요소를 바탕으로 내부 공간은 확장성을 위한 단일 구조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였으며, 친환경적인 모빌리티 캐빈의 외부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mobility public service trend will further expand to the demand for public services using purpose-based mobility (PBV), such as logistics services and customized mobility space sharing services, and in the near future, the purpose of use is expected to be freely changed to cafes, restaurants, hospitals, and even movie theaters as needed. Purpose-based mobility is expected to become a living space as a new concept of lifestyle that satisfies the individual needs of passengers, not just a transportation vehicle. Accordingly, for the design of mobility cabins for tourism promotion based on the purpose of public service,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ervice cases that are being piloted by autonomous vehicles in each local government, and to propose a design direction as an eco-friendly mobility public service solution suitable for public needs in the design of mobility cabins for future public services.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of mobilit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bility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n the skateboard platforms produced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based on objective data on the understanding of mobility services and the use of PBV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trategic design elements to be applied to mobility cabins based on tourism promotion purposes were extracted. Lastly, Based on the strategic design elements that were finally derived, the interior space secured a large space with a single structure for scalability, and the exterior design direction of the eco-friendly mobility cabin was proposed.

      • KCI등재

        Low-fidelity 프로토타입을 통한 PBV(목적기반차량) 편의장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조규형,이재연,김영기,김주성,박기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4

        연구배경 미래에 완전자율주행차로 기술이 고도화된다면 탑승자는 운전하지 않고 차량 내에서 휴식, 식사, 취미활동 등 다양한 일을 하게 될 것이다. PBV(목적기반차량)에서 탑승자의 다양한 활동을 위한 편의장치의 주된 기능 및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해 편의장치 개발 및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Low-fidelity 프로토타입 방식으로 편의장치를 제작하였고, 개인 맞춤형 편의장치, 청결 관련 편의장치, 공유 및 보관 편의장치로 유형화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평가 항목을 직관성, 편의성, 실용성, 혁신성으로 재정의하였고, 리커트 척도 7점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선호도 순위는 개인 맞춤형 편의장치, 공유 및 보관 편의장치, 청결 관련 편의장치 순으로 매겨졌다. 모두 직관성에 대해 비슷하게 분포되었고, 개인 맞춤형 편의장치의 편의성과 실용성이 가장 높았으며, 청결 관련 편의장치의 혁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PBV가 상용화되기 전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의 목적과 디자인에 적합한 편의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In the future, when fully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advances, passengers will be able to enjoy their leisure time such as eating, resting, reading, etc not while driving. Thus there needed to be a study regarding the convenience devices for PBV(Purpose Built Vehicle). And a thorough research on these devices regarding their function and service. Methods Created Low-fidelity convenience device prototypes and categorized them based on three different categories, cleanliness, personalization, and share/storage. Then conducted a pilot study and re-evaluated the categories into conveniency, innovation, intuitiveness, and practicality. Proceeded a user testing using these categories and a 7 point Likert Scale. Results The users preference of convenience devices was in the order of personalization, share/stroage, and cleanliness. Each categories were similar for intuitiveness, the personalization devices scored the highest in both conveniency and practicality, and the cleanliness devices scored the highest in innovation. Conclusion Before PBV becomes commercialized, this study proposes a series of convenience devices that fits the purpose and design for future mobilities.

      • Eliciting User Requirements and Design Directions for Autonomous Logistics Vehicle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Ga Young Ryu(류가영),Gui Young Kim(김귀영),Young Woo Kim(김영우),Yong Gu Ji(지용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urpose Built Vehicles(PBVs) in future smart cities, elicit opinions(expectations, concerns) about self-driving vehicles from logistics-related workers based on qualitative data, and analyze user needs in the design. Background: As social interest in autonomous vehicles increases, expect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autonomous driving in future logistics systems are rising. Last Delivery, the final stage of logistics, requires boarding of related workers and final delivery work even when the logistics system is automated. Smart cities, where automated processes will be introduced, are expected to bring about future systems that reduce the physical load or unnecessary behavior of delivery tasks, and need to be reflected in future self-driving environment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on 12 logistics staff on future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s, and a total of 6 subjects were conducted. The study was divided into 2 groups of 3, and each group was introduced to the concept of autonomous vehicles and interviewed on their expectations as well as concerns regarding autonomous logistics vehicles in their tasks. A maximum of 5 minutes was allocated per person so that all participants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Finally, the needs of users applicable to the design of autonomous logistics vehicles were elicited. Result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ding and categoriz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self-driving vehicles. As a result of grouping the opinions of the derived study subjects by subjective judgments of the researcher,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s, where mainly positive attitudes were high. The positive opinions commonly uttered were about ‘rest’, ‘shortening delivery time’ and ‘automatic departure and arrival’ during autonomous driving, while negative utterances were derived from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concern’ due to driving errors. The needs for design were found to be necessary for modularization of vehicles that can be used flexibly by users, automation that can be controlled without touch manipulation, and monitoring systems for customer response and safety. Conclusion: The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 environment elici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has been shown to pursue physical comfort by expanding rest and shortening working hours due to automation of vehicles, and requires consideration for space utilization, operation load reduction,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s. Application: The direction of purpose-based vehicles elicited through this study and group interviews of hands-on worker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signing future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s and developing delivery work processes.

      • 아이트래커를 통한 PBV 실내 사용성 평가 : 반려견 보호자와 유아 동반 부모 페르소나를 중심으로

        조규형(Kyuhyoung Cho),김영기(Youngki Kim),김주성(Juseong Kim),김현수(Hyunsoo Kim),강현민(Hyunmin Kang),박기철(Kicheol Pak)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미래에 반려견 보호자 또는 유아 동반 부모가 PBV 를 탑승하게 된다면 보호자는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운전하지 않고 보호대상을 케어하는 것에 집중할 것이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케어용품을 수납해야 할 공간, 보호대상을 위한 공기질 확인이 필요하다. 대상 페르소나의 시선을 아이트래커로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행동 양상을 파악하고 두 페르소나를 위한 PBV 실내 사용성을 제언한다.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자율주행 물류 차량의 사용자 요구사항 및 설계 방향 도출

        류가영(Ga Young Ryu),김귀영(Gui Young Kim),김영우(Young Woo Kim),지용구(Yong Gu Ji)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스마트 시티 내 목적 기반 차량(PBV)에 대해 조사해보고 물류 관련 종사자들의 자율주행 택배 차량에 대한 견해(기대감, 우려사항)를 정성적 데이터를 통해 도출하고,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사용자 니즈에 대해 분석한다. Background: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래 물류 시스템의 자율주행 적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물류의 최종 단계인 라스트 딜리버리(Last Delivery)는 물류 시스템이 자동화 되는 시점에도 관련 종사자의 탑승과 마지막 배송 업무를 필요로 한다.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도입될 스마트 시티는 배송 업무의 신체적 부하나 불필요한 행동을 단축하는 미래형 시스템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향후 자율주행 환경에서 업무 프로세스와 배송 시스템, 그리고 미래형 물류 차량의 기대하는 바와 설계 시 반영되어야 할 니즈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Method: 택배 관련 실무자 12명을 대상으로 미래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6명씩 총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은 3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소개, 본인의 과업 내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서 기대하는 점과 우려 사항에 대해 인터뷰하였고, 1인당 최대 5분의 시간을 할당하여 모든 사용자가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물류 차량의 설계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하였다. Results: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발화 내용을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연구 대상자의 의견을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집단화 한 결과,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견해를 보였고 주로 긍정적인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발화된 긍정적 의견은 자율주행 시 ‘휴식’, ‘배송시간 단축’, ‘자동 출·도착’에 대한 내용이 많았고, 부정적인 발화는 주행 오류로 인한 ‘불안감’, ‘우려’의 심리적인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설계에 대한 니즈는 사용자가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의 모듈화, 터치 조작없이 제어 가능한 자동화, 고객 응대와 안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 사항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자율주행 물류 차량 환경은 휴식의 확대로 신체적 안락함을 추구하고 차량의 자동화에 따른 업무 시간 단축으로 나타났으며, 설계 시 사용자에 따른 공간 활용, 조작 부하 절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Application: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목적기반차량의 방향성과 택배 종사자들의 그룹 인터뷰는 미래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 대해 디자인하고 배송 업무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