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연극에 나타난 제의 수용 양상 -연극 「산씻김」과 「오구-죽음의 형식」에 나타난 제의적 특성을 중심으로

        최경성 ( Kyoung Sung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현대 한국 연극의 주요한 흐름 중의 하나는 한국의 전통적 제의인 ``굿``을 연극에 도입하고 있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문화의 다원화라는 흐름과 함께 굿을 창조적으로 연극에 수용하려는 경향을 대두시켰다. 한국에서 제의 연극의 연구 방향은 제의로서의 굿에 내재되어 있는 연극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을 중심으로 서양의 제의 연극에 관해 탐구하는 방향으로 모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아르또가 세운 제의 연극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연극에 나타난 제의 수용 양상을 「산씻김」, 「오구」를 통해 제의의 수용 양상과 제의 연극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의의 수용 양상은 이 작품들이 ``씻김굿``과 ``오구굿``에서 어떠한 형태들을 차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제의 연극적 특성은 이 작품들을 아르또의 관점과 구별되게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굿의 연극적 수용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연극에 굿이 어떠한 형태로 수용되는지 그 구조와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한국의 제의 연극은 굿에서 출발점을 삼고 있다. 아르또의 잔혹연극 또한 아시아의 무당굿에서 비롯된 발리 댄스에서 영향력 입은 바가 무척 크다. 따라서 그 공통점은 상당히 드러난다. 한국의 굿, 또는 제의 연극이 제의성과 놀이성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이 관객을 낯설게 하는 아르또와는 다소 다른 점이지만 관객과의 소통을 원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발견된다. 앞으로 제의성의 현대 연극에 대한 수용은 관객과의 소통과 정화와 치료라는 매개로 전개해 나갈 때 그 방향은 한층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리라 믿는다. One of the major streams of modern play in Korea is the work of introducing Korea`s traditional ritual-``gut`` into a play. Such work, together with the stream of diversification of culture, has brought about the tendency to induce ``gut`` into a play in a creative way. The research on ritual plays in Korea has been done in the direction of studying the ritual plays in the West centering on the work of theoretically inquiring into histrionic features inhering in ``gut`` as a ritual.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receptive aspect of rituals and histrion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Korea plays through "Sanssikgim" and "Ogu"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ritual plays established by Artaud.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receptive aspect of rituals, this research analyzed what forms these Korean works are borrowing from "Ssikgim gut" and "Ogu gut" while analyzing these works differently from the viewpoint of Artaud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ritual plays. Accordingly,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gut"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in what form "gut" is absorbed into Korean plays by looking at the theatric receptive forms of "gut." The ritual plays in Korea originated in "gut." Likewise, the theater of cruelty by Artaud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belly dance stemming from "mudang-gut" in Asia. Accordingly, there is considerably exposed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ritual play in Korea and Artaud`s theater of cruelty. "Gut" in Korea, or ritual plays are a little different from Artaud`s work which makes its audience feel unfamiliar in that ``gut`` or ritual plays in Korea are pursuing ritualistic quality and playing quality simultaneously, but there exists a similarity between the two in that they both desired to hav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is researcher strongly believes that for the time to come, when the receptive aspect of the modern play assuming ritualistic quality is developed using the medium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purification and play therapy, its direction will be more noticeably exposed.

      • KCI등재

        르네상스 철학의 명상과 신비적 합일에 대한 연구

        강동수(Kang, Dong-Soo)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이 연구는 N. 쿠자누스의 『루도 글로비에 관하여』(De Ludo Globi) 와 M. 피치노의 『플라톤 신학』 (Theologia Platonica)을 중심으로 명상과 신비적 합일을 고찰하였다. 쿠자누스는 ‘글로부스 놀이’를 통해서 명상을 설명하였다. 그의 설명에서 세계가 놀이판에, 영혼이 공에, 신은 중점에 비유된다. 그리고 중점을 향한 공의 운동이 신에로 상승하는 영혼의 여행으로 비유된다. 영혼의 상승운동이 사유 활동이므로 명상은 영혼여행을 뜻한다. 세계와 영혼은 양자 모두에 생기를 주는 빛, 즉 신 안에 배치되어 있고, 세계는 신을 향한 영혼 여행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이에 따르면 영혼은 신으로부터 사유하도록 추동되고, 명상은 신의 인식에 도달하는 것이 궁극 목적이다. 피치노는 명상의 목적을 “신비적 합일”로 생각한다. 그는 『플라톤 신학』에서 영혼의 불멸성을 논구하여 영혼이 신과 신비적 합일에 도달해야 할 근거와 이유를 고찰하였다. 그는 영혼의 성격을 인식과 의지로 구별하고, 신과 신비적 합일에로 상승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해명한다. 이러한 의지는 신의 사랑에서 동기화되어 신을 향한 눈먼 사랑으로 귀결된다. 그는 일자에로 지향하는 영혼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사랑으로 파악한다. 사랑은 우주의 존재 위계들 사이를 순환하면서 우주의 생성을 도모하는 활력소로 신비로운 힘이다. 쿠자누스와 피치노는 모두 명상이 영혼의 자기정화 방법으로, 신을 향해 상승하는 운동으로 파악한다. 그들의 명상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모순에서 생겨나는 고통과 불안 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유 활동이다. 명상은 물질적 삶으로부터 정신적 삶에로 가는 ‘영혼여행’으로 “지혜놀이”이다. 그들은 명상을 통해서 영혼이 순화되고, 궁극적으로 평안과 휴식을 얻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해명은 심리 치료를 위한 한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nquired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in N. Cusanus’s De Ludo Globi and M. Ficino’s Theologia Platonica. As a clue for an investigation of their concepts we examined the same character of play and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Cusanus explained the character of world and soul with symbols of play. For him the world is the starting point of soul-journey toward the God. He explained contemplation as a soul-journey. The movement of soul is a thinking. The soul was motived from God, and the soul contemplated divine Being of God. And further we inquired into the condition and end of soul-journey in De Ludo Globi. According to Cusanus, man learns the ways and self-control in soul-journey for God. He discharges his difficulties and adventures for life. In the process man attains joys of divine life. Ficino was explained for the aim and process and ground of mystical union in his Theologia Platonica. His ‘mystical union’ was constituted with many stages and a motive. The necessity of purification of soul is served as a stepping-stone for mystical union. He thinks as a link with the relation between world and soul and the One. The link has many stages, but it is continual relation. All things in the universe have his form and place of movement. Specially soul has two wings of a desire and a cognition. The harmony of them is necessary to a rising soul toward God. Human desires in a sensory body disturbs soul in his ascension. Since it is so, the purification of soul was necessary claimed. For Ficino mystical union is soul-movement that solves a contradiction of actual world and intention. It appears as soul-purification and self-satisfaction. In an jubilation of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soul ascends to divine sphere. This ascent of soul brings about an effect of healing. Because the contemplation is soul-journey that travel from a world life to the eternal and supreme bliss. For that reason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must be considered as a philosophical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