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 後期 生活文化와 美濃紙

        Kwang-hwe, Jeong(鄭光輝)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8 No.-

        美濃紙는 일본 岐阜縣에서 생산하는 전통적인 和紙이면서도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생활용품의 하나이다. 미농지가 언제 한반도에 들어왔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그에 대한 愛用은 문헌자료에서 종종 확인된다. 미농지의 産地인 岐阜縣은 과거 江戶시기의 美濃州와 飛彈州 등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미농주의 경우, 조선 후기 通信使 一行에 있어 자못 중요한 지역임을 기록물을 통해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통신사 일행이 미농주의 館舍에서 밤을 보내면서 수차례의 唱和가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미농주 또한 大阪으로 가는 길목에 놓여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여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 온 조선 후기 文臣들은 미농주의 지리와 특산품을 소개하면 항상 미농지를 언급하고 있다. 미농지는 미농주와 자주 함께 등장한다. 대체적으로 통신사 일행이 미농지를 선물로 받은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미농지 用途, 지어는 미농지를 淸나라 지식인에게 선물로 줬다고 한 것이 기록물의 주된 내용이다. 그만큼 미농지가 조선에서 어느 정도로 유행했는지를 가늠하게 할 수 있다. 총적으로 미농지는 통신사가 일본으로 왕래하면서 江戶시대의 관리들에게서 받은 문화적인 상징물에 불과할지 모르겠지만 이는 조선시대의 생활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당시 양국 간 생활문화의 한 면모를 살펴본다는 점에 있어 본고는 중요한 문화적인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Mi-nong paper traditional wa-shi product in Gi-fu Ken Japan, yet South Korea is one of the frequently used household goods. Came i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t Mi-nong paper know for sure about it, but the favorite is often confirmed by the literature. Mi-nong paper's Origin of the Gi-fu Ken contained Mi-nong Ju and Hi-dann Syu in the Edo dynasty. Mi-nong Ju especially, the late Chosun's Tongsinsa that party in a very important area which can be determined through a documentary that's why the news article Note Minonk companions spent the night in the communication has been made several times, as well as the Mi-nong Ju also going to Osaka because it was placed on a street corner. Japan went on a late Chosun's Tongsinsa tattoos are mentioned in Minonk care specialties and geographical descriptions, and was among those were always contains Mi-nong paper. Mi-nong paper with the Mi-nong Ju and often appeared. Tongsinsa generally received as a gift Mi-nong paper companions in everyday life, the use of Mi-nong paper, built in the Qing intellectuals Mi-nong paper gave a gift to share the contents of the records of that. Mi-nong paper so to a certain extent in the Korean fashion, you have to be to estimate. Total of the Mi-nong paper is Tongsinsa of the Edo period in Japan, while the traffic received from the officials do not know whether this is just a cultural symbol of the life and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 considerable influence at the time, as well as the aspects of life and cul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Seeing that look there is a major cultural significance of this is I think it.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교육 풍토 검토 : 경화사족 남공철의 사례를 통해

        송수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인격교육 Vol.10 No.3

        Nam Gongcheol (南公轍, 1760∼1840) was a representative literary official and politici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Jeongjo (正祖) and Sunjo (純祖) period he was in charge of the education of young students and the royal family. Above all things, to study Nam Gongcheol’s knowledge and lif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scholarship and academic trends during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His lif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Learning period (1775∼1783), the Changing period (1784∼1792), the Conservative period (1793 onwards). He learned Gomun (古文) from Kim Suntaek (金純澤, 1714∼1787) and formed a conservative view of learning. However, in his mid-twenties, he developed a liberal and flexible thinking. He also embraced impractical interests such as Paekwansosol (稗官小說) from the Ching Dynasty, but stayed in public service for a long time. Munchebanjeong was particularly attributable to his conservative academic attitude. In summary, to review his academic career provides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makes it reaffirmed that can stretch the contents, methods, imposed a purpose, from top to bottom problems existing teaching methods, to encourage the free learning environment that meets the individual's hobbies, tastes, autonomous personality and creativity in education. Also showed just the limits of education based on the external purpose. 금릉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관각문인이자 정치가였다. 또한 정조와 순조 연간 후학 교육 및 왕실 교육에 전념하였다. 무엇보다도 남공철의 삶을 통해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학문과 학풍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남공철의 생애는 크게 수학기(1775∼1783), 변화기(1784∼1792), 보수기(1793년 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남공철은 스승 김순택(金純澤, 1714∼1787)에게서 고문(古文)을 배우며 보수적인 학문관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십대 중반 즈음에는 시대 변화를 반영한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유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또한 패관소설 탐독, 정원 가꾸기 등의 취미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반면 관직 생활이 길어지는 동안 주자 성리학을 강조하며 천주교에 강압적 태도를 보이는 등 전형적인 관각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보수적 학문 태도로의 변화는 특히 문체반정에 기인하였다. 이상 남공철의 학문 생애를 검토하는 일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이는 교육의 내용, 방법, 목적을 위에서 아래로 부과한 기존 교육 방식을 문제 삼고, 개개인의 취미, 취향을 만족시키는 자유로운 배움 분위기를 장려할 때, 자율적 인격과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재확인하게 해준다. 또한 외재적 목적에 근거한 교육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지봉환 ( Bong Hwan J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하고 행했던 교육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교육내용과 바람직한 교사상, 기타 교육에 대해 기울인 다양한 관심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역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선조부터 순조까지로 국한했다. 먼저 그들이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을 가장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시한 교육내용은 『소학』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방법으로는 개별화교육을 강조하고 암기식 교육을 지양했으며, 상벌로 격려해주어야 한다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훌륭한 교사상으로는 어진사람과 행실에 있어 사표가 되는 사람 그리고 노성한 사람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그 외 가정교육을 중시했다거나 외국인을 활용한 교육을 권했다는 점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도리를 강조하고 교육에 귀천이 있을 수 없으며 직임을 못하는 교사는 도태시켜야 한다는 등 요즘 우리가 안고 있는 교육문제 혹은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 이미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교육적 관점들은 오늘 우리 교육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우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ses many types of specifics regarding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Especially focused on purposes,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sirable teacher at that times, this study analyse various ideas on education. The range of this analysis is limited from the era of King Seonjo(선조) to the era of King Sunjo(순조), and materials, which i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국사편찬위원회) were used for this study. At that eras, the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book, Sohak(소학)was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and most valuable contents of teaching.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at that times were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leaning on memoriz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desirable teacher should be benevolent and have wide experience as well as be a model in behaving. Also, at that eras, people were considering home education serious, encouraging teachers to educate through foreigners. And they emphasized du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ressed all students are equally honorable and wished all teachers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ir students. Their attitude to education like these closely resembles what we are emphasizing about education now and offers solutions to our educational problems we have had. Therefore their many types of ideas on education at that times can be guidance for understanding and resolving ou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problems.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

        지봉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하고 행했던 교육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교육내용과 바람직한 교사상, 기타 교육에 대해 기울인 다양한 관심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역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선조부터 순조까지로 국한했다. 먼저 그들이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을 가장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시한 교육내용은 「소학」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방법으로는 개별화교육을 강조하고 암기식 교육을 지양했으며, 상벌로 격려해주어야 한다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훌륭한 교사상으로는 어진사람과 행실에 있어 사표가 되는 사람 그리고 노성한 사람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그 외 가정교육을 중시했다거나 외국인을 활용한 교육을 권했다는 점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도리를 강조하고 교육에 귀천이 있을 수 없으며 직임을 못하는 교사는 도태시켜야 한다는 등 요즘 우리가 안고 있는 교육문제 혹은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 이미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교육적 관점들은 오늘 우리 교육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우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ses many types of specifics regarding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Especially focused on purposes,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sirable teacher at that times, this study analyse various ideas on education. The range of this analysis is limited from the era of King Seonjo(선조) to the era of King Sunjo(순조), and materials, which i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국사편찬위원회) were used for this study. At that eras, the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book, Sohak(소학)was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and most valuable contents of teaching.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at that times were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leaning on memoriz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desirable teacher should be benevolent and have wide experience as well as be a model in behaving. Also, at that eras, people were considering home education serious, encouraging teachers to educate through foreigners. And they emphasized du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ressed all students are equally honorable and wished all teachers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ir students. Their attitude to education like these closely resembles what we are emphasizing about education now and offers solutions to our educational problems we have had. Therefore their many types of ideas on education at that times can be guidance for understanding and resolving ou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problems.

      • KCI등재

        朝鮮 後期 生活文化와 美濃紙

        정광휘 동양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8 No.-

        美濃紙는 일본 岐阜縣에서 생산하는 전통적인 和紙이면서도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생활용품의 하나이다. 미농지가 언제 한반도에 들어왔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그에 대한 愛用은 문헌자료에서 종종 확인된다. 미농지의 産地인 岐阜縣은 과거 江戶시기의 美濃州와 飛彈州 등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미농주의 경우, 조선 후기 通信使 一行에 있어 자못 중요한 지역임을 기록물을 통해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통신사 일행이 미농주의 館舍에서 밤을 보내면서 수차례의 唱和가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미농주 또한 大阪으로 가는 길목에 놓여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여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 온 조선 후기 文臣들은 미농주의 지리와 특산품을 소개하면 항상 미농지를 언급하고 있다. 미농지는 미농주와 자주 함께 등장한다. 대체적으로 통신사 일행이 미농지를 선물로 받은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미농지 用途, 지어는 미농지를 淸나라 지식인에게 선물로 줬다고 한 것이 기록물의 주된 내용이다. 그만큼 미농지가 조선에서 어느 정도로 유행했는지를 가늠하게 할 수 있다. 총적으로 미농지는 통신사가 일본으로 왕래하면서 江戶시대의 관리들에게서 받은 문화적인 상징물에 불과할지 모르겠지만 이는 조선시대의 생활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당시 양국 간 생활문화의 한 면모를 살펴본다는 점에 있어 본고는 중요한 문화적인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Mi-nong paper traditional wa-shi product in Gi-fu Ken Japan, yet South Korea is one of the frequently used household goods. Came i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t Mi-nong paper know for sure about it, but the favorite is often confirmed by the literature. Mi-nong paper’s Origin of the Gi-fu Ken contained Mi-nong Ju and Hi-dann Syu in the Edo dynasty. Mi-nong Ju especially, the late Chosun’s Tongsinsa that party in a very important area which can be determined through a documentary that's why the news article Note Minonk companions spent the night in the communication has been made several times, as well as the Mi-nong Ju also going to Osaka because it was placed on a street corner. Japan went on a late Chosun’s Tongsinsa tattoos are mentioned in Minonk care specialties and geographical descriptions, and was among those were always contains Mi-nong paper. Mi-nong paper with the Mi-nong Ju and often appeared. Tongsinsa generally received as a gift Mi-nong paper companions in everyday life, the use of Mi-nong paper, built in the Qing intellectuals Mi-nong paper gave a gift to share the contents of the records of that. Mi-nong paper so to a certain extent in the Korean fashion, you have to be to estimate. Total of the Mi-nong paper is Tongsinsa of the Edo period in Japan, while the traffic received from the officials do not know whether this is just a cultural symbol of the life and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 considerable influence at the time, as well as the aspects of life and cul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Seeing that look there is a major cultural significance of this is I think it.

      • KCI등재

        옥동(玉洞) 이서(李서)의 영물시(詠物詩) 연구(硏究)

        윤재환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0 No.-

        이 글은 玉洞 李書(1662~1723)의 영물시를 대상으로 서술된 것이다. 옥동 이서의 영물시는 그의 시 1,300여 수 중 약 12.5%에 해당하는 160여 수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옥동 이서는 조선 중ㆍ후기 대표적인 지성인의 한 사람으로, 한평생 讀書ㆍ修道ㆍ講學하는 삶을 살았던 인물이었으며, ‘道本文末’의 관념에서 더 나아가 ‘文章害道’까지 주장했었던 儒學者였다. 옥동의 성격을 이와 같이 규정하였을 때 옥동의 시세계는 그의 詠物詩를 통해 구 체화 될수 있다. 그것은 영물시가 존재하는 대상 그 자체를 묘사하는 시가 아니기 때문이다. 영물시에 묘사된 대상은 작자에 의해 변용된, 작자의 心象과 觀念의 투사 체일 뿐만 아니라 작자의 문학적 기교와 능력에 의해 새롭게 구현되는 의식적 창조물 이다. 따라서 옥동의 영물시를 통해 우리는 옥동의 내면 의식과 문학적 역량을 동시 에 살펴볼 수 있다. 옥동의 영물시를 살펴보면 그의 영물시가 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깊이 인지하고 있었던 옥동이 자기 자신을 다잡기 위해 사용했던 도구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 문에 옥동의 영물시는 미적인 효용보다 수양 의지와 이상향의 추구라는 의식세계의 표출을 중심으로 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옥동의 영물시는 대상 경물에 依託한 淸淨하고 고요한 의식세계와 수양의지의 담담한 묘사를 통해 시를 한 폭의 그림과도같이 맑고 깨끗하게 만든다. 인위적 修飾이나 과장된 표현을 부정하고 대상에 의해 야기된 자신의 내면을 있는 그대로 옮기고 있을 뿐이지만, 옥동의 영물시에서 느낄 수 있는 옥동의 의식과 지향세계는 문학적 수사로 점철된 시보다 더 담담하고 깊이 있게 독자에게 다가온다. 이와 같은 옥동의 영물시는 그의 시문학적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로 이 지점에 옥동 영물시의 가치와 의미가 놓여 있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is written regarding Okdong Lee Seo’s ‘yeongmulshi’, that is a poem assimilating a creature or creatures for metaphoric purposes. Okdong Lee Seo’s remaining yeongmulshis are 160 some which are 12.5% of his 1,300 poems in total. As well known from previous researches, Okdong Lee Seo was one of the literati representing the mid and late Joseon period; devoted his life to reading, cultivation, and lecturing; and was a Confucian scholar deriving ‘literature harming the Dao(文章害道)’ from the concept of ‘the Dao primary, and literature minor(道本文末).’ When Okdong’s character is defined as such, Okdong’s poetry can be definitized by his yeongmulshis. It is because a yeongmulshi is not a poem describing a creature itself. An object described in a yeongmulshi is not only a result of imagery and conceptualization but also a intentional creation incarnated by a poet’s literary skills and abilities. Indeed, through Okdong’s yeongmulshis, both his inner consciousness and his literary abilities can be examined at once. As Okdong’s yeongmulshis are examined, it can be revealed that they were tools for Okdong who was deeply aware of functions and roles of poetry tocultivate himself. For the reason, Okdong’s yeongmulshis are not for aesthetic purposes but for expressing his inner consciousness of his will to cultivate himself and of his pursuit of the ideal. However, Okdong’s yeongmulshi have a poem pure and clean like a piece of picture through describing his transparent and tranquil consciousness and his will for cultivation. Merely he avoided rhetorics and exaggerations and directly delivered his inner side arisen by an object, but Okdong’s consciousness and ideals which can be felf from his yeongmulshis more serenely and more deeply come to readers than those of poems with lots of literary rhetorics. Such yeongmulshis of Okdong show his poetic abilities, and the values and the meanings of Okdong’s yeongmulshis are at this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